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360A -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 Google Patents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360A
KR20110049360A KR1020090106346A KR20090106346A KR20110049360A KR 20110049360 A KR20110049360 A KR 20110049360A KR 1020090106346 A KR1020090106346 A KR 1020090106346A KR 20090106346 A KR20090106346 A KR 20090106346A KR 20110049360 A KR20110049360 A KR 2011004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ear
ear canal
contact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안
Original Assignee
김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요안 filed Critical 김요안
Priority to KR102009010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360A/ko
Publication of KR2011004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외이도 접촉부재;와,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와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중공관체가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성되는 접철봉; 및 상기 접철봉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이도, 고막, 귀후비개, 접철봉, 중공관체, 손잡이, 스토퍼, 금속편

Description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AN EAR-PICK OF PREVENTION INJURY FOR AUDITORY SYSTEM}
본 발명은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접촉부재를 면적이 넓은 원형체로 구성하여 외이도 내의 표피 손상을 방지하면서 귓밥을 제거하는 한편, 외부 충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철봉을 통해 접촉부재가 고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귀가 가렵거나, 귓속에 이물질이 들어가 있거나, 귓속에 귓밥이 쌓여 있을 경우, 외이도 즉 귓속을 후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귀후비개는 스푼 타입으로 외이도의 표피조직과, 고막 등을 손상시킬 위험이 많다.
이러한 종래의 귀후비개는 실수로 외이도에 깊게 쑤셔 넣을 경우에는 외이도 표피조직과 고막 그리고 고막 내부 쪽 청각 및 평형감각 기관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외이도 표피조직의 손상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기타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 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손상된 표피조직에 헤르페스조스터 바이러스의 감염이 심하게 일어나면 안면근육의 마비증(구와나사)을 유발시킨다.
왜냐하면 대뇌의 신경이 외이도 표피 밑을 지나 안면근육 쪽으로 뻗어나가는데 외이도 표피가 헤르페스조스터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외이도 표피 밑의 신경을 완전히 파괴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접촉부재를 면적이 넓은 원형체로 구성하여 외이도 내의 표피 손상을 방지하면서 귓밥을 제거하는 한편, 외부 충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철봉을 통해 접촉부재가 고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외이도 접촉부재를 접철봉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접촉부재와 접철봉을 분리 구성시키고, 외부충격에 의해 신축되도록 접철봉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내장시킨 구조의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관한 것으로,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외이도 접촉부재;와,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와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중공관체가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성되는 접철봉; 및 상기 접철봉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면봉으로 구성되고, 상 기 면봉은 상기 접철봉의 중공관체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고, 타면은 볼록한 형상 또는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평편하고, 타면은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이고, 측면은 뽀족한 형태를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평편하고, 타면은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이고, 측면은 마름모꼴 형태를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3발명 내지 제 5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외이도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심부에서 외각을 향해 예각(銳角)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제 7발명은, 제 3발명 내지 제 5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서, 상기 외이도 접 촉부재는 테두리의 일부분을 따라 끝이 뽀족한 다수의 톱니가 더 형성되고,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접철봉의 각 중공관체는 중공관체 간의 이탈 방지와, 중공관체 상호간 마찰력을 증대시켜 쉽게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는 삽입된 중공관체 타단에 외장되며, "호" 형상으로 만곡된 2개의 금속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편에는 삽입된 중공관체의 타단에 형성된 2개의 통공에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안측면에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9발명에서, 상기 각 중공관체의 일단은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스토퍼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접철봉의 각 중공관체는 일단에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부와, 상기 각 중공관체가 상호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타단에 구비되는 디스크 및 상기 각 디스크의 타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따르면,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접촉부재를 면적이 넓은 원형체로 구성하여 외이도 내의 표피 손상을 방지하면서 귓밥을 제거하는 한편, 외부 충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접철봉을 통해 접촉부재가 고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단면구성도에 따른 접철봉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접촉부재를 면적이 넓은 원형체로 구성하여 외이도 내의 표피 손상을 방지하면서 귓밥을 제거하는 한편, 다수의 중공관체를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킨 접철봉을 통해 접촉부재가 고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외이도 접촉부재(10)와,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접철봉(20) 및 상기 접철봉(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철봉(20)은 타단이 손잡이(30)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외 이도 접촉부재(10)와 나사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접철봉(20)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중공관체(21,22,23)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 1,2,3중공관체(21,22,23)가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3중공관체(23)가 손잡이(30)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 2중공관체(22)는 제 3중공관체(23)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 1중공관체(21)는 제 2중공관체(22)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성으로, 손잡이(30)에 고정된 제 3중공관체(23)를 중심으로 제 2중공관체(22)와 제 1중공관체(21)의 삽입깊이에 따라 접철봉(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접철봉(20)의 각 중공관체(21,22,23)는 중공관체 간의 이탈 방지와, 중공관체 상호간 마찰력을 증대시켜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2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25)는 제 1중공관체(21) 및 제 2중공관체(22)의 타단에 외장되며, "호" 형상으로 만곡된 2개의 금속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편은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삽입되는 제 1중공관체(21) 및 제 2중공관체(22)의 타단에는 2개의 금속편에 대응된 2개의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편의 안측면에는 각 중공관체(21,22,23)에 형성된 2개의 결합공(24)에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24)에 삽입되는 돌기(251)가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스토퍼(25)를 고정하는 한편, 고정된 스토퍼(25)를 통해 제 2 중공관체(22)에 결합된 제 1중공관체(21)의 마찰력과, 제 3중공관체(23)에 결합된 제 2중공관체(22)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3중공관체(23) 및 제 2중공관체(22)의 일단은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부(28)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 1중공관체(21)와 제 2중공관체(22)는 스토퍼(2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 2중공관체(22)와 제 3중공관체(23)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스토퍼(25)의 일단이 단턱부(28)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제 1중공관체(21)와 제 2중공관체(22)가 제 2중공관체(22)와 제 3중공관체(23)의 내부에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는 구성이다.(도 2 및 도 3의 (Ⅰ)에 도시)
또한 상기 제 2중공관체(22)는 제 3중공관체(23)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구성되어 제 2중공관체(22)를 제 3중공관체(23)에 깊숙이 삽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제 2중공관체(22)의 일단이 노출되기 때문에 제 2중공관체(22)를 제 3중공관체(23)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제 1중공관체(21)는 제 2중공관체(22) 보다 짧기 때문에 제 1중공관체(21)를 제 2중공관체(22)의 내부로 깊숙이 삽입되면 제 1중공관체(21)를 빼 낼 수 없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제 2중공관체(22)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24)을 통해 내주연으로 돌출된 금속편(25)의 돌기(251)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중공관체(21)의 타단이 상기 돌기(251)에 걸려 제 1중공관체(21)의 삽입깊이를 단속할 수 있는 구조이다.(도 3의 (Ⅱ)에 도시)
아울러 상기 제 1중공관체(21) 및 제 2중공관체(22)에 결합된 스토퍼(25)는 상기 제 2중공관체(22)와 제 3중공관체(23)의 내주연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쉽게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마찰력은 외이도 접촉부재(10)가 고막에 접촉될시 고막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제 1중공관체(21)와 제 2중공관체(22)가 순차적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조절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각 중공관체(21,22,23) 전체가 밀려 들어갔을 경우에는 귀후비개(100)의 전체 길이가 인체의 외이도 길이 보다 짧게 구성하여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제 1중공관체(21)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삽입형 또는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외이도 접촉부재(10)는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면과 타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형체의 구성은 신체의 외이도의 형상에 기초하여 원형체의 테두리 전체가 귓속의 외이도에 밀착될 수 있게 하여 외이도 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은 고막과 밀착되는 면적을 증대시켜 고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외이도 접촉부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A-1), (A-2)와 같이 타면이 평편한 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평편한 타면으로 귓밥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외에. 외이도 접촉부재(10)는 (A-2-1), (A-2-2)과 같이 타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오목한 타면으로 귓밥을 포집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B-1),(B-2)와 같이 일면과 타면이 평편하고, 측면이 뽀족한 형태의 원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이도 내의 귓밥을 평편한 타면으로 제거하는 한편 테두리의 뽀족한 부분으로 가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C-1),(C-2)와 같이, 일면과 타면이 평편하고, 측면이 마름모꼴 형태의 원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외이도 접촉부재(10)를 외이도 내부에 진입할 때 귓밥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도 1의 기본 및 (A),(B),(C)의 구성에 절개부(13)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이도 접촉부재(10)는 실시예로 도 1의 기본 구성에 절개부(13)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절개부(13)는 (D-1),(D-2)와 같이,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심부에서 외각을 향해 예각(銳角)으로 절개된 구조이다.
여기서 예각 이상으로 절개부(13)를 형성하면 귓밥의 제거 효과가 떨어짐으로 예각으로 절개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도 1의 기본 및 (A),(B),(C)의 구성에 테두리의 일부분을 따라 끝이 뽀족한 다수의 톱니(11)가 더 형성되고,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찰구(12)가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이도 접촉부재(10)는 실시예로 도 1의 기본 구성에 톱니(11)와 관찰구(12)를 더 형성한 것으로, (E-1),(E-2)와 같이 톱니(11) 부분으로 외이도의 가려운 곳을 긁어 주고, 관찰구(12)를 통해 외이도 내의 귓밥이 있는 부분을 관찰할 수 있으며, 톱니(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귓밥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10)는 (F)와 같이 1회용 면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봉은 상기 접철봉(20)의 제 1중공관체(21)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1회용 면봉을 제 1중공관체(21)의 일단에 삽입함으로써, 기존의 면봉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다른 일례의 접철봉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에 따른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후비개(100)는 접철봉(20)의 내부에 코일스프링(27)을 다단으로 내장시켜 탄력적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철봉(20)의 제 1,2,3중공관체(21,22,23)는 상호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타단부에 디스크(26)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26)의 타면에는 코일스프링(27)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손잡이(30)의 타단에는 마개(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중공 관체(21,22,23)를 타단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코일스프링(27)에 의해 접철봉(20)의 각 중공관체(21,22,23)가 탄력적으로 신축되게 구성하여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손잡이(30) 및 제 2중공관체(22)와 제 3중공관체(23)의 일단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단턱부(28,3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단턱부(28)로 각 중공관체(21,22,23)에 구비된 디스크(26)가 걸리도록 하여 각 중공관체(21,22,23)의 이탈됨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의 단면구성도에 따른 접철봉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외이도 접촉부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다른 일례의 접철봉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에 따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이도 접촉부재 11: 톱니 12: 관찰구
13: 절개부
20: 접철봉 21: 제 1중공관체 22: 제 2중공관체
23: 제 3중공관체 24: 결합공
25: 스토퍼,금속편 251: 돌기
26: 디스크 27: 코일스프링
28: 단턱부
30: 손잡이 31: 마개 32: 단턱부
100: 귀후비개

Claims (11)

  1. 외이도 내의 귓밥을 제거하는 외이도 접촉부재;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와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중공관체가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성되는 접철봉; 및
    상기 접철봉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면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봉은 상기 접철봉의 중공관체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고, 타면은 볼록한 형상 또는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평편하고, 타면은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이고, 측면은 뽀족한 형태를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일면이 평편하고, 타면은 평편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이고, 측면은 마름모꼴 형태를 갖는 원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외이도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심부에서 외각을 향해 예각(銳角)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재는 테두리의 일부분을 따라 끝이 뽀족한 다수의 톱니가 더 형성되고,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봉의 각 중공관체는 중공관체 간의 이탈 방지와, 중공관체 상호간 마찰력을 증대시켜 쉽게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삽입된 중공관체 타단에 외장되며, "호" 형상으로 만곡된 2개의 금속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편에는 삽입된 중공관체의 타단에 형성된 2개의 통공에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안측면에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공관체의 일단은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 에 스토퍼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봉의 각 중공관체는 일단에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부와, 상기 각 중공관체가 상호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타단에 구비되는 디스크 및 상기 각 디스크의 타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KR1020090106346A 2009-11-05 2009-11-05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KR20110049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46A KR20110049360A (ko) 2009-11-05 2009-11-05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46A KR20110049360A (ko) 2009-11-05 2009-11-05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360A true KR20110049360A (ko) 2011-05-12

Family

ID=4436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346A KR20110049360A (ko) 2009-11-05 2009-11-05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3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6377A (zh) * 2012-10-15 2013-04-03 马骏 全方位挖耳勺
CN104367412A (zh) * 2014-11-26 2015-02-25 林凤俊 安全可折叠挖耳勺
CN104367411A (zh) * 2014-11-26 2015-02-25 林凤俊 安全可调节挖耳勺
KR102145993B1 (ko) * 2020-04-23 2020-08-19 김광수 귀지 제거장치
KR20220029157A (ko) * 2020-09-01 2022-03-08 이승진 귀지 제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6377A (zh) * 2012-10-15 2013-04-03 马骏 全方位挖耳勺
CN104367412A (zh) * 2014-11-26 2015-02-25 林凤俊 安全可折叠挖耳勺
CN104367411A (zh) * 2014-11-26 2015-02-25 林凤俊 安全可调节挖耳勺
KR102145993B1 (ko) * 2020-04-23 2020-08-19 김광수 귀지 제거장치
KR20220029157A (ko) * 2020-09-01 2022-03-08 이승진 귀지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360A (ko) 청각기관 손상 방지용 귀후비개
ES2610079T3 (es) Herramienta para el ajuste de un dispositivo anatómico protésico
ES2542526T3 (es) Dispositivo de recuperación quirúrgico
EP2490597B1 (en) Speculum
ES2589503T3 (es) Característica de bloqueo antirrotación
CA2750378C (en) Bladeless obturators and bladeless obturator members
AU2011253553A1 (en) Access assembly having undercut structure
KR200483115Y1 (ko) 귀마개
EP1883358A1 (en) A surgical instrument
US9095322B2 (en) Speculum with hinged portion
US11547610B2 (en) Tympanostomy tube and a placement device
EA201270229A1 (ru) Фиксация имплантата
BRPI0713140B8 (pt) dispositivo contraceptivo de uso feminino compreendendo um rebordo de contorno, uma porção de barreira e um componente polimérico dotado de capacidade elástica
WO2016017663A1 (ja) 外科手術用クリップ
US8529495B1 (en) Middle ear ventilation tube
KR102147020B1 (ko) 귀 외상방지용 귀이개 안전보호구
US20180263821A1 (en) Ear Cleaning Device with Whisk-Like Bulbous Ends
JP5021285B2 (ja) 中空針及びチューブ留置用器具
CN203122742U (zh) 一种虹膜镊
CA2962609A1 (en) Endoscope with a multiple diameter working section
US8414551B2 (en) Personal feminine hygiene device
Lim Diplectanids (monogenea) on the archerfish Toxotes jaculatrix (Pallas)(Toxotidae) off Peninsular Malaysia
JP3215789U (ja) 包茎矯正具
JP2015533595A (ja) ループ電極
GB2380122A (en) Safe ea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