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079A -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079A
KR20110050079A KR1020090106916A KR20090106916A KR20110050079A KR 20110050079 A KR20110050079 A KR 20110050079A KR 1020090106916 A KR1020090106916 A KR 1020090106916A KR 20090106916 A KR20090106916 A KR 20090106916A KR 20110050079 A KR20110050079 A KR 20110050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new
old
recognition
commer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상
이홍창
Original Assignee
아몽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몽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아몽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09010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079A/ko
Publication of KR2011005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는 차량의 진출입을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와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 인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메모리부,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형태로 제작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CCTV 데이터 처리부와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그리고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추가 센서 장치 없이 번호 인식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등에서의 차량 관리를 적은 시간, 비용 및 인력으로 매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CCTV 카메라, 번호 인식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영상 표시부

Description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VEHICLE NUMBER PLATE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NUMBER PLATE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추가 센서 장치 없이 번호 인식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차장 등의 차량 진출입시 주차비 정산을 위해서 주차권 발급기를 이용하여 진입시 진입 시간이 기재된 종이나 플라스틱 주차권을 발급받고 진출시 이를 제출하여 주차 시간별로 주차비를 지불하는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 진입시 차량 운행자가 스스로 주차권 발급 버튼을 눌러 주차권을 발급받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칫 주차권을 분실하는 경우 종일 주차비를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차권 분실시 차량 운행자와 주자창 관리자 사이에 잦은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주차권 발급 대신 최근 진입하는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진입 시간을 저장해 두었다가 출입시 다시 차량 번호판을 인 식하여 주차 시간별로 주차비를 정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 촬영을 통해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장치 외에 차량의 진입 및 출입을 감지하기 위해 차량 진출입 차로 등에 루프 검지기 등의 센서를 별도로 매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구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촬영을 통해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장치와 센서와의 사이에 잦은 충돌 및 오작동으로 인해 주차비 정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주차장 관리에 막대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차량 운행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추가 센서 장치 없이 번호 인식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는 차량의 진출입을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 인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메모리부,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 상기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CCT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 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CCTV 카메라 및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 및 번호판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와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4개 또는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며,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은 번호 인식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단수로 획득할 것인지 복수로 획득할 것인지 선택하는 채널 선택 단계, 선택된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획득된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번호판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번호판 위치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번호판 위치 정보 중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분리하는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의 구성을 분석하여 상기 번호판이 신형인지 구형인지를 판단하는 신구형 모드 판단 단계,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신형이면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상기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신형 상업용이면 신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 신형 일반용이면 신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는 신형 번호판 인식 단계, 그리고, 상기 신형 번호판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신형 번호판 인식 결과 저장 및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구형이면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상기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구형 상업용이면 구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 구형 일반용이면 구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는 구형 번호판 인식 단계, 그리고, 상기 구형 번호판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형 번호판 인식 결과 저장 및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신구형 모드의 판단은 상기 번호판 영역 정보 중 6개 또는 4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하며, 상기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및 상기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 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채널 선택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센서 장치 없이 번호 인식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등에서의 차량 관리를 적은 시간, 비용 및 인력으로 매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는 카메라부(10), 메모리부(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30), 데이터 처리부(40), 영상 표시부(50) 및 외부 신호 입력부(6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12)와 차량의 번호판의 번호 인식 카메라(14)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12)는 차량의 진출입을 감시할 수 있으면서 관리자 외에는 설치 각도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도록 높은 위치의 실내나 실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차량 진출입을 감시할 영역 전체를 촬영하여 관련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번호 인식 카메라(14)도 차량의 진출입을 감시할 수 있으면서 관리자 외에는 설치 각도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도록 높은 위치의 실내나 실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진출입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메모리부(20)는 데이터 처리부(40)와 서로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메모리(22) 및 제2 메모리(24)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30)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2)와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를 포함한다.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2)는 CCTV 카메라(12)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0)의 CCTV 데이터 처리부(32)와 영상 표시부(50)의 제1 표시부(52) 로 전송한다.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는 번호 인식 카메라(14)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0)의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34)와 영상 표시부(50)의 제2 표시부(54)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40)는 CCTV 데이터 처리부(42)와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34)를 포함한다.
CCTV 데이터 처리부(42)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2)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형태로 제작하여 메모리부(20)의 제1 메모리(22)에 저장한다.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차량의 번호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여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메모리부(20)의 제2 메모리(24)에 저장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 및 번호판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20)에 기설정 저장된 각종 차량의 번호판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번호판의 존재, 번호판의 위치 정보 및 해당 번호판 내의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와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를 메모리부(20)의 제2 메모리(24)에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는 제1 메모리(22) 내지 제2 메모리(24)와는 별도의 메모리부(20)의 메모리(미도시)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는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가 검출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4개 또는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한다. 즉 4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하면 구형 번호판으로 판단하며,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하며 신형 번호판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번호판이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는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가 검출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로 판단하다. 즉 '부산, 서울' 등과 같이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으면 상업용 번호판으로 판단하며,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없으면 비상업용 즉 일반용으로 판단하게 된다.
영상 표시부(50)는 카메라부(1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표시부(52) 및 제2 표시부(52)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52)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2)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CCTV 카메라(12)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제2 표시부(54)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번호 인식 카메라(14)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한편 편의상 제1 표시부(52)는 제2 표시부(54)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외부 신호 입력부(60)는 CCTV 카메라(12) 및 번호 인식 카메라(14)를 관리자 가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부(40)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며, 편의상 영상 표시부(50)의 일측에 위치한 다양한 선택 메뉴 바(bar)들로 구성된 설정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설정 메뉴는 터치식으로 선택되어 데이터 처리부(40)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선택되어 데이터 처리부(40)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선택 메뉴 바에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의 자동 및 수동 제어를 위한 자동/수동 설정 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의 리셋을 위한 차량 번호판 인식 초기 설정 바, 영상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영상 화면을 미세 설정할 수 있는 영상 설정 바, 및 카메라부(10)의 촬영 범위나 위치 변경을 위한 모드 설명 바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은 먼저 번호 인식 카메라(14)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단수로 획득할 것인지 복수로 획득할 것인지 선택하는 채널 선택 단계에서 시작한다(S110).
채널 선택은 필요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단수 채널의 경우에도 복수 개의 번호 인식 카메라(14)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 가능하며, 복수 채널의 경우에도 복수 개의 번호 인식 카메라(14)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이는 관리자가 도 1의 외부 신호 입력부(60)를 통해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다음으로, 선택된 번호 인식 카메라(14)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를 수행한다(S120, S130).
채널 선택 결과 특정 번호 인식 카메라(14)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단수로 획득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드(34)는 선택된 번호 인식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와 제2 표시부(54)로 전송하며, 제2 표시부(54)는 전송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S120).
만일 채널 선택 결과 특정 번호 인식 카메라(14)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복수로 획득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드(34)는 복수로 선택된 번호 인식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각각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각각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와 제2 표시부(54)로 전송하며, 제2 표시부(54)는 전송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각각 표시하게 된다(S130).
다음으로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34)는 획득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S140).
즉,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4)로부터 전 송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20)에 기설정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번호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결과 번호판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채널 선택 단계(S110)를 다시 수행하게 되며, 번호판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번호판의 위치 정보를 제2 메모리(24)에 저장한다(S150).
여기서, 번호판의 위치 정보는 차량 전체에 관한 영상 정보 중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로 번호판의 2차원적 위치 좌표와 함께 번호판 내의 영상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제2 메모리(24)에 저장된 번호판 위치 정보 중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분리하는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분리 단계를 수행한다(S160).
즉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제2 메모리(24)에 저장된 번호판 위치 정보를 다시 불러내어 번호판 위치 정보 내에 포함된 번호판 영역 내의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분리하게 된다. 분리되는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는 차량이 신형 또는 구형인지,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실제 한글과 숫자로 구성된 차량 번호판의 고유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의 구성을 분석하여 번호판이 신형인지 구형인지를 판단한다(S170).
이때,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분리 검출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4개 또는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번호판이 신형인지 구형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4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하면 구형 번호판으로 판단하며,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하며 신형 번호판으로 판단하게 된다.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번호판이 신형이면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S180).
이때,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분리 검출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로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다. 즉 '부산, 서울' 등과 같이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으면 상업용 번호판으로 판단하며,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없으면 비상업용 즉 일반용으로 판단하게 된다.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번호판이 신형 상업용이면 신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S200), 신형 일반용이면 신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한다(S210).
한편,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번호판이 구형이면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S190).
구형 업무용 모드의 판단은 상술한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과 동일하다.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는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번호판이 구형 상업용이면 구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S220), 신형 일반용이면 신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한다(S230).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44)에 의한 상기의 번호판의 각 인식 결과(S200, S210, S220, S230)는 다시 제2 메모리(24)에 각각 저장 관리되며, 인식 결과는 제2 표시부(54)에 표시된다(S240).
제2 메모리(24)에 저장 및 제2 표시부(54)에 표시되는 인식 결과에는 번호판의 신형 또는 구형 정보 및 상업용 또는 일반용 정보 이외에 차량 번호판의 고유의 숫자 및 글자 정보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실시예와 달리 차량 번호판의 신구형 모드 판단과 업무용 모드 판단은 서로 판단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한편, CCTV 카메라(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번호 인식 카메라(14)와 별도로 차량 진출입을 감시할 영역 전체를 촬영하여 관련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이를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2)에 저장하고 CCTV 데이터 처리부(42)에 의해 처리되며, 제1 표시부(52)에 의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만일 번호 인식 카메라(14)가 고장이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관리자는 CCTV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진출입 차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센서 장치 없이 번호 인식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등에서의 차량 관리를 적은 시간, 비용 및 인력으로 매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메라부 12 : CCTV 카메라
14 : 번호 인식 카메라 20 : 메모리부
22 : 제1 메모리 24 : 제2 메모리
30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 32 :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34 :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40 : 데이터 처리부
42 : CCTV 데이터 처리부 44 :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
50 : 영상 표시부 52 : 제1 표시부
54 : 제2 표시부 60 : 외부 신호 입력부

Claims (8)

  1. 차량의 진출입을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 인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메모리부,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부,
    상기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CCTV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CCTV 카메라 및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서 번호판의 존재 여부 및 번호판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와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번호 인식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번호판이 구형 또는 신형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4개 또는 6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며,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로 판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5. 번호 인식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단수로 획득할 것인지 복수로 획득할 것인지 선택하는 채널 선택 단계,
    선택된 상기 번호 인식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획득된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단계,
    상기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번호판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번호판 위치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번호판 위치 정보 중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분리하는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의 구성을 분석하여 상기 번호판이 신형인지 구형인지를 판단하는 신구형 모드 판단 단계,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신형이면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상기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신형 상업용이면 신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 신형 일반용이면 신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는 신형 번호판 인식 단계, 그리고,
    상기 신형 번호판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신형 번호판 인식 결과 저장 및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구형이면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인지 일반용인지 판단하는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상기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이 구형 상업용이면 구형 상업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며 구형 일반용이면 구형 일반용 번호판으로 인식하는 구형 번호판 인식 단계, 그리고,
    상기 구형 번호판 인식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형 번호판 인식 결과 저장 및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신구형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신구형 모드의 판단은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6개 또는 4개의 숫자의 크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하며,
    상기 신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 및 상기 구형 업무용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번호판이 상업용 또는 일반용인지 여부는 상기 번호판 영역 영상 정보 중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가지고 판단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번호판 존재 여부 판단 결과 상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채널 선택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KR1020090106916A 2009-11-06 2009-11-06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KR20110050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16A KR20110050079A (ko) 2009-11-06 2009-11-06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16A KR20110050079A (ko) 2009-11-06 2009-11-06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9A true KR20110050079A (ko) 2011-05-13

Family

ID=4436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16A KR20110050079A (ko) 2009-11-06 2009-11-06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0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12B1 (ko) * 2013-03-05 2013-08-07 전재현 영상인식추출카메라를 융합한 부착형 방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342465B1 (ko) * 2012-01-10 2014-01-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번호판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210000979U (ko) 2019-10-29 2021-05-10 이동근 Lcd 표시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입출시스템
CN114550360A (zh) * 2022-02-25 2022-05-27 深圳市汉佳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门禁控制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65B1 (ko) * 2012-01-10 2014-01-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번호판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288312B1 (ko) * 2013-03-05 2013-08-07 전재현 영상인식추출카메라를 융합한 부착형 방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10000979U (ko) 2019-10-29 2021-05-10 이동근 Lcd 표시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입출시스템
CN114550360A (zh) * 2022-02-25 2022-05-27 深圳市汉佳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门禁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896B1 (ko) 이종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단속을 수행하는 단속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
KR10099330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1397453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9458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707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false alarms in monitoring systems
KR102159786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KR20100086089A (ko) 영상인식 종합 주차관리시스템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KR100849689B1 (ko)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51005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1355B1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KR20110050079A (ko)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KR20140108035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관리 방법
KR101016011B1 (ko) 차량 번호인식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1494770B (zh) 用于控制监控照相机的屏蔽的颜色的装置和方法
KR20140112285A (ko)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KR100982342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00135103A (ko)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386277B1 (ko) 신뢰성을 향상시킨 노상주차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US10997854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890767B1 (ko) 상세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cctv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1005975A (ja) 機器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80024610A (ko)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계수 방법
JPH11296786A (ja) 車両ナンバー認識装置
KR200204335Y1 (ko) 보안장치를 구비하는 번호표발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