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138B1 -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38B1
KR101950138B1 KR1020180072529A KR20180072529A KR101950138B1 KR 101950138 B1 KR101950138 B1 KR 101950138B1 KR 1020180072529 A KR1020180072529 A KR 1020180072529A KR 20180072529 A KR20180072529 A KR 20180072529A KR 101950138 B1 KR101950138 B1 KR 10195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tray
river
base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순우
김현주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교하엔텍
남순우
김현주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교하엔텍, 남순우, 김현주, 이승민 filed Critical (주)교하엔텍
Priority to KR102018007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류압력(水流抵抗)의 흡수 및 하상재료(河床材料) 충돌 방지와 함께 생태친화적인 하천환경 구축의 식물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하천보 일단에 부착보강되는 베이스본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수류압력 흡수에 따른 하천보 주위 세굴현상을 억제함에 더해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의 충돌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범퍼; 및,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의 조성을 위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상측에 내재수용되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생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본체, 완충범퍼, 식생트레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DEFENSIVE EQUIPMENT FOR RIVER WEIR OF AQUATIC PLANT VEGETATION TYPE}
본 발명은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류압력(水流抵抗)의 흡수 및 하상재료(河床材料) 충돌 방지와 함께 생태친화적인 하천환경 구축의 식물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河川, river)은 크게 세 가지의 환경주요기능을 갖는다. 첫째 물의 공급기능이고, 둘째 물의 저장능력을 통한 자연재해 방지기능이며, 셋째 동·식물의 서식처, 수질의 자정, 친수공간(親水空間, amenity oriented space)으로서의 미적기능으로, 이 세 가지 기능은 모두 인간사회와 자연이 어우러지는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은 수체 내에서 생물활동을 담당하여 생물량을 증가시키고 자정작용(自淨作用, self-purification)을 통하여 건강한 물을 공급하는 환경적 측면 이외에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하천의 기능 중 갈수기(渴水期, droughty season)를 대비하여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수리구조물(水理構造物, hydraulic structure)로 보가 설치되는데, 보(洑, weir)는 각종 용수의 취수(取水), 취수 및 주운(舟運) 등을 위해 수위를 높이고 조수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하는 시설물로 정의된다.
우리나라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에 설치된 보(이하 '하천보'라 함)는 높이 10m 이하의 하천보가 약 70%를 차지하며, 약 25%가 10~20m 정도이며, 그보다 높은 하천보가 약 5%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50년 동안 하천보 설치는 매년 증가하였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데, 이는 용수공급능력이 큰 댐, 양수장, 저수지 등 타 시설물을 이용하여 용수를 공급하게 되어 설치의 필요성이 줄어든 것이 주된 이유로 판단된다.
게다가, 도심부(都心部, city center)의 확대로 농경지가 도시화 되고, 논농사 위주에서 비닐하우스 단지로의 변화와 같은 토지이용의 변화, 하천을 가르는 높은 단차에 의한 횡단구조에 따른 하천 상·하류간의 생태통로 단절과 구조물로 인한 물의 정체, 하상(河床, 하천의 바닥) 퇴적물로 인한 수질악화의 환경적 문제를 초래할 수가 있다.
최근 들어, 수자원 개념과 함께 용수취수, 홍수조절뿐만 아니라 생태계 보호라는 개념이 확산 되면서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한 노력들이 전개되기 시작되면서, 하천정비의 개념은 단순히 하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계나 유역관리로 확대되었고 유속, 하도형태, 퇴적물 변화, 생태계 이동통로 차단과 같은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생태계를 보전하는 친환경적인 모습으로 하천보의 형태가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8583호를 통해, 시설 및 개보수에 따른 용이성과 경제성을 높이고 생태계 보호와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천의 물막이용 조립식 보가 개시되었는바, 종래의 상기 하천의 물막이용 조립식 보는, 블록을 조립해 보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교환 설치할 수 있으며, 시설에 따른 공사기간 단축과 공사의 편리성으로 경제성을 높이고, 필요시 간편하게 침전물을 방유시킬수 있어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물고기의 어로판 시설에 의해 물고기 왕래를 자유롭게 해줌으로서 생태계 보호와 깨끗한 하천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하천의 물막이용 조립식 보는, 보(이하 '하천보'라 함)에 미치는 수류압력의 감소 및 이를 통한 세굴현상 억제와 더불어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의 충돌을 피할 수가 없는 등, 하천보 파손(마모, 패임 등)의 유발인자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또한, 생태보호개념의 측면에서 하천의 환경주요기능이라 할 수 있는 동·식물의 서식처 마련 및 이를 통해 친수공간으로서 미적기능을 발휘할 만한 기술적 특징이 그 어디에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결국, 수생식물(水生植物, aquatic plant) 식재를 통한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의 구축과 함께 수류압력 및 수류를 따라 하천을 떠내려오는 하상재료(토사, 자갈 등) 충돌에 의한 하천보의 국부적 파손(마모, 패임 등)를 방지할 방호설비의 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8583호(등록일자 : 2002. 03. 0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보의 측벽(상류측단)에 설치하여 수류압력 및 하상재료의 충돌 외력을 흡수하는 완충범퍼의 구비로, 하천보의 보호(방호)는 물론 국부적 파손부위의 보수 및 보강하고 파손인자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식생트레이(수생식물을 식재한)의 구비로,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폐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자원의 재활용과 함께 장치 제작비용 절감의 효과를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하천보 일단에 부착보강되는 베이스본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수류압력 흡수에 따른 하천보 주위 세굴현상을 억제함에 더해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의 충돌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범퍼; 및,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의 조성을 위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상측에 내재수용되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생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본체, 완충범퍼, 식생트레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에는, 상기 식생트레이 내재수용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트레이받이가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일단 상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트레이받이의 양측 수직단부 내면 중 적어도 일측의 수직단부 내면에는, 상기 식생트레이 위치선정을 위한 다수의 위치돌기편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며, 상기 식생트레이 중앙의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트레이받이 내면의 위치돌기편가 대응삽입될 수 있는 맞춤홈이 외면의 정해진 부위에 내향된다.
더하여, 상기 완충범퍼는, 수류압력 및 하상재료 충돌의 외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밀려나는 완충작용을 하는 원통형 범퍼헤드와, 상기 베이스본체에 조립되고 돌출선단이 상기 범퍼헤드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범퍼헤드의 후퇴작용을 안내하는 환봉형 지지로드와, 상기 범퍼헤드 내부에서 상기 지지로드를 밀어내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생트레이는, 수생식물의 식재 및 일정분의 상토가 채워지는 식재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상단 개구형 직사각 박스구조를 이루되, 중앙의 트레이본체 양측에 진출 가능한 상태로 각각 조립됨에 따라, 상기 식재공간의 체적확장을 이룰 수 있는 확장사이드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확장사이드에는, 상기 식재공간에서 자라난 수생식물의 뿌리가 밖으로 뻗을 수 있음이 가능토록 한 다수의 통공이 관통되고, 상기 통공들의 밀폐로 상기 식재공간 내 상토의 외부유실을 방지하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분해되는 차폐패널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폐패널은, 상기 베이스본체 일단 상측에 돌출된 상기 트레이받이의 수납공간으로 상기 식생트레이를 내재수용시킬 때의 상토 유실을 방지하는 판체로써, 일정 기간이 지나면, 토양 중의 세균 및 수분에 의해 분해되는 바이오플라스틱을 소재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는, 장치본체 및 완충범퍼에 의한 하천보의 보호 및 보강과 함께 하천보에 미치는 수류압력을 상기 장치본체와 완충범퍼가 크게 감소시키게 되고 토사 및 자갈 등 하상재료의 충돌방지로 하천보 파손의 문제가 해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수류압력 최소화에 따라 하천보 주위의 세굴현상이 크게 억제되는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또한,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생트레이를 상기 장치본체 일측 상부에 형성된 트레이받이에 내재수용시켜, 하천보를 따라 수생식물이 생장하는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친수공간으로서의 미적기능이 더불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장치 제작비용의 절감과 자원 재활용의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이를 기반으로 한 생태계 복원 및 그린환경 조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달성에 따른 제품경쟁력 확보로 기업의 이익창출과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확장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확장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확장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에 있어서 식생트레이의 확장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A)는, 물 흐름의 방향(이하'수류방향'이라 함)과 대치하는 하천보 일단(상류측단)에 부착보강되는 베이스본체(1)와,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1)의 일단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물 흐름의 압력(이하 '수류압력'이라 함) 흡수에 따른 하천보 주위 세굴현상을 억제함에 더해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토사, 자갈 등)의 충돌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범퍼(2)와,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의 조성을 위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1)의 일단 상측에 내재수용되는 수생식물(p)이 식재된 식생트레이(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본체(1), 완충범퍼(2), 식생트레이(3)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작되며, 이를 통해 장치 제장비용의 절감과 자원 재활용에 따른 그린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다.
베이스본체(1)는, 구성 단일화와 아울러 하천보의 보호 및 보강을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하천보 일단에 부착되고,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일단 상측으로부터는 상기 식생트레이(3) 내재수용의 수납공간(11a)을 마련하는 트레이받이(11)가 일체로 돌출된다.
상기 트레이받이(11)의 양측 수직단부 내면 중 적어도 일측의 수직단부 내면에는, 상기 식생트레이(3) 위치선정을 위한 다수의 위치돌기편(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완충범퍼(2)는, 하천보에 미치는 수류압력 감소를 통한 하천보 주위의 세굴현상 억제 및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의 하천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수단인 것으로,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일단 하부에 상하로 다수 배치되는바, 각각의 돌출선단부는 수류압력 감소에 적합하도록 둥근 형태를 이루며, 외력에 대응한 신축성을 발휘함이 바람직하다.
식생트레이(vegetation tray, 3)는, 생태친화적인 하천환경 조성의 수생식물 식생(植生)을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식물의 식재 및 일정분의 상토(床土, bed soil)가 채워지는 식재공간(3a)이 내측에 마련된 상단 개구형 직사각 박스구조를 이루되, 트레이본체(31) 양단으로부터 각각 진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상기 식재공간(3a)의 체적확장(體積擴張)을 이룰 수 있는 확장사이드(3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확장사이드(3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성장을 고려하여 식재공간(3a)에서 자라난 식물의 뿌리가 밖으로 뻗을 수 있음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330)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통공(330)들의 밀폐로 식재공간(3a) 내 상토의 외부유실을 방지하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분해되는 차폐패널(33)이 더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31)에는, 상기 트레이받이(11) 내면의 위치돌기편(111)가 대응삽입될 수 있는 맞춤홈(311)이 외면의 정해진 부위(중앙)에 내향되어 있고, 양단 각각에는 상기 확장사이드(31)의 진출안내를 위한 가이드선단(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선단(312)의 끝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확장사이드(32)의 슬라이딩선단 끝에 돌출된 걸림턱의 진출을 제한하여 트레이본체(31)로부터 확장사이드(3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지턱(312-1)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확장사이드(32)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선단(312)에 의해 진출이 안내되는 슬라이딩선단(3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선단(321)의 끝에는 상기 제지턱(312-1)에 간섭되는 걸림턱(321-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선단(321)들 사이 중앙단부에는, 상기 차폐패널(33)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어 상기 삽입홀(322)들을 밀폐시키는 삽입홀(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폐패널(33)은, 상기 트레이받이(11)의 수납공간(11a)으로 식생트레이(11)를 내재수용시킬 당시의 상토 유실을 방지하는 판체로써, 식물성장(뿌리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정 기간이 지나면 토양 중의 세균 및 수분(하천수)의 영향을 받아 쉽게 분해되는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을 그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상기 완충범퍼(2')의 구성관계를 달리하는 것으로 하천보에 미치는 외력(수압 증가, 자갈 충돌 등) 소멸의 완충작용(緩衝作用, buffer action)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완충범퍼(2')는, 상류방향과 대치되는 방향의 베이스본체(1)의 하부에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 완충장치(shock absorber)인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압력 및 하상재료 충돌의 외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밀려나는 완충작용을 하는 원통형 범퍼헤드(21)와, 상기 베이스본체(1)에 조립되고 돌출선단이 상기 범퍼헤드(2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범퍼헤드(21)의 후퇴작용을 안내하는 환봉형 지지로드(22)와, 상기 범퍼헤드(21) 내부에서 지지로드(22)를 밀어내는 탄성스프링(23)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23)은, 물체의 탄성변형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흡수·축적시켜 완충작용을 발휘하는 기계요소로써, 상기 범퍼헤드(21)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반발력을 나타내는 코일스프링(coiled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식방지를 위해 금속재가 아닌 플라스틱을 그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22)의 조립결합을 위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트레이받이(11) 일단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장착홀(12)이 정해진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로드(22)로부터는 상기 장착홀(12) 안으로 대응삽입되는 장착구(22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홀(12)의 내둘레면 정해진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돌기(12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장착구(221)의 외둘레면 정해진 부위에는 상기 결착돌기(121)의 끼워 맞춤으로 상기 장착구(221)의 결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 돌기홈(221-1)이 내향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w)는 각종 용수의 취수, 취수 및 주운 등을 위해 수위를 높이고 조수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하는 시설물인 하천보(river weir)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와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보(w)에 미치는 수류압력 및 하상재료 충돌을 차단토록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하천보(w)의 일단(상류단)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수류진행 방향과 대치하는 하천보(w)의 일단에 상기 베이스본체(1)를 부착보강하는바, 그 이전에 상기 베이스본체(1)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완충범퍼(2)를 미리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본체(1)를 하천보(w)에 부착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식생트레이(3)를 베이스본체(1)의 트레이받이(11) 내측 수납공간(11a)으로 내재수용시켜 수생식물(p)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생태친화적인 하천환경의 구축과 더불어 수생식물 식생을 통해 친수공간으로서의 미적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받이(11)의 내면에 돌출된 다수의 위치돌기편(111)이 상기 식생트레이(3)의 트레이본체(31) 외면에 내향된 맞춤홈(311)에 끼워 맞춤되도록 함을 통해 수용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며, 도 9a에서와 같이, 다수의 식생트레이(3)를 나열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식생트레이(3)를 배치시킬 수 있고, 도 9b에서와 같이, 식생트레이(3)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도록 함과 같이 그 배치형태를 다양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식생트레이(3)들을 일정간격마다 이격배치시에는 식생트레이(3)들 사이의 수납공간(11a)의 빈 곳에는 상토를 채워 마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레이본체(31)의 양측으로 확장사이드(32)를 진출시켜 식재공간(3a)의 체적이 확장된 식생트레이(3)를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생식물(p)의 뿌리성장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 하천보(w)에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A) 설치가 완료되면, 수류방향과 대치하도록 설치된 완충범퍼(2)가 자갈 등의 하상재료 충돌외력을 흡수하게 됨에 따라 하천보(w)의 보호 및 방호가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수류압력을 최대한 흡수하게 됨으로써, 하천보(w) 주위의 세굴현상이 크게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가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된 완충범퍼(2')의 채용을 통해, 수류압력의 급격한 증가 또는 하상재료의 강력한 충돌시의 경우, 상기 완충범퍼(2')의 범퍼헤드(21)가 그 외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밀려는 완충작용을 발휘케 됨에 따라 하천보(w)에 미치는 스트레스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A)에 의하면, 상기 장치본체(1) 및 완충범퍼(2)(2')가 하천보(w)에 미치는 수류압력을 감소시키고 하상재료(토사, 자갈 등)의 충돌을 방지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수류압력 최소화에 따라 하천보(w) 주위의 세굴현상이 크게 억제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수생식물(p)이 식재된 식생트레이(3)를 상기 트레이받이(11)에 내재수용시켜 하천보(w)를 따라 수생식물이 생장하는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친수공간으로서의 미적기능이 더불어 발휘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장치 제작비용의 절감과 자원 재활용의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이를 기반으로 한 그린환경 조성의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방호장치, 1 : 베이스본체
2, 2' : 완충범퍼, 3 : 식생트레이
3a : 식재공간, 11 : 트레이받이
11a : 수납공간, 12 : 장착홀
21 : 범퍼헤드, 22 : 지지로드
23 : 탄성스프링, 31 : 트레이본체
32 : 확장사이드, 33 : 차폐패널
111 : 위치돌기편, 121 : 결착돌기
221 : 장착구, 221-1 : 돌기홈
311 : 맞춤홈, 312 : 가이드선단
312-1 : 제지턱, 321 : 슬라이딩선단
321-1 : 걸림턱, 322 : 삽입홀
330 : 통공

Claims (6)

  1.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하천보 일단에 부착보강되는 베이스본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수류압력 흡수에 따른 하천보 주위 세굴현상을 억제함에 더해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하상재료의 충돌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범퍼; 및, 생태친화적 하천환경의 조성을 위해,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 상측에 내재수용되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생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본체에는, 상기 식생트레이 내재수용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트레이받이가 수류방향과 대치하는 일단 상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트레이받이의 양측 수직단부 내면 중 적어도 일측의 수직단부 내면에는 상기 식생트레이 위치선정을 위한 다수의 위치돌기편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며,
    상기 식생트레이는, 수생식물의 식재 및 일정분의 상토가 채워지는 식재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상단 개구형 직사각 박스구조를 이루되, 중앙의 트레이본체 양측에 진출 가능한 상태로 각각 조립됨에 따라 상기 식재공간의 체적확장을 이룰 수 있는 확장사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위치돌기편의 대응삽입을 위한 맞춤홈이 외면의 정해진 부위에 내향되며, 상기 확장사이드의 진출안내를 위한 가이드선단이 양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선단의 끝에는 상기 트레이본체로부터 상기 확장사이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지턱이 돌출되며,
    상기 확장사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선단에 의해 진출이 안내되는 슬라이딩선단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선단의 끝에는 상기 제지턱에 간섭되는 걸림턱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범퍼는, 수류압력 및 하상재료 충돌의 외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밀려나는 완충작용을 하는 원통형 범퍼헤드와,
    상기 베이스본체에 조립되고 돌출선단이 상기 범퍼헤드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범퍼헤드의 후퇴작용을 안내하는 환봉형 지지로드와,
    상기 범퍼헤드 내부에서 상기 지지로드를 밀어내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사이드에는, 상기 식재공간에서 자라난 수생식물의 뿌리가 밖으로 뻗을 수 있음이 가능토록 한 다수의 통공이 관통되고,
    상기 통공들의 밀폐로 상기 식재공간 내 상토의 외부유실을 방지하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분해되는 차폐패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패널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상기 식생트레이를 내재수용시킬 때의 상토 유실을 방지하는 판체로써,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 중의 세균 및 수분에 의해 분해되는 바이오플라스틱을 소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KR1020180072529A 2018-06-25 2018-06-25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KR10195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29A KR101950138B1 (ko) 2018-06-25 2018-06-25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29A KR101950138B1 (ko) 2018-06-25 2018-06-25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38B1 true KR101950138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29A KR101950138B1 (ko) 2018-06-25 2018-06-25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737A (zh) * 2020-11-30 2021-03-30 宁波龙元盛宏生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河岸防护结构的施工方法
CN114622520A (zh) * 2022-05-13 2022-06-14 四川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河道生态护坡结构
CN115057536A (zh) * 2022-06-29 2022-09-16 内蒙古生态环境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污染水体植物培养治理装置
GB2613828A (en) * 2021-12-16 2023-06-21 Kenneth Odowd A planter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492A (ja) * 1995-03-22 1996-10-08 Sato Kogyo Co Ltd 古タイヤ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擁壁及び擁壁ブロック
KR100328583B1 (ko) 1999-01-25 2002-03-14 변화원 하천의 물막이용 조립식 보
KR20080076539A (ko) * 2007-02-16 2008-08-20 박병찬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KR20110047425A (ko) * 2009-10-30 2011-05-09 (주)에스앤씨산업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07255U (ko) * 2011-04-12 2012-10-22 박창진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지지부재를 갖는 버트러스 사방댐
KR101249959B1 (ko) * 2012-09-20 2013-04-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수질정화블록을 이용한 저수지 침강지용 부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492A (ja) * 1995-03-22 1996-10-08 Sato Kogyo Co Ltd 古タイヤ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擁壁及び擁壁ブロック
KR100328583B1 (ko) 1999-01-25 2002-03-14 변화원 하천의 물막이용 조립식 보
KR20080076539A (ko) * 2007-02-16 2008-08-20 박병찬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KR20110047425A (ko) * 2009-10-30 2011-05-09 (주)에스앤씨산업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07255U (ko) * 2011-04-12 2012-10-22 박창진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지지부재를 갖는 버트러스 사방댐
KR101249959B1 (ko) * 2012-09-20 2013-04-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수질정화블록을 이용한 저수지 침강지용 부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737A (zh) * 2020-11-30 2021-03-30 宁波龙元盛宏生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河岸防护结构的施工方法
CN112575737B (zh) * 2020-11-30 2022-06-24 宁波龙元盛宏生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河岸防护结构的施工方法
GB2613828A (en) * 2021-12-16 2023-06-21 Kenneth Odowd A planter device
CN114622520A (zh) * 2022-05-13 2022-06-14 四川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河道生态护坡结构
CN114622520B (zh) * 2022-05-13 2022-07-22 四川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河道生态护坡结构
CN115057536A (zh) * 2022-06-29 2022-09-16 内蒙古生态环境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污染水体植物培养治理装置
CN115057536B (zh) * 2022-06-29 2024-03-12 内蒙古生态环境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污染水体植物培养治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38B1 (ko) 수생식물 식생형 하천보 방호장치
KR101821127B1 (ko) 수상 부유체 및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1220584A (zh) 带挡墙的斜坡式生态护岸
KR100704385B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Halide et al. Designing bamboo wave attenuators for mangrove plantations
JP2010017089A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100427564B1 (ko) 초류식생블록
Marks Down go the dams
CN207436004U (zh) 一种三维立体自嵌套式岸滩生态守护构件
KR100689778B1 (ko)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수로관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815290B1 (ko) 물고기집이 설치된 옹벽블럭조립체
KR20090012420A (ko) 어소블록
KR102069330B1 (ko) 다기능 부유생태섬
KR100969642B1 (ko) 하천의 보용 어도
KR20070102828A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316360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의 수중보 구조물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572890B1 (ko) 하천용 자정 식물 식재틀
JPH08232237A (ja) 消波機能および水棲生物の生息促進機能を有する水域構築物
KR101103086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
CN101135140B (zh) 生态纤维笼
KR100659613B1 (ko) 하천용 친환경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