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610A -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610A
KR20110046610A KR1020090103129A KR20090103129A KR20110046610A KR 20110046610 A KR20110046610 A KR 20110046610A KR 1020090103129 A KR1020090103129 A KR 1020090103129A KR 20090103129 A KR20090103129 A KR 20090103129A KR 20110046610 A KR20110046610 A KR 2011004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alarm switch
hall sensor
sensor assembly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167B1 (ko
Inventor
유병개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10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67B1/ko
Priority to PCT/KR2010/007470 priority patent/WO2011053011A2/en
Publication of KR2011004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에 부착되는 버클에 있어서, 버클 경보스위치를 버클 하단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버클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온(on)/오프(off)의 작동을 하는 경우,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경제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구조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외부 덮개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버클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를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경보스위치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이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전달하는 홀센서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에서 상기 홀센서조립체와 자기장으로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틱조립체 및; 하부 일측에 상기 마그네틱조립체가 체결 조립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일측 내부에 홀센서조립체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와 대향되는 일측 내부에 경보스위치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버클구조, 경보스위치, 홀스위치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Buckle Structure For Seat-Bel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에 부착되는 버클에 있어서, 버클 경보스위치를 버클 하단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버클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온(on)/오프(off)의 작동을 하는 경우,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경제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이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써,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장치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장치는 사고시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신체 중 일부가 차내의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물과 신체 사이를 차단하고, 또 신체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안전벨트(시트벨트)는 추돌 사고시에 운전자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주행중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체를 고정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벨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플로워 패널의 일측에 케이블로 고정되어 있는 버클과 센터필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웨빙이 권취되어 있는 리트렉터와, 리트렉터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풀려 있는 웨빙(Webbing) 상에 버클과 결합되도록 구비된 텅(Tongue)과, 웨빙이 풀리거나 권취되면서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 및 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앵커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 안전벨트는 일정한 폭을 갖는 웨빙의 양단을 플로워 패널과 센터필라에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사고시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사고방향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웨빙의 결합 및 해제를 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센터필라에 고정되어 웨빙을 인출하고, 비상시 고정시키는 수단이 내장된 리트렉터와 플라워패널에 설치되어 웨빙의 단부에 구비된 텅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버클(BUCKLE)을 포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안전벨트장치는 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버클 내에 별도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바, 종래의 벨트착용 여부 감지는 자석의 위치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에 따라 동작하는 홀센서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감지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경보스위치로써 마이크로스위치나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홀센서 이용방식과 경보스위치 이용방식은 각기 또는 동시에 이용되곤 하였다.
예컨데,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 체결하게 되면, 상 기 텅이 버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양측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를 동시에 온(on)/오프(off)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동시에 오프(off)/온(on)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기구적 또는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경보스위치는 버클 옆 후미에 위치하여 버클의 크기가 크며, 뒷좌석에 경보스위치를 장착하는 경우 승객이 이물감을 느끼게 하여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경보스위치의 온(on)/오프(off)에 관련된 단락부가 스위치 외부에 존재하여 스위치 작동시 오작동 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클 경보스위치를 버클 하단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버클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온(on)/오프(off)의 작동을 하는 경우,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경제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외부 덮개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버클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를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경보스위치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이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전달하는 홀센서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에서 상기 홀센서조립체와 자기장으로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틱조립체 및; 하부 일측에 상기 마그네틱조립체가 체결 조립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일측 내부에 홀센서조립체가 안 착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와 대향되는 일측 내부에 경보스위치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는, 홀센서스위치전선과 경보스위치전선을 분할하여 별도로 고정하는 전선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분할부는 상기 홀센서스위치전선과 경보스위치전선를 구분하여 함께 고정시키는 돌출된 분할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경보스위치로 유도되는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는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고정되는 경보스위치전선유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센서조립체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스위치는 경보스위치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안착부는 경보스위치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클 경보스위치를 버클 하단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버클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온(on)/오프(off)의 작동을 하는 경우,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경제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클의 하부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홀센서조립체안착부 및 경보스위치안착부를 포함하여 홀센서조립체 및 경보스위치가 안착 고정되어 상기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며, 또한 내부적으로도 안정적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클의 하부케이스에 홀센서스위치전선과 경보스위치전선를 구분하여 함께 고정시키는 돌출된 분할돌기로 별도로 고정시키는 전선분할부를 포함하여 버클 내부에서 경보스위치와 홀센서조립체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클의 하부케이스에 외부에서 인입되는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경보스위치로 유도되도록 하고,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경보스위치전선유도돌기를 구비한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를 포함하여, 버클 내부에 존재하는 경보스위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보다 내구성이 좋은 버클구조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홀센서조립체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를 포함하고, 홀센서조립체안착부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를 포 함하며; 경보스위치는 경보스위치고정구를 포함하고, 경보스위치안착부는 경보스위치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와 고정돌기로써 보다 견고하게 홀센서조립체 및 경보스위치조립체를 버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버클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를 설명하기에 통상적으로 차량의 안전벨트에서 버클에 텅이 작용되는 경우의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버클(1)에 텅(2)이 내입되는 때의 홀센서 및 마이크로스위치(경보스 위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버클(1)은 하우징(3) 내에 텅(2)의 삽입시 상기 텅(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 내에는 버클프레임(6)이 위치되는데 그의 후측단에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구(W)들이 단단히 결착되어 있다.
상기 버클프레임(6)의 중단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잠금래치(8)가 삽입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잠금래치(8)는 작동시 하부로 이동되며 텅(2)이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잠금래치(8)가 작동을 하도록 슬라이더(9)가 버클프레임(6)의 중단에 삽입된 상태로 텅(2)에 의하여 후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기 버클(1)에 텅(2)이 체결된 후 이젝터(7)가 눌러질 때 상기 잠금래치(8)를 상향시킨 다음 전단으로 이동시켜 텅(2)이 회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버클프레임(6) 양측 편에 경보스위치인 마이크로스위치(4)와 전자스위치인 홀센서(5)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텅(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후단의 구멍 내로 웨빙(webbing)이 결합되며, 전단은 잠금래치(8)와 결합되는 구멍을 가진 삽입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텅(2)의 삽입부가 버클(2) 내의 버클프레임(6)에 형성한 삽입구(slot) 내로 삽입됨(F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9)가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9)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래치(8)가 하향 이동되어 그 하측 단부를 텅(2)의 구멍 내로 삽입되어 상기 텅(2)을 로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9)가 이동될 때, 상기 버클프레임(6) 외부로 돌출된 양단부(9', 9")들은 각기 홀센서(5)의 마그네틱(5a)와 마이크로스위치(4)를 이동시 켜 홀센서(5)가 온(on)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를 오프(off)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이렇게 상기 홀센서(5)를 온(on)하는 경우에는 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인지하여 에어백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이를 전달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를 오프(off)하는 경우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인지하여 경보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여 벨트 미착용의 경보가 울리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벨트가 착용된 후에 상기 텅(2)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이젝터(7)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잠금래치(8)가 상향 이동되게 하여 슬라이더(9)를 전단으로 이동시키므로 텅(2)을 해제함과 동시에 하우징(3) 외부로 이탈시키게 한다. 이때, 상기 홀센서 마그네틱(5a)은 원위치되어 홀센서(5)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마이크로스위치(4)는 온(on)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른 버클(1)에서 마이크로스위치(경보스위치, 4)는 단순히 버클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어 그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그 단락부가 내부에 존재하지 아니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되며, 버클의 케이스에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버클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경우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버클구조의 사용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구조의 결합 사시도이 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홀센서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버클 홀스위치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버클구조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외부 덮개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0); 상부케이스(20); 상기 버클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를 일단에 연결된 경보스위치전선을 통해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경보스위치조립체(100); 내부에 홀센서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클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일단에 연결된 홀스위치전선을 통해 에어백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전달하는 홀센서조립체(200); 내부에 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버클 내부에서 상기 홀센서조립체와 자기장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룰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틱조립체(300) 및; 상기 마그네틱조립체가 체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젝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경보스위치조립체(100) 및 홀센서조립체(2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커버로써 안전벨트의 버클을 위부로부터 보호하고 내부 부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여러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버클의 외부 덮개 역할을 하므로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그 외면은 탑승자에 직접 접 하는 부분이므로 가볍고 접촉감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본 발명의 요지로써 경보스위치조립체(100) 및 홀센서조립체(300)를 버클의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하고 안착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대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대응되어 버클 내부의 부품이 장착되고,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부케이스(20) 또한 버클의 외부 덮개 역할을 하므로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0)와 연이어져 견고히 결속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하부케이스(10)와 통상적으로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가 접하는 부분의 전면에는 버클에 텅이 내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슬롯(slot)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로 텅이 내입된 후 상부케이스(20) 내부에 있는 이젝터(400) 및 버튼(도면 미도시)으로 텅을 탈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 상면에 장착되는데, 하기의 홀센서조립체(200)와 반대편 측면에 장착된다. 경보스위치조립체(100)는 버클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를 일단에 연결된 경보스위치전선을 통해 차량의 전자장 치에 전달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의 단락부는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다. 이렇게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그 단락부가 외부에 존재하게 되어 온(on)/오프(off)시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었던 것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는 경보스위치 전선(110) 및 경보스위치고정구(130)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스위치 전선(110)은 경보스위치조립체(100)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가 버클에 텅이 결속되었는지 감지한 후 이를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홀센서조립체(200)에 포함된 홀스위치 전선(210)과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의 독립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부품의 파손 등의 경우 다른 부품에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여 경제적이고, 보다 기능적인 버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스위치고정구(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스위치조립체(100) 측면에 일체로 돌출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서 일체로 돌출된 경보스위치고정돌기(14a)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에 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는 하부케이스(10)의 측면에 존재하는 경보스위치안착부에 안착되며 도 5b에 도시된 경보스위치고정돌기(14a)가 경보스위치고정구(130)의 관통공으로 내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로써 경보스위치조립체(100)는 버클의 하부케이스(10)에 견고히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외부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에도 버클과 일체로 고정되어 손상되지 아니하고, 또한 전체적으로 그 크기를 줄임으로써 경제성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센서조립체(2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와 대응되는 반대편 위치에 장착된다. 이렇게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와 홀센서조립체(200)가 반대편에 위치하여 장착됨으로써 버클의 크기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며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승차감을 보다 편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홀센서조립체(200)는 내부에 홀센서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클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일단에 연결된 홀스위치전선을 통해 에어백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홀센서조립체(200)는 홀스위치 전선(210), 홀센서 덮개(240), 홀센서 고정구(260) 및 방수처리접착부재(2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스위치 전선(210)은 홀센서조립체(200)의 일단에 연결되어 버클에 텅이 결속되었는지 감지하여 이를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의 경보스위치 전선(110)과 독립적으로 설치된 별도의 전선이다. 이렇게 독립설치됨으로써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는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고, 파손 등의 고장이 있는 경우에도 둘 중 어느 부품에 문제가 있는 확실히 확인 할 수 있고, 각각 별도로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센서덮개(240)는, 하기의 홀센서방수처리부(250)를 둘러싸고 홀센서조립체 내부에 존재하는 홀센싱 마그네틱 및 전자회로(도면 미도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통상적으로 강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경량의 소재인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처리접착부재(250a)는 상기 홀센서덮개(240)와 상기 홀스위치전선(210) 사이의 이격을 밀폐하여 내부의 마그네틱 및 전자회로에 습기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수처리 접착부재(250a)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센서조립체(200)의 일단부에서 홀스위치전선(210)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홀센서조립체(200)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홀센서고정구(260)는, 상기 홀센서덮개(240)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버클의 하부케이스(10)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홀센서덮개(240)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내부에 관통공을 포함하는 판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고정구(260)의 내부 관통공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마련된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가 내입 결합고정되어 버클의 내부에서 홀센서조립체(200)가 외부 충격이나 움직임에도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버클 내부에서 홀센서조립체(200)는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마그네틱조립체(300)는 이젝터(400)와 함께 슬라이딩되어 버클에 텅이 내입되어 단속되는지 여부를 자기장에 의해 홀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그네틱조립체(3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이젝터(400)의 일측에서 고정 결속된 자성을 띠는 마그네틱(자석)이 구비된 조립체로써 홀센서조립체(200)가 자기장을 통해 홀센싱 기능을 하므로, 상기 마그네틱조립체(30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마그네틱조립체(300)는 내부에 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버클 내부에서 상기 홀센서조립체와 자기장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룰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젝터(4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조립체(300)를 일측면 하부에 고정 체결조립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젝터(400)의 원래 기능은 버클에 텅이 내입되면서 이젝터(400)를 함께 밀게 됨으로써 이젝터에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들이 잠금래치를 작동하게 하고, 또한 홀스위치 및 경보스위치를 온(on)/오프(off)시키게 한다. 이렇게 상기 이젝터(400)가 텅의 내입에 따라 작동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젝터에 고정 결속된 마그네틱조립체(300)가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홀센서조립체(200)와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어 홀센싱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대한 작동관계 및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10)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버클의 하부케이 스(10a)와 대비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버클의 하부케이스(10a)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하부케이스(10)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10)를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하부케이스(10a)와는 상이하게 전선분할부(11),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12), 홀센서조립부안착부(13) 및 경보스위치안착부(14)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분할부(11)는 홀스위치전선(210)과 경보스위치전선(110)을 분할하여 별도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전선분할부(11)는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서 홀스위치전선(210) 및 경보스위치전선(110)이 인입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도 하고, 내부 중앙부에도 각 전선(110, 210)들을 분할하여 별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전선(110,210)들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전선분할부(11)는 분할돌기(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돌기(11a)는 상기 경보스위치전선(110)와 홀스위치전선(210)이 함께 뭉쳐진 곳에서 이의 경계를 분할하고 각각 별개로 고정시킴으로써 경보스위치조립체(100)와 홀센서조립체(200)를 버클의 내부 양측으로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버클의 전체크기가 작아지게 하고, 또한 상기 전선(110,210)들이 서로 들뜨게 되어 어지럽혀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12)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경보스위치전선(110)을 버클의 내부 일측에 고정 안착되는 경보스위치조립체(100)로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를 버클 내부의 측면에 안착 고정시키고, 또한 경보스위치의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버클의 전체 크기를 작게 하고, 또한 오작동의 가능성을 줄여준다. 상기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12)는 경보스위치전선(110)을 버클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로 경보스위치조립체(100)에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도돌기(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13)는 버클의 하부케이스(10)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그루브(groove)로써 상기 홀센서조립체(2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홀센서조립체가 버클 내부에 안착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홀센서조립체가 고정되므로 파손 및 오작동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홀센서조립체안착부(13)는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는 홀센서조립체(200)의 홀센서조립체고정구(26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하부케이스(10)에서 일체로 돌출된 돌기이다. 이렇게 상기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와 홀센서조립체고정구(26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홀센서조립체(200)가 홀센서조립체안착부(13)에 고정 안착되면서 상기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는 상기 홀센서조립체고정구(260)에 내입되어 버클과 일체화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스위치안착부(14)는 홀센서조립체안착부(13)와 대향되는 하부케이스(10) 측부에 존재하는데, 상기 경보스위치(10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그루브(groove)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경보스위치(100)가 버클의 하부케이스(10) 측부 내면에 안착 고정됨으로써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키고, 또한 상기 경 보스위치(100) 내부에 단락부를 형성함으로써 오작동 등의 우려를 일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스위치안착부(14)는 경보스위치고정돌기(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스위치고정돌기(14a)는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13a)의 작동관계와 동일한 작동관계를 보이는데, 도 3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경보스위치안착부(14)에서 일체로 상부로 돌출된 돌기로써 상기 경보스위치고정구(130)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즉, 경보스위치고정돌기(14a)는 상기 경보스위치조립체(100)가 안착 고정될 때, 경보스위치고정구(130)에 내입되면서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경보스위치(100)가 버클 내부에서 하부케이스(10) 측부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홀센서조립체(200)가 그에 대향되는 위치의 버클 내부 측부에 고정됨으로써 종국적으로 버클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경보스위치(100) 및 홀센서조립체(200)의 버클과의 일체화된 결합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스위치(100)의 내부에 단락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오작동의 가능성을 일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홀스위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홀센서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버클의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버클 2 : 텅
3 : 하우징 4 : 마이크로스위치
5 : 홀센서 5a : 마그네틱
6 : 버클프레임 7 : 이젝터
8 : 잠금래치 9 : 슬라이더
9',9" : 슬라이더 양단부 W : 고정구
10,10a : 하부케이스 11 : 전선분할부
11a : 분할돌기 12 : 경보스위치 전선유도부
12a : 유도돌기 13 : 홀센서조립체 안착부
13a : 홀센서조립체 고정돌기 14 : 경보스위치 안착부
14a : 경보스위치 고정돌기 20 : 상부케이스
100 : 경보스위치조립체 110 : 경보스위치 전선
200 : 홀센서조립체 210 : 홀스위치 전선
250a : 방수처리 접착부재 260 : 홀센서 고정구
300 : 마그네틱조립체 400 : 이젝터

Claims (6)

  1.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외부 덮개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 상부케이스; 버클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이를 차량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경보스위치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버클에 텅이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이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전달하는 홀센서조립체; 상기 버클 내부에서 상기 홀센서조립체와 자기장으로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틱조립체 및; 하부 일측에 상기 마그네틱조립체가 체결 조립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일측 내부에 상기 홀센서조립체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안착부 및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와 대향되는 일측 내부에 경보스위치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는 단락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홀스위치전선과 경보스위치전선을 분할하여 별도로 고정하는 전선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분할부는 상기 홀스위치전선과 경보스위치전선를 구분하여 함께 고정시키는 돌출된 분할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경보스위치로 유도되는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스위치전선유도부는 경보스위치전선이 버클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로 경보스위치조립체에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조립체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조립체안착부는 홀센서조립체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홀센서조립체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스위치는 경보스위치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스위치안착부는 경보스위치고정구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경보스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KR1020090103129A 2009-10-29 2009-10-29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KR10114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29A KR101148167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PCT/KR2010/007470 WO2011053011A2 (en) 2009-10-29 2010-10-28 Buckle structure for seat bel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29A KR101148167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610A true KR20110046610A (ko) 2011-05-06
KR101148167B1 KR101148167B1 (ko) 2012-05-23

Family

ID=4392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129A KR101148167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8167B1 (ko)
WO (1) WO20110530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0330B (zh) * 2017-04-24 2019-05-21 王亮雄 上環織帶感測器
US10787150B2 (en) 2017-07-15 2020-09-29 Cts Corpora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belt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01B1 (ko) * 2002-09-18 2005-05-17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의 버클장치
KR100512931B1 (ko) * 2003-11-13 2005-09-07 찬 우 최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7100980B2 (en) * 2004-10-27 2006-09-0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vehicle occupant sensing system with a biasing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67B1 (ko) 2012-05-23
WO2011053011A3 (en) 2011-10-20
WO2011053011A2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2923B1 (en) Buckle, seatbelt reminder device using the buckle, and seatbelt device using the seatbelt reminder device
EP0562740A1 (en) Seat belt warning device
US7391310B2 (en) Seatbelt alarm device for vehicle
JP200702222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10583804B2 (en) Guide ring sensor
KR101148166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홀스위치
CN109109702B (zh) 车用座椅
US2012032648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KR101148167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US10618496B2 (en) Safety belt buckle
AU2012350346B2 (en) Remotely lockable seat belt buckle
KR20230118639A (ko) 안전벨트 장치
WO2018042395A1 (en) Kid alarm device suited to signal the presence of a child on a child car seat
EP2179898A1 (en) Occupant detection sensor, buckle, and seatbelt device
US20080088170A1 (en) Belt buckle holder of static type safety belt of construction equipment seat
KR100452781B1 (ko)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JP3112336U (ja) シートポジションセンサ
EP2080678A2 (en) Electronic mechanism for application in automotive vehicles to enforce the use of the safety seat belts
CA2757362A1 (en) Restraint system including a disengaged coupling apparatus indicator
WO2023204094A1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08860053B (zh) 上环织带感测器
KR100456556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버클
JP2008301950A (ja) バックル装置
KR19990032499A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20200002364U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