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323A -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323A
KR20110046323A KR1020100104335A KR20100104335A KR20110046323A KR 20110046323 A KR20110046323 A KR 20110046323A KR 1020100104335 A KR1020100104335 A KR 1020100104335A KR 20100104335 A KR20100104335 A KR 20100104335A KR 20110046323 A KR20110046323 A KR 2011004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ushion
kitchen utensils
skin
sk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406B1 (ko
Inventor
뤼도비크 빠스퀴니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1004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기구에 연결된 강성의 본체(2)와,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쿠션(10)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쿠션(10)은 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실리콘 스킨(11)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11)은 리셉터클을 형성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스킨(11)의 경도보다 작은 쇼어 경도를 갖는 중실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HANDLE WITH DEFORMABLE CUSHION FOR CULINARY ARTICLE}
본 발명은 포트, 프라이 팬 등과 같은 주방 기구(culinary article)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강성 구조체와 이런 강성 구조체에 오버몰딩된 삽입체를 갖는 손잡이가 유럽특허 0742083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삽입체는 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영역에서 강성 구조체에 배치된다. 이들 삽입체는 6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50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를 가진다.
이런 경도의 삽입체를 구비한 손잡이의 구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조작할 시에 사용자의 손 형태에 적절하게 적응되도록 요구되는 삽입체의 실질적인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다.
삽입체의 실질적인 변형을 위해서는, 삽입체의 쇼어 경도가 20보다 작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런 경도의 삽입체는 다른 주방용품 기구와의 충돌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또는 세정 패드 또는 세척기에 의한 응력으로 인해 빠르게 노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단점들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손 형태에 대해 손잡이 형상이 적응될 수 있도록, 보다 편안하면서도 최적의 인체공학적 주방 기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이 지나도 내구성을 갖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에 경제적이며 심플한 디자인을 갖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주방 기구에 연결되는 강성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쿠션 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주방 기구용 손잡이는 상기 쿠션이 손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실리콘 스킨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은 상기 스킨의 쇼어 경도보다 작은 중실 코어를 내장하는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다시 말해서, 쿠션의 스킨과, 연성 코어와, 강성 본체가 국부적으로 개재된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가 도출된다. 따라서, 손잡이를 파지하면, 스킨 및 코어는 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손 형태에 따라 손잡이 형상의 변화를 허용함으로써, 손잡이의 핸들링 및 편안함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스킨은 30 내지 60의 쇼어 경도, 바람직하게는 50의 쇼어 경도를 가진다.
이런 실리콘 스킨은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양호한 촉감 및 파지감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양호한 기계적 강도는 다른 주방용품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또는 세정 패드에 의한 스크래칭 또는 마모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3 내지 20의 쇼어 경도, 바람직하게는 5의 쇼어 경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2 내지 8 밀리미터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이런 제공은 1 밀리미터보다 큰 코어의 실질적 변형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손 형태에 따라 손잡이 형상의 변화를 허용함으로써 편안한 촉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스킨은 0.5 밀리미터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이는 스킨의 양호한 가요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양호한 강도를 보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션은 강성 본체의 외부면에 제공되는 수용 캐비티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은 파지함에 있어 도움이 되지 않는 돌기를 외부면에 야기하지 않는 손잡이를 제공한다. 또한, 쿠션이 손잡이의 캐비티에 매립식으로 장착되는 유형은 쿠션의 양호한 보유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쿠션은 접합에 의해 수용 캐비티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은 쿠션과 손잡이 사이에 밀접한 연결을 제공하여, 부착 영역에 물 또는 다른 오염물의 침투 및 잔류를 회피토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드의 스킨은 손과 접촉하게 되는 대체로 편평한 벽부와, 상기 편평한 벽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연 벽부를 가진다.
이런 제공은 쿠션의 스킨이 리셉터클 형태를 가지도록 허용하며, 코어의 액상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리셉터클에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드의 실리콘 스킨은 반투명하다.
이런 제공은 주방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잠재적인 충격에 대해 보호부로서 제공되는 스킨을 통해 코어의 색이 관망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쿠션을 나타내는 색은 시간이 흘러도 유지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션은 바닥 벽부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주방 기구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쿠션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쿠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 기구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1은 포트, 냄비, 또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 기구용 손잡이를 도시한다. 주방 기구와, 이런 주방 기구에 손잡이를 부착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손잡이(1)는 대체로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다란 본체(2)를 포함한다. 손잡이(1)의 본체(2)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와 같은 재료로 주조 성형된다. 본체(2)는 상측 전방부(4)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전방부는 손잡이를 파지할 시에 엄지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지 영역으로서의 쿠션(1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0)은 대체로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쿠션(10)은 실리콘 스킨(11)과 코어(12)를 포함한다.
쿠션(10)의 스킨(11)은 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편평한 타원형상의 벽부(13)와, 타원형상 안쪽으로 약간 리세스되거나 후퇴(set back)되고 상기 대체로 편평한 벽부(13)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연 벽부(14)를 포함한다. 주연 벽부(14)의 리세스된 위치는 대체로 편평한 벽부(13)의 주연에 립(lip; 15)을 형성한다. 실리콘 스킨(11)은 50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와 약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쿠션(10)의 스킨(11)은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한다. 쿠션(10)의 제조를 위해, 리셉터클에는 액상 실리콘이 충진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충진된 액상 실리콘이 경화되어 코어(12)를 형성할 것이다. 제조 목표는, 주연 벽부(14)의 높이에 의해 한정되는, 바람직하게는 5의 쇼어 경도와 약 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중실 코어(12)를 제조하는 것이다.
건조하는 동안, 액상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공기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며, 약간의 함몰부가 이의 중앙에 생성될 것이다. 코어(12)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유형의 액상 실리콘이 이런 함몰부에 충진되어 경화 처리 후에 편평한 바닥 벽부(16)를 형성한다.
전체가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이러한 쿠션(10)은 약 220℃의 저항 온도를 제공하며, 이 저항 온도는 약 230℃에 이르는 "베이클라이트®"의 손잡이의 본체(2)의 저항 온도에 근접한다. 사용시, 쿠션의 온도는 70℃ 미만이며, 손잡이의 양호한 내구성이 보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의 본체(2)는 본체의 상측 전방부(4)에서 엄지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지 영역에 캐비티(3)를 포함한다. 쿠션(10)은 접합(cementing)에 의해 캐비티(3)에 고정된다.
캐비티(3)는 액체 또는 다른 오염물이 침투할 수도 있는 자유 여유 공간을 남기지 않은 채 쿠션(10)의 외부 형상을 수납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외측 벽부(13) 쪽으로 단차진 립 섹션(15)은 손잡이의 본체(2)와 쿠션(10) 사이에 불규칙성 없이 평면 결합을 제공하여, 조립체의 수밀성(liquid tightness)을 강화시킨다.
캐비티(3)는 임의의 움직임(play)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쿠션의 바닥 벽부(16)를 수납하는 편평한 바닥부를 가진다. 따라서, 손가락에 의해 쿠션이 가압되는 동안, 스킨과 코어의 변형은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며, 트랩될(trapped) 수 있는 에어 버블의 변형과 같은 유형의 다른 무관한 변형이 이런 부드러운 촉감을 방해하지 않는다.
패드의 편평한 벽부(13)는 약 400 제곱 밀리미터의 표면적을 가지며, 이는 편안함을 위한 쿠션의 실제 변형과 양호한 파지감 사이에서 탁월한 절충을 제공한다. 이는 주방 기구를 파지하는 동안 손잡이 상의 엄지손가락의 지지 표면에 대략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12)의 실리콘은 유색이고, 실리콘 패드(10)의 스킨(11)은 반투명하다. 이는 코어의 보호를 보장하면서 코어(12)의 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닥 벽부(16)는 하얀색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코어(12)의 색을 시각적으로 그대로 유지한다. 실제로, 코어의 재료는 완전히 불투명하지 않으며, 이런 하얀색으로 처리된 바닥 벽부(16)는 손잡이의 본체(2)의 색이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을 정도로 코어(12)의 색으로 변화되어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손에 의한 보유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삽입체(8, 9)가 접합 또는 오버몰딩에 의해 손잡이의 본체(2)에 추가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8, 9)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으로 대체된다.
사용시, 사용자는 패드(10)에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위치시켜 손잡이를 파지한다. 손잡이를 파지하면, 엄지손가락에 의해 패드(10)에 가해지는 압력은 실리콘 스킨(11)과 코어(12)를 변형시키며, 이에 의해 손잡이의 안락성을 향상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냄비 또는 스튜 냄비용 손잡이(101)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런 유형의 주방 기구는, 하나는 오른쪽에 다른 하나는 왼쪽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손잡이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주방 기구의 상부 외측 부분에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손잡이(101)는 상측 부분을 갖는 본체(102)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부분은 손잡이(101)를 파지할 시에 엄지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지 표면에 배치되는 쿠션(110)을 포함한다. 쿠션(110)은 대체로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며, 손잡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는 동일한 우측 손잡이와 좌측 손잡이의 달성을 허용하는데, 쿠션의 한쪽 부분은 오른손잡이를 위해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수용하고 쿠션의 다른 한쪽 부분은 왼손잡이를 위해 왼쪽 엄지손가락을 수용한다.
쿠션(110)은 쿠션(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실리콘 스킨(111)과 코어(112)를 포함한다. 쿠션(110)의 스킨(111)은 손과 접촉하게 되는 대체로 편평한 벽부(113)와, 주연 벽부(114)를 포함한다. 쿠션은 바닥 벽부(116)를 가진다.
손잡이(101)의 본체(102)는 본체의 상측 부분에서 엄지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지 영역에 캐비티(103)를 포함한다. 패드(110)는 접합에 의해 캐비티(103)에 고정된다.
손에 의한 보유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삽입체(108)가 접합 또는 오버몰딩에 의해 본체(102)에 추가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로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특히 다양한 요소의 구성으로 또는 기술적 등가물로 대체함으로써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어는 손잡이의 본체에 오버몰딩될 수 있고, 손과 접촉하게 되는 스킨은 다른 오버몰딩 작업 또는 접합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0)

  1. 주방 기구용 손잡이(1, 101)이며,
    주방 기구에 연결된 강성 본체(2, 102)와,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쿠션(10, 110)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10, 110)은 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실리콘 스킨(11, 111)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11, 111)은 리셉터클을 형성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스킨(11, 111)의 경도보다 작은 쇼어 경도를 갖는 중실 코어(12, 112)를 포함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스킨(11, 111)은 30 내지 60의 쇼어 경도, 바람직하게는 50의 쇼어 경도를 가지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어(12, 112)는 3 내지 20의 쇼어 경도, 바람직하게는 5의 쇼어 경도를 가지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12, 112)는 2 내지 8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 ㎜의 두께를 가지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스킨(11, 111)은 0.5 밀리미터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쿠션(10, 110)은 강성 본체(2, 102)의 외부면에 제공된 리세스(3, 103)에 고정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쿠션(10, 110)은 접합에 의해 수용 캐비티(3, 103)에 배치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쿠션(10, 110)의 스킨(11, 111)은 손과 접촉하게 되는 대체로 편평한 벽부(13, 113)와, 상기 편평한 벽부(13, 113)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연 벽부(14, 114)를 가짐으로써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쿠션(10, 110)의 실리콘 스킨(11, 111)은 반투명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쿠션(10, 110)은 바닥 벽부(16, 116)를 포함하는,
    주방 기구용 손잡이.
KR1020100104335A 2009-10-27 2010-10-26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KR101265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5156A FR2951626B1 (fr) 2009-10-27 2009-10-27 Poignee d'article culinaire avec coussin deformable
FR0905156 2009-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323A true KR20110046323A (ko) 2011-05-04
KR101265406B1 KR101265406B1 (ko) 2013-05-16

Family

ID=4207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335A KR101265406B1 (ko) 2009-10-27 2010-10-26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94062A1 (ko)
EP (1) EP2316318B1 (ko)
JP (1) JP2011092711A (ko)
KR (1) KR101265406B1 (ko)
CN (1) CN102048467A (ko)
CA (1) CA2718629A1 (ko)
ES (1) ES2405683T3 (ko)
FR (1) FR2951626B1 (ko)
MX (1) MX2010011818A (ko)
RU (1) RU20101438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7783B1 (fr) * 2011-07-13 2014-03-14 Seb Sa Poignee amovible rechargeable
CN104739277B (zh) * 2015-03-16 2017-06-13 浙江诺维雅工贸有限公司 一种可拆卸手柄
USD924628S1 (en) * 2019-01-25 2021-07-13 La Termoplastic F.B.M. S.R.L. Handle for cookware
KR20210037271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US11660738B2 (en) * 2020-12-09 2023-05-30 Stanley Black & Decker, Inc. Ergonomic grip for striking tool
USD1021523S1 (en) * 2021-09-29 2024-04-09 Brumis Imports Inc. Handle for cookware
US11857115B1 (en) * 2022-12-14 2024-01-02 The Vollrath Company, L.L.C. Cookware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3245A1 (de) * 1995-04-07 1996-10-10 Leifheit Ag Handgriff für Küchenarbeitsgerät
US6230366B1 (en) * 2000-05-02 2001-05-15 Chang-Ming Lin Multicolored handle
US6698064B1 (en) * 2000-10-26 2004-03-02 Simon Graj Ergonomic handle
US6591456B2 (en) * 2001-07-09 2003-07-15 Bic Corporation Cushioning device
WO2003015588A2 (en) * 2001-08-13 2003-02-27 Willat Boyd I Deformable grip for a manual implement
US20030070259A1 (en) * 2001-10-15 2003-04-17 Brown William R. Elastomeric grips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7047591B2 (en) * 2002-09-20 2006-05-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234205B2 (en) * 2003-04-17 2007-06-26 Shedrain Corporation Pliable handle
US7930804B2 (en) * 2003-12-30 2011-04-26 Randall Cornfield Implement handle
CA2570981C (en) * 2004-06-22 2013-04-02 Willat Ergonomic Technologies, Llc Conformable pod for a manual implement
CN2798816Y (zh) * 2005-05-24 2006-07-26 福建融林塑胶五金实业有限公司 热变色硅胶手柄
JP2007144701A (ja) * 2005-11-25 2007-06-14 Pilot Corporation 筆記具の軸筒
WO2007076477A2 (en) * 2005-12-23 2007-07-05 Polyworks, Inc. Handle with soft gel cushioning member
CN2930999Y (zh) * 2006-05-18 2007-08-08 陈建宏 半柔性握柄
JP2009045880A (ja) * 2007-08-22 2009-03-05 Pilot Corporation 筆記具の軸筒
JP5134405B2 (ja) * 2008-03-17 2013-01-30 アスベル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CN201313301Y (zh) * 2008-12-21 2009-09-23 冯明 一种硅橡胶手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51626A1 (fr) 2011-04-29
EP2316318B1 (fr) 2013-04-03
JP2011092711A (ja) 2011-05-12
CA2718629A1 (fr) 2011-04-27
ES2405683T3 (es) 2013-06-03
FR2951626B1 (fr) 2012-11-16
CN102048467A (zh) 2011-05-11
RU2010143885A (ru) 2012-05-10
EP2316318A1 (fr) 2011-05-04
MX2010011818A (es) 2011-05-04
KR101265406B1 (ko) 2013-05-16
US20110094062A1 (en)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406B1 (ko) 변형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주방 기구용 손잡이
ES2207966T3 (es) Cucharas mejoradas para bebe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US8046876B2 (en) Cookware handle with compressible grip
USD648919S1 (en) Glove
US20120110787A1 (en) Implement handle with ergonomic grip providing rotational leverage
JP2009520606A (ja) グリップ
EP1051943B1 (en) Handle for a cooking vessel
WO2013130365A1 (en) Cookware handle with a soft grip
KR200465367Y1 (ko) 조리용 냄비
US20020153381A1 (en) Ergonomic handles and grips for beverage containers
CN201958648U (zh) 一种炊具手柄
KR20100010937U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CN207626887U (zh) 一种按摩功能的浴室防滑凳
TWM365766U (en) Flexible grip
KR100791808B1 (ko) 목욕 용구
TW201528226A (zh) 注射模擬件
JP2007050930A (ja) すべらない断熱容器
GB2415601A (en) An oven glove
KR20090010511U (ko) 개량 젓가락
JP3602521B2 (ja) 調理器における本体の把手構造
PL17959S2 (pl) Zestaw do mycia pod lóg
JPH11128082A (ja) 加熱調理容器の取手
JP6625506B2 (ja) 鍋取っ手カバー
KR200356276Y1 (ko) 장갑형 수세미
KR20080000470U (ko) 쌀 세정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