KR20110053490A - 코일들을 중첩시켜 유도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일들을 중첩시켜 유도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490A
KR20110053490A KR1020117008867A KR20117008867A KR20110053490A KR 20110053490 A KR20110053490 A KR 20110053490A KR 1020117008867 A KR1020117008867 A KR 1020117008867A KR 20117008867 A KR20117008867 A KR 20117008867A KR 20110053490 A KR20110053490 A KR 2011005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wer
axis
movable body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아마노
신지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1005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급전코일(10)이 급전 스테이션의 특정 영역(100)에 제공되고, 수전코일(12)이 차량(200)에 제공된다. 상기 급전코일(10)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y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고, 상기 수전코일(12)은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상기 수전코일(12)의 공진주파수는 상기 급전코일(10)의 공진주파수와 같게 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급전시스템{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급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설에 제공되는 급전코일(power supply coil)로부터 차량과 같은 가동체 상에 제공되는 수전코일(power receiving coil)로 전력을 비접촉식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급전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공보 제2000-23393호(JP-A-2000-23393)는, 2차코일이 1차코일을 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되는 급전1차코일로부터 또다른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되는 수전2차코일로 전력을 전송하는 비접촉식 급전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1차 및 2차코일들은 자기코어 및 권선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자기코어의 단면적은 나머지 다른 코일의 자기코어의 외경보다 크다.
급전 스테이션(power supply station) 등의 시설에 제공되는 1차코일 및 차량 등의 가동체 상에 제공되는 2차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1차코일은 가동체가 주차가능한 공간에 제공된다. 하지만, 가동체가 주차공간 내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에 관계없이 전력 효율을 충족할 수 있기 위해서는, 1차코일이나 2차코일이 커야만 하는데, 이는 공간의 모양을 제한하고,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가동체가 주차공간 내에 주차하고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동체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시설의 특정 영역에 제공된 급전코일, 및 상기 급전코일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가동체 상에 제공되는 수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급전코일을 향하고, 상기 수전코일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급전코일과 중첩하거나 그 부근에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그 장축이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보다 짧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수전코일이 상기 급전코일과 중첩하거나 그 부근에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으로부터 직립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으로부터 직립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의 휠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동체가 특정 영역(즉, 주차공간) 내에 주차하고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동체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동일 부호들이 동일 요소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일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또다른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또다른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급전주파수와 효율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일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또다른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또다른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일 배치(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또다른 배치(형태)를 예시한 도면; 및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 및 수전코일의 배치(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차량은, 급전 스테이션에서 특정 영역에 정지되어, 급전코일로부터 AC(교류) 전력을 받을 것이다. 급전코일(또는 1차코일)은 급전 스테이션에 제공되고, 수전코일(또는 2차코일)은 차량에 제공된다. 상기 수전코일은 수전코일 부근에 위치하고, AC 전력이 상기 급전코일에 공급된다.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수전코일이 비접촉식으로 AC 전력을 받게 된다. 상기 수용된 AC 전력은 우선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다음, 온-보드(on-board) 배터리에 공급되어 상기 온-보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급전코일은 급전 스테이션의 특정 영역, 즉 차량이 주차하게 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급전코일의 단면적은 상기 특정 영역보다 작다. 또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에 배치되어,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그 어느 것이 수전코일과 중첩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수전코일에 충분히 근접하도록 한다. 또한, 급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전코일의 공진주파수는 상기 급전코일의 공진주파수와 정합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도 1c는,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급전코일(10)과 수전코일(12) 간의 상대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수전코일(12)의 공진주파수는 상기 급전코일(10)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하다.
도 1a는 수전코일(12)이 급전코일(10)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b는 수전코일(12)이 급전코일(10)과 중첩하지 않고 그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c는 상기 수전코일(12)의 일부분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상기 급전코일(10)의 위치가 고정되는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의 위치는 이동가능한데, 그 이유는 상기 수전코일(12)이 차량 등의 가동체 상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도 2는 급전주파수를 변경하는 경우의 효율의 변화(즉, 전송 효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참조문자 1A로 표시된 선은 도 1a에 도시된 배치(형태)를 갖는 효율을 나타내고, 참조문자 1B로 표시된 선은 도 1b에 도시된 배치(형태)를 갖는 효율을 나타내며, 참조문자 1C로 표시된 선은 도 1c에 도시된 배치(형태)를 갖는 효율을 나타낸다. 선 1A 및 1C에 의하면, 즉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배치(형태)들에 의하면, 최대 효율의 2개의 피크들이 있지만, 선 1B에 의하면, 즉 도 1b에 도시된 형태에 의하면, 최대 효율의 단 하나의 피크만이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급전주파수를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90%의 고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급전코일(10)과 수전코일(12)의 공진주파수를 같게 만들고, 상기 수전코일(12)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있도록 상기 수전코일(12)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급전코일(10)에 대한 상기 수전코일(12)의 위치에 따라 급전주파수를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90%의 고효율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급전코일(10) 및 수전코일(12)의 특정 형상들을 보여준다. 상기 급전코일(10)은 급전 스테이션의 특정 영역(100)에서 지상에 제공되는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상기 특정 영역(100)에 주차하게 되는 차량(200)에 제공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모두 상기 급전코일(10)이 상기 특정 영역(100)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수전코일(12)이 상기 차량(200)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는 예시들을 보여준다. 도 3a에서, 상기 급전코일(10)의 단면적은 상기 특정 영역(100)보다 작고, 상기 급전코일(10)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일 측이 타 측보다 긴 직사각형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있는 2개의 축들이 x 방향 및 y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급전코일(10)은 x 방향보다 y 방향이 더 길다. y 방향으로의 상기 급전코일(10)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상기 특정 영역(100)의 길이와 거의 같거나 약간 짧을 수도 있다. 상기 급전코일(10)은 y 방향으로 상기 특정 영역(100)의 거의 전체 길이에 이른다.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직사각형이고,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y 방향보다 x 방향이 더 길다. 이와 같이, 급전코일(10)과 수전코일(12) 양자 모두는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이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은 나머지 다른 것의 길이방향에 수직이다. 그 결과,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에 주차되는 방식에 관계없이, 상기 수전코일(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 상기 급전코일(10)의 단면적은 상기 특정 영역(100)보다 작고, 상기 급전코일(10)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그 일 측이 타 측보다 긴 직사각형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축들이 x 방향과 y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급전코일(10)은 y 방향보다 x 방향이 더 길다. 상기 급전코일(10)은 x 방향으로 상기 특정 영역(100)의 거의 전체 길이에 이른다.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직사각형이고, x 방향보다 y 방향으로 더 길다. 이와 같이, 급전코일(10)과 수전코일(12) 양자 모두는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이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은 나머지 다른 것의 길이방향에 수직이다. 그 결과,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에 주차되는 방식에 관계없이, 상기 수전코일(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3c에서, 상기 급전코일(10)의 단면적은 상기 특정 영역(100)보다 작고, 상기 급전코일(10)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그 일 측이 타 측보다 긴 직사각형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축들이 x 방향과 y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급전코일(10)은 x 방향보다 y 방향이 더 길다.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x 방향의 길이가 y 방향의 길이와 같은 정사각형이고, x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 결과,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에 주차되는 방식에 관계없이, 상기 수전코일(12)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전코일(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도록 할 수 있다. 첨언하면, 도 3c에서, 상기 수전코일(12)은, 먼저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에 주차하는 경우, 상기 차량(200)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축에 최초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수전코일(12)은 x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하는 한편, 최고의 효율을 갖는 위치의 검색 시, AC 전력이 상기 급전코일(10)에 공급된다. 일단 수전코일(12)이 상기 위치를 찾으면, 이동을 중단한다.
도 3a 내지 도 3c 모두에 있어서, 급전주파수는 공진주파수와 정합하도록 또는 근접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효율은 먼저 공진주파수로 초기에 설정된 급전주파수로 측정된다. 그 후, 상기 효율은 최고의 효율을 갖는 주파수의 검색 시에 상기 급전주파수를 미소 증분(minute increment)으로 증감한 후에 측정된다. 최고의 효율을 산출하는 주파수가 급전주파수로 사용된다. 상기 급전주파수의 검색 범위는, 상기 급전코일(10)과 상기 수전코일(12)의 공진주파수들을 같게 만들고, 상기 급전코일(10)과 상기 수전코일(12)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위치들에 배치시킴으로써, 충분하게 제한될 수 있다.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근사적으로 ± 0.5 MHz의 급전주파수 검색 범위로도 충분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모두 상술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의 특정 영역(100)에 매설된 급전코일(10) 및 상기 급전코일(10)을 향하도록 차량(200)의 하부에 제공된 수전코일(12)을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타입의 형태는 한 가지 예시일 뿐이다. 여타의 형태들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급전코일(10) 및 수전코일(12)의 다른 형태들의 도면이다. 도 4에서, 지지판은 급전 스테이션의 특정 영역(100)의 가장자리에 직립하고, 상기 지지판 위에 급전코일(10)이 제공된다. 상기 급전코일(10)은, 수직방향으로 길고 수평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이다.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상기 급전코일(10)과 대체로 높이가 같은 위치로 상기 차량(200)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상기 수전코일(12) 또한 수직방향으로 짧고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그러므로,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으로 후진하여, 상기 차량(200)의 후방부가 지지판에 근접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코일(12)이 십자가 형상으로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한다. 이는 도 1a에 도시된 배치(형태)에 등가이다.
또한, 도 5에서, 지지판은 특정 영역(100)에서 차량의 측면을 따라 직립하고, 상기 급전코일(10)은 상기 지지판 상에 제공된다. 상기 급전코일(10)은, 수평방향으로 길고 수직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이다. 상기 급전코일(10)은, 차량(200)의 휠과 대체로 같은 높이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수전코일(12)은 상기 차량(200)의 휠에 제공된다. 상기 수전코일(12)은 대체로 원형이다. 그러므로, 차량(200)이 특정 영역(100)에 들어가면, 상기 수전코일(12)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전코일(10)이 특정 영역(100)에 제공되고, 상기 수전코일(12)은 차량 등의 가동체 상에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수전코일(12)의 공진주파수는 상기 급전코일(10)의 공진주파수와 같도록 설정된다. 상기 가동체가 특정 영역(100)에 주차된 경우, 상기 수전코일(12)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급전코일(10)과 중첩하거나 그와 근접하게 되어,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전코일(12)로부터의 AC 전력은 정류기에 의해 정류되고, 차량(200)에 탑재된 2차전지로 공급되어, 상기 2차전지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차량(200)에는, 상기 2차전지의 SOC(state-of-charge)를 모니터링하는 충전제어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제어장치는, 2차전지가 완전히 충전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차량(200)의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고, 또는 2차전지가 완전히 충전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급전 스테이션에 통지하여, 상기 급전코일(10)로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10) 및 상기 수전코일(12) 양자 모두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타원형,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장방형이나 정방형, 또는 도 5에 도시된 원형이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급전코일(10) 및 수전코일(12)은 여타의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c에서, 상기 급전코일(10)은 정방형일 수도 있고, 상기 수전코일(12)은 장방형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c에서, 상기 수전코일(12)은 원형이나 타원형일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10) 및 수전코일(12)의 형태는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도 6은 코일축의 방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급전코일(10)의 축(300)이 상기 수전코일(12)의 축(400)과 평행한 경우, 상기 축(300) 및 상기 축(400)에 평행한 A 방향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의 방향에 대응한다. 타원형(11)은 코일축의 방향으로의 급전코일(10)의 투영물을 나타내고, 타원형(13)은 코일축의 방향으로의 수전코일(12)의 투영물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3a 내지 도 3c는 급전코일(10) 및 수전코일(12)의 투영물들을 나타낸다. 이들 투영물에 의하면, 상기 급전코일(10) 및 상기 수전코일(12)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500)이 있는 경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에 서로 중첩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첨언하면,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급전코일이 직사각형이지만,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형상은, 직사각형 이외에도, 타원형(oblong), 모서리들이 둥근 직사각형, 기타(guitar) 형상, 볼 형상, 기다란 6각형, 및 기다란 다이아몬드형 등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수전코일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정방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수전코일은 대안적으로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보다 짧은 장축을 갖는 형상, 또는 정다각형이나 원형을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나 구성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각종 변형예와 등가 형태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각종 요소들이 예시적인 각종 조합예들과 구성예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 하나의 요소 혹은 그보다 많거나 적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여타의 조합예들과 구성예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2)

  1. 시설의 특정 영역에 제공된 급전코일; 및
    상기 급전코일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가동체 상에 제공되는 수전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급전코일을 향하고, 상기 수전코일은,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급전코일과 중첩하거나 그 부근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급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이 상기 수전코일의 장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급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수전코일의 장축이 상기 가동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에서 전진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전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이 상기 가동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에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전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그 장축이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보다 짧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수전코일이 상기 급전코일과 중첩하거나 그 부근에 있도록 배치되는 급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정다각형이거나 원형이고; 상기 급전코일 및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가 상기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수전코일이 상기 급전코일과 중첩하거나 그 부근에 있도록 배치되는 급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코일축의 방향에서 볼 때,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급전코일의 장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체 상에 제공되는 급전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으로부터 직립하여 제공되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급전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으로부터 직립하여 제공되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의 휠에 제공되는 급전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특정 영역에 매설되어 제공되고,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가동체의 하부에 제공되는 급전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차량인 급전시스템.
KR1020117008867A 2008-10-20 2009-10-19 코일들을 중첩시켜 유도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시스템 KR20110053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0153A JP5381011B2 (ja) 2008-10-20 2008-10-20 給電システム
JPJP-P-2008-270153 2008-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490A true KR20110053490A (ko) 2011-05-23

Family

ID=420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867A KR20110053490A (ko) 2008-10-20 2009-10-19 코일들을 중첩시켜 유도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82161B2 (ko)
EP (1) EP2344359B1 (ko)
JP (1) JP5381011B2 (ko)
KR (1) KR20110053490A (ko)
CN (1) CN102186695A (ko)
BR (1) BRPI0919614A2 (ko)
ES (1) ES2400632T3 (ko)
RU (1) RU2011115424A (ko)
WO (1) WO201004674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490A (ko) * 2012-05-09 2015-02-10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US10286794B2 (en) 2012-05-09 2019-05-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7186B2 (en) 2008-09-27 2015-02-0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thermal management
JP5258521B2 (ja) * 2008-11-14 2013-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JP5506327B2 (ja) * 2009-10-27 2014-05-28 株式会社ヘッズ 非接触電力供給装置
CN102870338B (zh) * 2010-03-10 2017-02-15 无线电力公司 无线能量转移转换器
JP5557618B2 (ja) * 2010-06-28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充電システム
FR2962263B1 (fr) * 2010-07-01 2013-06-28 Renault Sa Charge sans contact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WO2012001291A2 (fr) * 2010-07-01 2012-01-05 Renault S.A.S. Charge sans contact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JP2012070565A (ja) * 2010-09-24 2012-04-05 Fujitsu Ltd 電気自動車、充電ステーション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KR101228556B1 (ko) * 2010-11-04 2013-02-0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EP2463162B1 (de) * 2010-12-07 2016-03-30 Carbike GmbH System zur Energieversorgung von Elektrofahrzeugen
US9035500B2 (en) 2011-03-01 2015-05-19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feed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il
US9697952B2 (en) 2011-10-27 2017-07-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ntact electric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6126013B2 (ja) * 2011-11-25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8760253B2 (en) 2012-01-17 2014-06-2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il assembly including a ferrite layer and a thermally-conductive silicone layer
JP2013219210A (ja) * 2012-04-10 2013-10-24 Panasonic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9672975B2 (en) * 2012-09-11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oil arrangements and method of operation
DE102012219062A1 (de) * 2012-10-19 2014-04-24 Robert Bosch Gmbh Energieübertragungsvorrichtung und Energieübertragungsanordnung
JP5924496B2 (ja) * 2012-10-31 2016-05-25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5065341A (ja) * 2013-09-25 2015-04-09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アンテナコイル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5188285A (ja) * 2014-03-27 2015-10-2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と車両給電装置
US9831685B2 (en) * 2014-05-16 2017-1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6458466B2 (ja) * 2014-11-28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
CN106183883A (zh) * 2016-09-23 2016-12-07 中惠创智无线供电技术有限公司 一种免对位无线充电系统
JP6891369B2 (ja) * 2017-01-11 2021-06-18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送電用シート
JP2018121036A (ja) * 2017-01-27 2018-08-02 京セラ株式会社 非接触型電力伝送装置
JP6604459B2 (ja) * 2017-06-05 2019-11-13 中国電力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CA3125006A1 (en) * 2019-01-02 2020-07-09 Ut-Battelle, Llc Polyphas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coil assemblies and resonant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328A (en) 1986-07-18 1989-01-24 Inductran Inc. Inductive power coupling with constant voltage output
JPS63240331A (ja) * 1987-03-26 1988-10-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充電装置
JPH0398432A (ja) * 1989-09-11 1991-04-24 Eito Denshi:Kk 電磁誘導による電力供給
WO1995011545A1 (en) * 1993-10-21 1995-04-27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pick-up coils
US5737211A (en) 1994-02-21 1998-04-07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Linear-motion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JPH08126106A (ja) 1994-10-18 1996-05-17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体用誘導給電装置
US5646500A (en) 1995-01-27 1997-07-08 Delco Electronics Corp. Inductively coupled charger having a light-activated mechanical positioning system
JP3772997B2 (ja) * 1995-07-31 2006-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充電用電磁結合装置
JPH09172743A (ja) * 1995-12-20 1997-06-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充電装置のカプラ結合装置
CN1092858C (zh) 1996-05-27 2002-10-16 三洋电机株式会社 电动车辆充电系统
JPH104638A (ja) * 1996-06-13 1998-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H10322920A (ja) 1997-05-12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充電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診断方法及び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2000023393A (ja)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電源装置
JP4204184B2 (ja) * 2000-09-08 2009-01-07 ビステオン・ジャパン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誘導型充電接続器
JP2003224937A (ja) 2002-01-25 2003-08-08 Sony Corp 電力供給装置および方法、受電装置および方法、電力供給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GB2399225B (en) 2002-05-13 2005-03-23 Splashpower Lt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having horizontal field
JP4478470B2 (ja) 2004-01-26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決めステージ装置
JP4469290B2 (ja) * 2005-02-01 2010-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CN102983639B (zh) 2005-07-12 2016-01-27 麻省理工学院 无线非辐射能量传递
DE102006044059A1 (de) 2006-09-20 2008-04-10 Abb Patent Gmbh Anorndung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aus einem Magnetfeld
WO2008051611A2 (en) * 2006-10-25 2008-05-02 Farkas Laszio High power wireless resonant energy transfer system transfers energy across an airgap
JP2010508007A (ja) * 2006-10-26 2010-03-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誘導性電力システム及び動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490A (ko) * 2012-05-09 2015-02-10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US10286794B2 (en) 2012-05-09 2019-05-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US10960770B2 (en) 2012-05-09 2021-03-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2161B2 (en) 2013-07-09
RU2011115424A (ru) 2012-11-27
JP2010098257A (ja) 2010-04-30
US20110273025A1 (en) 2011-11-10
EP2344359B1 (en) 2013-02-13
BRPI0919614A2 (pt) 2015-12-08
JP5381011B2 (ja) 2014-01-08
EP2344359A2 (en) 2011-07-20
CN102186695A (zh) 2011-09-14
ES2400632T3 (es) 2013-04-11
WO2010046744A3 (en) 2010-06-17
WO2010046744A2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3490A (ko) 코일들을 중첩시켜 유도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시스템
JP5938288B2 (ja) 無線給電装置
CN202997711U (zh) 无线供电本地计算系统
US20120306262A1 (en) Shield device for resonance typ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142986B2 (en) Coil unit,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power receiving apparatus,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EP2763149B1 (en)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506327B2 (ja) 非接触電力供給装置
US20180097401A1 (en) Multiple coils for wireless power
US9225204B2 (en) Coil unit, contact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vehicle, and contactless power feeding system
US9577464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EP2848453B1 (en) Vehicle comprising power reception coil
EP2782108B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tting system
US10576842B2 (en) Electricity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ity reception apparatus
US20160355094A1 (en) Power receiving system
EP2800110A1 (en) Non-contact charging device
WO2012132144A1 (ja) 充電台
JP2013135491A (ja) アンテナ
US10131236B2 (en) Wireless charging magnetic structure
JP5930182B2 (ja) アンテナ
JP2013074683A (ja) アンテナ
JP2013141350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車両
WO2013080860A1 (ja) 非接触給電装置
JP2013183596A (ja) 無線電力伝送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