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425A -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425A
KR20110047425A KR1020090104047A KR20090104047A KR20110047425A KR 20110047425 A KR20110047425 A KR 20110047425A KR 1020090104047 A KR1020090104047 A KR 1020090104047A KR 20090104047 A KR20090104047 A KR 20090104047A KR 20110047425 A KR20110047425 A KR 20110047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logical
retaining wall
concrete
pi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726B1 (ko
Inventor
김회준
김창래
김송이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젬콘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산업
Priority to KR102009010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해안 및 수로에 호안용 옹벽 또는 선박의 접안을 위한 안벽용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 파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생태홈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에 의하여 수중 생물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상부의 상치콘크리트에 설치된 식생부에 식생을 한 것이거나 또는 상치콘크리트의 측면에 완충재인 팬더와 상부에 선박을 고정시키는 곡주를 설치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Ecological underwater protection retaining wall using ecological space formed by continuous connection of concrete fil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해안가 또는 수로에서 전면은 준설하거나 배면부에 성토를 하는 호안용 또는 안벽용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에 콘크리트파일을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에 의하여 생태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일이 접하여 설치되므로서 파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을 통하여 수중생물이 상기 생태공간부내로 들어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연이어서 설치된 파일을 상부에서 상호 연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상치콘크리트에도 식생부를 설치하여 관목, 화초와 같은 초본류 및 관목류가 식생되어 늘 푸른환경을 조성하거나 또는 선박의 접안을 위한 곡주 및 펜더를 상치콘크리트에 설치하면서 동시에 수중의 생태계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수중생태를 보호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천 또는 해안가 또는 수로의 호안 및 안벽을 설치하기 위한 옹벽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벽체를 설치하여 옹벽을 설치하거나 잡석을 이용한 옹벽을 설치하여 옹벽의 벽면이 무채색의 콘크리트나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점과 수중의 생물들이 상기 옹벽이 설치되므로서 서식처가 훼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수중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하여 수중의 생태계가 황폐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천 또는 해안가 또는 수로에 콘크리트파일을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옹벽의 상부에 식생부를 설치하여 식생이되도록 하거나, 또는 선박이 계류할 수 있는 곡주 및 펜더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수중에 잠기는 옹벽의 전면에는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공간부를 설치하여 수중생물들이 안전하게 서식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생태계도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은 준설하거나 배면부에 성토를 하는 하천 또는 해안가 또는 수로의 지반에 콘크리트파일을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에 의하여 생태공간부를 설치하여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수중생물들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파일의 상부에 설치된 상치콘크리트에도 식생부를 설치하여 상기 식생부에 식생을 하여 푸르게 활착되도록 하거나 선박이 계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곡주 및 측면에 펜더를 설치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해안가 및 수로의 지반에 설치된 옹벽의 전면에 수중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면서, 상기 옹벽의 상부에 설치된 상치콘크리트에 식생부를 설치하여 식생이 활착되어 언제나 푸른 상태가 지속되도록 하거나, 상 기 상치콘크리트의 상부와 측면에 곡주와 펜더를 각각 설치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설치에 관한 방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항상 푸른 상태의 식생이 유지되도록 한 옹벽을 설치하므로서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거나, 선박이 접안하여 계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부두 주변의 발전에 기여를 하면서, 동시에 연이어서 설치된 파일과의 사이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을 통하여 수중에 위치하고 있는 파일과의 사이에 형성된 생태공간부내로 수중생물이 들어와 서식하므로서 치어와 같은 조그만 생물이 잡아먹히지 않고 안전하게 서식될 수 있는 피난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여 수중생태계 보호에 기여를 하면서, 동시에 상부의 식생을 통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삭막한 미관을 푸른 환경으로 개선하므로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녹색환경추진시책에도 적극적으로 호응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PC콘크리트 파일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a)(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원심력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PC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프리플렉션합성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a)(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a)(b)는 본 발명의 생태홈에 소성점토층을 설치하거나, 요철부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a)(b)는 본 발명의 간격마감재인 끼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a)(b)(c)(d)(e)(f)(g)(h)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단계적으로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a)(b)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설치할 때 배면의 토사를 성토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의 다른 실시예로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옹벽의 상부에 설치된 상치콘크리트에 선박접안관련 시설을 설치한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선박계류용 수중생태보호옹벽으로서, 옹벽의 전면부를 준설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선박계류용 수중생태보호옹벽으로서, 옹벽의 배면부에 토사를 성토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에 배면에 수중생물보호홈에 직접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치어와 같은 작은 수중생물은 진입이 가능한 반면에 치어등을 잡아 먹는 보다 큰 생물은 들어갈 수 없도록 한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가 동시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해안가 또는 수로에 설치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에 콘크리트파일을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고, 동시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치콘크리트(15)에 식생부(12)를 설치하여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호안용 옹벽이거나 또는 선박이 접안 할 수 있는 접안시설을 설치한 안벽용 수중생태보호옹벽(10)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옹벽(10)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반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과, 상기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형성되는 생태공간부(18)와, 상기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과 생태공간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치콘크리트(14)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돌출부에 설치된 식생부(15)와,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전면의 토사를 준설한 수중생태보호옹벽(10)인 것이다.
상기 도 1의 옹벽과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의 옹벽이 있다.
이때에도 상기 도 1의 옹벽의 모든 구성과 설치방법이 동일하나, 다만 설치 된 옹벽의 전면은 옹벽의 벽면이 노출되고,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는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54)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부(60)를 설치한 것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설치방법은 도 12의 옹벽으로서,
지반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과, 상기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형성되는 생태공간부(18)와, 상기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과 생태공간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치콘크리트(14)의 상부에 곡주(69)를 설치하고, 측면의 상부에 설치된 펜더(68)와,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전면의 토사를 준설한 수중생태보호옹벽(10)인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4는 상기 도 12의 옹벽의 모든 구성과 설치방법이 동일하나, 이때에도 상기 도 12의 옹벽의 모든 구성과 설치방법이 동일하나, 다만 설치된 옹벽의 전면은 옹벽의 벽면이 노출되고,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는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54)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 부(60)를 설치한 것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즉, 요약하면 수중생태보호옹벽은 호안용의 옹벽과 선박을 접안시키는 안벽용 옹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2가지 옹벽 모두 전면부의 토사를 준설하거나 또는 옹벽의 배면에 배면성토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상기 수중생태보호옹벽 모두 수중에 노출된 옹벽에는 수중생물보호홈을 설치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안전한 서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부착식물이 부착하여 서식할 수 있도록 한 생태보호옹벽이며, 동시에 식생을 하여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선박이 부두에 접안 할 수 있도록 옹벽의 전면에 선박이 옹벽의 벽면에 부딪혀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펜더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곡주를 설치하여 선박과 곡주를 밧줄로 상호 결박하여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수중에 노출된 콘크리트파일의 사이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과 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파일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이 접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를 설치하여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치어류 및 각 종 곤충들인 수중생물들이 상기 생태공간부내에서 활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휴식 및 서식처를 제공하여 수중의 생태계의 교란을 최대한 막아보자는 목적인 것입니다.
수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이 부화되어 치어의 형태를 이룰때 이들보다 큰 수중생물에 의하여 크기가 작은 치어들이 잡혀 먹어 수중생태의 다양화를 이루는데 많은 제약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미약한 치어와 같은 수중생물들이 잡아 먹히지 않고 성어가 되어 보다 다양하면서 수중생물들의 수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중생물들의 서식처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생태공간부와 연통되는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는 도 15와 같다.
상세한 구조는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굴곡의 통로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굴곡을 갖으며, 통로의 간격을 3 ~ 7cm로 한 이유는 몸체가 작은 치어는 자유롭게 상기 굴곡의 통로를 통과하여 생태공간부내외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상기 치어를 포식하는 보다 몸체가 큰 수중생물은 간격 3 ~ 7cm정도의 간격을 통과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라도 굴곡진 통로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일단 치어등 몸체가 작은 수중생물이 생태공간부내로 들어오면 외부에서 이를 포식하는 천적이 상기 생태공간부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치어가 포식되지 않고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도 15의 수중생물보호홈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할 때, 상기 파일(20)의 후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로 끼움재(40)를 설치하는 방법이외에, 끼움재와 그라우팅을 같이 하는 경우와, 그라우팅(53)을 상기 수중 생물보호홈(17)에 직접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직접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그라우팅액이 상기 생태공간부(18)내에 투입되지 않도록 그라우팅압을 고려하여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그라우팅(53)을 실시하며 도 15와 같이 수중생물보호홈의 형태를 변형하여 설치하여 원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그라우팅(53)되도록 하면서 생태공간부(18)내에는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중생물보호홈(17)에 직접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에는 수중생물보호홈(17)의 구조를 변형하여 그라우팅액이 직접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도 15이며, 이를 설명하면,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절삭부(64)의 곡면과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이 평행이 되면, 그라우팅원중심(61)에서 편심(e)만큼 이격된 부분에 그라우팅편심중심(66)을 두고 주입되는 그라우팅액이 상기 라운드부(63)와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하므로서 그라우팅액이 상기 라운드부(63)에 부딪혀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가 어렵게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라우팅의 편심중심(66) 까지 길이(L)은 그라우팅반경(r)보다 먼거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라우팅원중심(61)에서 편심(e) 만큼 이격된 거리에 그라우팅편심중심(66)을 두고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 생태공간부는 도 3 내지 6과, 도 7과 같이 원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타원형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a)와 같이 상기 생태공간부(18)를 형성하는 생태홈(21)의 단면에 소성점토층(30)을 입혀, 수중에서도 파일의 콘크리트로부터 알카리성분을 수중으로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8(b)와 같이, 생태홈(21)의 표면을 다양한 형상의 요철부(31)를 설치하여 상기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내에 다양한 수중생물이 서식할 때 서식지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생태홈(21)의 표면에 부착되는 생물에 의하여 치어와 같은 수중생물에게 휴식처도 제공하는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옹벽(10)의 전면이 수중에 설치된 콘크리트파일의 수중생물보호홈을 통하여 생태공간부내로 치어등과 같이 몸체가 작은 것은 용이하게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는대신에 몸체가 큰 치어를 포식하는 포식자는 통과를 할 수 없도록 하여 치어가 성어가 될 때까지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부에 녹색의 식생(13)이 활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옹벽(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수중생 물보호홈(17) 사이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거나,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 사이에 간격마감재(70)로 마감하고, 배면에 사석층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배면성토부를 설치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옹벽에 사용되는 콘크리트파일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콘크리트파일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고,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이 연이어서 설치될때 형성되는 생태공간부의 형상 및 생태공간부를 이루는 생태홈의 표면에 소성점토층을 입히거나 또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2는 PC콘크리트파일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일정길이를 갖도록 강선(23)과 철근(24)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되,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PC콘크리트파일(20)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단부에 쐐기형태의 선단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생태홈(21)은 도 2 내지 8에서보는바와 같이 반원형, 반타원형, 시옷자형, 디귿자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파일(20)을 어떠한 방법으로 제작한 파일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의 도 (a)(b)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강선(23)과 철근(24)을 이용하여 직 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에 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되,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원심력 파일인 것이다.
도 4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철근(24)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되,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철근콘크리트 파일인 것이다.
도 5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강선(23)과 철근(24)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강선(23)에 도입된 긴장력을 해제하여 몸체(25)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PC파일인 것이다.
도 6은 일정길이를 갖도록 H형강을 설치하고, 상기 H형강 주변에 강선(23)과 철근(24)을 설치하여 직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프리플렉션 합성파일인 것이다.
도 7의 (a)(b)에서보는바와 같이, 생태홈(21)이 시옷자형 또는 디귿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옷자형 또는 디귿자형의 생태홈(21)이 마주보게되어 형성되는 형상은 다이아몬드형 또는 사각형의 생태공간부(18)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생태홈(21)은 도 2 내지 6에서보는바와 같이 반원형, 반타원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이들이 마주보면 원형, 타원형등의 생태공간부(18)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다양한 형태의 생태홈의 표면에 도 8과 같이, 소성점토층을 도포하여 콘크리트에 함유된 알갈리성분이 수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중의 수질을 보호하도록 한 것이며,
도 (b)는 생태홈의 표면을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설치하여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요철부의 표면에 다양한 부착생물이 부착서식되어 상기 생태공간부내에서 서식하는 치어들에게 보다 안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에서 예로든것이외의 모든 형태의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생태공간부(18)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한다.
도 9(a)(b)는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이 연이어서 설치될때 파일(20)과 파일(20)사이에 공간인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는데 상기 다수개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설치되는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40)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끼움재(40)는 L형강(42) 또는 원형의 강관(41)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재(40)의 단부를 쐐기형태로 절단한 선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선단부의 단면에 철판인 지압판(43)을 용접으로 부착한 것이다.
또 다른 재질은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로서, L형 또는 원형관으로 제작한 것의 단부를 쐐기형태로 절단하여 설치하고, 상기 선단부의 단부에 지압판(43)을 부착설치한 것이다.
상기 쐐기형태의 선단부에 지압판(43)을 설치하는 이유는 설치된 옹벽(10)의 배면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상기 끼움재(40)를 배면토(11)내에 타입설치할 때 상기 지압판(43)에 삽입하는 힘에 의한 반발력이 끼움재를 밀어붙여 상기 지압판에 의하여 끼움재가 수중생물보호홈에 밀착하여 진행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로 끼움재(40)를 설치하는 방법이외에, 별도로 간격마감재(70)로서 그라우팅(53)을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할 수도 있으며, 끼움재와 그라우팅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그라우팅액이 상기 생태공간부(18)내에 투입되지 않도록 그라우팅압을 고려하여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그라우팅(53)을 실시하며 동시에 도 15와 같이 그라우팅을 하는 수중생물보호홈을 변형하여 설치하여 원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그라우팅(53)되도록 하면서 생태공간부(18)내에는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중생물보호홈(17)에 직접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에는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를 변형하여 그라우팅액이 직접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도 15이며, 이를 설명하면,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굴곡을 갖는 통로가 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절삭부(64)의 곡면과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이 평행이 되어 굴곡을 갖는 통로가 되면, 그라우팅편심중심(71)에서 일정한 그라우팅반경(r)을 갖도록 주입되는 그라우팅액이 상기 라운드부(63)와 절삭부(64)의 곡면에 의하여 평행되는 굴곡을 갖는 통로가 되므로 그라우팅액이 상기 굴곡진 라운드부(63)에 부딪혀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가 어렵게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라우팅의 편심중심(71) 까지의 거리(L)은 생물보호홈(17)의 길이보다 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서, 그라우팅 원중심(61)에서 편심(e)된 거리 만큼 이격된 곳에 그라우팅편심중심(71)을 두고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끼움재(40)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끼움재의 외부에 그라우팅(53)을 실시하여 이중으로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상기 상치콘크리트(15)는 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강재(51)를 다수개의 철근을 묶은 철근다발인 전단뿌리의 연결재(52)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것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일체설치하고, 전면에 설치된 전면돌출부(14)에 식생부(12)를 설치하고 상기 식생부(12)내에 토사(59)를 채워넣고 식생(72)을 한 것이다.
또는 상기 상치콘크리트(15)의 상부에 선박을 밧줄로 고정시키는 곡주(69)를 설치하고, 측면의 상부에는 선박이 옹벽면에 충돌되어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펜더(68)를 설치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옹벽(10)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0과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하는 것이다.
도 (a)단계는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한 것이다.
도 (b)단계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도 (c)단계는 상기 도 (a)(b)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한 것이다.
도 (d)단계는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한 것이다.
도 (e), (f)단계는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 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3)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께 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g)단계는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전면부(13)를 준설하여 옹벽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하천 또는 해수에 잠기도록 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h)단계는 상기 상치콘크리트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돌출부에 설치된 식생부(18)내에 토사를 넣고 식생(72)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파일의 전면 및 배면부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의 상세한 구조는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굴곡의 통로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은 옹벽의 전면 수중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중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옹벽의 배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간격마감재(70)로서 그라우팅(53)을 실시할 때 그라우팅액이 생태공 간부(18)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치콘크리트(14)는 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강재(51)를 상호 연결한 연결재(52)를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설치하여 상호 인터로킹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다발로 만든 전단뿌리를 수직강재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상치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보다 강하게 부착되어 파일의 상부에서 파일의 설치위치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도 1의 옹벽을 설치하되, 도 11과 같이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이 성토된 배면토사부(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도 11의 배면을 배면성토부(60)로 채운 식생옹벽(10)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한 단계;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도 (a)(b)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하는 단계;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3)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께 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54)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부(60)를 설치한 옹벽(1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옹벽(10)의 전면돌출부에 설치된 식생부(15)에 관목등과 같은 식생(72)을 식재하는 단계를 거쳐 옹벽(1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다발로 만든 전단뿌리를 수직강재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상치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보다 강하게 부착되어 파일의 상부에서 파일의 설치위치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식생용홈에 끼움재로서 L형강 또는 L형의 부재를 설치할 때 모서리부가 상기 식생용홈에 접하도록 설치하여 식생용홈의 간격에 상기 끼움재가 밀착되어 설 치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옹벽(10)중에서 선박을 계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안벽용 옹벽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2 및 13과 같은 옹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도 (a)(b)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하는 단계;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옹벽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3)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께 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전면부(13)를 준설하여 옹벽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하천 또는 해수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상치콘크리트의 상부에 곡주를 설치하고, 전면의 상부에 펜더를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를 거쳐 옹벽(1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파일의 전면 및 배면부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의 상세한 구조는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굴곡의 통로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은 옹벽의 전면 수중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중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옹벽의 배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간격마감재(70)로서 그라우팅(53)을 실시할 때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치콘크리트(14)는 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강재(51)를 상호 연결한 연결재(52)를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설치하여 상호 인터로킹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다발로 만든 전단뿌리를 수직강재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 음, 상치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보다 강하게 부착되어 파일의 상부에서 파일의 설치위치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도 12의 옹벽을 설치하되, 도 14와 같이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이 성토된 배면토사부(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도 14의 배면을 배면성토부(60)로 채운 옹벽(10)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한 단계;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타입과 케이싱내에 파일을 삽입하는 상기 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하는 단계;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인 0.5 ~ 1m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3)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께 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54)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부(60)를 설치한 옹벽(1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전면부(13)는 하천 또는 해수에 잠기도록 하면서 상기 상치콘크리트의 상부에 곡주를 설치하고, 전면의 상부에 펜더를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를 거쳐 옹벽(1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다발로 만든 전단뿌리를 수직강재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상치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보다 강하게 부착되어 파일의 상부에서 파일의 설치위치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식생용홈에 끼움재로서 L형강 또는 L형의 부재를 설치할 때 모서리부가 상기 식생용홈에 접하도록 설치하여 식생용홈의 간격에 상기 끼움재가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도 15는 상기 수중생물보호홈이 전면의 수중에 잠길 경우에는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수중생물이 드나드는 통로의 구조를 갖도록 하고, 상기 수중생물보호홈이 배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간격마감재인 그라우팅을 실시할 때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침투되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중생물들의 서식처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생태공간부와 연통 되는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는 도 15와 같다.
상세한 구조는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굴곡의 통로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굴곡을 갖으며, 통로의 간격을 3 ~ 7cm로 한 이유는 몸체가 작은 치어는 자유롭게 상기 굴곡의 통로를 통과하여 생태공간부내외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상기 치어를 포식하는 보다 몸체가 큰 수중생물은 간격 3 ~ 7cm정도의 간격을 통과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라도 굴곡진 통로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일단 치어등 몸체가 작은 수중생물이 생태공간부내로 들어오면 외부에서 이를 포식하는 천적이 상기 생태공간부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치어가 포식되지 않고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 다른 역할을 위한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는 상기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나, 그 목적은 전혀 다른 것이다.
상기 배면에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는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 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굴곡의 통로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로 끼움재(40)를 설치하는 방법이외에, 별도로 간격마감재(70)로서 그라우팅(53)을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할 수도 있으며, 끼움재와 그라우팅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마감재를 설치하는 것 중에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에 직접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그라우팅액이 상기 생태공간부(18)내에 투입되지 않도록 그라우팅압을 고려하여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그라우팅(53)을 실시하며 동시에 도 15와 같이 그라우팅을 하는 수중생물보호홈을 변형하여 설치하여 원하는 수중생물보호홈(17)에 그라우팅(53)되도록 하면서 생태공간부(18)내에는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절삭부(64)의 곡면과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이 평행이 되어 굴곡을 갖는 통로가 되면, 그라우팅편심중심(71)에서 일정한 그라우팅반경(r)을 갖도록 주입되는 그라우팅액이 상기 라운드부(63)와 절삭부(64)의 곡면에 의하여 평행되는 굴곡을 갖는 통로가 되므로 그라우팅액이 상기 굴곡진 라운드부(63)에 부딪혀 생태공간부(18)내로 침투가 어렵게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라우팅의 편심중심(71)까지의 거리(L)은 그라우팅반경(r)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 도록 하고, 그라우팅 원중심(61)으로부터 편심(e)된 거리에 만큼 떨어진 곳에 그라우팅편심중심(71)을 두고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생태홈을 설치하되, 일측의 생태홈의 좌우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를 설치한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그라우팅을 실시할 때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 이외에, 지반에 파일을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싱을 설치할 때 이미 설치된 파일의 측면에 밀착되게 설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 이유는 도 10(b)(c)에서보는바와 같이, 파일의 절삭부면에 밀착되어 케이싱이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만약 라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면, 인접한 파일의 라운드부에 접하게 케이싱을 설치하더라도 일정한 간격을 둘 수 밖에 없는데, 반대로 절삭부를 설치하면서 상기 절삭부에 바로 케이싱의 측면을 접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밀착되게 인접하여 설치된 파일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PC콘크리트 파일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a)(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원심력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PC 파일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 중에서 프리플렉션합성파일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b)는 본 발명의 생태홈에 소성점토층을 설치하거나, 요철부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a)(b)는 본 발명의 간격마감재인 끼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a)(b)(c)(d)(e)(f)(g)(h)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단계적으로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a)(b)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을 설치할 때 배면의 토사를 성토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의 다른 실시예로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옹벽의 상부에 설치된 상치콘크리트에 선박접안관련 시설을 설치한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선박계류용 수중생태보호옹벽으로서, 옹벽의 전면부를 준설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선박계류용 수중생태보호옹벽으로서, 옹벽의 배면부에 토사를 성토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수중생태보호옹벽에 배면에 수중생물보호홈에 직접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 그라우팅액이 생태공간부내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치어와 같은 작은 수중생물은 진입이 가능한 반면에 치어등을 잡아 먹는 보다 큰 생물은 들어갈 수 없도록 한 수중생물보호홈의 구조가 동시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수중생태보호옹벽 11 ; 배면토
12 ; 식생부 13 ; 전면부
14 ; 전면돌출부 15 ; 상치콘크리트
16 ; 하천 또는 바다 17 ; 수중생물보호홈
18 ; 생태공간부 19 ; 하상
20 ; 콘크리트 파일 21 ; 생태홈
22 ; 콘크리트 23 ; 강선
24 ; 철근 25 ; 몸체
30 ; 소성점토층 31 ; 요철
40 ; 끼움재 41 ; 모서리부
42 ; L형강 43 ; 지압판
44 ; 선단부
50 ; 케이싱 51 ; 수직강재
52 ; 연결재 53 ; 그라우팅
54 ; 사석층 55 ; 포장
58 ; 필터매트 59 ; 토사
60 ; 배면성토부 61 ; 그라우팅원중심
62 ; 그라우팅반경(r) 63 ; 라운드부
64 ; 절삭부
65 ; 그라우팅 반경보다 큰 길이(L)
67 ; 준설부 68 ; 펜더
69 ; 곡주 70 ; 간격마감재
71 ; 그라우팅편심중심 72 ; 식생

Claims (39)

  1. 지반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과, 상기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형성되는 생태공간부(18)와, 상기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과 생태공간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까지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치콘크리트(14)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돌출부에 설치된 식생부(15)와,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전면의 토사를 준설한 호안용 수중생태보호옹벽(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2. 지반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과, 상기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중생물보호홈과,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양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형성되는 생태공간부(18)와, 상기 설치된 수중생물보호홈과 생태공간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되,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까지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70)를 설치하고,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치콘크리트(14)의 상부에 곡주(69)를 설치하고, 측면의 상부에 설치된 펜더(68)와,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전면의 토사를 준설한 안벽용 수중생태보호옹벽(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태보호옹벽은 상기 옹벽의 전면은 옹벽의 벽면이 노출되어 하천 또는 바다에 잠기고,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는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45)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부(60)를 설치한 호안용 또는 안벽용 옹벽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콘크리트파일은 일정길이를 갖도록 강선(23)과 철근(24)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PC콘크리트파일(2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 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홈(21)의 형상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또는 시옷자형 또는 디귿자형중에서 어느 한가지 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20)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작한 원심력 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20)은 철근(24)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철근콘크리트 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PC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 옹벽.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은 H형강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프리플렉션이 도입된 합성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홈의 표면에 소성점토층을 도포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생태홈의 표면을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1.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공간부의 형상은 다이아몬드형 또는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중의 어느 한가지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은 파일이 상호 접하여 설치될때 발생되는 간격으로, 간격의 범위는 3 ~ 7cm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 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마감재(70)는 끼움재 또는 그라우팅 또는 끼움재와 그라우팅을 동시에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재(40)는 L형강(42) 또는 원형의 강관(41)으로서, 상기 끼움재(40)의 단부는 쐐기형태로 절단하여 선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선단부의 쐐기형상의 단면에 철판인 지압판(43)을 용접으로 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재(40)의 재질은 강성이 있는 프라스틱으로서, L형 또는 원형관으로 제작한 것의 단부를 쐐기형태의 선단부로 설치하고, 상기 쐐기형태의 선단부에 지압판(43)을 부착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로 직접 그라우팅을 하거나 또는 수중생물의 통로로 이용되는 경우에,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파일(20)의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구조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콘크리트(14)는 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강재(51)를 상호 연결한 연결재(52)를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설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하상 이하의 일정범위까지 설치되는 간격마감재(70)의 설치범위는 0.5 ~ 1m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20. 도 (a)단계는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하고,
    도 (b)단계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고,
    도 (c)단계는 상기 도 (a)(b)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하고,
    도 (d)단계는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하고,
    도 (e), (f)단계는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의 일정 하부에 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7)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 께 하고,
    도 (g)단계는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전면부(13)를 준설하여 옹벽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하천 또는 해수에 잠기도록 하고,
    도 (h)단계는 상기 상치콘크리트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돌출부에 설치된 식생부(18)내에 토사를 넣고 식생(70)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한 호안용 옹벽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1.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에 내부가 빈 케이싱(50)을 타입하고 케이싱(5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여 케이싱 내부를 빈 상태로 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콘크리트파일(20)을 삽입하고, 케이싱(5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타입과 케이싱내에 파일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를 반복적으로하여 원하는 폭으로 콘크리트파일(20)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지반(66)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파일(20)의 상부에 수직강재(5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강재(51)를 관통하여 연결재(52)를 설치하여 파일(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 파일이 일체화하도록 하는 단계;
    지반에 다수개 연이어서 설치한 콘크리트파일(20)과의 사이에 수중생물보호홈(17)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홈(21)에 의하여 형성된 생태공간부(18)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옹벽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의 지반의 하부의 일정범위까지 간격마감재(70)인 끼움재를 설치하거나, 그라우팅(57)을 실시하거나, 끼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팅을 함께 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전면부(13)를 준설하여 옹벽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하천 또는 해수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상치콘크리트의 상부에 곡주를 설치하고, 전면의 상부에 펜더를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를 거쳐 안벽용 옹벽(10)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태보호옹벽은 상기 옹벽의 전면은 옹벽의 벽면이 노출되어 하천 또는 바다에 잠기고, 상기 설치된 파일(20)의 배면에는 사석층(54)을 설치하고, 상기 사석층(54)과 상기 파일(20)의 배면에 성토되는 배면성토부(60)와 접하는 사석층(45)면에 필터매트(58)를 설치한 후에 성토하여 배면성토부(60)를 설치한 호안용 또는 안벽용 옹벽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3. 제 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파일은 일정길이를 갖도록 강선(23)과 철근(24)을 이용하여 직 육면체 또는 원형 또는 정육면체로 설치하고, 콘크리트(22)를 타설양생하여 몸체(25)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5)의 양측면에 생태홈(21)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를 설치하되, 라운드부의 일부를 절삭한 절삭부(64)를 설치한 PC콘크리트파일(2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홈(21)의 형상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또는 시옷자형 또는 디귿자형중에서 어느 한가지 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20)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작한 원심력 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20)은 철근(24)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철근콘크리트 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 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PC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파일(20)은 H형강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프리플렉션이 도입된 합성파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홈의 표면에 소성점토층을 도포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생태홈의 표면을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0. 제20항 내지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공간부의 형상은 다이아몬드형 또는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중의 어느 한가지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 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1.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은 파일이 상호 접하여 설치될때 발생되는 간격으로, 간격의 범위는 3 ~ 7cm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2.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마감재(70)는 끼움재 또는 그라우팅 또는 끼움재와 그라우팅을 동시에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재(40)는 L형강(42) 또는 원형의 강관(41)으로서, 상기 끼움재(40)의 단부는 쐐기형태로 절단하여 선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선단부의 쐐기형상의 단면에 철판인 지압판(43)을 용접으로 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재(40)의 재질은 강성이 있는 프라스틱으로서, L형 또는 원형관으 로 제작한 것의 단부를 쐐기형태의 선단부로 설치하고, 상기 쐐기형태의 선단부에 지압판(43)을 부착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로 직접 그라우팅을 하거나 또는 수중생물의 통로로 이용되는 경우에, 파일(20)의 측면에 설치된 생태홈(21)의 좌우에 라운드부(63)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생태홈(21)의 반대편에 수중생물보호홈(17)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파일(20)의 생태홈(21)의 좌우에 형성된 라운드부(63)에서 생태공간부(18)측에 인접한 라운드부(63)의 일정부분을 점선과 같이 절삭한 절삭부(64)를 형성하여 인접한 라운드부(63)의 곡면과 절삭부(64)의 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구조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6. 제20항 내지 제2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콘크리트(14)는 파일(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강재(51)를 상호 연결한 연결재(52)를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설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다수개의 철근을 다발로 묶어 전단뿌리로 만든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8.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이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중생물보호홈(17)에 지반 이하의 일정범위까지 설치되는 간격마감재(70)의 설치범위는 0.5 ~ 1m인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물보호홈(17)에 간격마감재로 직접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 그라우팅 편심중심(71)의 길이(L)은 그라우팅반경(r)보다 먼거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라우팅원중심(61)에서 편심(e)거리 만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의 시공방법.
KR1020090104047A 2009-10-30 2009-10-30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4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47A KR101140726B1 (ko) 2009-10-30 2009-10-30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47A KR101140726B1 (ko) 2009-10-30 2009-10-30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425A true KR20110047425A (ko) 2011-05-09
KR101140726B1 KR101140726B1 (ko) 2012-05-03

Family

ID=4423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47A KR101140726B1 (ko) 2009-10-30 2009-10-30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38B1 (ko) * 2018-06-25 2019-02-19 (주)교하엔텍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KR102099932B1 (ko) * 2020-01-22 2020-05-26 이희구 해상 접안시설의 파일과 패널을 이용한 세굴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845B1 (ko) * 1996-04-03 1999-09-01 최종환 비개착의 지하에 구조물의 새로운 축조 방법
JPH1096220A (ja) * 1996-09-20 1998-04-14 Maruei Concrete Kogyo Kk 護岸用鋼製矢板に対する植栽ブロックの取付工法
KR100584867B1 (ko) * 2003-06-03 2006-06-07 (주)스틸엔콘크리트 콘크리트와 강재 빔으로 이루어진 합성 구조물에 있어서,콘크리트와 강재빔과의 부착력 향상을 위하여 설치한전단뿌리 및 이를 이용한 합성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68031B1 (ko) * 2006-06-29 2007-10-19 (주)스틸엔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 합성파일에 강재파일을일체로 연결한 복합파일 및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38B1 (ko) * 2018-06-25 2019-02-19 (주)교하엔텍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KR102099932B1 (ko) * 2020-01-22 2020-05-26 이희구 해상 접안시설의 파일과 패널을 이용한 세굴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726B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1197A1 (en) Concrete wave attenuating apparatus and an assembly thereof facilitating formation of a vertical oyster reef and method of forming a vertical oyster reef incorporating an assembly of concrete wave attenuating apparatuses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1140726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US20050158122A1 (en) Method for contructing check dam or fire prevention dam using gear-type block
KR100581754B1 (ko) 친환경적 생태계 보호용 식생구조물
JP2783775B2 (ja) 生態系を考慮した護岸構造物
JP3600056B2 (ja) 水生生物生息用護岸構造物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JP3481870B2 (ja) 粗 朶
JP3566850B2 (ja) 杭を用いた床止め工法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JPH0782720A (ja)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JP2002330662A (ja) 水底沈設部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人工魚礁、沈床、魚道及び護岸部材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JP363888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20085602A (ko) 생태복원형 망태 및 그 제작방법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51125B1 (ko)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