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504A -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504A
KR20110052504A KR1020100111554A KR20100111554A KR20110052504A KR 20110052504 A KR20110052504 A KR 20110052504A KR 1020100111554 A KR1020100111554 A KR 1020100111554A KR 20100111554 A KR20100111554 A KR 20100111554A KR 20110052504 A KR20110052504 A KR 2011005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circuit board
current collector
wiring circuit
lea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하나조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9Separators, collectors or interconnectors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2Adaptations for fluid transport, e.g. channels,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81Via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4Finish plating of conductors, especially of copper conductors, e.g. for pads or l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제 1 절연부 및 제 2 절연부상에 사각형의 집전부가 각각 형성된다. 집전부를 덮도록 제 1 절연부상에 피복층이 마련되고, 집전부를 덮도록 제 2 절연부상에 피복층이 마련된다. 피복층을 둘러싸도록 제 1 절연부상에 시일 영역이 마련된다. 또한, 피복층을 둘러싸도록 제 2 절연부상에 시일 영역이 마련된다. 베이스 절연층의 이면에는, 직사각형의 인출 도체부가 형성된다.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본 발명은 배선 회로 기판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는 소형 또한 고용량의 전지가 요구된다. 그래서, 리튬 2차 전지 등의 종래의 전지에 비해, 고에너지 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한 연료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연료 전지로서는, 예컨대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s)가 있다.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에서는, 메탄올이 촉매에 의해서 분해되고, 수소 이온이 생성된다. 그 수소 이온과 공기중의 산소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화학 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의 내부에는, 집전 회로로서 예컨대 플렉시블 배선 회로 기판(이하, 배선 회로 기판으로 약기한다)이 마련된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00064 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는 연료 전지의 외부에 인출된다. 연료 전지의 외부에 인출된 배선 회로 기판의 부분에, 여러 외부 회로가 접속된다.
연료 전지에서는, 출력의 저하 등의 요인으로 되는 연료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00064 호의 연료 전지에서는, 배선 회로 기판이 패킹에 의해서 그들 사이에 낀 상태로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00064 호에 기재되는 구성으로는, 연료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배선 회로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1 국면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은,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배선 회로 기판으로서, 제 1 부분 및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절연층과,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상에 마련된 집전부와,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2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인출 도체부를 구비하고,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에서,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시일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이다.
그 배선 회로 기판에서는,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상에 집전부가 마련되고,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에 시일을 위한 영역이 마련된다. 또한,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2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에 연장되도록 인출 도체부가 마련된다.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배선 회로 기판이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경우, 절연층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부재가 배치됨과 아울러, 절연층의 일면상의 집전부와 다른 부재 사이에 전지 요소가 배치된다. 또한, 전지 요소를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시일 부재는 절연층의 제 1 부분에 마련된 시일을 위한 영역 및 다른 부재에 밀착된다. 그 상태로, 전지 요소에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절연층의 제 2 부분이 연료 전지의 외부로 인출되고, 그 절연층의 제 2 부분상의 인출 도체부에 외부 회로가 접속된다.
이 경우, 인출 도체부가 절연층의 다른 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가 절연층의 시일을 위한 영역에 확실히 밀착된다. 그 때문에, 시일 부재와 절연층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에 의하여, 연료가 시일 부재의 외부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 결과, 연료 전지로부터 연료가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의 출력의 저하가 확실히 방지된다.
(2)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복수 형성되고, 복수의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도전성이 향상된다. 그것에 의하여, 이 배선 회로 기판을 이용한 연료 전지의 특성이 향상된다.
(3) 배선 회로 기판은, 인출 도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절연층의 제 2 부분의 일면상에 마련된 단자 도체부를 더 구비하고, 인출 도체부와 단자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2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2 구멍부를 통해서 단자 도체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인출 도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도체부가 절연층의 일면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와 절연층의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절연층의 일면상에 마련된 단자 도체부에 외부 회로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은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배선 회로 기판이고,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은, 제 1 부분 및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절연층과,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상에 마련된 집전부와,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2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인출 도체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에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시일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은, 경계선을 통해서 서로 인접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일면이 안쪽이 되도록 경계선을 따라 굴곡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그 배선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는,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상에 집전부가 마련되고,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에 시일을 위한 영역이 마련된다. 또한,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2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인출 도체부가 마련된다.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은 경계선을 통해서 서로 인접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이 배선 회로 기판이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경우,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이, 일면이 안쪽이 되도록 경계선을 따라 굴곡된다. 그리고, 제 1 기판의 집전부와 제 2 기판의 집전부 사이에 전지 요소가 배치된다. 또한, 전지 요소를 둘러싸도록, 시일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시일 부재는,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에 마련된 시일을 위한 영역과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에 마련된 시일을 위한 영역과 밀착된다. 그 상태로, 전지 요소에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이 연료 전지의 외부로 인출되고, 그 절연층의 제 2 부분상의 인출 도체부에 외부 회로가 접속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인출 도체부가 절연층의 다른 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가 제 1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시일을 위한 영역에 확실히 밀착된다. 그 때문에, 시일 부재와 제 1 기판의 절연층 사이 및 시일 부재와 제 2 기판의 절연층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에 의하여, 연료가 시일 부재의 외부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 결과, 연료 전지로부터 연료가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의 출력의 저하가 확실히 방지된다.
(5)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연료 전지는, 전지 요소와, 전지 요소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과, 배선 회로 기판, 전지 요소 및 시일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배선 회로 기판은 경계선을 따라 굴곡된 상태로 하우징에 수용되고, 굴곡된 배선 회로 기판의 제 1 기판의 집전부와 제 2 기판의 집전부 사이에 전지 요소가 배치되고, 전지 요소를 둘러싸서 제 1 및 제 2 기판의 시일을 위한 영역에 밀착하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되고,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것이다.
그 연료 전지의 배선 회로 기판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상에 집전부가 마련되고,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일면에 시일을 위한 영역이 마련된다. 또한,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절연층의 제 1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2 부분의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인출 도체부가 마련된다.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 사이의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집전부와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1 부분은, 경계선을 통해서 서로 인접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배선 회로 기판은 경계선을 따라 굴곡된 상태로 하우징에 수용된다. 굴곡된 배선 회로 기판의 제 1 기판의 집전부와 제 2 기판의 집전부 사이에 전지 요소가 배치되고, 전지 요소를 둘러싸서 제 1 및 제 2 기판의 시일을 위한 영역에 밀착되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배선 회로 기판의 제 1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제 2 부분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그 절연층의 제 2 부분상의 인출 도체부에 외부 회로가 접속된다.
이 경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인출 도체부가 절연층의 다른 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가 제 1 및 제 2 기판의 절연층의 시일을 위한 영역에 확실히 밀착된다. 그 때문에, 시일 부재와 제 1 기판의 절연층 사이 및 시일 부재와 제 2 기판의 절연층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에 의하여, 연료가 시일 부재의 외부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 결과, 연료 전지로부터 연료가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의 출력의 저하가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전지로부터 연료가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것에 의하여, 연료 전지의 출력의 저하가 확실히 방지된다.
도 1은 제 1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3은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4는 배선 회로 기판을 이용한 연료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 및 모식적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제 4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제 5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 전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은 굴곡성을 갖는 가요성 배선 회로 기판이다.
(1) 제 1 실시의 형태
(1-1) 배선 회로 기판의 구성
도 1은 제 1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a)에는 배선 회로 기판의 일면이 도시되고, 도 1(b)에는 배선 회로 기판의 다른 면이 도시된다. 또한, 도 1(c)에는 도 1(a)에서의 A-A선 단면이 도시되고, 도 1(d)에는 도 1(a)에서의 B-B선 단면이 도시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회로 기판(10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절연층(1)을 구비한다. 베이스 절연층(1)은, 각각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 1 절연부(11), 제 2 절연부(12),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를 포함한다.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는 서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는 서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는 서로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의 경계선상에는, 굴곡부(B1)가 마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내에서, 베이스 절연층(1)은 굴곡부(B1)를 따라 굴곡된다. 굴곡부(B1)는, 예컨대 선 형상의 얕은 홈, 또는 선 형상의 마크이다. 한편, 굴곡부(B1)에서 베이스 절연층(1)을 굴곡 가능하면, 굴곡부(B1)에 어떤 것도 없어도 좋다.
굴곡부(B1)에 평행한 제 1 절연부(11)의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제 3 절연부(13)가 마련되고, 굴곡부(B1)에 평행한 제 2 절연부(12)의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제 4 절연부(14)가 마련된다.
굴곡부(B1)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의 길이는, 굴곡부(B1)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의 길이보다도 작다. 예컨대, 굴곡부(B1)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의 길이는, 굴곡부(B1)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의 길이의 1/2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가, 굴곡부(B1)를 따라 베이스 절연층(1)이 굴곡된 상태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가, 굴곡부(B1)를 따라 베이스 절연층(1)이 굴곡된 상태로 서로 겹치도록 마련되더라도 좋다.
제 1 절연부(11)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5개)의 원형의 개구(H1)가 형성된다. 또, 제 2 절연부(12)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5개)의 원형의 개구(H2)가 형성된다.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 상에는,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집전부(21, 22)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절연부(11)의 개구(H1)에 겹치는 집전부(21)의 부분에는, 개구(H1)보다도 큰 직경의 개구(H1a)가 형성된다. 제 2 절연부(12)의 개구(H2)에 겹치는 집전부(22)의 부분에는, 개구(H2)보다도 큰 직경의 개구(H2a)가 형성된다.
집전부(21)를 덮도록, 제 1 절연부(11)상에 피복층(31)이 마련되고, 집전부(22)를 덮도록, 제 2 절연부(12) 상에 피복층(32)이 마련된다. 피복층(31, 32)은 탄소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예컨대 카본 페이스트)로 이루어진다.
집전부(21)의 개구(H1a) 내에서, 피복층(31)은 제 1 절연부(11)에 접한다. 또한, 집전부(22)에 개구(H2a) 내에서, 피복층(32)은 제 2 절연부(12)에 접한다. 그것에 의하여, 집전부(21, 22)의 개구(H1a, H2a)의 내주면이 노출되지 않는다.
피복층(31)을 둘러싸도록, 제 1 절연부(11)상에 시일 영역(S1)이 마련된다. 또한, 피복층(32)을 둘러싸도록, 제 2 절연부(12)상에 시일 영역(S2)이 마련된다. 시일 영역(S1, S2)의 폭(d1)은, 예컨대 0.1mm 이상 10mm 이하이고, 0.5mm 이상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내에서는, 베이스 절연층(1)이 굴곡부(B1)를 따라 굴곡된 상태로, 제 1 절연부(11)의 시일 영역(S1) 및 제 2 절연부(12)의 시일 영역(S2)에 접촉하도록 시일 부재가 배치된다. 한편, 시일 영역(S1, S2)에는, 마크가 부여되더라도 좋고, 또는 얕은 홈이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시일 영역(S1, S2)에 접촉하도록 시일 부재를 배치가능하면, 시일 영역(S1, S2)에 어떤 것도 마련되지 않더라도 좋다.
이하, 집전부(21, 22) 및 피복층(31, 32)이 형성되는 베이스 절연층(1)의 면을 표면이라고 부르고, 그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고 부른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는,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인출 도체부(41, 42)가 형성된다. 인출 도체부(41)는, 제 1 절연부(11)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3 절연부(13)상의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인출 도체부(42)는, 제 2 절연부(12)상의 영역으로부터 제 4 절연부(14)상의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서, 제 1 절연부(11)상의 인출 도체부(41)의 부분을 덮도록,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커버 절연층(51)이 형성되고, 제 2 절연부(12)상의 인출 도체부(42)의 부분을 덮도록,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커버 절연층(52)이 형성된다.
또, 제 3 절연부(13)상의 인출 도체부(41)의 부분을 피복하도록, 예컨대, 수용성 프리플럭스(preflux)로 이루어지는 단자층(61)이 형성되고, 제 4 절연부(14)상의 인출 도체부(42)의 부분을 피복하도록, 예컨대 수용성 프리플럭스로 이루어지는 단자층(62)이 형성된다.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도체부(41)의 일단부는, 제 1 절연부(11)를 사이에 두고 집전부(21)와 겹친다. 집전부(21)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제 1 절연부(11)의 부분에 구멍부(T1)가 형성된다. 그 구멍부(T1)를 메우도록,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접속층(71)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집전부(21)와 인출 도체부(41)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인출 도체부(42)의 일단부는 제 2 절연부(12)를 사이에 두고 집전부(22)와 겹친다. 집전부(22)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제 2 절연부(12)의 부분에, 구멍부(T2)가 형성된다. 그 구멍부(T2)를 메우도록,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접속층(72)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집전부(22)와 인출 도체부(42)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굴곡부(B1)와 평행한 방향에서의 구멍부(T1, T2)의 길이는, 예컨대 5㎛ 이상 50㎛ 이하이고, 12.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절연부(11), 제 3 절연부(13), 집전부(21), 피복층(31), 인출 도체부(41), 커버 절연층(51), 단자층(61) 및 접속층(71)에 의해, 제 1 기판(101)이 구성되고, 제 2 절연부(12), 제 4 절연부(14), 집전부(22), 피복층(32), 인출 도체부(42), 커버 절연층(52), 단자층(62) 및 접속층(72)에 의해, 제 2 기판(102)이 구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지만,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서로 별체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1-2)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배선 회로 기판(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배선 회로 기판(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도 1(c) 및 도 1(d)의 단면에 상당하는 개소에서의 제조 공정이 도시된다.
우선,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절연막(81)의 일면 및 다른 면에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도체막(82, 83)이 각각 형성된 기재를 준비한다. 절연막(81)의 두께는, 예컨대 5㎛ 이상 50㎛ 이하이고, 12.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막(82, 83)의 각각의 두께는, 예컨대 2㎛ 이상 70㎛ 이하이고, 5㎛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막(81) 및 도체막(82, 83)을 관통하도록 구멍부(T1, T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막(81) 및 도체막(82, 83)의 구멍부(T1, T2) 내에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접속층(71, 7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막(82)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에칭 레지스트(84)를 형성함과 아울러, 도체막(83) 상(도 2에서는 도체막(83)의 하면)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에칭 레지스트(85)를 형성한다. 에칭 레지스트(84, 85)는, 예컨대,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 등에 의해 도체막(82, 83)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그 레지스트막을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하고, 그 후, 현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칭에 의해, 에칭 레지스트(84, 85)의 아래의 영역을 제외하는 도체막(82, 83)의 영역을 제거한다. 그 후, 에칭 레지스트(84, 85)를 박리액에 의해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막(81)의 일면(도 2에서는 상면)에 집전부(21, 22)가 형성됨과 아울러, 절연막(81)의 다른 면(도 2에서는 하면)에 인출 도체부(41, 4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전부(21, 22)를 덮도록, 절연막(81)의 일면상에 탄소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31, 32)을 형성한다. 피복층(31, 32)의 두께는, 예컨대 0.2㎛ 이상 50㎛ 이하이고, 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도체부(41, 42)의 일부분을 덮도록, 절연막(81)의 다른 면상에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커버 절연층(51, 52)을 형성한다. 커버 절연층(51, 52)의 각각의 두께는, 예컨대 5㎛ 이상 50㎛ 이하이고, 10㎛ 이상 3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도체부(41, 42)의 다른 부분을 피복하도록, 예컨대 수용성 프리플럭스로 이루어지는 단자층(61, 62)을 형성한다. 단자층(61, 62)의 각각의 두께는, 예컨대 0.05㎛ 이상 2㎛ 이하이고, 0.2㎛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막(81)에 개구(H1, H2)를 형성함과 아울러, 절연막(81)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다. 그것에 의하여, 배선 회로 기판(100)이 완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서브트랙티브(subtractive)법에 의해 집전부(21, 22) 및 인출 도체부(41, 42)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어디티브(semi-additive)법 등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집전부(21, 22) 및 인출 도체부(41, 42)를 형성할 수도 있다.
(1-3) 배선 회로 기판을 이용한 연료 전지
다음으로, 상기의 배선 회로 기판(100)을 이용한 연료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상기의 배선 회로 기판(100)을 이용한 연료 전지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b)는 연료 전지 내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전지(200)는, 반체(half portion)(91, 92)로 이루어지는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90)을 갖는다. 베이스 절연층(1)이 표면(집전부(21, 22) 및 피복층(31, 32)이 형성된 면)을 안쪽으로 하고 도 1의 굴곡부(B1)를 따라 굴곡된 상태로 배선 회로 기판(100)이 반체(91, 92)에 의해 협지된다.
배선 회로 기판(100)의 베이스 절연층(1)의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는 반체(91, 92)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경우, 하우징(90)의 외측에서, 제 3 절연부(13)의 하면측에 인출 도체부(41)상의 단자층(61)이 노출되고, 제 4 절연부(14)의 상면측에 인출 도체부(42)상의 단자층(62)이 노출된다. 단자층(61, 62)에는 여러 외부 회로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회로 기판(100)의 집전부(21) 및 집전부(22)의 사이에는, 전극막(95)이 배치된다. 또한, 전극막(95)을 둘러싸도록, 배선 회로 기판(100)의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의 사이에 시일 부재(SE)가 배치된다. 시일 부재(SE)는 제 1 절연부(11)의 시일 영역(S1) 및 제 2 절연부(12)의 시일 영역(S2)에 밀착된다. 그것에 의하여, 전극막(95)의 주위의 공간이 시일 부재(SE)에 의해서 액밀(liquid-tight)하게 밀봉된다.
전극막(95)은 연료 전극(96), 공기 전극(97) 및 전해질막(98)으로 이루어진다. 연료 전극(96)은 전해질막(98)의 일면에 형성되고, 공기 전극(97)은 전해질막(98)의 다른 면에 형성된다. 전극막(95)의 연료 전극(96)은 배선 회로 기판(100)의 피복층(31)에 접촉하고, 공기 전극(97)은 배선 회로 기판(100)의 피복층(32)에 접촉한다. 피복층(31, 32)은 탄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전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집전부(21)와 연료 전극(96) 사이의 도전성 및 집전부(22)와 공기 전극(97) 사이의 도전성이 확보된다.
전극막(95)의 연료 전극(96)에는, 배선 회로 기판(100)의 개구(H1, H1a)를 통해서 연료가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료로서 메탄올이 사용된다. 전극막(95)의 공기 전극(97)에는, 배선 회로 기판(100)의 개구(H2, H2a)를 통해서 공기가 공급된다.
이 경우, 전극막(95)의 주위의 공간이 시일 부재(SE)에 의해서 액밀하게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료 전극(96)에 있어서, 메탄올이 수소 이온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전자가 생성된다. 생성된 전자는, 배선 회로 기판(100)의 집전부(21)로부터 인출 도체부(41)로 인출된다. 메탄올로부터 분해된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98)을 투과하여 공기 전극(97)에 도달한다. 공기 전극(97)에 있어서, 인출 도체부(42)로부터 집전부(22)에 인출된 전자를 소비하면서 수소 이온과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 인출 도체부(41, 42)의 단자부(41a, 42a)에 접속된 외부 회로에 전력이 공급된다.
(1-4) 효과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100)에 있어서는, 집전부(21, 22)가 베이스 절연층(1)의 표면에 마련되고,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된다.
여기서, 인출 도체부(41, 42)가 집전부(21, 22)와 일체적으로 베이스 절연층(1)의 표면상에 마련된 경우,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를 지나도록 인출 도체부(41)가 배치되고,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를 지나도록 인출 도체부(42)가 배치된다.
이 경우,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의 밀착성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100)에서는,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시일 부재(SE)가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와 확실히 밀착된다. 그것에 의하여,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200)의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2) 제 2 실시의 형태
제 2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에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의 구성이 도시되고, 도 5(b)에는 도 5(a)의 C-C선 단면이 도시된다. 한편, 제 2 절연부(12) 및 제 4 절연부(14)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내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과 마찬가지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100a)에서는, 인출 도체부(41)가 굴곡부(B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절연부(11)의 개구(H1)에 겹치는 인출 도체부(41)의 부분에는, 개구(H1)보다도 큰 직경의 개구(H11a)가 형성된다.
굴곡부(B1)의 근방에 있어서, 집전부(21)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제 1 절연부(11)의 부분에 구멍부(T1) 및 접속층(71)이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a)에서도,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연료 전지(200) 내에서, 시일 부재(SE)가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와 확실히 밀착된다. 그것에 의하여,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200)의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3) 제 3 실시의 형태
제 3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제 2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6은 제 3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에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의 구성이 도시되고, 도 6(b)에는 도 6(a)의 D-D선 단면이 도시된다. 한편, 제 2 절연부(12) 및 제 4 절연부(14)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과 마찬가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b)에서는, 집전부(21)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제 1 절연부(11)의 부분에,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구멍부(T1) 및 접속층(71)이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b)에서도,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연료 전지(200) 내에서, 시일 부재(SE)가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와 확실히 밀착된다. 그것에 의하여,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200)의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집전부(21, 22) 및 인출 도체부(41, 42)가 각각 복수의 접속층(71, 72)을 통해서 접속되기 때문에, 집전부(21)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도전성 및 집전부(22)와 인출 도체부(42) 사이의 도전성이 향상된다. 그것에 의하여, 이 배선 회로 기판(100b)을 이용한 연료 전지(200)의 특성이 향상된다.
(4) 제 4 실시의 형태
제 4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7은 제 4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에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의 구성이 도시되고, 도 7(b)에는 도 7(a)의 E-E선 단면이 도시된다. 한편, 제 2 절연부(12) 및 제 4 절연부(14)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은 도 7에 나타내는 제 1 절연부(11) 및 제 3 절연부(13)의 표면상 및 이면상의 구성과 마찬가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c)에서는, 제 3 절연부(13)의 표면에,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지는 단자 도체부(45)가 형성된다. 또한, 단자 도체부(45)를 피복하도록, 예컨대 수용성 프리플럭스로 이루어지는 단자층(46)이 형성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절연부(13)의 이면상에 있어, 인출 도체부(41)는, 그 일부가 제 3 절연부(13)를 사이에 두고 단자 도체부(45)와 겹치도록 형성된다. 인출 도체부(41)의 전체를 덮도록, 제 3 절연부(13)의 이면상에 커버 절연층(51)이 형성된다.
단자 도체부(45)와 인출 도체부(41) 사이의 제 3 절연부(13)의 부분에 구멍부(T3)가 형성된다. 그 구멍부(T3)를 메우도록, 접속층(73)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집전부(21), 인출 도체부(41) 및 단자 도체부(45)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c)에서도,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연료 전지(200) 내에서, 시일 부재(SE)가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와 확실히 밀착된다. 그것에 의해,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200)의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5) 제 5 실시의 형태
제 5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8은 제 5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b)에는 도 8(a)의 F-F선 단면이 도시되고, 도 8(c)에는 도 8(a)의 G-G선 단면이 도시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100d)에서는, 굴곡부(B1)에 수직이고 또한 서로 공통의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 1 절연부(11)의 변 및 제 2 절연부(12)의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가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가 굴곡부(B1)를 따라 베이스 절연층(1)이 굴곡된 상태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제 3 절연부(13) 및 제 4 절연부(14)가, 굴곡부(B1)를 따라 베이스 절연층(1)이 굴곡된 상태로 서로 겹치도록 마련되더라도 좋다.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배선 회로 기판(100d)의 단면 구조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는 배선 회로 기판(100)의 단면 구조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의 형태의 배선 회로 기판(100d)에서도, 인출 도체부(41, 42)가 베이스 절연층(1)의 이면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연료 전지(200) 내에서, 시일 부재(SE)가 제 1 절연부(11) 및 제 2 절연부(12)와 확실히 밀착된다. 그것에 의해, 시일 부재(SE)와 제 1 절연부(11) 사이 및 시일 부재(SE)와 제 2 절연부(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전극막(95)에 공급된 연료가 시일 부재(SE)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연료 전지(200)의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6) 다른 실시의 형태
(6-1)
상기 제 1 ~ 제 5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절연층(1) 및 집전부(21, 22)에 개구(H1, H2, H1a, H2a)가 마련되고, 연료 전지(200) 내에서, 이 개구(H1, H2, H1a, H2a)를 통해서 전극막(95)에 연료 및 공기가 공급되지만, 전극막(95)에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면, 베이스 절연층(1) 및 집전부(21, 22)에 개구(H1, H2, H1a, H2a)가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6-2)
베이스 절연층(1)의 재료로서, 폴리이미드 대신에,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액정 폴리머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다른 절연 재료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집전부(21, 22), 인출 도체부(41, 42), 접속층(71, 72, 73), 및 단자 도체부(45)의 재료로서, 구리 대신에, 구리 합금, 알루미늄 등의 다른 금속 재료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피복층(31, 32)의 재료로서, 탄소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대신에, 니켈/금 도금 또는 도전성 고분자 등의 내식성이 높은 다른 도전성 재료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커버 절연층(51, 52)의 재료로서, 폴리이미드 대신에, 다른 절연 재료(예컨대, 일본 폴리테크 주식회사제 NPR-80)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단자층(61, 62, 46)의 재료로서, 수용성 프리플럭스 대신에, 니켈/금 도금 등의 내식성이 높은 다른 도전성 재료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7)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의 형태의 각 부와의 대응 관계
이하,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의 형태의 각 부와의 대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기판(101)이 제 1 기판의 예이고, 제 2 기판(102)이 제 2 기판의 예이고, 베이스 절연층(1)이 절연층의 예이고, 제 1 절연부(11) 또는 제 2 절연부(12)가 제 1 부분의 예이고, 제 3 절연부(13) 또는 제 4 절연부(14)가 제 2 부분의 예이고, 집전부(21, 22)가 집전부의 예이고, 시일 영역(S1, S2)이 시일을 위한 영역의 예이고, 시일 부재(SE)가 시일 부재의 예이고, 인출 도체부(41, 42)가 인출 도체부의 예이고, 단자 도체부(45)가 단자 도체부의 예이다.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로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또는 기능을 갖는 다른 여러 요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100 : 배선 회로 기판 1 : 베이스 절연층
11 : 제 1 절연부 12 : 제 2 절연부
13 : 제 3 절연부 14 : 제 4 절연부
21, 22 : 집전부 H1 : 제 1 절연부의 개구
H2 : 제 2 절연부의 개구 31, 32 : 피복층
S1, S2 : 시일 영역 SE : 시일 부재
41, 42 : 인출 도체부 45 : 단자 도체부

Claims (5)

  1.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배선 회로 기판으로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일면상에 마련된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인출 도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시일(seal)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 사이의 상기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회로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 사이의 상기 절연층의 위치에 상기 제 1 구멍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회로 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도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일면상에 마련된 단자 도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인출 도체부와 상기 단자 도체부 사이의 상기 절연층의 위치에 제 2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부를 통해서 상기 단자 도체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회로 기판.
  4.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배선 회로 기판으로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은,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일면상에 마련된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또한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다른 면상의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인출 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일면에 상기 집전부를 둘러싸도록 시일(seal)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 사이의 상기 절연층의 위치에 제 1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멍부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와 상기 인출 도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1 부분은 경계선을 통해서 서로 인접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면이 안쪽이 되도록 상기 경계선을 따라 굴곡가능하게 구성된
    배선 회로 기판.
  5. 전지 요소와,
    상기 전지 요소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시일(seal) 부재와,
    청구항 4에 기재된 배선 회로 기판과,
    상기 배선 회로 기판, 상기 전지 요소 및 상기 시일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구비하되,
    상기 배선 회로 기판은 상기 경계선을 따라 굴곡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굴곡된 배선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집전부와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집전부 사이에 상기 전지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전지 요소를 둘러싸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상기 시일을 위한 영역에 밀착하도록 상기 시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에 인출된
    연료 전지.
KR1020100111554A 2009-11-11 2010-11-10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 KR20110052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7811A JP5395625B2 (ja) 2009-11-11 2009-11-11 配線回路基板および燃料電池
JPJP-P-2009-257811 2009-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504A true KR20110052504A (ko) 2011-05-18

Family

ID=4347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54A KR20110052504A (ko) 2009-11-11 2010-11-10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11264A1 (ko)
EP (1) EP2328393B1 (ko)
JP (1) JP5395625B2 (ko)
KR (1) KR20110052504A (ko)
CN (1) CN102064294A (ko)
TW (1) TW2011360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488A1 (ja) 2011-06-23 2012-12-27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可撓性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可撓性回路基板を用いた燃料電池
JP5829139B2 (ja) 2012-02-03 2015-12-09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接続端子
GB2506925A (en) * 2012-10-15 2014-04-16 Intelligent Energy Ltd A current collector for a fuel cell
JP6101151B2 (ja) * 2013-05-22 2017-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付きサスペンション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86090B1 (ko) 2017-06-15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분 몰딩 처리된 기판과 부분 몰딩 장치 및 방법
US10264678B1 (en) * 2017-10-03 2019-04-16 Rfmicron, Inc. Integrated and flexible battery sec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7034B4 (de) * 2002-04-11 2005-02-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rennstoffzellen-System in Leiterplattenbauweis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4498664B2 (ja) * 2002-05-15 2010-07-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平面型の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用のセパレータ部材及び該セパレータ部材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4177090B2 (ja) 2002-12-19 2008-11-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US7175929B2 (en) * 2002-11-25 2007-02-13 Fujitsu Component Limited Fuel cel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JP4031740B2 (ja) * 2003-07-15 2008-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5166562A (ja) * 2003-12-04 2005-06-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TWI244792B (en) * 2004-08-18 2005-12-01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 Flat panel direct methanol fuel cel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459793B2 (ja) * 2004-11-29 2010-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端板および燃料電池
US7488551B2 (en) * 2004-12-28 2009-02-10 Ballard Power Systems Inc. Integrated current collector and electrical component plate for a fuel cell stack
TWM298782U (en) * 2006-04-18 2006-10-01 Antig Tech Co Ltd Power collecting board used for fuel cell
US20080149371A1 (en) * 2006-12-22 2008-06-26 Angstrom Power Inc. Flexible circuit
TW200840126A (en) * 2007-03-20 2008-10-01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orp Fuel cell module
JP4886581B2 (ja) * 2007-04-18 2012-02-29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および燃料電池
JP2008300238A (ja) * 2007-05-31 2008-12-11 Nitto Denko Corp 配線回路基板および燃料電池
JP2009123441A (ja) * 2007-11-13 2009-06-04 Toshiba Corp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8393B1 (en) 2013-07-10
TW201136007A (en) 2011-10-16
CN102064294A (zh) 2011-05-18
US20110111264A1 (en) 2011-05-12
JP2011103228A (ja) 2011-05-26
JP5395625B2 (ja) 2014-01-22
EP2328393A1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284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US20080298036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KR20110052504A (ko) 배선 회로 기판 및 연료 전지
US8420255B2 (en) Storage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00047653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EP2388850A2 (en) Printed circuit board,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US8178233B2 (en) Case for miniature fuel cells
JP5592808B2 (ja) 配線回路基板
EP2302986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US2011018950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JP5677107B2 (ja) 配線回路基板
JPH02121384A (ja) 電池内蔵型プリント配線板
KR102406330B1 (ko) 평판형 리튬 전극
JP2011070934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燃料電池
CN108834311A (zh) 一种印刷电路板
KR20120086658A (ko) 배선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JP2011233693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燃料電池
JP2012109476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