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182A -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182A
KR20110053182A KR1020100105358A KR20100105358A KR20110053182A KR 20110053182 A KR20110053182 A KR 20110053182A KR 1020100105358 A KR1020100105358 A KR 1020100105358A KR 20100105358 A KR20100105358 A KR 20100105358A KR 20110053182 A KR20110053182 A KR 2011005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data
audio
cont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202B1 (ko
Inventor
장우용
유승동
박세준
문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830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99820A4/en
Priority to PCT/KR2010/007991 priority patent/WO2011059257A2/en
Priority to US12/946,428 priority patent/US9497499B2/en
Publication of KR2011005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이 개시된다. 본 출력방법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AV 데이터 출력 중에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AV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은 중단하는 단계, 및 AV 데이터에서 분리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ly outputting audio thereof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기기에서 출력하여 할 오디오를 원격에 위치한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기기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기기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기기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디지털 기기에서 출력될 오디오를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에는 다른 출력중인 오디오와 관련 없는 비디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V 데이터 출력 중에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은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AV 데이터에서 분리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전송단계를 통해 전송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한 후 출력하는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은,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압축된 제1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은, 외부기기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하는 단계;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출력 중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에 의해 AV 데이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 및 상기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컨텐츠는, 기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이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제1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AV 데이터 출력 중에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은 중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AV 데이터에서 분리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한 후 출력하는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압축된 제1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외부기기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수신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하는 제어부;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출력 중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에 의해 AV 데이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 및 상기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컨텐츠는, 기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이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제1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헤드셋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디지털 기기에서 출력될 오디오를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분리하여 각기 다른 디지털 기기들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출력되어져야 할 오디오를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오디오와 관련 없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DTV의 상세 블럭도,
도 6은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폰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오디오를 원격 출력할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GUI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기와 이해의 편의를 위해, 1) AV 컨텐츠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거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 캡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이고, 2) 비디오 컨텐츠는 비디오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이며, 3) 오디오 컨텐츠는 오디오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로 정의한다. 또한, AV 컨텐츠는 AV 데이터일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일 수 있다.
1. 오디오 원격 출력
오디오 원격 출력은,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서, 1) DTV(100)는 AV 컨텐츠에서 오디오만을 분리/전송하는 기기로 역할하고, 2) 모바일폰(200)은 분리/전송된 오디오를 수신/출력하는 기기로 역할한다.
이하에서,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서, 오디오 원격 출력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좌측에는 DTV(10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모바일폰(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S310),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320-Y), DTV(100)는 모바일폰(20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330). 한편, 방송 컨텐츠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AV 데이터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후,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오디오 출력을 중단한다(S340). 이에 따라, DTV(100)에서는 방송 화면은 출력되지만, 방송 음향은 출력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DTV(100)는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한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한다(S350). 이때, DTV(100)에서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후 디코딩되지 않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S350단계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다.
한편, 모바일폰(200)은 S3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압축해제)한 후 출력한다(S360). S360단계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되는 중에, 모바일폰(200)은 S360단계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와 무관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70).
S370단계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이외의 컨텐츠로, 구체적으로는 AV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또는 텍스트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S370단계에서 AV 컨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는, 오디오를 제외한 비디오만이 출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S360단계에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용자의 청취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S370단계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폰(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는 물론,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외부기기는 DTV(1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S310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일 예로서, 제1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일 예로서, 제2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를 DTV(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를 위해, DTV(100)는 2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한편, DTV(100)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후 디코딩되지 않는 비디오 데이터이다. 따라서,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려면,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압축 해제)을 수행할 것이 전제된다.
2.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
이하에서는,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서, 오디오와 캡션에 대한 원격 출력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캡션이란 오디오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캡션은 AV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서도, 좌측에는 DTV(10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모바일폰(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S410),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420-Y), DTV(100)는 모바일폰(20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430).
이후,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오디오 출력은 중단한다(S440). 이에 따라, DTV(100)에서는 방송 화면은 출력되지만, 방송 음향은 출력되지 않게 된다. 한편, S440단계에서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 캡션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고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와 캡션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한다(S450). 이때, DTV(100)에서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후 디코딩되지 않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S450단계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다.
모바일폰(200)은 S4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압축해제)한 후 출력한다(S460). 그리고, 모바일폰(200)은 S4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S470).
한편, 사용자로부터 전자 사전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S480), 모바일폰(200)은 전자 사전 기능을 실행한다(S490). 이에 따라, 사용자는 S490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S470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캡션에 나타난 단어들에 대한 의미 검색이 가능해진다.
3. 다중 오디오 분리 출력
이하에서는,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다중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서, 다중 오디오 원격 출력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서도, 좌측에는 DTV(10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모바일폰(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S510), 사용자로부터 '원어'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520-Y), DTV(100)는 모바일폰(20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530).
이후,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와 '모국어' 오디오를 출력한다(S540). 그리고, DTV(100)는 수신되는 음성다중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원어'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한다(S550). 이때, DTV(100)에서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후 디코딩되지 않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S550단계에서 전송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다.
모바일폰(200)은 S5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압축해제)한 후 출력한다(S560).
S560단계를 통해 '원어' 오디오가 출력되는 중에, 모바일폰(200)은 S560단계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와 무관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70).
S57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S37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원어' 오디오가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원어'가 아닌 '모국어' 오디오가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모바일폰(200)에서 어느 언어의 오디오가 출력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하다. 출력될 오디오의 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GUI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4. 음성 다중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
이하에서는,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다중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서, 다중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4에서도, 좌측에는 DTV(10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모바일폰(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S610), 사용자로부터 '원어' 오디오 & 캡션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620-Y), DTV(100)는 모바일폰(20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630).
이후, DTV(10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와 '모국어' 오디오를 출력한다(S640).
그리고, DTV(100)는 수신되는 음성다중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원어' 오디오 데이터와 '원어' 캡션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한다(S650). 이때, DTV(100)에서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후 디코딩되지 않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S650단계에서 전송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다.
한편, 모바일폰(200)은 S6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원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압축해제)한 후 출력한다(S660). 그리고, 모바일폰(200)은 S650단계에서 DTV(100)가 전송하는 '원어' 캡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S670).
한편, 사용자로부터 전자 사전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S680-Y), 모바일폰(200)은 전자 사전 기능을 실행한다(S690). 이에 따라, 사용자는 S690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S670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원어' 캡션에 나타난 단어들에 대한 의미 검색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에에서는, '원어' 오디오 & 캡션이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원어'가 아닌 '모국어' 오디오 & 캡션이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5. 오디오 원격 츨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
(1) DTV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100)의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방송 출력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GUI 생성부(16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공중(Air) 또는 케이블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분리부(121), 스위칭부(122), 오디오 디코딩부(123), 오디오 처리부(124), 비디오 디코딩부(125) 및 비디오 처리부(126)를 구비한다.
방송 분리부(121)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된 부가 데이터는 제어부(140)로 인가되는데, 부가 데이터에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와 캡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스위칭부(122)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디코딩부(123) 및/또는 통신부(150)에 전달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그리고, 스위칭부(122)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가 비디오 디코딩부(125) 및/또는 통신부(150)에 전달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스위칭부(122)의 스위칭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른다.
오디오 디코딩부(123)는 스위칭부(122)를 통해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디코딩부(123)에서는 압축해제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24)는 오디오 디코딩부(123)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DTV(100)에 마련된 스피커(131)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비디오 디코딩부(125)는 스위칭부(122)를 통해 전달받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부(125)에서는 압축해제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비디오 처리부(126)는 비디오 디코딩부(125)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DTV(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처리부(126)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컬러신호 처리 및 스케일링 등을 수행한다.
GUI 생성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특히, GUI 생성부(160)는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 입력, 다중언어 선택, 오디오를 원격 출력할 기기들을 입력하기 위한 GUI를 생성하고, 캡션 데이터가 나타난 GUI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GUI는 비디오 처리부(126)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비디오에 부가된다.
출력부(13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부(130)는 스피커(131)와 디스플레이(132)를 구비한다.
스피커(131)는 오디오 처리부(124)에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32)는 비디오 처리부(126)에서 전달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모바일폰(200)과 같은 외부기기 및 외부 네트워크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통신부(150)는 스위칭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하며, 모바일폰(20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D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위칭부(1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통신부(150)를 통해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도록 스위칭부(1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방송 분리부(121)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외부 기기, 즉 모바일폰(200)으로 전송되며, 출력부(130)의 스피커(131)에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중단된다.
반면,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디코딩부(125)로 인가되도록 스위칭부(1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출력부(130)의 스피커(131)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와, 모바일폰(200)으로부터 수신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을 지연시킨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방송 분리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캡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표시될 비디오에 부가되도록, GUI 생성부(160)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140)는 캡션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22), 오디오 디코딩부(123), 오디오 처리부(124), 비디오 디코딩부(125), 비디오 처리부(126), 스피커(131), 및 디스플레이(132)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2) 모바일폰
도 6은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폰(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200)은, 이동 통신부(210), 터치 스크린(220), 제어부(230), 오디오 출력부(240) 및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부(210)는 이동 전화 기능, SMS 기능과 같은 모바일폰(2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220)은 이동 통신부(210) 또는 네트워크 통신부(250)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의 기능과, 터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병행한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스피커 및/또는 연결된 헤드폰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50)는 DTV(1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DTV(100)와 모바일폰(200) 간에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모바일폰(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통신부(210), 터치 스크린(220), 오디오 출력부(240) 및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캡션 데이터가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30)는 전자 사전 기능을 실행시키고, 실행 결과를 터치 스크린(220)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DTV(1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DTV(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과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은 많은 작업량을 요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모듈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폰(200)은 전자 사전 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방송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기타
(1)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
위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에는 하나의 모바일폰(200)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모바일폰(200)이 여러 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폰(200)이 여러 대인 경우, 도 1의 S330단계, 도 2의 S430단계, 도 3의 S530단계 및 도 4의 S630단계에서 통신 연결 설정을 위해서는, 여러 대의 모바일폰들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이 요구된다.
(2)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
위 실시예들에서는 DTV(100)와 모바일폰(200)으로 구성되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다른 디지털 기기들로 구성되는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의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DTV(100)는 오디오를 외부 기기로 원격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모바일폰(200)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기기일 수 있으므로, DTV(100)와 모바일폰(200)은 다른 디지털 기기들로 대체가능하다.
일 예로서, 모바일폰(200)은 헤드셋으로 대체가능하며, 이 경우, 헤드셋은 DTV(100)와 통신할 수 있는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헤드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원격 출력 시스템은 DTV(100)와 모바일폰(200) 이외에, 모바일폰(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헤드셋을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모바일폰(200)의 동작은 헤드셋에서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의 S330단계, 도 2의 S430단계, 도 3의 S530단계 및 도 4의 S630단계에서 통신 연결 설정을 위해서는, 오디오가 원격 출력될 디지털 기기를 선택할 것이 요구된다. 도 7a에는 오디오가 원격 출력될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GUI를 예시하였고, 도 7b에는 다중 오디오가 원격 출력될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GUI를 예시하였다.
(3) 트랜스 코딩
한편, DTV(100)가 모바일폰(200)으로 오디오 데이터와 캡션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전송할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에서 지원되는 포맷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DTV(100)는 모바일폰(200)에서 지원가능한 포맷(즉, 디코딩할 수 있는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파악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이를 트랜스 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4) TV 에서 비디오 지연 출력
한편, 오디오가 모바일폰(200)에서 원격출력되는 경우, DTV(100)는 비디오를 지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폰(200)으로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과, 모바일폰(200)이 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시간으로 인해, DTV(10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간에 동기가 맞지 않음을 보상하여주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폰(200)의 네트워크 통신부(250)는 DTV(100)에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모바일폰(200)의 제어부(230)는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나서, 모마일폰(200)의 네트워크 통신부(250)는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외부 기기, 즉 DTV(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DTV(100)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와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출력을 지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가 모바일폰(200)에서 원격 출력되더라도, DTV(10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모바일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간에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비디오 지연 시간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DTV(100)가 지연 정도를 자동으로 산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5) 원격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언어 선택
모바일폰(200)에서 원격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언어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택은 DTV(100)나 모바일폰(200)에서 제공되는 GUI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DTV(100)에서 선택되는 경우는, DTV(100)가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의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모바일폰(200)에서 선택되는 경우는, 모바일폰(200)이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의 오디오 데이터를 DTV(100)에 요청하면, DTV(100)는 모바일폰(200)이 요청한 언어의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폰(200)으로 전송하는 과정에 따르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DTV 110 : 방송 수신부
120 : 방송 처리부 130 : 방송 출력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GUI 생성부 200 : 모바일폰
210 : 이동 통신부 220 : 터치 스크린
230 : 제어부 240 : 오디오 출력부
250 : 네트워크 통신부

Claims (44)

  1.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V 데이터 출력 중에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은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AV 데이터에서 분리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전송단계를 통해 전송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한 후 출력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은,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압축된 제1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10. 외부기기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하는 단계;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출력 중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에 의해 AV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 및 상기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는,
    기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이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제1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출력방법.
  23.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AV 데이터 출력 중에 오디오 원격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은 계속하되,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출력은 중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AV 데이터에서 분리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한 후 출력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AV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출력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압축된 제1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외부기기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수신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해제하는 제어부;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출력 중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에 의해 AV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 및 상기 AV 컨텐츠에서 분리된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6.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개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디코딩 완료 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7.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기재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실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는,
    기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이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는, 제2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1.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AV 데이터는, 음성다중 방송(Bilingual Broadcast) 컨텐츠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AV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다중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한 제1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기재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전자 사전을 실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KR1020100105358A 2009-11-13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 KR10179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30189.6A EP2499820A4 (en) 2009-11-13 2010-11-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AUDIO TRANSMISSION
PCT/KR2010/007991 WO2011059257A2 (en) 2009-11-13 2010-11-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outputting audio
US12/946,428 US9497499B2 (en) 2009-11-13 2010-11-15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outputting aud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9500 2009-11-13
KR1020090109500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82A true KR20110053182A (ko) 2011-05-19
KR101797202B1 KR101797202B1 (ko) 2017-11-14

Family

ID=4436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58A KR101797202B1 (ko) 2009-11-13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7499B2 (ko)
EP (1) EP2499820A4 (ko)
KR (1) KR101797202B1 (ko)
WO (1) WO201105925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37A (ko) * 2016-11-30 2018-06-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외국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72022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2034B2 (ja) * 2011-02-03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音声切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42168B2 (en) * 2011-03-31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sk driven user intents
US9760566B2 (en) 2011-03-31 2017-09-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agent to identify conversation context between two humans and taking an agent action thereof
US9244984B2 (en) 2011-03-31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 based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US10642934B2 (en) 2011-03-31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architecture
US9064006B2 (en) 2012-08-23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lating natural language utterances to keyword search queries
EP2738749A1 (en) * 2012-11-29 2014-06-04 Alcatel Lucent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to a multimedia rendering device and related devices
US10158905B2 (en) 2016-09-14 2018-12-18 D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udio synchronously with rendering of video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851A (en) * 1995-03-13 1996-08-06 Chang; Wen F.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closed caption data
KR980013296A (ko) * 1996-07-24 1998-04-30 김광호 TV 무선 청취 시스템 (Wireless listening system for Television)
KR19980013296U (ko)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용 룸램프 고정구조
US6041657A (en) * 1997-12-23 2000-03-28 Caterpillar, Inc. Outdoor noise testing system
KR20000040660A (ko) * 1998-12-18 2000-07-05 전주범 헤드폰신호전송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젼
US6928329B1 (en) * 2000-02-29 2005-08-09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separate chat and selective enablement of microphone
TW522379B (en) * 2000-05-26 2003-03-01 Cyberlink Corp DVD playback system for displaying two types of captions and the playback method
US20020067428A1 (en) * 2000-12-01 2002-06-06 Thomsen Paul M.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symbols on a television display
US6889191B2 (en) * 2001-12-03 2005-05-03 Scientific-Atlan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V navigation with compressed voice-activated commands
US7398000B2 (en) * 2002-03-26 2008-07-0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video segment identification
AU2003239385A1 (en) * 2002-05-10 2003-11-11 Richard R.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US7079020B2 (en) * 2003-02-03 2006-07-18 Ingrid, Inc. Multi-controller security network
US7542814B2 (en) * 2004-06-01 2009-06-02 Craig Barr Home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05346838A (ja) * 2004-06-03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方法
MXPA05007473A (es) 2004-07-12 2006-01-31 Lg Electronics Inc Sistema inalambrico de transmision/recepcion de audio y metodo de uso del mismo.
KR101086187B1 (ko) * 2004-07-12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무선 청취 시스템
US7657829B2 (en) * 2005-01-20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Audio and video buffer synchronization based on actual output feedback
US20060286975A1 (en) * 2005-06-15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47853B1 (ko) * 2005-07-0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언어설정 장치 및 방법
US20070083377A1 (en) * 2005-10-12 2007-04-12 Steven Trautmann Time scale modification of audio using bark bands
US20070087686A1 (en) 2005-10-18 2007-04-19 Nokia Corporation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US9247175B2 (en) * 2005-11-30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KR20070073564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av 네트워크에서의 립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8068882B2 (en) * 2006-04-27 2011-11-29 Plantronics, Inc.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KR100784050B1 (ko) 2006-06-26 2007-12-10 (주) 엘지텔레콤 Dmb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시청방법
JP4908265B2 (ja) * 2007-03-01 2012-04-04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投射方法、投射プログラム
KR101370347B1 (ko) 2007-06-04 2014-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038940A1 (en) * 2007-09-20 2009-03-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hand off of a communication session across service provider networks
US8743284B2 (en) * 2007-10-08 2014-06-03 Motorola Mobility Llc Synchronizing remote audio with fixed video
JP5234730B2 (ja) * 2007-11-05 2013-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35576A (ja) * 2007-11-28 2009-06-18 Sony Corp 音声出力制御装置及び音声出力制御方法
US8140974B2 (en) * 2007-12-14 2012-03-20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secondary media objects to a user
KR20090074633A (ko)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댁내 무선 방송 시스템
US20100131990A1 (en) * 2008-02-25 2010-05-27 Globecomm Systems Inc. Virtual IPTV-VOD system with remote satellite reception of satellite delivered VOD content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8301618B2 (en) * 2008-02-26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sume content and metadata
US20090284577A1 (en) * 2008-05-13 2009-11-19 Avi Kumar Video telephone system and method
JP2010057085A (ja) * 2008-08-29 2010-03-11 Canon Inc Tv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035223A1 (en) * 2009-08-04 2011-02-10 Apple Inc. Audio clips for announcing remotely accessed media items
US20110085781A1 (en) * 2009-10-13 2011-04-14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ent recorder timing alignment
US8593573B2 (en) * 2009-12-14 2013-11-26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cking of headpho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37A (ko) * 2016-11-30 2018-06-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외국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72022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9820A2 (en) 2012-09-19
US9497499B2 (en) 2016-11-15
EP2499820A4 (en) 2013-07-10
KR101797202B1 (ko) 2017-11-14
WO2011059257A2 (en) 2011-05-19
WO2011059257A3 (en) 2011-10-20
US20110115988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 오디오 원격 출력방법, 모바일 기기, 및 그 오디오 출력방법
JP39055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移動端末における音声通話時の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EP2043364A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314490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247113A1 (en) Multi-image switching method and system
WO2008069304A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08071110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lecture simultanée de signal de télévision multicanal
KR20110073496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414310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KR101007296B1 (ko) 오디오 묵음 시 텍스트 서비스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005768A1 (ja) 情報端末、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8271197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CN102355587A (zh) 同步接收转播电视子节目的实现方法及其装置
KR2015005948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음향출력장치 및 음향출력장치의 구동방법
JP4200893B2 (ja) データ放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放送受信装置、データ放送受信方法
JP2012141787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13005409A (ja) 携帯端末
JP4988022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音声出力制御方法
JP2012227571A (ja) アンプ機器、及びそのアンプ機器を含むavシステム
WO2022088899A1 (zh) 显示设备、显示设备与外接音响的通信方法及外接音响音频输出方法
KR20160091167A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KR20080042576A (ko) 컴퓨터를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오디오출력장치 및 그방법
JP2013085226A (ja) 番組コンテンツの再生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