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159A -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159A
KR20110047159A KR1020100106544A KR20100106544A KR20110047159A KR 20110047159 A KR20110047159 A KR 20110047159A KR 1020100106544 A KR1020100106544 A KR 1020100106544A KR 20100106544 A KR20100106544 A KR 20100106544A KR 20110047159 A KR20110047159 A KR 2011004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andle
locking
door pane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10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159A/ko
Publication of KR2011004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간이식 로킹 장치(4)는 2개의 로킹 부재(41, 42)로 이루어진다. 각 로킹 부재(41, 42)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품으로서 형성되고, 케이스(12) 상하면에 설치한 각 오목 홈(124, 125)에 눌러 끼울 수 있는 베이스(411, 421)와, 기단이 힌지를 통하여 베이스에 결합되는 로킹편을 구비한다. 각 로킹 부재(41, 42)를 오목 홈(124, 125)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각 로킹편의 선단은 케이스(12)의 플랜지(11)의 배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도어 패널(6)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다. 베이스(411, 421)를 케이스(12)의 오목 홈(124, 125)에 고정함으로써, 로킹 부재(41, 42)를 핸들 장치(1)에 장착한다.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에 원터치 장착하여 부착작업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한다.

Description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SIMPLE-TYPE LOCK DEVICE AND HANDLE ASSEMBLY INC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전반이나 제어반 등의 기기 격납용 캐비넷 등의 도어 패널에 채용되는 핸들 장치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핸들이 장착된 케이스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함과 아울러, 케이스 정면의 외주에 설치한 플랜지를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 형식의 핸들 장치에 사용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 도어 패널에 핸들 장치의 케이스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양단부에 근접한 부위에 나사구멍이나 투과구멍을 뚫고, 당해 부착용 개구에 케이스를 메워넣은 후, 도어 패널의 정면측으로부터, 케이스의 투과구멍을 통하여 비스를 도어 패널의 나사구멍에 돌려 넣거나, 도어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도어 패널의 투과구멍을 통하여 비스를 본체 케이스의 나사구멍에 돌려 넣음으로써, 도어 패널에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핸들 장치의 부착에서는, 도어 패널에, 케이스의 부착용 개구뿐만 아니라, 이 개구의 양단부에 근접하여 나사구멍이나 투과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구멍뚫기 가공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나사고정시에, 도어 패널의 정면측으로부터 핸들 장치를 부착위치로 누르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이 부착작업의 능률이 나쁘므로, 케이스의 정면 단부에 외주 가장자리부가 도어 패널의 정면에 맞닿는 정면판을 설치하고, 이 정면판의 배면측에 고정용의 블록을 나사에 의해 부착하고, 케이스의 정면판과 고정용의 블록 사이에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끼워넣고 나사를 죔으로써, 핸들 장치를 고정하도록 한 것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종류의 핸들 장치의 도어 패널로의 부착에서는, 나사를 사용한 부착 형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 장치 및 그 부착 형식은 JP-09-53346-A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핸들 장치의 부착 형식에서는, 케이스를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에 나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를 나사구멍에 꽂아 넣고, 죄는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이 번잡하게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 종류의 핸들 장치에 있어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를 도어 패널에 원터치 장착할 수 있어, 부착작업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핸들 장치에 사용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이며, 이 핸들 장치는, 정면에 개구를 갖고,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 가능한 걸이금속을 구비하고,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상기 케이스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를 상기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 형식의 핸들 장치로서,
상기 간이식 로킹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면에 형성된 오목 홈에 압입에 의해 끼워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로킹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로킹 부재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품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각 오목 홈에 눌러 끼울 수 있는 베이스와,
기단이 힌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로킹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 로킹 부재를 상기 오목 홈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이 로킹편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의 배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고,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며,
상기 핸들 장치의 상기 도어 패널로의 부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케이스의 오목 홈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로킹 부재를 상기 핸들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용 개구에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를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로킹 부재의 상기 로킹편을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측에 통과시키고,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로킹편의 선단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상기 도어 패널에 대한 상기 로킹편의 반력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 부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로킹편의 선단에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는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2) 베이스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홈형의 절삭부를 갖는다.
(3) 케이스 둘레면의 오목 홈의 내주에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외주에 상기 구멍 또는 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를 갖는다.
(4) 케이스가 금형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둘레면의 오목 홈의 내주에 형성된 홈이 금형 성형시에 부수적으로 형성된 오목 홈이다.
또, 본 발명은,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핸들 장치로서, 정면에 개구를 갖고,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 가능한 걸이금속을 구비하고,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상기 케이스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를 상기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 형식의 핸들 장치이며, 상기의 간이식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1) 본 발명의 간이식 로킹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어 패널에의 핸들 장치의 부착에 있어서, 베이스를 케이스의 오목 홈에 고정함으로써 핸들 장치에 장착하고, 케이스를 부착용 개구에 삽입하여, 케이스의 플랜지를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로킹편을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도어 패널의 배면측에 통과시키고,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로킹편의 선단과 플랜지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도어 패널에 대한 로킹편의 반력에 의해 고정한다. 따라서,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에 케이스를 삽입하고, 케이스의 플랜지를 도어 패널의 정면에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에 확실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로킹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장착할 수 있어, 부착작업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핸들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핸들 장치의 도어 패널로의 부착에 있어서, 간이식 로킹 장치의 베이스를 케이스의 오목 홈에 고정함으로써 핸들 장치에 장착하고, 케이스를 부착용 개구에 삽입하여, 케이스의 플랜지를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로킹편을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도어 패널의 배면측에 통과시키고,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로킹편의 선단과 플랜지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로킹편의 도어 패널 에 대한 반력에 의해 고정한다. 따라서,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에 케이스를 삽입하고, 케이스의 플랜지를 도어 패널의 정면에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에 확실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장착할 수 있어, 부착작업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서의 핸들 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동 정면도, 도 1(c)는 동 배면도이다.
도 2는 동 핸들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a)는 동 핸들 장치의 핸들에 채용되는 스프링 수단의 정면 단면도, 도 3(b)는 동 측면 단면도이다.
도 4(a)는 동 핸들 장치의 핸들에 채용되는 스프링 수단의, 특히 튀겨올림 조정용 스프링의 정면도, 도 4(b)는 동 측면도이다.
도 5(a)는 동 핸들 장치의 핸들에 채용되는 스프링 수단의, 특히 튀겨올림용 스프링의 정면도, 도 5(b)는 동 측면도이다.
도 6(a)는 동 핸들 장치에 채용되는 인디케이터의, 특히 작동 레버의 평면도, 도 6(b)는 동 측면도, 도 6(c)는 동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는 동 핸들 장치에 채용되는 간이식 로킹 장치의, 특히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의 평면도, 도 7(b)는 동 측면도, 도 7(c)는 동 저면도이다.
도 8(a)는 동 핸들 장치에 채용되는 간이식 로킹 장치의, 특히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의 평면도, 도 8(b)는 동 측면도, 도 8(c)는 동 저면도이다.
도 9는 동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 핸들 장치의 핸들과 그 밖의 각 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핸들 장치의 핸들의 스프링 수단 대신 또는 이 스프링 수단과 함께 채용되는 쇼크 압소버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핸들 장치를 도시하고, 도 3 내지 도 8에 그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장치(1)는 정면에 개구(10),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11)를 갖고, 도어 패널에 고착되는 케이스(12)와, 회동축(13) 및 스프링 수단(2)을 통하여 케이스(12)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14)과, 핸들(14)의 회동측 단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케이스(12)의 정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푸시버튼식의 스토퍼(15)와, 케이스(12)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핸들(14)에 작동 연결되고, 핸들(14)의 조작에 의해, 박스 본체 등의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도시생략)에 대하여 걸거나 벗겨지는 걸이금속(16)과, 핸들(14)에 편입되어,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로킹 플레이트(잠금 부재)(171)를 갖는 자물쇠 유닛(17)과, 핸들(14)에 편입되어,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에 작동 연결되고, 열쇠(18)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핸들(14)을 자물쇠 유닛(17)에 의해 잠근 경우의 로킹 상태와, 잠금을 해제한 경우의 언로킹 상태를 전환 표시하는 인디케이터(3)를 구비한다. 또, 이 핸들 장치(1)는,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케이스(12)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11)를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형식으로, 이 부착할 때에 사용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는 아연 다이캐스팅에 의해, 정면에 개구(10)를 갖고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11)를 갖는 세로로 긴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2)의 (개구(10)) 내부에는, 핸들(14)을 끼워맞춤 가능하게, 또한 이 핸들(14)의 회동측 단부의 연장상에 푸시버튼식의 오목형 스토퍼(15)가 경동(傾動)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케이스(12) 상부에는 핸들(14)의 핸들축(51)을 부착하기 위한 축통부(121)가 형성되고, 상하방향 중간부의 조금 하부측에는 자물쇠 유닛(17) 및 인디케이터(3)를 끼워맞추기 위한 통 형상의 오목부(122)가 케이스(12)의 배면측을 약간 외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이 통 형상의 오목부(122)의 상면의 케이스(12)의 배면측에 근접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를 로킹하기 위한 받이부(123)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케이스(12)의 상하의 각 면에는, 금형에 의한 성형시에 부수적으로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 홈(124, 125)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4)은 아연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제이고, 케이스(12) 정면의 개구(10) 내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세로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축(51)을 통하여 케이스(12)에 부착된다. 이 경우, 핸들축(51)은 케이스(12)의 축통부(121) 내에 끼워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되고, 정면측의 단부 하부 중앙에는, 그 축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 직각으로 회동축(13)을 삽입통과하기 위한 축 삽입통과부(511)가 단면 대략 U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상부(핸들(14)의 피벗측 단부의 끝 가장자리부가 맞닿는 위치)에는,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만들어 경사면(512)이 형성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핸들(14)의 피벗측 단부 즉 상부 배면측에는, 회동축(13)을 삽입통과하기 위한 1쌍의 축 삽입통과부(140)가, 핸들축(51)의 축 삽입통과부(511)를 외측으로부터 끼워 지지 가능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핸들(14)의 배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고, 그 상부의 끝 가장자리부에는, 핸들축(51)의 경사면(512)에 맞닿음 가능한 소정 각도의 경사면(141)이 형성된다.
이 핸들(14)에는 또한 회동측 단부에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와 인디케이터 편입부(145)가 아울러 형성된다.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는 핸들(14)의 하부 배면측에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심 위에 상당하는 핸들(14)의 정면 하부 중앙에,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170)을 향하는 구멍(143)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의 상부 및 하부의 배면측에는,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향하여,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를 당해 받이부(123)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구멍(144)이 형성된다. 인디케이터 매입부(145)는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의 상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의 구멍(143)의 바로 위의 위치에 상당하는 핸들(14)의 정면 하부 중앙에 인디케이터(3)의 표시창(146)이 개구되고, 그 배면측에서 표시창(146)으로부터 상방으로 조금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인디케이터(3)(작동 레버(30))를 위한 위치결정 돌기(147)가 형성된다.
이 핸들(14)의 회동측 끝 가장자리부에는, 스토퍼(15)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발톱(148)이 설치된다. 걸림 발톱(148)은 핸들(14)의 하단에 형성되어, 스토퍼(15)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단차부(149)와, 이 걸림 단차부(149)의 내측에 형성되어, 스토퍼(15)를 위에서 눌러 아래 방향으로 회동변위시키는 비스듬한 가이드면(150)을 갖는다.
핸들축(51)이 케이스(12)의 축통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끼워 삽입되고, 핸들(14)이 케이스(12)의 개구(10)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핸들축(51)의 1쌍의 축 삽입통과부(511)가 핸들(14)의 1쌍의 축 삽입통과부(140)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스(12)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으로 회동축(13)이 삽입 부착되고, 핸들(14) 상부의 1쌍의 축 삽입통과부(140) 및 핸들축(51)의 축 삽입통과부(511)에 삽입 통과된다. 이 핸들축(51)의 1쌍의 축 삽입통과부(511) 사이의 회동축(13) 위에는 스프링 수단(2)이 둘러감기고, 핸들(14)은 케이스(12) 내에 개구(10)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회동 가압되어 부착된다.
스프링 수단(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13)의 주위에, 핸들(14)을 튀겨올리는 방향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13)을 죄는 방향, 또한 튀겨올려진 핸들(14)을 되돌리는 방향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13)의 죔을 푸는 방향으로 둘러 감겨진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과, 회동축(13)을 핸들(14)을 튀겨올리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도록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의 위로부터 둘러 감기는 튀겨올림 스프링(22)을 구비하고,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과 튀겨올림 스프링(22)의 상호작용에 의해, 핸들(14)의 튀어오름이 저속의 적당한 속도로 조정된다. 이 경우, 튀겨올림 스프링(22)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이 종류의 핸들에 사용되는 우측으로 감은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튀겨올림 스프링(22)에 비해 선 직경이 작고(가늘고), 튀겨올림 스프링(22)의 감기 방향과는 반대인 좌측으로 감은 코일스프링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칼라(23) 내에 삽입통과 배치되고, 이 코일스프링(21)에 점성을 갖는 액체(24)가 주입되고, 회동축(13) 위에 둘러 감기고,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은 칼라(23)의 외측에 둘러 감아진다.
이렇게 하여, 핸들(14)은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의 회동 가압에 의해 케이스(12)의 개구(10)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동시에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회동축(13)을 죄는 방향으로 감아 죄어지고, 아울러 점성을 갖는 액체(24)의 작용에 의해, 이 회동축(13)의 회동 속도가 감속되어, 핸들(14)의 튀어오름이 저속의 여유있는 회동으로 조정된다. 또한,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핸들(14)을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의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스(12)내로 밀어 되돌린다. 이 때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회동축(13)의 죔을 푸는 방향으로 되감김으로써, 회동축(13)에 대한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에 의한 부하가 사라져, 핸들(14)의 밀어 되돌리는 동작에 조금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버튼식의 스토퍼(15)는 아연합금 또는 스테인리스제이며, 케이스(12)의 정면 개구(10)의 하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일단(이 경우, 상단부(151))이 케이스(12)의 내부로 조금 들어가는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배면에 1쌍의 암(152)이 돌출되고, 그 돌출단에 축 삽입통과 구멍(153)이 뚫어진다. 이 스토퍼(15)는 1쌍의 암(152)을 케이스(12) 내부에 꽂아넣고, 정면 개구(10)의 하부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케이스(12)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으로 축(154)이 삽입 부착되어 스토퍼(15)의 각 암(152)의 축 삽입통과 구멍(153)으로 통과시켜진다. 이 축(154) 위에 코일스프링(155)이 둘러 감기고, 일단이 케이스(12)의 배면에 걸어지고, 타단이 스토퍼(15)의 배면의 하부에 걸어진다. 또한 이 경우, 스토퍼(15)측의 코일스프링(155)은 핸들(14)측의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보다도 스프링력이 강한 것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푸시버튼식의 스토퍼(15)는 케이스(12)의 개구(10) 내부로 상단부(151)가 조금 들어가도록 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상단부(151)가 핸들(14)의 회동측 단부의 걸림 발톱(148)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14)을 소정의 기립 위치로부터 케이스(12)의 개구(10)를 향하여 밀어 되돌림으로써, 핸들(14)의 회동측 단부, 즉 핸들(14) 하단의 가이드면(150)이 스토퍼(15)의 상단부(151)에 부딪혀, 스토퍼(15)를 하방으로 회동 변위시켜 가고, 핸들(14) 하단이 스토퍼(15)의 상단부(151)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15)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됨과 동시에 핸들(14) 하단의 걸림 단차부(149)와 스토퍼(15)의 상단부(151)가 걸어맞추어진다. 스토퍼(15)측의 코일스프링(155)이 핸들(14)측의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보다도 스프링력이 강하기 때문에, 핸들(14)이 케이스(12) 내의 소정의 도복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스토퍼(15)의 정면 하부를 누르면, 스토퍼(15)가 하방으로 회동 변위하여, 핸들(14) 하단의 걸림 단차부(149)와 스토퍼(15)의 상단부(15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핸들(14)은 케이스(12) 내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돌출 회동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이금속(16)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제이며, 프레스 가공(펀칭 가공)에 의해 횡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에 근접하여 핸들축(51)에 대응하는 축 구멍(160)이 형성된다. 이 경우, 핸들축(51)은 케이스(12)의 배면측에서 직경 축소되고, 그 단부는 각진 축부(513)로 되어 있고, 걸이금속(16)의 축 구멍(160)은 이 각진 축부에 대응하는 각진 축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걸이금속(16)은 빠짐 방지용의 C링(52)을 통하여, 축 구멍(160)과 축부(513)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핸들축(51)에 회전 불능으로 삽입통과되고, 축부(513) 선단의 나사구멍(514)에 볼트(51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핸들(14)을 소정의 돌출위치에서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회동축(13)을 통하여 핸들축(51)이 동일 방향으로 일체 회전하고, 걸이금속(16)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부에 걸어맞추어진다. 핸들(14)을 이것과는 반대의 폐쇄 방향으로 돌리면, 회동축(13)을 통하여 핸들축(51)이 동일 방향으로 일체 회전하여, 걸이금속(16)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부로부터 이탈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물쇠 유닛(17)은 정면의 열쇠 구멍(170)에 열쇠(18)를 꽂아 넣고 돌림으로써 로터(172)를 회전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로킹 플레이트(171)를 진퇴시키는 형식이 채용된다. 이 경우, 로터(172)를 자물쇠 본체에 잠그는 내부 자물쇠 기구로서는 공지의 디스크 텀블러 자물쇠 기구가 사용되고, 로터(172)의 후단면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구동용의 캠 돌기(173)가 돌출 설치된다. 로킹 플레이트(171)는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횡폭 방향에 수동용의 홈 구멍(174)이 형성된다. 이 자물쇠 유닛(17)은 핸들(14)의 회동측 단부에 형성된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에 매워 넣어져 고정되고, 로킹 플레이트(171)가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의 상하부 배면측의 가이드 구멍(144)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배치된다. 자물쇠 유닛(17)의 로터(172)를 돌림으로써, 이 로터(172)의 캠 돌기(173)가 로킹 플레이트(171)의 홈 구멍(174)의 내측면을 밀어, 로킹 플레이트(171)를 상하의 가이드 구멍(144)을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하여 진퇴시키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는 핸들(14)의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46)과,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 표시창(146) 사이에,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가 받이부(123)에 걸거나 벗기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는 작동 레버(작동 부재)(30)와, 작동 레버(30)의 일단을 평상시에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33)으로 구성된다. 표시창(146)은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170)에 근접하여 핸들(14)에 개구되고, 이 경우, 인디케이터 편입부(145)의 정면 중심에 상당하는 핸들(14)면의 하부 중앙에서, 열쇠 구멍(170)의 바로 위의 위치에 개구된다. 작동 레버(30)는 일단이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 사이에 개재되는 걸어맞춤부(31)를 이루고, 타단에 핸들(14)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로킹 상태 표시부 및 핸들(14)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언로킹 상태 표시부를 갖는 표시 부재(3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조작 레버(30)는, 핸들(14)의 하부 배면측에 형성된 인디케이터 편입부(145)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30)의 양단 사이 중앙에 축 삽입통과부(301)가 형성된다. 받이부(123)측의 작동 레버(30)의 일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당해 받이부(123)에 끼워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부(311)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의 선단면에 대한 걸어맞춤면(312)이 형성된다. 이 작동 레버(30)의 타단 즉 표시창(146)측의 단부에는, 당해 표시창(146)에 면하여, 그 개구 면적보다도 큰 표시판(320)이 형성된다. 이 표시판(320) 표면의 상반부에 핸들(14)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청색의 스티커가 첩부되어, 로킹 상태 표시부(321)가 형성되고, 하반부에 핸들(14)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적색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언로킹 상태 표시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4)의 하부에서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으로 축(34)이 삽입 부착되고, 작동 레버(30)의 양단 사이 중앙의 축 삽입통과부(301)에 통과시켜진다. 이 축(34) 위에는 스프링 수단(33)의 코일스프링이 둘러 감기고, 그 일단이 핸들(14)의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의 둘레면의 정면측에 걸어지고, 타단이 작동 레버(30)의 하면의 정면측에 걸어진다.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170)에 삽입한 열쇠(18)를 소정의 폐쇄 방향으로 돌리면, 로킹 플레이트(171)가 작동 레버(30) 일단의 걸어맞춤부(31)(걸어맞춤면(312))에 걸어맞추어짐과 아울러 당해 일단을 상방을 향하여 밀어서 작동 레버(30)를 요동하고, 당해 걸어맞춤부(31)의 볼록 형상부(311)와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가 걸어맞추어진다. 바꿔 말하면,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레버(171)가 작동 레버(30)의 걸어맞춤부(31)(볼록 형상부(311))를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과 동시에,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로킹 상태 표시부(321)가 표시창(146)에 면하여,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상태(청색)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자물쇠 유닛(17)의 열쇠(18)를 반대 방향인 개방 방향으로 돌리면, 로킹 플레이트(171)와 걸어맞춤부(31)(걸어맞춤면(31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코일스프링(33)의 회동 가압에 의해, 작동 레버(30) 일단의 볼록 형상부(311)가 받이부(123)로부터 이탈함과 아울러,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언로킹 상태 표시부(322)가 표시창(146)에 면하여, 자물쇠 유닛(17)의 언로킹 상태가 표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이식 로킹 장치(4)는, 케이스(12)의 둘레면을 이루는 서로 대향하는 면, 이 경우 상하의 2면에 형성된 오목 홈(124, 125)에 압입에 의해 끼워 장착되는 2개의 로킹 부재(41, 42)로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로킹 부재(41, 42)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품으로서 형성되고, 케이스(12)의 각 오목 홈(124, 125)에 눌러 끼울 수 있는 베이스(411, 421)와, 기단이 힌지(412, 422)를 통하여 베이스(411, 421)에 결합되는 로킹편(413, 423)을 갖는다. 각 로킹 부재(41, 42)를 오목 홈(124, 125)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로킹편(413, 423)의 선단은 케이스(12)의 플랜지(11)의 배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도어 패널(6)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다. 이 경우, 케이스(12) 상하 각 면의 각 오목 홈(124, 125)은 케이스(12)의 금형 성형시에 상하 각 면에 부수적으로 형성된 오목 홈이다. 2개의 로킹 부재(41, 42)는 각각, 전체가 폴리아미드계 수지, 특히 PA6에 의해, 케이스(12)의 상하 각 면의 각 오목 홈(124, 125)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41)는, 베이스(411)가 케이스(12) 상부의 오목 홈(124) 내에 눌러 끼워질 수 있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2)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 대응하는 각 끝 가장자리부의 중앙에 작은 홈형의 절삭부(401)가 형성된다. 로킹편(413)은 베이스(411)보다도 조금 작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2)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베이스(411)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도어 패널(6)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비스듬히 연장된다. 또, 이 로킹 부재(41)의 경우, 도어 패널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는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414)가 로킹편(413)의 선단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42)는, 베이스(421)가 케이스 하부의 오목 홈(125) 내에 눌러 끼워질 수 있는 대략 H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2)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 대응하는 각 끝 가장자리부의 중앙에 큰 홈형의 절삭부(402, 403)가 형성된다. 로킹편(423)은 베이스(421)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조금 작은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2)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베이스(421)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패널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비스듬히 연장된다. 또, 이 로킹 부재(42)의 경우, 도어 패널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의 하측 가장자리부 주위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부(424)가 로킹편(423)의 선단에 형성된다. 또한, 이 로킹 부재(42)를 핸들 장치(1)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스(12)의 하면의 오목 홈(125)의 내주, 이 경우 오목 홈(125)의 양 측면에서 케이스(12)의 배면측의 소정의 위치에, 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421)의 외주, 이 경우 베이스(421)의 양 측면에서 케이스(12)의 배면측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4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이 핸들 장치(1)의 도어 패널(6)에 대한 부착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도어 패널(6)에는 미리 핸들 장치(1)의 부착용 개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어 패널(6)에 나사구멍이나 투과구멍은 불필요하다. 우선, 로킹 부재(41, 42)를 각각, 핸들 장치(1)의 케이스(12) 상하부의 각 오목 홈(124, 125)에 장착한다. 이 경우, 로킹 부재(41, 42)의 로킹편(413, 423)의 선단을 플랜지(11)의 배면측을 향하여, 베이스(411, 421)를 케이스(12)의 오목 홈(124, 125) 내에 압입하여 끼워 넣으면 된다. 다음에 이 핸들 장치(1)를 도어 패널(6)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60)에 부착한다. 이 경우, 이 부착용 개구(60)에 핸들 장치(1)를 케이스(12)의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11)를 도어 패널(6)의 정면측에서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한다. 이 케이스(12)의 부착에 의해,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41)의 로킹편(413)이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함과 아울러, 로킹편(413)의 선단의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414)와 플랜지(11) 사이에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지지되고, 이 상태가, 도어 패널(6)의 가장자리부에 대한 로킹편(413)의 반력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42)의 로킹편(423)이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함과 아울러, 로킹편(423)의 선단의 각 볼록 형상부(424)와 플랜지(11) 사이에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지지되고, 이 상태가, 도어 패널(6)의 가장자리부에 대한 로킹편(423)의 반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핸들 장치(1)는 도어 패널(6)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60)에 덜거덕거리지 않고 확실하게 부착된다.
도 10에 이 핸들 장치(1)의 핸들(14)과 그 밖의 각 부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어 패널(6)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닫아져 있을 때는, 통상, 도 10(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4)은 케이스(12) 내의 소정의 도복 위치로 밀어 넣어지고, 핸들(14) 하단의 걸림 단차부(149)가 푸시버튼식의 스토퍼(15)의 상단부(151)에 걸어지고, 케이스(12) 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14)의 배면에 설치한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 및 인디케이터 편입부(145)가, 케이스(12)의 개구(10) 내에서 통 형상의 오목부(122)에 끼워맞추어지고, 케이스(12)의 배면의 외측에서 걸이금속(16)이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향하게 하여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걸어맞추어져, 도어 패널을 폐쇄상태로 시정(施錠)한다. 그리고, 자물쇠 유닛(17)을 로킹하면, 자물쇠 유닛(17)의 로터(172)가 소정의 로킹 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킹 플레이트(171)가 상하의 가이드 구멍(144)을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를 향하여 전진된다. 이 로킹 플레이트(171)가 인디케이터 편입부(145) 내에 있는 작동 레버(30)의 일단의 걸어맞춤부(31)(걸어맞춤면(312))에 걸어맞추어지고, 당해 일단을 상방을 향하여 밀어 작동 레버(30)를 요동하면, 당해 걸어맞춤부(31)의 볼록 형상부(311)가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걸어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레버(171)가 작동 레버(30)의 걸어맞춤부(31)(볼록 형상부(311))를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과 동시에, 작동 레버(30)의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로킹 상태 표시부(321)가 표시창(146)에 면하여,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상태가 표시된다.
도어 패널(6)을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여는 경우에는, 도 10(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에 열쇠를 삽입하고 소정의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로터(172)가 소정의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킹 플레이트(171)가 상하의 가이드 구멍(144)을 통하여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로 후퇴된다. 이것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171)와 작동 레버(3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스프링 수단(33)의 회동 가압에 의해 작동 레버(30)가 케이스(12)의 받이부(123)측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요동되어, 볼록 형상부(311)가 받이부(123)로부터 이탈된다. 이것과 동시에, 작동 레버(30)의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언로킹 상태 표시부(322)가 표시창(146)에 면하여, 자물쇠 유닛(17)의 언로킹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푸시버튼식의 스토퍼(15)의 정면 하부를 누르면, 도 10(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15)가 하방으로 회동 변위하고, 핸들(14) 하단의 걸림 단차부(149)와 스토퍼(15)의 상단부(15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회동축(13) 위의 스프링 수단(2)의 회동 가압에 의해 핸들(14)이 케이스(12) 내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돌출 회동된다. 이 때, 회동축(13) 위의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에 의해 회동축(13)이 회동 가압되어, 핸들(14)이 회동된다. 이 회동축(13)의 회전과 함께 이 회동축(13) 위의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회동축(13)을 죄는 방향으로 감아 죄어지고, 아울러 점성을 갖는 액체(24)의 작용에 의해, 이 회동축(13)의 회동 속도가 감속 조정되어, 핸들(14)은 저속의 적당한 속도로 회동하고, 소정의 돌출 위치까지 천천히 튀어올려진다. 그리고, 이 핸들(14)을 소정의 돌출 위치에서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걸이금속(16)이 핸들(14)의 회동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고,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도어 패널이 해정(解錠)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 패널을 닫는 경우에는, 조작이 상기 조작과 반대로 된다. 즉, 우선 핸들(14)을 소정의 폐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걸이금속(16)이 핸들(14)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고,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걸어맞추어진다. 이어서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밀어 되돌린다. 이 때,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핸들(14)의 회동축(13)에 이것을 죄는 방향으로 둘러 감아져 있지만, 이 핸들(14)을 밀어 되돌릴 때의 회동축(13)의 반전 방향의 회동과 함께,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회동축(13)의 죔을 푸는 방향으로 되감아짐으로써, 회동축(13)에 대한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에 의한 부하가 없어져,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밀어 되돌리는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14)을 케이스(12) 내에 종래와 동일하게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의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되돌리면 되어, 핸들(14)의 조작성은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 핸들(14)의 밀어 되돌림에 의해, 핸들(14)의 회동측 단부, 즉 핸들(14) 하단의 가이드면(150)이 스토퍼(15)의 상단부(151)에 부딪혀 스토퍼(15)를 하방으로 회동 변위시켜 가고, 핸들(14) 하단이 스토퍼(15)의 상단부(151)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15)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됨과 동시에 핸들(14) 하단의 걸림 단차부(149)와 스토퍼(15)의 상단부(151)가 걸어맞추어진다. 핸들(14)의 배면에 설치한 자물쇠 유닛 수납부(142) 및 인디케이터 편입부(145)가 케이스(12) 내의 통 형상의 오목부(122)에 끼워맞추어져, 핸들(14)이 케이스(12) 내에 유지되고, 도어 패널이 다시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에 열쇠를 삽입하고, 소정의 로킹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자물쇠 유닛(17)의 로터(172)가 소정의 로킹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킹 플레이트(171)가 상하의 가이드 구멍(144)을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를 향하여 전진된다. 이 로킹 플레이트(171)가 작동 레버(30)의 일단의 걸어맞춤부(31)(걸어맞춤면(312))에 걸어맞추어짐과 아울러 상방을 향하여 밀리고, 작동 레버(30)를 요동하여, 당해 걸어맞춤부(31)의 볼록 형상부(311)가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걸어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가 작동 레버(30)의 걸어맞춤부(31)(볼록 형상부(311))를 통하여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과 동시에, 작동 레버(30)의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로킹 상태 표시부(321)가 표시창(146)에 면하여,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상태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핸들 장치(1)는 2개의 로킹 부재(41, 42)로 이루어지는 간이식 로킹 장치(4)를 구비하고, 2개의 로킹 부재(41, 42)가 각각,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이 경우, 폴리아미드계 수지, 특히 PA6)에 의해 일체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각 로킹 부재(41, 42)는 케이스(12) 상하부의 각 오목 홈(124, 125)에 눌러 끼울 수 있는 베이스(411, 421)와, 기단이 힌지(412, 422)를 통하여 베이스(411, 421)에 결합되는 로킹편(413, 423)을 구비한다. 로킹편의 선단은 케이스(12)의 플랜지(11)의 배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고, 도어 패널(6)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다. 핸들 장치(1)의 도어 패널(6)에의 부착에 있어서, 베이스(411, 421)를 케이스(12)의 오목 홈(124, 125)에 고정함으로써, 로킹 부재(41, 42)를 각각 핸들 장치(1)에 장착한다. 이어서, 케이스(12)를 도어 패널(6)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60)에 삽입하고, 플랜지(11)를 당해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로킹편(413, 423)을 당해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도어 패널(6)의 배면측에 통과시키고, 당해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를 로킹편(413, 423)의 선단과 플랜지(11) 사이에 끼워 지지한다. 이 상태를, 도어 패널(6)에 대한 로킹편(413, 423)의 반력에 의해 고정하므로, 도어 패널(6)에 설치한 부착용 개구(60)에 케이스(12)를 삽입하고, 플랜지(11)를 도어 패널(6)의 정면에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이 핸들 장치(1)를 도어 패널(6)의 부착용 개구(60) 내에 확실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핸들 장치(1)를, 도어 패널(6)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장착할 수 있어, 부착작업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간이식 로킹 장치(4)의 경우,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41)의 로킹편(413)의 선단에,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는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414)를 형성하고,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61)를 이 걸어맞춤부(414)와 플랜지(11)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도어 패널(6)에 대한 로킹편(413)의 반력에 의해 고정한다. 한편,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42)의 로킹편(423)의 선단에는, 도어 패널(6)의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부(424)를 형성하고, 부착용 개구(60)의 가장자리부(61)를 이 볼록 형상부(424)와 플랜지(11)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도어 패널(6)에 대한 로킹편(423)의 반력에 의해 고정한다. 따라서, 핸들 장치(1)를 도어 패널(6)의 부착용 개구(60) 내에 덜거덕거리지 않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간이식 로킹 장치(4)에는, 베이스(411, 421)의 외주 가장자리부, 보다 상세하게는 끝 가장자리부에, 홈형의 절삭부(401, 402, 403)를 형성했다. 따라서, 이 로킹 장치(4)를 핸들 장치(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가는 봉재를 베이스(411, 421)의 절삭부(401, 402, 403)에 꽂아넣고, 베이스(411, 421)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로킹 장치(4)를 핸들 장치(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스(12) 하면의 오목 홈(125)의 내주에 홈을 형성하고,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42)의 베이스(421)의 외주에, 당해 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425)를 형성했다. 따라서, 이 로킹 부재(42)를 오목 홈(125)에 끼워 넣을 때에, 로킹 부재(42)의 돌기(425)가 오목 홈(125)의 홈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하향의 오목 홈(125)이더라도 로킹 부재(42)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핸들 장치(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홈은 구멍을 대신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2)를 금형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케이스(12)의 둘레면의 오목 홈으로서, 금형 성형시에 부수적으로 형성되는 오목 홈(124, 125)을 이용했지만, 금형 성형 후에, 케이스(12)의 둘레면에 로킹 장치(4)(로킹 부재(41, 42))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로킹 장치(4)(로킹 부재(41, 42))를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로킹 장치(4)(로킹 부재(41, 42))의 경우, 케이스(12)의 상하 각 면에 장착하도록 했지만, 케이스(12)의 좌우 양 측면에 동일하게 하여 장착해도 되고, 또한, 케이스(12)의 상하, 좌우 양측의 각 면에 동일하게 하여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42)에 돌기(425)를 설치하고, 오목 홈(125)의 홈에 걸어맞추어지게 하고 있지만,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41)도 또한 동일하게 하여 오목 홈(124)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간이식 로킹 장치(4)를 핸들 장치(1)에 부속적으로 구비한 것, 즉 핸들 장치(1)의 구성부품의 하나로서 예시했지만, 이 간이식 로킹 장치(4)를, 핸들 장치(1)를 포함하는 이 종류의 핸들 장치에 널리 사용하는 범용 부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간이식 로킹 장치(4)를 각종 핸들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각종 핸들 장치를 도어 패널(의 부착용 개구)에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부착할 수 있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핸들 장치(1)에서는, 자물쇠 유닛(17)에 작동 연결하고, 열쇠(18)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핸들(14)을 자물쇠 유닛(17)에 의해 잠근 경우의 로킹 상태와, 잠금를 해제한 경우의 언로킹 상태를 전환 표시하는 인디케이터(3)를 핸들(14)에 설치했다. 따라서, 핸들(14)이 자물쇠 유닛(17)에 의해 잠가져 있는지 또는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지 바로 알 수 있어, 도어의 개폐시에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자물쇠 유닛을 잠글 예정이었지만 잠그는 걸 있었거나, 잠겨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핸들 조작을 하거나, 잠겨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쇠를 준비하지 않았거나와 같은 것을 가급적 없애거나, 또는 적게 할 수 있다.
특히 이 인디케이터(3)는 핸들(14)의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46)과,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 표시창(146) 사이에,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가 받이부(123)에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는 작동 레버(30)와, 작동 레버(30)의 일단을 평상시에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33)을 갖는다. 표시창(146)은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170)에 근접하여 핸들(14)에 개구된다. 작동 레버(30)는 일단이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와 자물쇠 유닛(17)의 로킹 플레이트(171) 사이에 개재하는 걸어맞춤부(31)를 이루고, 타단에 핸들(14)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로킹 상태 표시부(321) 및 핸들(14)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언로킹 상태 표시부(322)를 갖는 표시 부재(32)가 설치된다. 자물쇠 유닛(17)의 열쇠 구멍(170)에 삽입한 열쇠(18)의 회전조작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171)를 작동 레버(30) 일단의 걸어맞춤부(31)에 걸어맞추어지게 하고, 당해 걸어맞춤부(31)와 케이스(12)측의 받이부(123)를 걸어맞추어지게 함과 아울러, 작동 레버(30)의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로킹 상태 표시부(321)를 표시창(146)에 면하게 한다. 당해 열쇠(18)의 반대 방향의 회전조작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171)와 작동 레버(30) 일단의 걸어맞춤부(3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당해 걸어맞춤부(31)를 받이부(123)로부터 이탈시킴과 아울러, 작동 레버(30)의 타단에서 표시 부재(32)의 언로킹 상태 표시부(322)를 표시창(146)에 면하게 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3)를 자물쇠 유닛(17)의 일부(로킹 플레이트(171)) 및 그 움직임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인디케이터(3)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물쇠 유닛(17) 및 인디케이터(3)를 핸들(14) 내에 편입하고, 로킹 플레이트(171)를 작동 레버(30)를 통하여 받이부(123)에 대하여 고정·이탈하도록 했는데, 이 자물쇠 유닛 및 인디케이터를 케이스(12) 내에 편입하고, 로킹 플레이트를 인디케이터의 작동 레버를 통하여 핸들측에 설치한 받이부에 걸거나 벗기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1)에서는, 스토퍼(15)의 누름 조작에 의해, 핸들(14)과 스토퍼(15)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스프링 수단(2)의 회동 가압에 의해, 핸들(14)을 케이스(12)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튀겨올리는 형식을 채용하고 있다. 스프링 수단(2)은, 핸들(14)의 회동축(13)의 주위에, 핸들(14)을 튀겨올리는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동축(13)을 죄는 방향, 또한 튀겨올려진 핸들(14)을 되돌리는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동축(13)의 죔을 푸는 방향으로 둘러 감아진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과, 회동축(13)을 핸들(14)을 튀겨올리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도록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 위에서 둘러 감아지는 튀겨올림 스프링(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과 튀겨올림 스프링(22)의 상호작용에 의해, 핸들(14)의 튀어오름 속도를 조정하므로, 버튼식의 스토퍼(15)의 누름 조작과 동시에, 핸들(14)을 저속의 적당한 속도로 회동하여, 소정의 돌출 위치까지 천천히 튀겨올릴 수 있다. 따라서, 핸들(14)이 급격하게 튀어오르지 않고, 또 도어를 큰 충격음을 내지 않고, 안심감이 높은 적당한 속도로 튀어올릴 수 있다. 또한,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밀어 되돌릴 때는, 회동축(13)의 회전과 함께 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21)이 회동축(13)의 죔을 푸는 방향으로 둘러 감아지므로,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밀어 되돌리는 동작에 아무런 영향이 없고, 종래와 동일하게 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22)의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핸들(14)을 케이스(12) 내로 밀어 되돌리면 되어, 핸들(14)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스프링 수단(2)의 경우,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은 칼라(23) 내에 삽입통과 배치되어, 당해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에 점성을 갖는 액체(24)가 주입되고, 튀겨올림 스프링(22)은 칼라(23)의 외측에 둘러 감아진다. 따라서, 점성을 갖는 액체(24)가 스프링 수단(2)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수단(2)을 튀겨올림 조정 스프링(21)과 튀겨올림 스프링(22)의 2중구조로 하여, 핸들(14)의 튀어오름 속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스프링 수단(2) 대신에 또는 이 스프링 수단(2)과 함께, 쇼크 압소버를 케이스와 핸들 사이에 설치하여, 핸들의 튀어오름 속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13)측의 핸들(14)의 단부가 튀겨올림 시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케이스(12)의 위치에, 쇼크 압소버(7)의 본체를 설치하고, 쇼크 압소버(7)의 피스톤 로드(71)를 회동축(13)측의 핸들(14)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시키고, 핸들(14)의 튀어오름시에 핸들(14)의 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여, 튀어오름 속도를 조정하면 된다.
1 핸들 장치
10 개구
11 플랜지
12 케이스
121 축통부
122 통 형상의 오목부
123 받이부
124 오목 홈
125 오목 홈
13 회동축
14 핸들
140 축 삽입통과부
141 경사면
142 자물쇠 유닛 수납부
143 구멍
144 가이드 구멍
145 인디케이터 편입부
146 표시창
147 위치결정 돌기
148 걸림 발톱
149 걸림 단차부
150 가이드면
15 푸시버튼식의 스토퍼
151 상단부
152 암
153 축 삽입통과 구멍
16 걸이금속
160 축 구멍(각진 축 구멍)
17 자물쇠 유닛
170 열쇠 구멍
171 로킹 플레이트(잠금 부재)
172 로터
173 캠 돌기
174 홈 구멍
18 열쇠
2 스프링 수단
21 튀겨올림 조정용 스프링(튀겨올림 조정용의 코일스프링)
22 튀겨올림용 스프링(튀겨올림용의 코일스프링)
23 칼라
24 점성을 갖는 액체
3 인디케이터
30 작동 레버(작동 부재)
301 축 삽입통과부
31 걸어맞춤부
311 볼록 형상부
312 걸어맞춤면
32 표시 부재
320 표시판
321 로킹 상태 표시부
322 언로킹 상태 표시부
33 스프링 수단(코일스프링)
34 축
4 간이식 로킹 장치
401 절삭부
402 절삭부
403 절삭부
41 케이스 상부의 로킹 부재
411 베이스
412 힌지
413 로킹편
414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
42 케이스 하부의 로킹 부재
421 베이스
422 힌지
423 로킹편
424 볼록 형상부
425 돌기
51 핸들축
511 축 삽입통과부
512 경사면
513 축부(각진 축부)
514 나사구멍
515 볼트
52 C링
6 도어 패널
60 부착용 개구
7 쇼크 압소버
71 피스톤 로드

Claims (6)

  1.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핸들 장치에 사용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이며, 이 핸들 장치는, 정면에 개구를 갖고,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 가능한 걸이금속을 구비하고,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상기 케이스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를 상기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 형식의 핸들 장치로서,
    상기 간이식 로킹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면이 형성된 오목 홈에 압입에 의해 끼워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로킹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로킹 부재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품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각 오목 홈에 눌러 끼울 수 있는 베이스와,
    기단이 힌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로킹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 로킹 부재를 상기 오목 홈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이 로킹편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의 배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하고,
    상기 핸들 장치의 상기 도어 패널에의 부착에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케이스의 오목 홈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로킹 부재를 상기 핸들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용 개구에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를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로킹 부재의 상기 로킹편을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측에 통과시키고,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로킹편의 선단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를, 상기 도어 패널에 대한 상기 로킹편의 반력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의 선단에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걸 수 있는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홈형의 절삭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 둘레면의 오목 홈의 내주에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외주에 상기 구멍 또는 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가 금형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둘레면의 오목 홈의 내주에 형성된 홈이 금형 성형시에 부수적으로 형성된 오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식 로킹 장치.
  6. 도어 패널에 부착하는 핸들 장치이며, 정면에 개구를 갖고, 정면의 외주에 플랜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고정 프레임측의 받이금속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 가능한 걸이금속을 구비하고, 도어 패널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에 상기 케이스를 케이스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를 상기 도어 패널의 정면측에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부착 형식의 핸들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간이식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KR1020100106544A 2009-10-29 2010-10-29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KR20110047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44A KR20110047159A (ko) 2009-10-29 2010-10-29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8423 2009-10-29
KR1020100106544A KR20110047159A (ko) 2009-10-29 2010-10-29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59A true KR20110047159A (ko) 2011-05-06

Family

ID=4423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44A KR20110047159A (ko) 2009-10-29 2010-10-29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71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35B1 (ko) 핸들 장치
KR101286954B1 (ko) 핸들 장치
US8833808B2 (en) Lock device for vehicle
CA2458045C (en) Reversible latch bolt
US8959964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20140312632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120080890A1 (en) Two Assembly Parts Latch System
TWI542772B (zh) 簡易式鎖具裝置及具備該簡易式鎖具裝置之把手裝置
JP2014234651A (ja) ハンドル装置
KR20110047159A (ko) 간이식 로킹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 장치
KR101260682B1 (ko)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KR20040086067A (ko) 문짝 개폐용 핸들의 걸음쇠장치
JPH07331931A (ja) 車両ドアの外側開扉ハンドル
JPH1144137A (ja) 錠装置
KR101778278B1 (ko) 도어용 핸들
CN216110224U (zh) 一种门窗开口限制器及推拉门窗
CN108729774B (zh) 手柄扣
JP6089299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2007327254A (ja) ドア錠
KR910004706Y1 (ko) 자물쇠 잠금기구가 달린 끝면 부착형 문짝용 핸들장치
JP2573541B2 (ja) 車両用ワンモーションロック装置
JP3838588B2 (ja) カム式調整ストライク
JP2868741B2 (ja) 非擦り合い係合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3011196U (ja) ゲーム機用施錠装置
JP2014234650A (ja) 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