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189A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189A
KR20110049189A KR1020090106092A KR20090106092A KR20110049189A KR 20110049189 A KR20110049189 A KR 20110049189A KR 1020090106092 A KR1020090106092 A KR 1020090106092A KR 20090106092 A KR20090106092 A KR 20090106092A KR 20110049189 A KR20110049189 A KR 2011004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box
shap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926B1 (ko
Inventor
박성운
류승일
Original Assignee
박성운
류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운, 류승일 filed Critical 박성운
Priority to KR102009010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 강관 내부에 강연선을 모멘트분포곡선에 대응하게 배치하여 충전콘크리트에 매설시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는, 보의 길이방향 부재로 상부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이 형성된 박스형 강관; 상기 박스형 강관의 양 마구리에 덧대어 설치된 엔드플레이트; 상기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박스형 강관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 관통지지봉; 상기 박스형 강관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지지봉의 아래 또는 위를 지나도록 설치되되, 긴장되어 상기 관통지지봉에서 절곡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정착 설치된 제1강연선; 및, 상기 박스형 강관의 콘크리트 충전구멍을 통해 충전되어 제1강연선을 매설시키는 충전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강관, 합성, 강연선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Composite beam by prestressed concrete filled tube}
본 발명은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 강관 내부에 강연선을 모멘트분포곡선에 대응하게 배치하여 충전콘크리트에 매설시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보는 경제적인 구조이지만 휨모멘트를 받게 되면 균열이 발생기 때문에 보의 춤이 커지는 단점과 함께 장스팬 구조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약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보가 있는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보는 부재의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도입하기 때문에 휨모멘트를 받을 때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보의 춤을 줄일 수 있고 균열이 없는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보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에 따라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리텐션 방식은 강연선에 인장력을 주어 긴장해 놓은 채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강연선의 인장력을 서서히 풀어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와 강연선의 부착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즉, 프리텐션 방식은 인장대(Stressing bed)등 제작설비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긴장하고 콘크리트가 타설/양생된 후 강연선을 끊어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러한 프리텐션 방식은 복잡한 제작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장제작형 PC부재에 주로 적용된다.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강연선을 긴장하여 그 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단부에 정착된 지압판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즉, 포스트텐션 방식은 미리 콘크리트 내부에 쉬스관을 묻어 두고 그 사이에 강연선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하고 단부에 설치된 정착판과 긴장장비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러한 포스트텐션 방식은 주로 현장시공 방식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프리텐션 방식은 부재제작을 위해 인장대(stressing bed)등 대형 플랜트 설비가 필요하고, 특히 프리스트레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강연선 배치를 위해 별도의 강연선 절곡장치(tendon hold-down device)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한다.
둘째, 프리텐션 방식은 PC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대형장비를 이 용하여 운반, 조립하여야 하는 등 현장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접합부 처리가 불확실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셋째, 포스트텐션 방식은 현장시공에 따른 가설공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아울러 쉬스관 매입, 강연선 고정, 정착판 설치 등 작업량이 많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비싸고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한 장치 없이도 강연선을 모멘트분포곡선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하여 프리스트레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기둥 내지 거더와의 접합부 처리에 유리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경량화를 통한 현장작업의 용이성과 현장시공 부분과의 일체성을 동시에 고려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의 길이방향 부재로 상부 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이 형성된 박스형 강관; 상기 박스형 강관의 양 마구리에 덧대어 설치된 엔드플레이트; 상기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박스형 강관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 관통지지봉; 상기 박스형 강관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지지봉 아래 또는 위를 지나도록 설치되되, 긴장되어 상기 관통지지봉에서 절곡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정착 설치된 제1강연선; 및, 상기 박스형 강관의 콘크리트 충전구멍을 통해 충전되어 제1강연선을 매설시키는 충전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엔드플레이트 외측에 마련된 연결브라켓; 상기 박스형 강관의 양 외측면 중간에 박스형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거치플레이트;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합 설치된 전단키;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별도의 인장대(stressing bed)나 강연선 절곡장치(tendon hold-down device)와 같은 특수 설비가 없어도 강연선을 모멘트분포곡선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하면서 프리스트레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간단하게 제작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강관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합성작용으로 합성부재의 내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스팬 건물 건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강관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콘크리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공위치에서의 현장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보의 중량을 줄이면서 운반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연결브라켓을 적절히 마련하기 때문에 종래 철골부재의 접합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박스 타입의 연결브라켓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충전에 의한 접합부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중간에 거치플레이트를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보의 윗부분을 슬래브에 매입시키면서 슬림플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는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 강연선(141)이 모멘트분포곡선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충전콘크리트(150)에 매설되도록 구성된다는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박스형 강관(110), 엔드플레이트(120), 관통지지봉(130), 제1강연선(141), 충전콘크리트(15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현된다. 나아가 제2강연 선(142), 연결브라켓(160), 전단키(170), 거치플레이트(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은 제2강연선(142)과 연결브라켓(160) 및 전단키(170)가 더 포함된 예이고, 도 2는 제2강연선(142)과 연결브라켓(160) 및 거치플레이트(180)가 더 포함된 예이다.
박스형 강관(110)은 보의 길이방향 부재로, 상부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111)이 형성된 부재이다. 박스형 강관(110)은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콘크리트(15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엔드플레이트(120)는 박스형 강관(110)의 양 마구리에 덧대어 설치된다. 엔드플레이트(120)는 박스형 강관(110)을 폐쇄하여 박스형 강관(110)과 함께 충전콘크리트(15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강연선(141, 142)이 정착하는 정착판 내지 지압판으로 역할한다. 엔드플레이트(120)와 충전콘크리트(150)의 구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엔드플레이트(120) 내측면에는 전단키(170)를 설치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전단구멍이 형성된 수직플레이트 타입의 전단키(170)가 엔드플레이트(120)에 용접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통지지봉(130)은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관통지지봉(130)에 의해 제1강연선(141)의 배치형태가 결정되므로, 관통지지봉(130)은 제1강연선(141)의 배치상태(모멘트분포곡선)를 고려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각각 3개와 관통지지봉(130)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운데 관통지지봉(130)이 가장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서는 강관슬리브(131), 관통볼 트(132), 고정구(133)로 구성된 관통지지봉(130)을 확인할 수 있다. 관통지지봉(130)에서 강관슬리브(131)는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관통볼트(132)는 강관슬리브(131)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고정구(133)는 관통볼트(132)에 체결되어 관통볼트(132)를 고정한다. 이러한 관통지지봉(130)에서 고정구(133)는 너트, 쐐기 등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관통볼트(132)와 고정구(133)는 제1강연선(141)을 충전콘크리트(150)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한 후 제거하여 재사용 가능하다.
제1강연선(141)은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지지봉(130) 아래 또는 위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한편, 긴장된 후 관통지지봉(130)에서 절곡되면서 양단부가 각각 엔드플레이트(120)에 정착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강연선(141)은 관통지지봉(130) 아래 또는 위를 지나기 때문에 제1강연선(141)의 양단부를 관통지지봉(130)보다 위 또는 아래의 위치에서 긴장하면 제1강연선(141)은 관통지지봉(130)에 의해 절곡하게 배치된다. 도 1과 도 2에서는 3개의 관통지지봉(130)에 의해 3개소의 절곡지점이 형성되면서 제1강연선(141)이 관통지지봉(130) 아래를 지나도록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형태는 단순보의 모멘트분포곡선에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제1강연선(141)은 관통지지봉(130)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연속보의 모멘트분포곡선에 상응하게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제1강연선(141)은 정모멘트 구간에서 관통지지봉(130) 아래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한편 부모멘트 구간에서 관통지지봉(130) 위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제1강연선(141)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보(100)에서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하부 인장재로서 역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1강연선(141) 외에 제1강연선(141) 위로 제2강연선(142)을 직선으로 배치하여 상부 압축재로서 역할하게 할 수도 있다. 제2강연선(142)은 관통지지봉(130)에 의지하지 않고 그대로 엔드플레이트(120)에 긴장 정착 설치하면 된다.
충전콘크리트(150)는 박스형 강관(110)의 콘크리트 충전구멍(111)을 통해 충전되어 제1강연선(141)을 매설시킨다. 박스형 강관(110) 양 마구리에 엔드플레이트(120)가 설치되기 때문에 충전콘크리트(150)는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 구속된다. 도 1에서는 충전콘크리트(150)가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 전부 충전되어 제1,2강연선(141, 142) 모두가 충전콘크리트(150)에 매설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충전콘크리트(150)가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 소정 높이로 일부 충전되어 제1강연선(141)만이 충전콘크리트(150)에 매설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2와 같이 충전콘크리트(150)가 부분적으로 충전된 경우에는 부재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어 현장작업에서 유리하고 아울러 현장시공부분과의 일체화를 꾀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도 유리하다.
한편 충전콘크리트(150)는 충전콘크리트에 매설될 강연선의 긴장 전후 언제라도 충전될 수 있으며, 강연선의 긴장 전에 충전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포스트텐션 부재로 완성되고 강연선의 긴장 후에 충전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프리텐션 부재로 완성된다. 다만 포스트텐션 부재로 완성하는 경우에는 충전콘크리트(150)를 충전한 후 강연선의 긴장이 가능해지도록 강연선은 비부착 텐던 (슬리브 등을 이용)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프리텐션 부재로 완성하는 경우에는 충전콘크리트(150)를 시공위치에서 현장콘크리트(S2)와 함께 작업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충전콘크리트(150)가 충전되지 아니한 상태의 부재를 양중하여 시공위치에 시공하는 한편 콘크리트 작업을 일원화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브라켓(160)은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외측에 마련되며, 이러한 연결브라켓(16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100)를 기둥(C) 또는 거더(B)에 연결 접합하기 위한 매개부재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라켓(160)으로 H형강 타입과 박스 타입을 제안한다. 도 1은 H형강 타입의 연결브라켓(160)이 엔드플레이트(120)에 접합 설치된 예이고, 도 2는 박스형 강관(110)의 단부가 엔드플레이트(120) 외측으로 더 연장됨에 따라 박스 타입의 연결브라켓(160)이 마련된 예이다. 특히 H형강 타입의 연결브라켓(160)은 엔드플레이트 내측면에 전단키(170)를 마련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H형강 타입의 연결브라켓(170)에서 박스형 강관(110) 내부의 충전콘크리트(150)로 응력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박스 타입의 연결브라켓(160)은 그 상부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161)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연결브라켓(160) 내부에 현장콘크리트(S2)를 충전하기 위함이다.
거치플레이트(180)는 박스형 강관(110)의 양 외측면 중간에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도 2와 도 4 참조). 거치플레이트(180) 위에는 데크플레이트(S1)가 설치되고 현장콘크리트(S2)가 타설됨에 따라 슬래브가 시공 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이용한 각종 접합부로서, 도 3(a)는 H형강 기둥(C)과의 접합부를, 도 3(b)(c)는 거더(B, 큰 보)와의 접합부를 보여준다.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는 H형강 타입의 연결브라켓(160)이 마련된 형태인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는 연결브라켓(160)을 접합 대상 부재(기둥 내지 거더)에 맞대어 접합 설치하면 된다.
도 3(a)는 H형강 기둥(C)에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시공한 예인데, H형강 기둥(C)에 H형 단면의 기둥브라켓(C1)을 용접 접합하고, 기둥브라켓(C1)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연결브라켓(160)을 맞대어 연결플레이트(C2)로 연결한 후 볼트 접합하여 접합부를 완성하고 있다. 도 3(b)에서는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큰 보(B)와 작은 보로 시공한 예인데, 큰 보(B)로 시공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박스형 강관(110)에 작은 보로 시공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연결브라켓(160)을 맞대어 연결플레이트(B2)로 연결한 후 용접과 볼트 접합하여 접합부를 완성하고 있다. 도 3(c)는 H형강 보를 큰 보(B)로 시공하고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작은 보로 시공한 예인데, H형강 보에 수직스티프너(B1)를 용접 접합하고 H형강 보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연결브라켓(160)을 맞대어 연결플레이트(B2)로 연결한 후 볼트 접합하여 접합부를 완성하고 있다.
도 4와 도 5는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이용하여 시공한 예로서, 도 4는 H형강 기둥(C)과의 접합부를 보여주고 도 5는 슬래브와의 합성구조를 보여준다.
도 4(a)는 H형강 기둥(C)에 직접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접합 시공한 예인데, H형강 기둥(C)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연결브라켓(160)을 맞대어 연결플레이트(C2)로 연결한 후 볼트 접합하여 접합부를 완성하고 있다. 도 4(b)는 H형강 기둥(C)에 박스형상의 기둥브라켓(C1)을 용접 접합하고, 기둥브라켓(C1)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연결브라켓(160)을 거치 또는 삽입하여 연결플레이트(C2)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볼트 접합하여 접합부를 완성하고 있다.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를 이용하면 연결브라켓(160)의 콘크리트 충전구멍(161)을 통해 접합부에 현장콘크리트(S2)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장콘크리트(S2)에 의한 일체화로 접합부의 내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 위로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거치플레이트(180) 위에 데크플레이트(S1)를 거치하고 현장콘크리트(S2)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박스형 강관(110)과 박스 타입의 연결브라켓(160) 내부에 충전함과 아울러 데크플레이트(S1) 위에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하고 있다. 현 장콘크리트(S2) 충전으로 제2강연선(142)은 현장콘크리트(S2)에 매설된다. 또한 거치플레이트(180) 위로 현장콘크리트(S2)를 타설하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의 윗부분(박스형 강관의 윗부분)은 현장콘크리트(S2)에 매설되며, 이에 따라 합성보(100)와 슬래브가 일체화되고 아울러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의 윗부분이 현장시공 슬래브에 수용되면서 슬림플로어로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이용한 각종 접합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가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에 의한 합성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110: 박스형 강관
120: 엔드플레이트
130: 관통지지봉
141,142: 강연선
150: 충전콘크리트
160: 연결브라켓
170: 전단키
180: 거치플레이트
C: 기둥
C1: 기둥브라켓
B: 거더, 큰 보
B1: 수직스티프너
B2, C2:연결플레이트
S1: 데크플레이트
S2: 현장콘크리트

Claims (4)

  1. 보의 길이방향 부재로, 상부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111)이 형성된 박스형 강관(110);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양 마구리에 덧대어 설치된 엔드플레이트(120);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 관통지지봉(130);
    상기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지지봉(130) 아래 또는 위를 지나도록 설치되되, 긴장되어 상기 관통지지봉(130)에서 절곡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에 정착 설치된 제1강연선(141); 및,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콘크리트 충전구멍(111)을 통해 충전되어 제1강연선(141)을 매설시키는 충전콘크리트(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
  2. 제1항에서,
    상기 관통지지봉(130)은,
    박스형 강관(110) 내부에서 박스형 강관(110)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강관슬리브(131);
    상기 강관슬리브(131)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관통볼트(132);
    상기 관통볼트(132)에 체결되어 관통볼트를 고정하는 고정구(13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
  3. 제1항에서,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외측에 마련된 연결브라켓(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160)은,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에 H형강을 접합하여 마련되거나,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단부가 연장된 형태를 가지면서 상부면에 콘크리트 충전구멍(161)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스형 강관(110)의 양 외측면 중간에 박스형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거치플레이트(180);와,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접합 설치된 전단키(170);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100).
KR1020090106092A 2009-11-04 2009-11-0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KR10113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92A KR101136926B1 (ko) 2009-11-04 2009-11-0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92A KR101136926B1 (ko) 2009-11-04 2009-11-0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89A true KR20110049189A (ko) 2011-05-12
KR101136926B1 KR101136926B1 (ko) 2012-04-20

Family

ID=4436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92A KR101136926B1 (ko) 2009-11-04 2009-11-0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6696U1 (ru) * 2017-08-28 2018-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АСУ Преднапряженная стальная обетонированная балка
RU176691U1 (ru) * 2017-08-28 2018-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АСУ Преднапряженная сталебетонная балка
RU190913U1 (ru) * 2019-04-26 2019-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азГАСУ)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KR102026978B1 (ko) * 2018-06-12 2019-09-30 박경원 다이렉트 긴장 빔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시공 방법
CN110396916A (zh) * 2019-07-11 2019-11-01 重庆大学 U形薄壁钢-预应力混凝土组合盖梁与薄壁钢管混凝土墩柱节点构造及施工工艺
KR20200124572A (ko) * 2019-04-24 2020-11-03 준원건설(주)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 충전 지지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충전 지지빔
CN115198897A (zh) * 2022-07-26 2022-10-18 江西省富煌钢构有限公司 一种u形钢混凝土组合梁与异形钢管混凝土柱的节点组件
CN116377829A (zh) * 2023-05-12 2023-07-04 湖南大学 一种箱形uhpc受压构件的节段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24B1 (ko) * 2013-04-23 2014-11-12 김건영 듀얼 콘크리트 코어를 구비하는 합성보와, 그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581892B1 (ko) 2015-06-17 2015-12-31 주식회사 디에스구조엔지니어링 인장 보강된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 및 그 시공 방법
KR101703820B1 (ko) 2016-08-17 2017-02-08 이경표 ㄷ채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진 박스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콘크리트 충진 박스거더
KR20220157046A (ko) 2021-05-20 2022-11-29 (주)에이치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복합 합성보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022A (ja) * 1994-03-31 1995-10-17 Maeda Corp 梁構造
KR100375937B1 (en) * 2002-07-25 2003-03-15 Yang Jung Kim Method for reinforcing shear and tension of beam by post-tension of steel wire
KR100787133B1 (ko) * 2007-02-15 2007-12-21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용 조립식 박스형 철골보 및 이의 설치구조
KR100858963B1 (ko) * 2007-05-28 2008-09-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용 연결블록, 그 연결블록이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제조방법 및그 연결블록이 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보와 기둥의 접합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6696U1 (ru) * 2017-08-28 2018-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АСУ Преднапряженная стальная обетонированная балка
RU176691U1 (ru) * 2017-08-28 2018-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АСУ Преднапряженная сталебетонная балка
KR102026978B1 (ko) * 2018-06-12 2019-09-30 박경원 다이렉트 긴장 빔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시공 방법
KR20200124572A (ko) * 2019-04-24 2020-11-03 준원건설(주)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 충전 지지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충전 지지빔
RU190913U1 (ru) * 2019-04-26 2019-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азГАСУ)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CN110396916A (zh) * 2019-07-11 2019-11-01 重庆大学 U形薄壁钢-预应力混凝土组合盖梁与薄壁钢管混凝土墩柱节点构造及施工工艺
CN115198897A (zh) * 2022-07-26 2022-10-18 江西省富煌钢构有限公司 一种u形钢混凝土组合梁与异形钢管混凝土柱的节点组件
CN115198897B (zh) * 2022-07-26 2024-01-09 江西省富煌钢构有限公司 一种u形钢混凝土组合梁与异形钢管混凝土柱的节点组件
CN116377829A (zh) * 2023-05-12 2023-07-04 湖南大学 一种箱形uhpc受压构件的节段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CN116377829B (zh) * 2023-05-12 2023-10-20 湖南大学 一种箱形uhpc受压构件的节段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926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926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286557B1 (ko) 층고절감형 강합성보 및 이를 구비한 바닥판 구조
KR101112195B1 (ko) 와이어 메쉬를 구비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045929B1 (ko) 친환경 프리스트레스 장경간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6955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 부분 충전 원형강관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15060B1 (ko) 수직 연결 수단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JP560789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仕口部の補強工法
JP5521105B1 (ja) Pc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2009281066A (ja) 梁端部をpc造とする複合構造梁を用いた建物構造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673287B1 (ko) 보수, 보강 또는 리모델링시에 보의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대한 단면 내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JP5602455B2 (ja) 梁部材および建物構造体
JP20070923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JP3924192B2 (ja) 橋梁の上部工と下部工の連結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10583B1 (ko) Pc기둥과 철골보의 복합구조
KR10050657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50369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구조
JP2018076745A (ja) プレキャスト部材、プレキャスト部材の架設構造、プレキャスト部材の架設構造の構築方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765389B1 (ko) 아치메커니즘이 적용된 경량 중공 프리캐스트 보
JP5668167B1 (ja) Pc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建物構造
JP200616983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