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297A -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297A
KR20110046297A KR1020100102966A KR20100102966A KR20110046297A KR 20110046297 A KR20110046297 A KR 20110046297A KR 1020100102966 A KR1020100102966 A KR 1020100102966A KR 20100102966 A KR20100102966 A KR 20100102966A KR 20110046297 A KR20110046297 A KR 2011004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de
housing
cartridge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890B1 (ko
Inventor
신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57Test elements dispensed from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3Devices therefor, e.g. test element readers, circui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센서(1)를 공급하기 위한 센서 카트리지(10)를 이용한다. 센서 카트리지(10)는, 복수개의 센서(1)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11)과,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구조는, 외부의 기기와,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하우징(11)은, 외부의 기기와 센서의 센서 전극이,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외부의 기기에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SENSOR CARTRIDGE AND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생체의 수치 정보의 취득에 이용되는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한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혈당치 등의 생체의 수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바이오 센서라고 불리는 소형의 분석용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센서는 일회용이며, 측정할 때마다, 계측 장치에 세팅된다. 그리고, 측정이 종료하면, 바이오 센서는, 측정 대상이 된 시료와 함께 폐기된다. 유저는, 다음의 측정 시에는, 새로운 바이오 센서를 계측 장치에 세팅한다.
또, 바이오 센서로서는, 일반적으로 전기 화학 측정 방식을 채용한 바이오 센서와, 비색 측정 방식을 채용한 바이오 센서가 있다. 이 중, 전기 화학 측정 방식을 채용한 바이오 센서(이하, 간단히 「바이오 센서」라고 한다)는, 통상, 내부에 시료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2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시료는, 모세관 현상 등을 이용하여, 이들 전극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또한, 각 전극은, 바이오 센서의 외면에 설치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저는, 바이오 센서를 계측 기기에 세팅할 때, 바이오 센서의 각 접속 단자를, 계측 기기의 대응하는 단자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이오 센서는 소형이므로, 특히 유저의 시력이 약한 경우에 있어서, 방향이 잘못 세팅되거나,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세팅되지 않거나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바이오 센서가 탑재된 센서 카트리지와, 그것을 구비한 계측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5357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281199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3-215086호 공보에서는, 센서 카트리지는, 계측 장치에 대해 바이오 센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센서 공급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다수의 바이오 센서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층된 상태로, 센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용기 내에 미리 수용되어 있다. 또, 바이오 센서를 수용한 센서 카트리지는, 계측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측정 시에, 센서 카트리지에 수용된 바이오 센서는, 1장씩, 계측 장치 내부의 아암에 의해 압출되어, 측정 위치에 배치된다. 또, 바이오 센서가 측정 위치에 배치되면, 측정 장치 내부의 전극이, 바이오 센서의 단자로 이동하고, 이것에 접속되어, 시료의 측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후, 바이오 센서 내에 시료가 공급되어, 측정이 행해진다. 또, 계측 장치의 표시 화면에는, 측정된 생체의 정보가 표시된다.
측정이 종료하면, 사용이 끝난 바이오 센서는 추출되어, 폐기된다. 그리고, 다음의 측정 시에는,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있는 미사용의 바이오 센서가, 새롭게 자동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5357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281199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3-215086호 공보에 개시된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를 이용하면, 유저는, 센서 카트리지를 세팅하는 것만으로, 복수회의 측정을 행할 수 있어,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0702호 공보에서는, 센서 카트리지는, 바이오 센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만, 단순한 공급 장치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가 계측 기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0702호 공보에 개시된 센서 카트리지에서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바이오 센서가 직렬로 배열되고, 이 중 선두의 바이오 센서만이, 센서 카트리지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다. 또, 센서 카트리지는, 배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측정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가, 센서 카트리지를 손으로 유지하면서, 그 선두에 위치하는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면, 이 바이오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측정 장치로 이송된다. 유저는, 측정이 종료하면, 센서 카트리지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조작하여, 사용이 끝난 바이오 센서를 압출한 후, 이것을 폐기한다. 또, 이 슬라이더 조작에 의해, 새로운 바이오 센서가 세팅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5357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281199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3-215086호 공보에 개시된 계측 장치에서는, 센서 카트리지 내의 바이오 센서를 송출하는 기구, 및 계측 장치의 전극을 바이오 센서의 접속 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기구와 같은 복잡한 기구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이들 문헌에 개시된 계측 장치에는,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또, 복잡한 기구를 가지므로,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또, 계측 장치의 전극과 바이오 센서의 단자의 접속은, 계측 장치의 전극을 아암 등에 의해 이동시켜 행하므로, 부품의 열화, 사용 환경, 제어 소프트의 버그 등에 의해, 아암 등의 위치 결정이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이 어긋난 경우는, 측정 오차가 커지거나, 측정 불가가 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안정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이오 센서는, 향후, 소형화가 예상되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위치 결정 정밀도는 높아지므로, 상기의 안정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는, 바이오 센서의 소형화에 의해 한층 현저해진다고 생각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0702호 공보에 개시된 센서 카트리지에서는, 바이오 센서를 송출하는 기구, 및 바이오 센서의 접속 단자와 센서 카트리지의 커넥터를 접속하는 기구는, 모두 단순하다. 따라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0702호 공보에 개시된 센서 카트리지를 이용하면, 제조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 안정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는, 해소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0702호 공보에 개시된 센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카트리지와 측정 장치를 배선 케이블로 접속할 필요가 있어, 유저에 있어서 취급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례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여, 센서의 취급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계측 장치에 있어서의 구조의 복잡화와 측정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센서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센서를 공급하기 위한 센서 카트리지로서,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과, 외부의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기에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특징에 의하면, 센서를 센서 카트리지의 하우징에 수용한 상태인 채로, 센서의 전극을 외부의 기기(예를 들면, 후술하는 계측 장치의 장치 본체 등)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센서 내에 시료를 도입할 수 있다. 또, 센서 카트리지는, 이 기기에 의해 유지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으로부터, 기기에 센서 카트리지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의 측정이 가능해지고, 유저에 있어서의 취급은 용이한 것이 된다. 또, 이상의 특징에 의하면, 센서 카트리지의 구조, 또한 외부의 기기의 구조를 종래에 비해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마다 전극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일렬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기기와, 상기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상기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하우징의 구조를 심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적층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상기 시료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기기와, 상기 최상층 또는 상기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양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센서의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의 일부에 압착되도록,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를 가압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센서 전극과 접속 구조의 접속을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접속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설치된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접속 구조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센서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도통로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도통로를 통해,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양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배선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과, 상기 기기에 접속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센서 카트리지의 소형화의 촉진이 용이해진다. 또, 이 양태에서는,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 및 상기 기기에 접속되는 전극 중, 한쪽 또는 양쪽이,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강고한 접속이 구축되므로, 접속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당해 센서 카트리지가, 송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출 기구는,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를 배출하며, 배출한 상기 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센서를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시키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사용이 끝난 센서를 간단히 배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센서를 간단히 세팅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 있어서의 취급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주면 상에 배치 가능한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송출 기구가, 상기 시트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한 상기 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센서를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에서, 거기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센서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센서에 적합한 검량선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기기측에서는, 적절한 검량선을 간단히 특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태에 의하면, 측정 정밀도의 향상 및 측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태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당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태여도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상기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양태여도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의 계측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의 수치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 장치로서, 상기 센서를 공급하는 센서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카트리지는,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에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센서 카트리지를 유지하였을 때에, 상기 접속 구조의 일부와 접촉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에 의하면, 센서의 취급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계측 장치에 있어서의 구조의 복잡화와 측정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분해 사시도에 의해 센서를 나타내며, 도 2(b)는 조립도에 의해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a) 및 (b)에 나타낸 센서를 센서 카트리지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에 구비된 송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 및 계측 장치(30)에 대해 도 1∼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분해 사시도에 의해 센서를 나타내며, 도 2(b)는 조립도에 의해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a) 및 (b)에 나타낸 센서를 센서 카트리지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에 구비된 송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는, 센서(1)를 계측 장치(도 4 참조)에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카트리지이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는, 센서 전극(5 및 6)과, 시료 도입구(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계측 장치(30)는, 센서(1)를 이용하여 생체의 수치 정보를 계측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계측 장치(30)는, 예를 들면, 혈당치 측정계, 젖산치 측정계, 케톤체 측정 장치, 지질(脂質) 측정 장치 등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카트리지(10)는, 복수개의 센서(1)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는 하우징(11)(도 3 참조)과,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1)의 시료 도입구(4)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구조는, 외부의 기기와, 센서 카트리지(10) 내의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센서 전극(도 2 및 도 3 참조)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외부의 기기는, 계측 장치(30)의 장치 본체(31)(도 5 참조)이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속 구조는, 하우징(11)의 외면에 설치된 배선(12)과,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전극(13)(도 4 참조)과,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14 및 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전극(13)은,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도 4에서는 전극(5)은 도시 생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내부 전극(13)은, 배선(15 및 14)을 통해, 배선(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센서 전극(6)에 접촉하는 내부 전극(13)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센서 전극(5)에 접촉하는 내부 전극(13)도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1)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설정된 개소는 열의 선두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전극(13)은,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장치(30)는, 센서 카트리지(10)와, 센서 카트리지(10)를 유지하는 장치 본체(31)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31)는, 센서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에 구비된 개구부(16)가, 장치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센서 카트리지(10)를 유지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1)는, 내부에 전극(32 및 3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전극(32)은, 장치 본체(31)가 센서 카트리지(10)를 유지하였을 때에, 그 배선(12)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3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에 대해서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계측 장치(30)에 대해서는, 장치 본체(31)의 일부만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1)에는,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34)과, 조작 버튼(3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1)를 센서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에 수용한 상태인 채로, 센서(1)의 전극(5 및 6)을 계측 장치(30)의 장치 본체(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센서(1) 내에 시료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 장치 본체(31)측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의 배선(12)과 접속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전극(32)을 배치해 두는 것만으로, 센서(1)와의 도통이 확보되어, 생체 정보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센서(1)의 취급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계측 장치(30)에 있어서의 구조의 복잡화와 측정의 불안정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 및 계측 장치(30)의 구성과, 본 실시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센서(1)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센서(1)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는, 센서 기판(2)과, 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기판(2)에는, 한쌍의 전극(5 및 6)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5)의 한쪽 끝과 전극(6)의 한쪽 끝의 사이에 시료(7)가 도입된다. 또한, 전극(5)의 다른쪽 끝과 전극(6)의 다른쪽 끝은, 센서 카트리지(10)의 내부 전극(13)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커버(3)는, 센서 기판(2)에 접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커버(3)에는, 홈(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와 센서 기판(2)이 접합되면, 홈(3a)에 의해 시료 도입구(4)가 형성된다. 또한, 센서(1)의 도 2에 나타낸 구조는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다른 구조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기판(2) 상의 시료(7)의 도입이 예정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 2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시료의 종류에 따라 시약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측 장치(30)가 혈당치 측정계이며, 시료가 혈액인 경우는, 시약으로서는, 혈액 중의 글루코오스와 반응하는 글루코오스 산화효소, 및, 글루코오스 탈수소산소가 이용된다. 또, 이들 효소와 전극의 사이에서, 전자의 수수를 행하는 목적으로, 메디에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메디에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전달 물질이 이용되며, 구체예로서, 루테늄 착체, 철 착체, 유기금속 착체 등이 이용된다.
시료가 혈액인 경우에, 전극(5)과 전극(6)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시료 중의 글루코오스가 효소에 의해 산화되고, 그에 의해 생긴 전자는, 메디에이터에 의해 전극으로 수송된다. 따라서, 전극(5)과 전극(6)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시료 중의 글루코오스량에 비례한다. 즉, 글루코오스량에 따라, 전극(5)과 전극(6)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치는 변화한다. 계측 장치(30)는, 내부 전극(13) 및 배선(12)을 통해, 이 전류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치를, 미리 작성되어 있는 검량선에 적용시켜 혈당치를 산출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의 배선(12)은, 장치 본체(31)와 접속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또, 배선(12)은, 금속의 박판 또는 박을 하우징(11)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또한, 증착 또는 도금 등에 의해 금속 재료를 성막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배선(12)의 일단은, 개구부(16)의 개구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배선(14)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14)은, 하우징(11)의 개구부(16)가 설치된 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15)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부(16)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배선(14)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전극(13)은, 배선(15)에 접속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배선(12)과 내부 전극(13)은, 하우징(11)의 외면에 형성된 배선(14)과 하우징(11)의 내면에 형성된 배선(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배선(14) 및 배선(15)도, 배선(12)과 동일하게, 금속의 박판 또는 박을 하우징(11)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또한, 증착 또는 도금 등에 의해 금속 재료를 성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속 구조를,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센서 카트리지(10)에 있어서의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내부 전극(13)은, 하우징(11) 내부의 천정측에 있는 배선(15)으로부터 바닥면(18)측으로(즉, 센서(1)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전극(13)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전극(13)은, 금속성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내부 전극(13)은, 개구부(16)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 전극(13)은, 센서(1)가 개구부(16)측으로 이송되어, 센서(1)의 커버(3)와 접촉하면, 센서(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센서(1)의 커버(3)가 내부 전극(13)을 통과하면, 내부 전극(13)은, 탄성력에 의해 전극(5 및 6)측으로 복원되어, 이들과 접촉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1)는,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바닥면(18) 상을 이동한다.
또,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는, 송출 기구(20)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센서(1)의 이동은, 송출 기구(20)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송출 기구(20)는, 설정된 개소(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를 배출한다. 또, 송출 기구(20)는, 배출한 센서(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센서, 즉, 열의 선두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1)를, 설정된 개소, 즉, 열의 선두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송출 기구(20)는, 압출 부재(21)와, 슬라이더(22)와, 한쌍의 레일(23a 및 23b)과, 하우징(11)에 설치된 홈(2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압출 부재(21)는, 열의 맨 끝의 센서(1)에 접촉하여, 센서(1)를 밀면서,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바닥면(18)(도 4 참조) 상을 이동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송출 기구(2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22)는, 압출 부재(2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슬라이더(22)를 홈(24)을 따라 이동시키면, 슬라이더(22)와 함께 압출 부재(21)도 이동한다. 그리고, 센서(1)는, 압출 부재(21)에 의해 밀려져, 센서(1)도 슬라이더(22)와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 결과,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는 하우징(11)의 바깥으로 압출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센서(1)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1)가 열의 선두에 위치하게 된다.
또, 레일(23a 및 23b)은, 센서의 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레일(23a와 23b)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열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23a와 23b)은, 열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슬라이더(22) 및 압출 부재(21)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레일(23a 및 23b)은, 설정된 개소(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를 제외한 각 센서(1)의 커버(3)의 상면과 접촉하고, 바닥면(18)과의 사이에서 센서(1)를 압착하고 있다.
이러한 레일(23a 및 23b)을 설치한 구조로 하면, 센서(1)의 열이 흐트러져 슬라이더(22)에 의한 이동에 걸림이 생겨, 센서(1)의 이동이 곤란해진다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송출 기구(20)에 의해, 사용이 끝난 센서(1)를 간단히 배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센서(1)를 간단히 세팅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도시 생략되지만, 송출 기구(20)에는, 센서(1)를 1개씩 송출하도록, 슬라이더(22)의 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구성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센서(1)가 배출되고, 다음의 센서(1)가 선두에 배치될 때의 슬라이더(22)의 위치에 맞추어, 홈(24)에 돌기 등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송출 기구(20)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송출 기구(20)로서는, 하우징(11)에, 복수개의 센서(1)를 주면 상에 배치 가능한 시트 부재를 설치해 두고, 이 시트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센서(1)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들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는, 하우징(11)의 외면에, 배선(12)과 별도로, 배선 패턴(17)을 구비하고 있다. 배선 패턴(17)은, 하우징(11)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센서(1)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배선 패턴(17)은, 배선(17a), 배선(17b), 및 배선(17c)를 구비하고, 이들에 의해, 수용되는 복수개의 센서(1)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계측 장치(30)는, 배선 패턴(17)에 의해 제시되어 있는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에서, 「센서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센서(1)에 적합한 검량선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계측 장치(30)는, 복수의 검량선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측 장치(30)에서는, 센서(1)의 제조 로트 등에 따라 검량선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미리, 배선 패턴의 각 종류와, 각 검량선을 연결시켜 두면, 계측 장치(30)는, 배선 패턴(17)을 검출함으로써,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측 장치(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33)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전극(33)은 1개밖에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복수개의 전극(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 장치(30)는, 복수개의 전극(33) 중, 배선 패턴(17)을 구성하는 배선과 접촉할 수 있었던 전극(33)의 개수를 검출함으로써, 배선 패턴(17)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배선 패턴(17)의 종류에 의거하여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측 장치(30)측에서는, 적절한 검량선을 간단히 특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 정밀도의 향상 및 측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1)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센서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의 내부에,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도 7에서는 센서 전극(5)은 도시 생략)이 내부 전극(13)에 압착되도록,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예에서는, 바닥면(18)의 개구부(16)측의 영역에 오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42) 내에는, 탄성체(4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40)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41)를 센서(1)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탄성체(40)는 코일 스프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판 스프링, 괴상(塊狀)의 고무 등이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면, 센서 전극(5 및 6)과 내부 전극(13)의 접속을 보다 한층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접속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변형예 2)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의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배선(12)은, 도통로(43)를 통해, 내부 전극(13)에 접속되어 있다. 도통로(43)는, 하우징(11)의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통로(43)는, 하우징(11)의 벽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관통구멍에 도전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또는 관통구멍의 벽면에 도전성의 막을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면, 배선(12)과 내부 전극(13)을 짧은 배선 거리로 접속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선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3)
다음에, 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의 변형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6)에 접속되는 전극(44)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44)은, 하우징(11)의 벽을 관통하는 도전성의 파이프 부재(44b)와, 도전성의 핀 부재(44a)와, 탄성체(44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파이프 부재(44b)는, 배선(12)에 접속되어 있다.
핀 부재(44a)는, 파이프 부재(44b)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파이프 부재(44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탄성체(44c)는, 그 탄성력에 의해, 핀 부재(44a)가 센서 전극(6)측으로 가압되도록, 파이프 부재(44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도시 생략되지만, 센서 전극(5)에 대응하는, 핀 부재(44a), 파이프 부재(44b), 탄성체(44c), 및 배선(12)도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의 예에서는,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은, 핀 부재(44a), 파이프 부재(44b)를 통해 배선(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핀 부재(44a)는, 탄성체(44c)의 탄성력에 의해, 센서 전극(5 및 6)에 압착되므로, 센서 전극(5 및 6)은, 핀 부재(44a) 및 파이프 부재(44b)를 통해, 확실하게 배선(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핀 부재(44a)는, 센서(1)의 교체 시에는, 핀 부재(44a)와 접속된 레버(도 9에서 도시 생략) 등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 도 9의 예에서는, 탄성체(44c)는 코일 스프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44c)는, 판 스프링, 괴상의 고무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계측 방법은, 도 1∼도 9에 나타낸 센서 카트리지(10) 및 계측 장치(30)를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계측 장치(30)에 센서 카트리지(10)를 부착하고, 센서 카트리지의 선두에 있는 센서(1)의 도입구(4)로부터 시료를 도입한다.
다음에, 계측 장치(30)의 장치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전극(32)으로부터, 센서 카트리지(10)의 배선(12), 배선(14), 배선(15), 및 내부 전극(13)(또는 전극(44))을 통해, 센서(1)의 센서 전극(5)과 센서 전극(6)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생체의 수치 정보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계측 장치(30)가 혈당치 측정계이면, 측정한 전류치를 검량선에 적용시켜, 혈당치를 산출한다.
그 후, 생체의 수치 정보의 산출에 사용된 센서(1)가 배출되고, 배출한 센서(1)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1)가 열의 선두에 위치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최초의 센서(1)에서의 측정 전에, 계측 장치(30)에서, 하우징(11)의 외면에 설치된 배선 패턴(17)에 의거하여, 적절한 검량선에 관한 정보의 취득이 행해지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검량선의 선택이 행해져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계측 장치(30)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측정 시마다 전극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센서(1)를 공급하는 센서 카트리지(10)는, 계측 장치(30)의 장치 본체(31)에 의해 유지되므로, 유저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센서(1)를 1개씩, 계측 장치(30)에 세팅하지 않아도 되므로, 센서(1)의 소형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센서 카트리지(10)의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배선(12)은, 센서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접촉 면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센서 카트리지(10)와 계측 장치(30)의 전극의 접속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 1은, 센서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복수개의 센서(1)가 일렬로 배치되고, 그리고,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에 의해 측정이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은, 복수개의 센서(1)를 복수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우징(11)의 개구부(16)는, 어느 하나의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시료 도입구(4)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내부 전극(13)은, 어느 하나의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50) 및 계측 장치(60)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장치(60)는, 센서 카트리지(50)와, 센서 카트리지(50)를 유지하는 장치 본체(6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장치 본체(61)는, 센서 카트리지(50)의 하우징(51)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64)를 구비하고, 커넥터(64)에 의해, 센서 카트리지(50)와의 전기적 접속과, 센서 카트리지(50)의 유지를 행하고 있다. 이하, 실시 형태 1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센서 카트리지(50) 및 계측 장치(6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서, 62는 표시 화면, 63은 조작 버튼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카트리지(50)의 하우징(5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도 1, 도 3, 도 4 참조)와 동일하게, 복수개의 센서(1)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지만, 이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하다. 또, 각 센서(1)는, 센서 기판(도 2(a) 및 (b) 참조) 및 센서 전극(6)을 관통하는 관통구멍(6a)과, 센서 기판(2) 및 센서 전극(5)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센서 전극(5) 및 그것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만, 센서 기판(2) 및 센서 전극(6)의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1)은, 장치 본체(61)의 커넥터(64)가 삽입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51)에서, 맨 끝에 위치하는 센서(1)측에는, 커넥터(64)를 삽입 가능한 개구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64)에는, 전극(6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51b는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나타내며, 51c는 하우징(51) 내부의 바닥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구조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10)와 달리, 하우징(51)의 외측에 배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 접속 구조는, 하우징(51) 내부에 설치된 내부 배선(52)과, 센서 전극(6)에 접속되는 전극(53)과, 커넥터(64)의 전극(65)에 접속되는 전극(54)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예에서는, 내부 배선(52)은, 하우징(51)에 있어서의 센서(1)의 아래쪽에 매설되어 있다. 또, 센서 전극(6)에 접속되는 전극(53)은, 도전성의 핀 부재(53a)와, 내부 배선(52)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파이프 부재(53b)와, 탄성체(53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파이프 부재(53b)는, 바닥면(51c)에 있어서의, 선두의 센서(1)의 관통구멍(6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바닥면(51c)의 법선 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다. 핀 부재(53a)는, 파이프 부재(53b)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형성되고, 파이프 부재(53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53c)는, 그 탄성력에 의해, 핀 부재(53a)가 센서 전극(6)측으로 가압되도록, 파이프 부재(53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61)의 전극(65)에 접속되는 전극(54)도, 도전성의 핀 부재(54a)와, 내부 배선(52)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파이프 부재(54b)와, 탄성체(54c)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 부재(54b)는, 바닥면(51c)에 있어서의, 커넥터(64)의 전극(6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바닥면(51c)의 법선 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다. 핀 부재(54a)는, 파이프 부재(54b)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형성되고, 파이프 부재(54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54c)는, 그 탄성력에 의해, 핀 부재(54a)가 커넥터(64)의 전극(65)측으로 가압되도록, 파이프 부재(54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1)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전극(53)에서, 핀 부재(53a)는, 센서(1)의 관통구멍(6a)을 관통하여, 센서 전극(6)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센서 전극(6)은, 핀 부재(53a), 파이프 부재(53b)를 통해, 내부 배선(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커넥터(64)가 하우징(51)의 개구부(51a)에 삽입되면, 전극(54)에서는, 핀 부재(54a)는, 커넥터(64)에 설치된 전극(65)에 접촉한다. 이 때, 핀 부재(54a)는, 탄성체(54c)에 의해 가압되므로, 핀 부재(54a)와 전극(65)의 전기적 접속은 확실한 것이 된다. 이 결과, 내부 배선(52)은, 파이프 부재(54b), 및 핀 부재(54a)를 통해, 전극(6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센서 카트리지(50)에 의해, 센서 전극(6)과 장치 본체(61)의 전극(65)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도 11에서는, 도시 생략되지만, 센서 카트리지(50)에는, 센서 전극(5)에 대응하는, 전극(53), 내부 배선(52), 및 전극(54)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카트리지(50)를 이용하면, 센서 전극(5)과 장치 본체(61)의 전극(65)에 대해서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효과 이외에, 본 실시 형태 2를 채용한 경우도,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 2에 의해, 계측 장치(60)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측정 시마다 전극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카트리지(50)는, 계측 장치(60)의 장치 본체(61)에 의해 유지되므로, 유저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 센서 카트리지(50)의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전극의 접촉 면적은, 센서(1)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센서(1)가 미소화해도, 센서 카트리지(50)와 장치 본체(61)의 전극(65)의 접속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 생략되지만, 하우징(51)에는, 핀 부재(53a)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레버와, 핀 부재(54a)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의 레버는, 센서(1)의 교체 시에 이용된다. 후자의 레버는, 커넥터(64)의 삽입 시에 이용된다. 또, 도 11의 예에서는, 탄성체(53c 및 54c) 각각은, 코일 스프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53c 및 54c)는, 판 스프링, 괴상의 고무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파이프 부재(53b 및 54b) 대신에, 내벽이 도전성의 재료로 피복된 구멍이 하우징(5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1)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50)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도 11의 예와 달리, 장치 본체(61)의 센서 카트리지(50)에 접속되는 전극(65)은, 커넥터(64)에서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센서 카트리지(50)에서, 접속 구조의 구성이, 도 11의 예와 상이하다.
도 12의 예에서도, 접속 구조는,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배선(55)과, 센서 전극(6)에 접속되는 전극(56)과, 커넥터(64)의 전극(65)에 접속되는 전극(57)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은, 센서(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내부 배선(55)은, 하우징(51)에 있어서의 센서(1)의 위쪽에 매설되어 있다.
또, 센서 전극(6)에 접속되는 전극(56)은, 도 11에 나타낸 전극(53 및 54)과 동일하게, 핀 부재(56a)와, 파이프 부재(56b), 탄성체(56c)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은, 센서 전극(6)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부재(56b)는, 센서 전극(6)의 위쪽의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매설되어 있다. 또, 핀 부재(56a)는, 파이프 부재(56b)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체(56c)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전극(6)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커넥터(64)의 전극(65)에 접속되는 전극(57)도, 도 11에 나타낸 전극(53 및 54)과 동일하게, 핀 부재(57a)와, 파이프 부재(57b)와, 탄성체(57c)를 구비하고 있다. 단, 이들도, 커넥터(64)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부재(57b)는, 커넥터(64)의 전극(65)의 위쪽의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매설되어 있다. 또, 핀 부재(57a)는, 파이프 부재(57b)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체(57c)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커넥터(64)의 전극(65)을 향해 가압된다.
따라서, 센서(1)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핀 부재(56a)는, 확실하게 센서 전극(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커넥터(64)가 하우징(51)의 개구부(51a)에 삽입되면, 핀 부재(57a)는, 확실하게 전극(65)에 접속된다. 그리고, 파이프 부재(56b)와 파이프 부재(57b)는, 내부 배선(5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의 예에서도, 센서 전극(6)과 장치 본체(61)의 전극(65)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도 12에서는, 도시 생략되지만, 센서 전극(5)에 대응하는, 전극(56), 내부 배선(55), 및 전극(57)도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 전극(5)과 장치 본체(61)의 전극(65)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예에는, 도시 생략되지만, 하우징(51)에는, 핀 부재(56a)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레버와, 핀 부재(57a)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의 레버는, 센서(1)의 교체 시에 이용된다. 후자의 레버는, 커넥터(64)의 삽입 시에 이용된다. 또, 도 12의 예에서도, 탄성체(56c 및 57c) 각각은, 코일 스프링 이외의 판 스프링, 괴상의 고무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도, 파이프 부재(56b 및 57b) 대신에, 내벽이 도전성의 재료로 피복된 구멍이 하우징(5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2)
다음에,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50)의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센서 카트리지(50)를 구성하는 하우징(51)의 내부에, 배선 패턴(58)이 설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 1과 동일하다. 이하, 변형예 1과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배선 패턴(5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배선 패턴(17)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배선 패턴(58)은, 배선 패턴(17)과 동일하게, 하우징(51)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센서(1)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로서 기능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배선 패턴(58)은, 배선(58a), 배선(58b) 및 배선(58c)을 구비하고, 이들에 의해, 수용되는 복수개의 센서(1)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또, 배선 패턴(58)을 구성하는, 배선(58a), 배선(58b) 및 배선(58c)은, 커넥터(64)의 위쪽의 전극(57)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커넥터(64)에 설치된 전극(66)과 접촉한다. 계측 장치(60)는, 전극(66)에 의해, 배선 패턴(58)이 제시하고 있는 「센서에 관한 정보」를 인식한다. 「센서에 관한 정보」로서는, 실시 형태 1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센서(1)에 적합한 검량선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예 2에 의하면, 계측 장치(60)측에서는, 적절한 검량선을 간단히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예 2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측정 정밀도의 향상 및 측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3)
다음에, 도 14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50)의 변형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센서 카트리지(50)를 구성하는 하우징(51)의 내부에, 실시 형태 1에서 도 7을 이용하여 나타낸 변형예 1과 동일하게,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 1과 동일하다.
요컨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51c)의 개구부(51b)측의 영역에 오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42) 내에는, 탄성체(4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40)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41)를 센서(1)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도 14의 예에서도, 도 7에 나타낸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과 동일하게, 센서 전극(5 및 6)(도 14에서 센서 전극(5)는 도시 생략)과 전극(56)의 접속을 한층 더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접속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변형예 4)
다음에, 도 1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50)의 변형예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센서 전극(5 및 6)에 접속되는 전극으로서, 실시 형태 1에서 도 8을 이용하여 나타낸 변형예 2와 동일하게, 내부 전극(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내부 전극(13)은, 도통로(43)를 통해, 내부 배선(55)에 접속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 1과 동일하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내부 전극(13)은,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전극(13)과 센서 전극(5 및 6)(도 15에서 센서 전극(5)은 도시 생략)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내부 전극(13)은, 센서(1)가 개구부(51b)측으로 이송되어, 센서(1)와 접촉하면, 센서(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변형된다. 그 후, 내부 전극(13)은, 탄성력에 의해 전극(5 및 6)측으로 복원되어, 이들과 접촉한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70) 및 계측 장치(80)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센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장치(80)는, 실시 형태 1 및 2에 나타낸 계측 장치와 동일하게, 센서 카트리지(70)와, 센서 카트리지(70)를 유지하는 장치 본체(81)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센서 카트리지(70)의 하우징(71)은, 실시 형태 1 및 2와 달리, 복수개의 센서(1)를 적층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71)의 내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센서(1)를 수납 가능한 공간(76)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공간(76)의 바닥면(76a)과 적층된 복수의 센서(1)의 사이에는, 탄성체(77)가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1)는, 탄성체(77)에 의해, 항상 위쪽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또, 적층된 복수의 센서(1)의 위쪽에는, 센서(1)를 1개씩, 하우징(71)에 설치된 개구부(79)측으로 송출하는 슬라이더(90)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더(90)는, 적층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을 따라 형성된 홈(91)(도 16 참조)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한다. 또, 슬라이더(90)에 있어서의 개구부(79)측의 반대측에는, 탄성체(92)가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90)는, 탄성체(92)에 의해, 항상, 개구측(79)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카트리지(70)에서, 유저가, 슬라이더(90)를 개구부(79)로부터 이간되도록 잡아당기면, 맨 위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1)는, 위쪽에 장해물이 없으므로, 탄성체(77)에 의해 밀려져, 개구부(79)와 슬라이더(90)의 사이로 이동한다. 이 때, 센서(1)는, 하우징(71)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71a)의 정상부와, 슬라이더(90)에 형성된 돌기(90a)의 하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유저가, 슬라이더(90)를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탄성체(92)의 탄성력에 의해, 센서(1)는, 슬라이더(90)와 함께, 개구부(79)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미, 개구부(79)측에 센서(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이 배치되어 있는 센서(1)는, 이동해 온 다음의 센서(1)에 의해 압출되어, 센서 카트리지(70)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또, 슬라이더(90)의 개구부(79)측으로의 이동은, 하우징(71)의 내부에 설치된 돌기(71a)에 의해 제한되므로, 슬라이더(90)에 의해 이동해 온 센서(1)는, 시료의 도입에 최적인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접속 구조는, 실시 형태 1에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접속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 구조는, 하우징(71)의 외면에 설치된 배선(72)과, 하우징(71)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전극(75)(도 17 참조)과,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73 및 74)을 구비하고 있다. 또, 내부 전극(75)은, 도 4에 나타낸 내부 전극(13)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최상층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도 17에서 센서 전극(5)은 도시 생략)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71)에는, 도 1에 나타낸 배선 패턴(17)과 동일한 배선 패턴(78)도 설치되어 있다. 배선 패턴(78)은, 배선(78a) 및 배선(78b)을 구비하고, 하우징(71)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센서(1)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서, 접속 구조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단,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계측 장치(80)의 장치 본체(81)는, 실시 형태 1과는 상이한 구성에 의해 센서 카트리지(70)를 유지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장치 본체(81)는, 센서 카트리지(70)의 단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센서 카트리지(70)를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81)는, 센서 카트리지(70)의 단부를 사이에 끼우는 협지부(挾持部)(84)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부(84)는, 센서 카트리지(70)에 배선(72)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제1 협지부(84a)와,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제2 협지부(84b)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협지부(84a)의 내측의 면에는, 배선(72)에 접촉하는 전극(85)과, 배선 패턴(78)의 배선에 접촉하는 전극(8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81)를 이용하면, 센서 카트리지(70)의 단부를 협지부(84)에 끼우는 것만으로, 센서 카트리지(70)와 장치 본체(81)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 계측 장치(80)는,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계측 장치(30)와 동일하게, 전극(85)을 통해 측정을 행하고, 또, 전극(86)을 통해 검량선의 선택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센서 카트리지(70)에 의해, 센서 전극(6)과 장치 본체(81)의 전극(85)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도 17에서는, 도시 생략되지만, 센서 카트리지(70)에는, 센서 전극(5)에 대응하는 접속 구조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카트리지(70)를 이용하면, 센서 전극(5)과 장치 본체(81)의 전극(85)에 대해서도,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효과 이외에, 본 실시 형태 3을 채용한 경우도,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 3에 의해, 계측 장치(80)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측정 시마다 전극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카트리지(70)는, 계측 장치(80)의 장치 본체(81)에 의해 유지되므로, 유저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 센서 카트리지(70)의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배선(72)의 접촉 면적은, 센서(1)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센서(1)가 미소화해도, 센서 카트리지(70)와 장치 본체(81)의 전극(85)의 접속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센서 카트리지(70)의 하우징(71)은, 최상층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1)로의 시료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내부 전극(75)은,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1)의 센서 전극(5 및 6)과 접촉한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서 「적층 방향」이란, 센서(1)를 구성하는 기판(2)의 두께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말한다(도 2 참조).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센서 카트리지(70)의 접속 구조는, 하우징(71)의 외면에 설치된 배선(72 및 73)과, 내면에 설치된 배선(74)을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접속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센서 카트리지(70)의 접속 구조는, 실시 형태 2에서 도 11∼도 15에 나타낸 접속 구조와 동일하게, 배선이, 하우징(71) 내부에 매설되고, 또한 하우징(7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의 경우, 장치 본체(81)에서는, 제1 협지부(84a)와 제2 협지부(84b)의 사이의 개소에, 하우징 내부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가 설치되어도 된다. 커넥터로서는, 도 10∼도 11에 나타낸 커넥터(64)를 들 수 있다. 또한, 하우징(71)의 외측에, 내부에 매설된 배선에 접속된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면, 장치 본체(81)로서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1∼실시 형태 3에서는, 센서로서, 도 2에 나타낸 센서(1)가 이용되고 있지만, 센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시료 도입구가, 센서의 위쪽에 설치된 센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가 이용되는 경우는, 센서 카트리지의 하우징에서는, 센서는 일부분이 노출되지 않고 배치된다. 그리고, 이 경우는, 예를 들면, 하우징의 상면에, 위쪽으로부터의 시료 도입구로의 시료의 적하가 가능해지도록 개구부가 설치된다.
이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 및 상세한 설명에는,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10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09-245817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된 모두를 여기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오 센서 등의 센서의 취급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계측 장치에 있어서의 구조의 복잡화와 측정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오 센서 등의 센서를 공급하기 위한 센서 카트리지, 이것을 이용한 계측 장치의 분야에 유용하다.

Claims (15)

  1. 센서를 공급하기 위한 센서 카트리지로서,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과,
    외부의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기에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일렬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기기와, 상기 열의 선두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상기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센서 카트리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적층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상기 시료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기기와, 상기 최상층 또는 상기 최하층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센서 카트리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의 일부에 압착되도록,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를 가압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설치된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도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도통로를 통해,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과, 상기 기기에 접속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센서 카트리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 및 상기 기기에 접속되는 전극 중, 한쪽 또는 양쪽이,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당해 센서 카트리지가, 송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출 기구는,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를 배출하며, 배출한 상기 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센서를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시키는, 센서 카트리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주면 상에 배치 가능한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송출 기구가, 상기 시트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한 상기 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센서를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시키는, 센서 카트리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거기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센서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센서 카트리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기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당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카트리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상기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센서 카트리지.
  15.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의 수치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 장치로서,
    상기 센서를 공급하는 센서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카트리지는,
    복수개의 상기 센서를 내부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로의 시료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가 구비하는 센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설정된 개소에 위치하는 센서의 상기 센서 전극이, 상기 접속 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에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센서 카트리지를 유지하였을 때에, 상기 접속 구조의 일부와 접촉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KR1020100102966A 2009-10-26 2010-10-21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KR101689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5817 2009-10-26
JP2009245817 2009-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297A true KR20110046297A (ko) 2011-05-04
KR101689890B1 KR101689890B1 (ko) 2016-12-26

Family

ID=4350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966A KR101689890B1 (ko) 2009-10-26 2010-10-21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4158B2 (ko)
EP (1) EP2315012B1 (ko)
JP (1) JP5635364B2 (ko)
KR (1) KR101689890B1 (ko)
CN (1) CN102053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0017B (zh) * 2011-08-05 2015-02-04 松下健康医疗控股株式会社 微生物数测定芯片及使用了该微生物数测定芯片的微生物数测定装置
JP6352814B2 (ja) * 2012-01-25 2018-07-04 セノバ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析物センサ
CN103364458A (zh) * 2012-04-01 2013-10-23 郡是株式会社 计测显示装置
KR20150030017A (ko) 2013-09-11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진단 장치
US10234414B2 (en) 2014-05-13 2019-03-19 Arkray, Inc.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easurement apparatus
EP2944949B1 (en) * 2014-05-13 2017-11-22 ARKRAY, Inc.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easurement apparatus
TWI642934B (zh) * 2017-01-25 2018-12-01 華廣生技股份有限公司 試片讀取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972A (ja) * 2001-04-18 2002-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オセンサシート、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および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US20070293790A1 (en) * 2004-11-29 2007-12-20 Gregor Bainczyk Diagnostic system for determining substance concentrations in liquid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3082A (ja) * 1987-11-02 1991-07-11 バイオロジクス・インク 携帯型血液化学測定装置
JP2510702Y2 (ja) 1989-12-07 1996-09-18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使い捨て型化学センサ
JP2500341Y2 (ja) * 1992-09-17 1996-06-05 吉彦 鈴木 血糖計
FR2701117B1 (fr) * 1993-02-04 1995-03-10 Asulab Sa Système de mesures électrochimiques à capteur multizones, et son application au dosage du glucose.
DE4427363A1 (de) * 1993-08-03 1995-03-09 A & D Co Ltd Chemischer Einmalsensor
FR2733745B1 (fr) * 1995-05-02 1997-07-04 Asulab Sa Appareil perfectionne destine a la ditribution de zones successives d'une bande consommable
JPH09184819A (ja) 1995-12-28 1997-07-15 Daikin Ind Ltd 濃度測定装置
JPH10253570A (ja) 1997-03-14 1998-09-25 Daikin Ind Ltd 濃度測定装置
JP4430195B2 (ja) 2000-03-30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測定システム
GB0017737D0 (en) 2000-07-20 2000-09-06 Hypoguard Limited Test device
JP2002196003A (ja) 2000-12-27 2002-07-10 Sankyo Co Ltd 血糖計
JP4570290B2 (ja) 2001-08-01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JP4618953B2 (ja) 2001-09-13 2011-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シート、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US6997343B2 (en) 2001-11-14 2006-02-14 Hypoguard Limited Sensor dispensing device
JP3954393B2 (ja) 2002-01-18 2007-08-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JP2003215085A (ja) * 2002-01-1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CA2419905C (en) 2002-03-18 2016-01-05 Bayer Healthcare, Llc Storage cartridge for biosensors
GB2388898B (en) 2002-04-02 2005-10-05 Inverness Medical Ltd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JP4439198B2 (ja) * 2002-04-19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JP4405967B2 (ja) * 2003-01-27 2010-01-27 テルモ株式会社 体液成分分析システム
US20040176704A1 (en) 2003-03-04 2004-09-09 Stevens Timothy A Collection device adapted to accept cartridge for point of care system
WO2006002432A1 (en) * 2004-06-24 2006-01-05 Bayer Healthcare Llc Cartridge and sensor-dispensing instrument
JP2006170974A (ja) * 2004-12-15 2006-06-29 F Hoffmann-La Roche Ag 分析試験エレメント上での液体試料の分析用分析システム
EP2988127B1 (en) 2006-02-27 2017-07-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asuring instrument for biosensor chip
US7918121B2 (en) * 2006-08-14 2011-04-05 Bayer Healthcare, Llc Meter system designed to run singulated test sensors
US7858046B2 (en) 2006-09-14 2010-12-28 Bayer Healthcare Llc Detachable test sensor container having a system for reducing coding errors
EP2088436B1 (en) 2006-11-06 2019-03-06 ARKRAY, Inc. Cartridge and analysis system
JP4095105B2 (ja) * 2007-03-09 2008-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JP2009245817A (ja) 2008-03-31 2009-10-22 Panasonic Corp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972A (ja) * 2001-04-18 2002-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オセンサシート、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および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US20070293790A1 (en) * 2004-11-29 2007-12-20 Gregor Bainczyk Diagnostic system for determining substance concentrations in liquid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3110B (zh) 2015-09-30
US20110094881A1 (en) 2011-04-28
EP2315012A3 (en) 2011-06-08
EP2315012A2 (en) 2011-04-27
US9034158B2 (en) 2015-05-19
JP2011117946A (ja) 2011-06-16
EP2315012B1 (en) 2015-02-18
JP5635364B2 (ja) 2014-12-03
KR101689890B1 (ko) 2016-12-26
CN102053110A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6297A (ko)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EP2147304B1 (en) No calibration analyte sensors and methods
US7993505B2 (en) In vitro analyte sensor and methods of use
CN101517402B (zh) 制造校准的分析物传感器的方法
EP1506310A1 (en) Biosensor
US20150276670A1 (en) Electrochemical biosensing meter, system and measuring method for analyte measurement incorporating filled sample detection
US8293194B2 (en) Analyzer
US20190376921A1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system
EP1739414B1 (en) Analy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313697B2 (en) Cartridge and analyzing system
TWI542872B (zh) 分析用具、其製造方法、及使用其之測定裝置
US10107808B2 (en) Biosensor, cartridge storing biosensor, measurement device using biosensor
EP4332560A1 (en) Measurement device
US20240077450A1 (en) Measur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