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854A -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854A
KR20110049854A KR1020117005178A KR20117005178A KR20110049854A KR 20110049854 A KR20110049854 A KR 20110049854A KR 1020117005178 A KR1020117005178 A KR 1020117005178A KR 20117005178 A KR20117005178 A KR 20117005178A KR 20110049854 A KR20110049854 A KR 2011004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visioning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ovisioning
stored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281B1 (ko
Inventor
나쿨 두갈
하이 쿠
브리안 쿠르가누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6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distributed or central networked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따라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들이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디바이스와 현재 관련된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메모리 중 어느 것도 상기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그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양상들은 먼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으며, 둘째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출력 메커니즘 상에 사용자 통지와 같은 프롬프트가 현시되도록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SOURCE DETERMINATION OF PROVISIONING INFORMATION ON A PER-NETWORK SERVICE BASIS FOR OPEN MARKET WIRELESS DEVICE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에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통합되는, 2007년 9월 26일 출원된 "오픈 마켓 핸드셋들과 관련된 장치 및 방법들"이란 명칭의 미국 가 특허 출원 No. 60/975,405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핸드셋이라 지칭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핸드셋 또는 일반 전화와 통신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핸드셋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을 위해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것을 관리하도록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 폐쇄형 마켓 시스템에서, 상기 운영자는 상기 운영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 동작가능한 핸드셋들의 분배 및 판매를 통해 제어 정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자는 핸드셋 자체를 분배하고 판매할 수 있거나, 제 3 자가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인증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폐쇄형 마켓 핸드셋들은 상기 운영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 작용하도록 상기 운영자에 의해 인증되고 프로비저닝(provisioned)된다. 따라서, 폐쇄형 마켓 핸드셋은 상기 각각의 운영자에 대응하는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한된다.
상기 폐쇄형 마켓 시스템과 반대로, 오픈 마켓 시스템은 각각이 복수의 다른 운영자들 중 개별적인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것에서의 이용을 위해 핸드셋이 분배되고 판매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오픈 마켓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운영자들 중 하나로부터 스마트 카드와 같은 사용자 아이덴티티 모듈을 획득해야 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아이덴티티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중 하나에서의 동작을 허용하는 키 또는 다른 인증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그 후에, 사용자 아이덴티티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식 모듈을 상기 오픈 마켓 핸드셋에 삽입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오픈 마켓 핸드셋은 상기 이동식 모듈을 인증한 운영자와 관련된 개별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동식 모듈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을 위한 이동식 사용자 아이덴티티 모듈(RUIM), CDMA 시스템을 위한 유니버설 집적 회로 카드(UICC)에 기반한 CDMA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CSIM),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위한 UICC에 기반한 유니버설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USIM) 또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에서의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로서 지칭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상기 용어 이동식 모듈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사용자 아이덴티티 정보와 같은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삽입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하는 임의의 모듈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네트워크 운영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액세스 및 인증을 제공하는데 더하여, 상기 이동식 모듈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위한 프로비저닝 정보로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비저닝 정보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 이동식 모듈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다운로드 서비스의 일 예는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의 퀄컴사로부터 이용가능한 무선을 위한 이진 실행시간 환경®(BREW®) 다운로드 서비스들이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어느 것도 사용자가 액세스하기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오픈 마켓 시나리오에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배치시에 네트워크 운영자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운영자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와 같은 긴급 서비스를 위해 구성되지 않을 수 있는 오픈 마켓플레이스에 이동식 모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모듈들이 상기 마켓플레이스에 배치된 후에(즉, 오픈 마켓 디바이스들에서의 가입자들에 의해 사용됨),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는 후속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상기 배치된 이동식 모듈들은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입자들은 상기 오픈 마켓 디바이스 메모리가 상기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가입자가 상기 이동식 모듈을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이동식 모듈로 교체하지 않는 한 상기 서비스를 액세스하지 못할 수 있다. 대부분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들에서, 상기 서비스가 비교적 신규한 서비스인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로 구성되지 못할 수 있다.
많은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상기 배치된 이동식 모듈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를 추가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경하는 무선 프로비저닝 능력을 갖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의 유일한 선택사항들은 상기 이동식 모듈을 상기 새롭게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이동식 모듈로 교체하거나 프로비저닝 정보 업데이팅을 위해 상기 이동식 모듈을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리턴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모듈을 업데이트된 이동식 모듈로 교체하거나 업데이팅을 위해 상기 이동식 모듈을 리턴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프로세스이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의 사용이 우세한 많은 이머징 마켓들에서 실행가능한 선택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에서 현재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을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바람직한 프로세스는 상기 이동식 모듈을 업데이트된 이동식 모듈로 교체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구성을 위해 상기 이동식 모듈을 소스에 리턴할 필요없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상들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간략한 요약을 제시한다. 상기 요약은 모든 고려된 양상들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키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설명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이루어질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문으로서 간략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양상들은 오픈 마켓(open market)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per-network service basis)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non-removable) 메모리와 현재 관련된 RUIM, SIM, USIM, CSIM 등과 같은 이동식 모듈이 상기 바람직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 및/또는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양상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먼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고, 둘째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사용자 통지와 같은 프롬프트(prompt)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출력 메커니즘상에 현시되도록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부터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다운로딩과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프로비저닝을 획득하고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와 같이, 본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사용자에게 새로운 이동식 모듈을 획득하거나 상기 기존의 이동식 모듈을 업데이트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획득되고 저장되도록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무선을 통해 상기 이동식 모듈들을 프로비전할 능력을 갖지 않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는 사용자에게 그들 기존의 이동식 모듈을 교체하거나 업데이트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신규 서비스들을 상기 무선 시장에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상들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와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들에의 즉시 액세스를 원하는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에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의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launch)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일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가 생성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게 하도록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도록 프로비저닝 정보를 발행하는 인터넷-기반 웹페이지에 대한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가 생성되며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통지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다운로딩하는 링크 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서버를 탐색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그와 같은 양상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통지에 포함된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개시하도록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추가 양상들은 상기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양상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양상들에서,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음을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검색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혁신의 추가적인 양상을 정의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이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추가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게 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위한 장치가 또 다른 관련 양상을 정의한다. 상기 장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추가적인 양상이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비-이동식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비-이동식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와 이동식으로 통신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이동식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를 론칭하기 위해 제 1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상기 로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더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발행하는 인터넷-기반 웹페이지에 대한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의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또는 상기 이동식 모듈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제 2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양상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동작가능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를 검사하며,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검색하도록 더 동작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현재 설명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는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디바이스와 현재 관련된 이동식 모듈이나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비-이동식 메모리 어느 것도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그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위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새롭게 제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전에는 이용 불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해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고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관련 목표들의 달성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하에서 완전하게 설명되고 특히 청구범위에 지적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어떤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며, 상기 설명은 모든 그와 같은 양상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개시된 양상들은 이하에서 개시된 양상들을 예시하고 제한하지는 않도록 제공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며, 유사 지명들은 상기 엘리먼트들을 표시한다.
도 1은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 및 네트워크 운영자 측에서의 프록싱 요구들에 대한 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양상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양상에 따른,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록싱 요구들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양상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 양상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양상들과 관련하여 사용된 무선 네트워크, 구체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에 따른,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 및 네트워크 운영자 측의 프록싱 요구들에 대한 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에 따른,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에 따른,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론칭을 위한 프록싱 요구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디바이스들, 장치, 방법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및 프로세서들은 상기 혁신의 양상들이 도시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들, 장치, 방법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및 프로세서들은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된 양상들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양상들은 본 발명이 빈틈없이 완벽하게 되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상기 혁신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의 유사한 숫자 지명들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라 칭해질 수 있다. 가입자국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상들은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그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디바이스와 현재 관련된 이동식 모듈이나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비-이동식 메모리 어느 것도 상기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양상들은 먼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으며, 둘째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사용자 통지와 같은 프롬프트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출력 메커니즘 상에 현시되도록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즉,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딩하는 것과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프로비저닝을 획득하고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이동식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삽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듈을 지칭하도록 사용되며, 무선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식 모듈"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에 대한 이동식 사용자 아이덴티티 모듈(RUIM), CDMA 시스템을 위한 유니버설 집적 회로(UICC)에 기반한 CDMA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CSIM),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위한 UICC에 기반한 유니버설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USIM) 또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에서의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결정하고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10)의 개략도가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8) 상에 통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운영자(16)에 의해 프로비저닝되고 제공되는 관련된 이동식 모듈(14) 및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모듈은 상기 오픈 무선 디바이스(12)에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8)를 통해 통신하는데 필요한 요청 무선 네트워크 프로비저닝 정보(20)를 제공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12)에 특성적으로 삽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무선 디바이스(12)와 일시적으로 통신한다. 추가로, 상기 이동식 모듈은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16)에 의해 제공된 관련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무선 디바이스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로 네트워크 운영자(16)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6) 및 메모리(28)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24)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BREW®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같은 다운로드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들(30)과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16)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를 통해 액세스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등과 같은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36)에 의해 추가로 또는 배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36)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와는 다른 임의의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제 3 자에 의해 제공된 관련 네트워크 서비스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12)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3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목할 사항으로서, 어떤 양상들에서 상기 이동식 모듈은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 없이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12)는 제 3 자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32)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은 선택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14) 또는 메모리(28)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어느 것에도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들에서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하는 본 양상들에 따라 허용가능하다.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추가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12)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30)의 론칭을 개시하기 위한 커맨드를 수신할 때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동적으로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을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해 동적으로 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따라 컴파일-시간에 또는 시동 동안의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위한 소스를 정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반대로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30)를 개시하기 위해 매번 입력이 수신된다.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도 1에 도시되며 메모리(28)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한편, 프로세서(26)의 서브시스템으로서 로직(34)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본 양상들의 경계들 내에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먼저 상기 이동식 모듈(14)이 론칭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론칭되는 서비스에 대한 대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가 상기 이동식 모듈(14) 상에 저장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는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를 이용하여 론칭된다. 상기 이동식 모듈(14)이 상기 요청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가 론칭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32)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28)가 상기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3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는 상기 대응하는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32)를 이용하여 론칭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14)이나 메모리(28)의 임의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어느 것에도 저장된 것으로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디바이스(12) 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통지(40)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40)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롬프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스피커 또는 다른 오디오 출력 메커니즘을 통해 출력된 청취가능한 통지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40)의 명령들은 웹 어드레스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소스와 같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웹 어드레스는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자동 액세스를 위한 하이퍼링크를 제공할 수 있거나, 상기 웹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가 다른 인터넷-액세스 가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단 상기 무선 디바이스(12)의 사용자가, 웹 페이지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같이,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 메모리(28)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통지(40)에서의 명령들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도록 상기 사용자 통지(40) 내의 일부 다른 유사한 메커니즘들 또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목할 사항으로서, 일단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사용자 통지(40)의 명령들을 통해, 소스로부터 수동으로 획득되고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네트워크 소스로부터 다운로딩되거나, 네트워크 소스로부터 업로딩되거나 하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메모리(28)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동식 모듈(14)이 판독-전용 타입 메모리에 제한되지 않는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들은 상기 이동식 모듈(14) 상에 유일하게 또는 무선 디바이스 스토리지에 더하여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 및 관련된 이동식 모듈(14)의 강조하여 상세화된 임의선택적 양상들인 시스템(10)의 다른 더 상세한 양상을 제공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운영자(16)의 제어 하에 통신 네트워크(18) 상에 동작하는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상기 이동식 모듈(14) 또는 상기 디바이스 메모리(28)가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3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데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를 결정하도록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비저닝 소스 규칙들(5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30)에 적용되는 소스 규칙(50)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어디서 프로비저닝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소스 규칙은 상기 이동식 모듈로부터만 생산되도록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즉, 상기 무선 디바이스 메모리 또는 사용자/수동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 다른 규칙은 상기 이동식 모듈이나 상기 무선 디바이스 메모리로부터 생산되지만 사용자/수동 입력으로부터 생산되지 않도록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비저닝 규칙(50)은 먼저 상기 디바이스가 프로비저닝 정보(22)에 대해 상기 이동식 모듈(14)을 탐색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비저닝 정보(22)가 상기 이동식 모듈(14) 상에 발견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32)에 대해 디바이스 메모리(28)를 탐색한다. 본 양상들의 규칙(50)에 따르면,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14) 또는 상기 디바이스 메모리 어디에도 발견되지 않으면, 상기 로직(34)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통지(40)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를 트리거한다. 따라서, 규칙(50)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즉, 특징-별(per-feature)) 기준에 따라 동적으로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컴파일-시간 또는 시동 동안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위해 소스를 정적으로 결정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매번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30)를 개시하도록 입력이 수신된다.
소스 규칙들(50)이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한편, 규칙(50) 또는 규칙 식별자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시도하는데 프로비저닝 소스 규칙들 중 어느 것이 적용가능한지를 정의하도록 클라이언트(3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픈 마켓 핸드셋 산업 표준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규칙들 중 어느 것이 모든 또는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에 적용될 것인지를 상기 디바이스가 구술하도록 사전-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요청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이용 불가능하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어떻게 획득할지에 대한 명령들을 제공하도록 출력 메커니즘(78)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사용자 통지(4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메모리(28)에 저장되는 바와 같은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를 도시하는 한편,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상기 생성기(38)는 프로세서(26)의 서브시스템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40)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소스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획득하도록 요구하는, 웹 어드레스 등과 같은 수동 명령들(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소스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수동 입력 또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사이트 등으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프로비저닝 정보 업로딩과 같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자동 입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4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18)를 통해 상기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운로드 링크 등과 같은 자동화 명령들(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모듈(14)은 상기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22)를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양상들에서, 프로비저닝 정보(22)는 상기 이동식 모듈-발행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이동식 모듈-발행 네트워크 운영자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될 것이다. 프로비저닝 정보(22)는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자/네트워크 서비스 정보(52), 네트워크 운영자 식별자(54), 서버 명칭(56), 서버 인증 키(58), 가입자 식별자(60) 또는 도메인 명칭 서버(DNS) 룩업 식별자 등과 같은 다른 프로비저닝 정보(6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2)의 메모리(28)는 상기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3 자 프로비저닝 정보(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모듈(14) 상에 저장된 프로비저닝 정보(22)와 유사하게, 프로비저닝 정보(32)는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자/네트워크 서비스 정보(64), 제 3 자 서비스 제공자 식별자(66), 서버 명칭(68), 서버 인증 키(70), 가입자 식별자(72) 또는 도메인 명칭 서버(DNS) 룩업 식별자 등과 같은 다른 프로비저닝 정보(7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양상들에서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모듈(14)은 프로비저닝 정보(22)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28)는 임의의 제 3 자 프로비저닝 정보(32)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통지(40)에서의 명령들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프로비저닝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네트워크 서비스 정보(52), 네트워크 운영자 식별자(54), 서버 명칭(56), 서버 인증 키(58), 가입자 식별자(60) 또는 다른 프로비저닝 정보(62)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22)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및/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자/네트워크 서비스 정보(64), 제 3 자 서비스 제공자 식별자(66), 서버 명칭(68), 서버 인증 키(70), 가입자 식별자(72) 또는 다른 프로비저닝 정보(74) 등과 같은 제 3 자 프로비저닝 정보(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디바이스(1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2) 내의 내부 통신들 및 상기 관련된 이동식 모듈(14)과의 외부 통신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모듈(76)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듈(76)은 또한 상기 이동식 모듈(14) 상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프로비저닝 정보(20)에 지정된 무선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어느 프로비저닝 정보가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 서비스 제공자(16) 또는 지정된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30)에 네트워크 서비스 론칭 요청들(78)을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사용자 통지(40)에 제공된 명령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프로비저닝 정보의 다운로드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12)는 프로세서(26)와 통신하는 복수의 출력 메커니즘(78) 및 입력 메커니즘(80)을 포함한다.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서, 출력 메커니즘들(78)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비디오 출력, 오디오 출력 등과 같은 사용자 통지(40)를 출력하도록 적합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입력 메커니즘들(80)은 키패드, 버튼,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이동 전화 등과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종 서로 다른 스펙트럼 대역폭들 및/또는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존재한다. 예시적인 시스템들은 FDD 또는 TDD 라이센스 스펙트럼들을 이용하는 CDMA(CDMA 2000, EV DO, WCDMA), OFDM 또는 OFDMA(플래시-OFDM, 802.20, WiMAX), FDMA/TDMA(GSM) 시스템들, 짝지워지지 않은 비-라이센스 스펙트럼들 및 802.xx 무선 LAN 또는 BLUETOOTH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투피(예를 들어, 모바일-대-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과 관련된 프로세싱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컴포넌트(2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컴포넌트(26)는 프로세서들 또는 다중-코어 프로세서들의 단일 또는 다중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싱 컴포넌트(26)는 집적 프로세싱 시스템 및/또는 분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싱 컴포넌트(26)는 본 양상들에 따른 프로비저닝 정보 소스를 결정할 수 있고, GPS 등과 같은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 또는 본 양상들을 실행하도록 필요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프로세서 컴포넌트(26)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모듈들의 로컬 버전들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28)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2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에서(도 4에 도시되지 않음), 메모리(28)는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 제 3 자 프로비저닝 정보(32) 및/또는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체들과 통신을 확립하고 유지하도록 제공하는 통신 모듈(76)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76)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된, 네트워크 운영자(16) 또는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36)의 제어하의 디바이스들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및/또는 이동식 모듈(14)과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에 직렬로 또는 로컬로 접속된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사이뿐 아니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상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사용된 정보, 데이터베이스들 및 프로그램들의 대량 저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는 데이터 스토어(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의선택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도 3에 도시되지 않음) 데이터 스토어(120)는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34), 제 3 자 프로비저닝 정보(32) 및/또는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3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입력 메커니즘(80) 및 상기 사용자에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출력 메커니즘들(7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80)은 키보드, 숫자 패드, 마우스,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키, 펑션 키, 마이크로폰, 음성 인식 컴포넌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입력 메커니즘(80)은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의 론칭을 개시하도록 적합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메커니즘(78)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촉각 피드백 메커니즘, 프린터, 출력을 사용자에 현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출력 메커니즘(78)은 상기 사용자 통지(40)를 출력하도록 적합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 메시지들을 전달하도록 본 양상들과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2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18)는 셀룰러 네트워크(20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동식 모듈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로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 메시지들 및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동식 모듈들로의 디바이스 식별 요청 메시지들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12)는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양상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2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SMS 데이터 패킷들 또는 다른 메시징 데이터 패킷들과 같은 통신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상기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200)는 캐리어 네트워크(204)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202)에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 및 상기 본 시스템의 일 양상의 엘리먼트들의 상호관련성을 더 완전하게 도시하는 대표도이다.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200)는 단순히 예시적이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2)과 같은 원격 모듈들이 서로 간에 및/또는 제한없이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들 및/또는 서버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8)의 컴포넌트들 사이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에서, 네트워크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36)는 유선 네트워크(202)(예를 들어, 로컬 영역 네트워크, LAN)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저장 디바이스(206)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202)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306)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6)는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12)로 및 상기 디바이스들(12)로부터의 SMS 메시지 데이터 패킷들과 같은 통신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및/또는 생성하며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6) 및 데이터베이스(206)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필요한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갖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200) 상에 현시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6) 및 데이터베이스(206)는 인터넷, 보안 LAN, WAN 또는 다른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링크들일 수 있는 데이터 링크들(208 및 210)을 통해 캐리어 네트워크(204)와 통신한다. 캐리어 네트워크(204)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212)에 송신된 메시지들(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임)을 제어한다. 또한, 캐리어 네트워크(204)는 상기 인터넷 및/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와 같은 네트워크(210)에 의해 MSC(212)와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네트워크(210)에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부분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POTS 부분은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21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부분 및 음성 정보를 위한 POTS 부분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216)에 의해 다중 기지국들("BTS")(214)에 접속될 수 있다. BTS(214)는 궁극적으로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 또는 다른 무선 방법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2)에 무선으로 메시지들을 방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에 대한 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벤트(400)에서, 이동식 모듈은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삽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식 모듈은 상기 이동식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의 제어시에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추가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BREW® 등의 다운로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선택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지정된 입력 메커니즘에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 같은 입력을 수신한다.
이벤트(402)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한다. 대부분의 양상들에서,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는 네트워크 운영자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될 것이다. 그와 같이,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상기 서비스의 론칭을 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운영자 서버를 액세스하도록 제공할 것이다.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동식 모듈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이벤트(404)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한다. 대부분의 양상들에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 등의 OEM과 같은 제 3 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즉,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와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될 것이다.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메모리 및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이벤트(406)에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가 생성된다. 대부분의 양상들에서, 스피커 등과 같은 다른 출력 메커니즘들이 상기 사용자 통지를 출력할 수 있을지라도, 상기 사용자 통지는 무선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다.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디바이스 메모리 상에 현재 프로비저닝 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것과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통지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통지에 제공된 명령들은 네트워크 사이트(예를 들어, 웹 어드레스 등)와 같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일 수 있거나, 상기 명령들은 미리 결정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무선으로의 다운로딩을 통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선택적 이벤트(408)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사용자 통지의 명령들 상에 기반하여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에 구성된다. 상기 소스가 웹 페이지 등인 수동 양상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인터넷 또는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타입 액세스에 대해 구성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또 다른 디바이스 구성된 네트워크 액세스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일단 상기 사용자가 웹페이지에서와 같은 상기 소스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위치시킨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 상기 웹 페이지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업로드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자동화 양상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다운로딩 및 저장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을 행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410)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또는 이동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다. 대부분의 양상들에서, 대부분의 이동식 모듈들이 판독-전용 메모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저장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 제한된다. 그러나, 데이터의 사용자 저장이 가능하도록 이동식 모듈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이동식 모듈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및 상기 이동식 모듈 둘 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412)에서, 제 2 입력은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수신된다.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제 1 입력과 동일한 입력일 수 있거나,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구성에 따른 제 1 입력과는 다를 수 있다. 이벤트(414)에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스토리지 또는 상기에 논의된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이동식 모듈에 저장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적절하게 론칭하도록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론칭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설명된 양상들은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따라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은 상기 디바이스와 현재 관련된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메모리 중 어느 것도 상기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그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양상들은 먼저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으며, 둘째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출력 메커니즘 상에 사용자 통지와 같은 프롬프트가 현시되도록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즉,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다운로딩하는 것과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프로비저닝을 획득하고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의 단계들 및 알고리즘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에 위치한다. ASIC은 사용자 터미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터미널에서 이산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의하는 한편, 주목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청구되더라도,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구술되지 않는 한 복수로 생각된다. 추가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다르게 설명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오픈 마켓(open market)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으로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launch)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non-removable)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는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는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기반 웹페이지에 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통지에 포함된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개시하도록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를 검사하는 단계―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음을 표시함―; 및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 단계는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로부터 검색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식 모듈이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결정 단계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이동식 모듈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생성 단계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이동식 모듈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지 않고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비-레거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에만,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은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에 실행된 다수의 방법들 중 하나이며,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사전구성은 어느 소스 결정 방법이 실행되는지를 지시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은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에 실행된 다수의 방법들 중 하나이며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 상에 동작가능한 각각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어느 소스 결정 방법이 실행되는지를 지시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 방법.
  15.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듈;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16.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7.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위한 장치로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론칭하도록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및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프로비저닝 정보의 소스 결정을 위한 장치.
  18.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비-이동식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이동식 모듈;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상기 로직은 제 1 소스 규칙을 실행하도록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고, 상기 제 1 소스 규칙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함―;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 1 소스 규칙에 따라 결정하는 로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수동으로 입력되도록 프로비저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기반 웹페이지에 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에 포함된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무선 네트워크 전달을 개시하기 위해 제 2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통지의 명령들에 기반하여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나 상기 이동식 모듈에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제 2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를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비-이동식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를 검색하도록 더 동작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표시자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 것을 표시하는,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이동식 모듈이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는지를 결정하고,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이동식 모듈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이동식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명령 통지 생성기는 상기 이동식 모듈이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로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비-레거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에만,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제 2 소스 규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소스 규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론칭을 중단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제 3 소스 규칙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소스 규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상기 이동식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론칭을 중단하도록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의 사전-구성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론칭 시도에 어느 소스 규칙을 적용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소스 결정 로직은 상기 대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사전-구성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론칭 시도에 어느 소스 규칙을 적용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한, 오픈 마켓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0117005178A 2008-08-04 2008-12-03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230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5,298 2008-08-04
US12/185,298 US8442507B2 (en) 2007-09-26 2008-08-04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source determination of provisioning information on a per-network service basis for open market wireless devices
PCT/US2008/085444 WO2010016855A1 (en) 2008-08-04 2008-12-03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source determination of provisioning information on a per-network service basis for open market wireless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854A true KR20110049854A (ko) 2011-05-12
KR101230281B1 KR101230281B1 (ko) 2013-02-08

Family

ID=4052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78A KR101230281B1 (ko) 2008-08-04 2008-12-03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442507B2 (ko)
EP (1) EP2324652A1 (ko)
JP (1) JP5254444B2 (ko)
KR (1) KR101230281B1 (ko)
CN (1) CN102144415B (ko)
AU (1) AU2008360411A1 (ko)
BR (1) BRPI0823081A2 (ko)
CA (1) CA2731911C (ko)
RU (1) RU2474072C2 (ko)
TW (1) TW201008194A (ko)
WO (1) WO2010016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6438B1 (en) 2004-08-10 2012-11-20 Pure Networks Llc Network management providing network health information and lockdown security
US8478849B2 (en) * 2004-12-07 2013-07-02 Pure Networks LLC. Network administration tool
WO2006063118A2 (en) * 2004-12-07 2006-06-15 Pure Networks, Inc. Network management
US8331989B2 (en) * 2007-06-15 2012-12-11 Intel Corporation Field programming of a mobile station with subscriber identific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US8700743B2 (en) * 2007-07-13 2014-04-15 Pure Networks Llc Network configuration device
US9491077B2 (en) * 2007-07-13 2016-11-08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metric reporting system
US9026639B2 (en) * 2007-07-13 2015-05-05 Pure Networks Llc Home network optimizing system
US8463279B2 (en) * 2007-09-26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network-server determination for removable module-based wireless devices
US8831575B2 (en) * 2007-09-26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open market handsets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8649297B2 (en) * 2010-03-26 2014-02-1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ying secure network setup
US8724515B2 (en) 2010-03-26 2014-05-13 Cisco Technology, Inc. Configuring a secure network
US20120059918A1 (en) * 2010-09-08 2012-03-08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ased service data connection support across multiple profiles
US9189084B2 (en) * 2013-03-11 2015-11-17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user data storage and access
HUE038867T2 (hu) * 2013-03-29 2018-12-28 Intel Ip Corp WLAN kiválasztási irányelv vezérlés barangolási (roaming) szcenáriókban
US9743341B2 (en) 2013-03-29 2017-08-2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US8937054B1 (en) 2013-12-05 2015-01-20 Fmc Corporation Liquid-fertilizer ready formulations of bifenthrin
RU2572373C2 (ru) * 2014-01-10 2016-01-10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екето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услугам (варианты)
US20150312228A1 (en) * 2014-04-29 2015-10-29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station for deriving a derivative key in a system-on-a-chi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628A (en) 1994-08-01 1997-10-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roaming of subscriber among plural mobile radio systems, using mobile equipment accepting remov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JP3056082B2 (ja) 1996-08-14 2000-06-26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移動通信の付加サービス制御方式
FR2771205B1 (fr) 1997-11-20 2000-01-21 Gemplus Card Int Procede, carte a puce et terminaux pour effectuer des transactions a traver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DE19801576C2 (de) 1998-01-19 2002-04-11 Deutsche Telekom Mobil Verfahren zur endgeräteunterstützten Menüführung in Mobilkommunikationssystemen
WO2000034877A1 (en) 1998-12-08 2000-06-15 Alliedsignal Inc. Enhanced uart interface circuit in satcom system
JP2001515636A (ja) 1998-12-29 2001-09-18 スイスコム アーゲー 通信ネットワークの利用者に目的物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RU2169437C1 (ru) 1998-12-29 2001-06-20 Свисском Мобиле Аг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м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доступа к объектам
JP2001134688A (ja) 1999-11-05 2001-05-18 Jakkupotto:Kk 携帯端末装置、及び該携帯端末装置を用いたビジネ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R2801453B1 (fr) 1999-11-22 2002-02-08 Cit Alcatel Procede de provisionnement domestique et itinerant pour un terminal mobile
US6725056B1 (en) 2000-02-09 2004-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mobile station from a provisioning server via a traffic channel
US6944150B1 (en) 2000-02-28 2005-09-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6845153B2 (en) 2001-01-31 2005-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independent party addressing using a unique identifier linked to network specific addresses
US20030125023A1 (en) 2001-03-15 2003-07-03 Eyal Fishl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session integrated with data and voice services
EP1564960B1 (en) 2001-05-16 2007-03-28 Bytemobile,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within 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JP4009136B2 (ja) 2001-06-07 2007-11-14 富士通株式会社 課金システム
US20020188736A1 (en) 2001-06-11 2002-12-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pplication usage through subscriber-application association
DE10156475A1 (de) 2001-11-16 2003-06-05 Rheinzin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unklen Schutzschichten auf Flacherzeugnissen aus Titanzink
CN1182748C (zh) * 2001-11-27 2004-12-29 斯伦贝谢(北京)智能卡科技有限公司 基于短消息服务的无线增值业务的实现方法和系统
US6741687B1 (en) 2002-03-04 2004-05-25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paid communications
US8718687B2 (en) 2002-03-26 2014-05-06 Zoove Corp. System and method for mediating service invocation from a communication device
US6868282B2 (en) 2002-03-26 2005-03-15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remote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US20030186722A1 (en) 2002-03-28 2003-10-02 Comverse, Ltd.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GSM user device profile interrogation and registration
US6957062B2 (en) 2002-05-09 2005-10-18 Casabyte, Inc.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to remotely associat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with subscriber identities and/or proxy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7149545B2 (en) 2002-05-30 2006-12-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ver-the-air activation of pre-programmed memory devices
US6801528B2 (en) 2002-07-03 2004-10-05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imultaneous connection to multiple service providers
US7792759B2 (en) 2002-07-29 2010-09-07 Emv Co. Llc Methods for performing transac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20040204051A1 (en) 2002-08-27 2004-10-14 Scott Clifton E.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provisioning infor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om non-volatile memory
US20040043788A1 (en) 2002-08-28 2004-03-04 Guarav Mittal Management of parameters in a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FR2845222B1 (fr) 2002-09-26 2004-11-19 Gemplus Card Int Identification d'un terminal aupres d'un serveur
US20040075675A1 (en) 2002-10-17 2004-04-22 Tommi Raivisto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services via a mobile terminal
AU2003294673A1 (en) 2002-10-18 2004-05-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settings for an application
EP1411712B1 (en) 2002-10-18 2009-07-29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Operator guided user assistance for programm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203737A1 (en) 2002-10-24 2004-10-14 John Myhr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services in integrated wireless networks
JP4203300B2 (ja) 2002-10-29 2008-1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366780B2 (en) 2002-12-31 2008-04-29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essions between endpoints in a communications system
ES2298680T3 (es) 2003-03-24 2008-05-16 Star Home Gmbh Seleccion de red preferida.
US20040192386A1 (en) 2003-03-26 2004-09-30 Naveen Aerrabotu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subscriber identitie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684432B2 (en) 2003-05-15 2010-03-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of providing data services over data networks and related data networks, data service providers, routing gateway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040230677A1 (en) 2003-05-16 2004-11-18 O'hara Roger Joh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onitoring and managing network devices
US20060099600A1 (en) 2003-06-20 2006-05-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ovel acetylcholine transporter
US20050020308A1 (en) 2003-07-23 2005-01-27 David Lai Dynamically bin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s (SIMs)/User Identity Modules (UIMs) wit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TE530040T1 (de) 2003-08-01 2011-11-15 Research In Motion Ltd Teilnehmeridentitätsmodul- initialisierungsverfahren
US7894856B2 (en) 2003-08-13 2011-02-22 Tim Italia S.P.A. Procedure for processing user's identification numbers in communication networks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sim-card and computer product
US7613479B2 (en) 2003-09-15 2009-11-03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 to receive network services
US20050071423A1 (en) 2003-09-26 2005-03-31 Jaakko Rajaniemi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s on mobile devices
US20050071459A1 (en) 2003-09-26 2005-03-31 Jose Costa-Requen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ssion descriptors
FI116022B (fi) 2003-09-26 2005-08-31 Teliasonera Finland Oyj Matkaviestinlaitteen ominaisuustietojen tuottaminen palveluita varten
CN100502551C (zh) 2003-10-03 2009-06-17 比特福恩公司 用于注册移动设备和管理移动设备的网络和方法
US7292855B2 (en) 2003-11-25 2007-11-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multiple mobile IP data sessions at a mobile node
US20050147127A1 (en) 2004-01-02 2005-07-07 Padmaja Putcha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436811B2 (en) 2004-01-02 2008-10-14 Motorola Inc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587757B2 (en) 2004-02-11 2009-09-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urveillance implementation in managed VOP networks
US7374099B2 (en) 2004-02-24 2008-05-20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 identifier from a smart card
US7191288B2 (en) 2004-02-24 2007-03-1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on a smart card
US7165727B2 (en) 2004-02-24 2007-01-2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onto a smart card
US7140549B2 (en) 2004-02-24 2006-11-2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desired application on a smart card
US20050239504A1 (en) 2004-04-23 2005-10-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IM-based automatic feature activation for mobile phones
TW200602909A (en) 2004-04-23 2006-01-16 Nec Corp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data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7978684B2 (en) 2004-06-15 2011-07-12 Nokia Corporation Session set-up for time-critical services
US7600027B2 (en) 2004-09-16 2009-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multiple sessions for a user of a portal
EP1817868B1 (en) 2004-11-29 2010-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ctivation in mobile network billing
US7353017B2 (en) 2004-11-30 2008-04-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a wireless device
JP4597654B2 (ja) 2004-12-16 2010-12-1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データ更新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100965692B1 (ko) * 2005-02-01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방법
JP4507917B2 (ja) 2005-02-28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ッション処理システム、セッショ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705832A3 (en) 2005-03-22 2011-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profile retrieval in a management network
DE602005014513D1 (de) 2005-04-06 2009-06-25 Telit Comm S P A Teilnehmeridentitätsmodul und mobil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modul
US7996041B2 (en) 2005-04-15 2011-08-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initiation of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capability configuration parameters with card application toolkit
US20060258341A1 (en) 2005-05-13 2006-11-1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internet services discovery and/or provisioning
US7535848B2 (en) 2005-05-17 2009-05-19 Tektronix,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P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US7826842B2 (en) 2005-07-01 2010-11-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rbidden network lists on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US7929486B2 (en) * 2005-11-22 2011-04-19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wireless access point supporting configuration profile updating
US7848781B2 (en) 2006-02-28 2010-12-07 Palm, Inc. Techniques to manage contact information for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8417285B2 (en) 2006-03-17 2013-04-09 At&T Mobility Ii Llc Mobility management message analysis
US20070224969A1 (en) 2006-03-24 2007-09-27 Rao Bindu R Prepaid simcard for automatically enabling services
JP4651571B2 (ja) 2006-04-14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8849297B2 (en) 2006-07-14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Call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in a wireless network
US7711392B2 (en) 2006-07-14 2010-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provision a mobile device
US7934253B2 (en) 2006-07-20 2011-04-26 Trustwave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web applications across an enterprise
US20080049662A1 (en) 2006-08-25 2008-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eleasing a data-service radio resource allocated to a data-service-capable mobile node
US9408070B2 (en) 2006-09-05 2016-08-02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internet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US7983713B2 (en) 2006-12-14 2011-07-19 Infineon Technologies Ag Smart card;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be used by a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80161050A1 (en) 2006-12-29 2008-07-03 Shudark Jeffrey B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utomatic SIM pairing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061833A1 (en) 2007-08-30 2009-03-05 Junius Ho System, method and device to use messaging to implement programmatic actions
US8463279B2 (en) 2007-09-26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network-server determination for removable module-based wireless devices
US8831575B2 (en) 2007-09-26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open market hand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5595A1 (en) 2010-02-11
JP2011530261A (ja) 2011-12-15
BRPI0823081A2 (pt) 2015-08-18
AU2008360411A1 (en) 2010-02-11
CA2731911C (en) 2013-10-22
CN102144415B (zh) 2015-04-29
TW201008194A (en) 2010-02-16
EP2324652A1 (en) 2011-05-25
RU2474072C2 (ru) 2013-01-27
RU2011108367A (ru) 2012-09-10
CN102144415A (zh) 2011-08-03
WO2010016855A1 (en) 2010-02-11
KR101230281B1 (ko) 2013-02-08
JP5254444B2 (ja) 2013-08-07
US8442507B2 (en) 2013-05-14
CA2731911A1 (en)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281B1 (ko) 오픈 마켓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기준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의 동적 소스 결정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84632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network-server determination for removable module-based wireless devices
US857154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evice updates to a mobile device operating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589910B2 (en) Coordinating firmware over-the-air updates for mobile devices utilizing presence information
KR100910951B1 (ko) 통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커스토마이제이션을 위한 방법및 장치
CA2851760C (en) Downloadable configuring appl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KR101249336B1 (ko) 다수의 네트워크-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들 및 데이터 세션 충돌 해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들을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080019727A (ko) 자동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및 정책 생성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20130085509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AU201224408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network identification of open market wireless devices
TW201328399A (zh) 用於開放市場無線器件之網路識別之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