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017A - 휴대용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017A
KR20150030017A KR20130109190A KR20130109190A KR20150030017A KR 20150030017 A KR20150030017 A KR 20150030017A KR 20130109190 A KR20130109190 A KR 20130109190A KR 20130109190 A KR20130109190 A KR 20130109190A KR 20150030017 A KR20150030017 A KR 2015003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discharge
blood
stor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덕
정연무
김나희
박정제
윤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017A/ko
Priority to US14/244,421 priority patent/US9459227B2/en
Priority to EP14184399.5A priority patent/EP2848197A1/en
Publication of KR2015003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05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devices or blood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17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manually remo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단 장치는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고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장치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진단 장치{portable diagnostic test apparatus}
휴대용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채혈(採血)이란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 등을 위해서 사람 또는 동물로부터 혈액을 뽑아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채혈은 모세 혈관으로부터 소량의 혈액을 수집할 수도 있고,(소량 채혈) 정맥 또는 동맥으로부터 직접 혈액을 수집할 수도 있다.(대량 채혈) 소량 채혈의 경우 메스나 란세트, 각종 채혈 침을 이용하여 손가락 말단, 귓볼 등에 상처를 내고 상처를 통해 토출되는 혈액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대량 채혈의 경우 중심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의 바늘을 직접 정맥 또는 동맥에 삽입한 후, 기압 등을 이용하여 혈액을 추출함으로써 혈액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채혈을 통해 수집된 혈액을 분석하여 혈당량,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 등을 측정함으로써 사람 또는 동물의 건강, 질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수집된 혈액의 분석을 위해 소정의 진단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량의 측정을 위해서는 혈당계가 이용될 수 있고,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의 측정을 위해서는 고지혈증 진단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혈당계는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혈액 내의 포도당의 농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로, 예를 들어 환자의 혈액에 반응하는 스트립(strip) 상에 투여된 환자의 혈액을 이용하여 혈당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혈당계는 광도 측정법 또는 전기화학측정법을 이용하여 혈당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광도 측정법은 글루코오스가 효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색을 감지하여 혈당량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전기화학측정법은 글루코오스가 효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에 따라 발생한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기초로 혈액 내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높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하나의 장치로 복수의 측정 대상, 일례로 혈당,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을 측정 및/또는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
진단 장치는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고,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가 보관되는 채혈기 수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이 보관되는 채혈침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혈당,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전기 화학 측정 방식, 효소 발색 반응 검출 방식 또는 광학 측정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 가능하도록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버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적층 순서대로 밀어내어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의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하나의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잇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진단 장치는,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고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 및 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진단 장치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 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장치가 피봇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피봇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가 보관되는 채혈기 수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이 보관되는 채혈침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버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적층 순서대로 밀어내어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의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하나의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진단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진단 장치를 쉽고 편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진단 장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진단 장치에 의하면 진단용 전자 기기, 스트립, 채혈기, 채혈침 및 알콜솜 등 채혈 및 진단에 필요한 각종 용구들을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즉 환자들이 필요할 때마다 용이하게 각종 용구를 이용하여 혈당 등을 진단 및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진단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간단하게 혈당,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병원, 직장, 가정집에서 용이하게 자가 진단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진단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도 혈당,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과 같은 다양한 측정 대상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진단 항목의 진단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진단 장치에 의하면 작은 부피와 미려한 외관에 의하여 당뇨 환자 등이 주변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혈당 등의 측정 및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당뇨 환자 등임을 노출하기 꺼리는 사용자들의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5는 진단 장치의 본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진단 장치의 본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스트립 보관부의 하우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스트립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스트립 보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진단 장치의 스트립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진단 장치의 수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진단 장치의 수납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체부 및 수납부가 힌지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체부 및 수납부가 슬라이딩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체부 및 수납부가 피봇 부재에 의해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는 진단 장치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장치(1)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0) 및 수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또는 중성 지방의 농도 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프로세서(MCU)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의 프로세서는 전기 화학 측정 방식, 효소 발색 반응 검출 방식 또는 광학 측정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부(10)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2) 및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111 내지 1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12)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2)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 소정의 기호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디스플레이 부재 역시 표시부(12)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2)는 본체부(10)에서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획득된 측정 결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결과는 혈당일 수도 있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일 수도 있으며, 혈중 중성 지방 수치일 수도 있다. 또한 측정 결과는 혈중 알코올 농도일 수도 있다. 표시부는 측정된 값을 mg/dl 또는 mmol의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나 지시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는 진단 장치의 사용 방법이나 채혈 또는 채혈된 혈액을 이용한 측정에 필요한 각종 절차나 방법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측정 결과에 상응하는 진단 결과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대처 방법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표시부(12)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색 또는 다색으로 측정 결과, 각종 정보나 지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12)의 하단에는 입력 수단(111 내지 1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입력 수단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각종 버튼일 수 있다. 입력 수단, 일례로 각종 버튼(111 내지 114)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본체부(10) 내부의 설치된 중앙 처리 장치(MCU 등) 등으로 전달함으로써, 진단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의 각종 버튼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버튼(1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일 수 있다.
토출 버튼(111)은,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토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버튼(111)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조작되면,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도 7의 1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토출구(14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 버튼(111)이 조작되는 경우, 진단 장치(1)는 대기 모드(stand-by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됨으로써 측정 또는 측정을 위한 준비를 개시할 수도 있다.
만약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41, 142)가 복수인 경우라면, 토출 버튼(111)은 토출구(141, 142)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버튼(112 내지 114)는 진단에 필요한 각종 지시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112 내지 114)는 측정 및 진단에 필요한 각종 설정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은, 측정이나 측정 준비의 개시를 지시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을 조작하여 표시부(12)에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나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진단 장치(1)가, 예를 들어 진행 중인 측정 단계 또는 측정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112 내지 114)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은, 진단 장치(1)를 위하여 필요한 각종 지시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의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들은 진단 장치(1)의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조작 버튼(112 내지 114)을 조작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진단 장치(1)의 동작 상태 등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토출 버튼 및 조작 버튼(111 내지 114)가 본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토출 버튼 및 조작 버튼(111 내지 114)이 형성되는 위치는 본체부(10)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납부(2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체부(10)의 후면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는, 소정의 방법으로 수납부(20)를 개폐하는 덮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체부(10)와 수납부(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hinge)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모듈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피봇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체부(10)는 힌지, 슬라이딩 모듈, 피봇 부재 등을 이용하여 수납부(20)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와 수납부(20)는, 본체부(10) 및/또는 수납부(20)에 각각 형성된 홈 및 돌기 등과 같은 착탈이 가능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와 수납부(20)의 착탈을 통해 수납부(20)를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납부(20)는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 공간에는 각종 진단 용구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진단 용구는 예를 들어 메스나 채혈기, 각종 채혈 침 등과 같이 채혈 또는 측정에 필요한 각종 도구들일 수 있다. 수납부(20) 내측에 각종 진단 용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각종 진단 용구를 분실할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진단 용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수납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 또는 수납부(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양자가 모두가 조작되어 수납부(20)가 개폐될 수도 있다.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약 반응에 따른 스트립(30)의 발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광 신호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신호 측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소정의 빛을 출력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 및 감지 수단 모두 본체부(10) 또는 수납부(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광원 및 감지 수단 중 어느 하나는 본체부(1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수납부(2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감지 수단은 광원에서 조사되고 스트립을 투과하거나 또는 스트립에서 반사된 빛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스트립 보관부(15)에 보관된 스트립(30)이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이라면, 스트립에 투여된 혈액 내의 글루코오스나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에 따라서 스트립의 반응부가 발색하거나 또는 변색하게 된다. 측정 시 광 신호 측정 모듈의 광원은 발색 또는 변색된 반응부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고, 감지부는 반응부를 투과하거나 반응부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색상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도 측정 방식에 따라서 혈액 내의 혈당량 등의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0)는 본체부(10)를 보호하기 위한 측면 프레임(11)이 본체부(1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탄성력을 구비한 플라스틱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10)의 측면 프레임(11) 상에는 전원 버튼(115)이나 보조 버튼(11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원 버튼(115)이 조작되면 본체부(10) 내부의 각종 구성, 일례로 중앙 처리 장치나 메모리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본체부(10)가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원 버튼(115)은 본체부(10)를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부(1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41, 1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토출구(141, 142)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15)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41, 142)가 두 개인 경우, 각각의 토출구(141)에서 토출되는 스트립은 서로 상이한 스트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제1 토출구(141)로부터는 전기 화학 측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스트립이 토출되고, 다른 제2 토출구(142)로부터는 광학 측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스트립이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스트립 보관부(15)는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자 모두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41, 142)가 두 개인 경우, 스트립 보관부(15)는 각각의 토출구(141, 142)에 대응하여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토출구(141, 142)에 대응하는 스트립 보관부(15)는 서로 상이한 스트립을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출구(141)에 대응하는 스트립 보관부는 전기 화학 측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스트립을 토출하고, 제2 토출구(142)에 대응하는 스트립 보관부는 광학 측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스트립을 보관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하는 스트립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트립이 상응하는 토출구(141, 142)에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41)가 한 개인 경우에도 스트립 보관부(15)가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각각의 스트립 보관부(15)는 서로 상이한 스트립을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복수의 스트립 보관부(15)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에 보관된 스트립이 한 개의 토출구(141)를 통해 토출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토출구(141, 142)가 본체부(10)에 하나 또는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는 토출구(141, 14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3개 이상이 본체부(1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구(141, 142)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보관되는 스트립 보관부(15)는 토출구(141, 142)의 개수와 상응하게 개수로 진단 장치(1)의 일부, 일례로 본체부(10) 또는 수납부(2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진단 장치(1)에는 토출구(141)의 개수보다 더 많은 수의 스트립 보관부(15)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토출구(141)의 개수보다 더 적은 수의 스트립 보관부(15)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토출구(141)가 본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토출구(141)는 본체부(10) 외의 다른 부분, 일례로 수납부(2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토출구(141)가 수납부(20)에 형성된 경우 토출구(141)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보관되는 스트립 보관부(15) 역시 수납부(2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스트립 보관부(15)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양자 모두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토출구(141)는 본체부(10) 및 수납부(20) 모두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진단 장치의 본체부에 대해서 더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도 5는 진단 장치의 본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진단 장치의 본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이다.
본체부(10)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에 소정의 표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0)에 형성된 소정의 표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는 터치스크린부(13)일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13)는 소정의 터치 수단, 일례로 인체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이 그 표면에 접촉하면 접촉 위치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중앙 처리 유닛 등에 전달함으로써 진단 장치(1)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스크린부(13)는 소정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을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광학 센서를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종 버튼(111 내지 114)을 소정의 아이콘 등의 형태로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131 내지 134)를 터치함으로써 진단 장치(1)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도록 하거나, 진단에 필요한 각종 지시나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부(10)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 구역(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트립 보관 구역(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15)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립 보관 구역(14)은 내부에 스트립 보관부(15)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및 스트립 보관부(1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트립 보관 구역(14)에는 소정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구는 소정의 덮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소정의 삽입구는 스트립 보관부(15)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의 삽입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삽입하여 스트립 보관부(15)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안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트립 보관부(15)에 스트립을 보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스트립 보관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도 7은 스트립 보관부의 하우징 및 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7에서 거치대(153)가 형성된 부분은 스트립 보관부의 하부라고 칭하고,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이 형성된 부분은 스트립 보관부의 측면이라고 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보관부(15)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될 수 있는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 보관부(15)의 하우징(150)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면에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형상, 일례로 상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내측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소정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트립 보관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157)는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중 서로 대향하는 외벽(151 및 152, 155 및 159)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지 않는 외벽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중 적어도 하나의 외벽(일례로 155)의 높이를 다른 외벽(151, 152 및 159)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외벽(155)의 상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외벽(155)의 상단이 배출부(157)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도면 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중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구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157)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에는 외부, 일례로 스트립 보관 구역(14)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5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부(156)는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에 돌출된 돌기의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적층된 스트립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15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거치대(153)는 하우징(150)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거치대(153)가 설치된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거치대(1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우징(1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과 거치대(153) 사이의 간격은 제1 이동부(16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4)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54)의 한쪽 말단에는 삽입부(158)가 형성되어 제1 이동부(161)가 삽입되어 가이드부(15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5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진단 장치(1)의 설계자 또는 제조자는 개방된 하우징(150)의 상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하우징(150)이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구비하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1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외벽(151, 152, 155, 159) 각각의 형상이나 배치 형태에 따라서 하우징(150)의 전체적인 형상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스트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립(30)은 인간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검체의 혈액에 반응하여 혈액 내의 측정 대상, 일례로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또는 중성 지방의 농도를 농도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립(30)은 생물학적 물질을 분석하면서 발생된 생체 신호 또는 인식 반응을 전기화학, 광학, 전자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립(30)은, 예를 들어 전기 화학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일 수도 있고,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일 수도 있으며, 효소를 이용하는 스트립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립(30)의 종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혈당을 측정하려는 경우라면 전기 화학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경우라면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이나 효소를 이용하는 스트립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3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판(31) 및 하부판(32)이 서로 적층되어 부착된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만약 스트립(30)이 전기 화학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이라면, 상부판(31)의 일 말단에는 소정의 크기로 절개된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판(32)의 일 말단에는 제1 전극(3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전극(34)은 절개부(3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트립(30)은, 혈액이 스트립(30)에 투하되면 혈액 상에 존재하는 혈당,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제1 전극(34)을 통해서 외부, 특히 본체부(1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본체부(10)는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혈액 내의 혈당이나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표시부(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스트립(30)이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스트립이라면, 상술한 스트립(30)에는 상술한 전극(34) 등 대신에 혈액 내 글루코오스나 적혈구 등에 따라 반응하는 반응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반응부는 상부판(31) 및 하부판(3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부판(31) 또는 하부판(3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광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스트립에 투여된 혈액 내의 각종 요소에 의한 반응부의 색상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본체부(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본체부(1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혈액 내 글루코오스 등의 농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표시부(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스트립 보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트립 보관부(15)는 하우징(150) 외에 제1 이동부(161), 가이드바(162), 제1 이동부(161)에 연결되는 탄성체(163), 제2 전극(1621) 및 제2 이동부(164, 16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61)는 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15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161)는 하우징(150)에 적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이동하면서 밀어내어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배출부(157)로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이 배출부(1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161)는 하우징(150)에 적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 중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157)로 밀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은 적층 순서대로 배출부(157)로 밀어내어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161)는 이동부 몸체부(1611), 이동부 몸체부(1611)에서 하우징(15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612, 1613) 및 탄성체(163)가 연결될 수 있는 탄성체 연결부(16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 몸체부(1611)는 외부의 조작,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토출 버튼(111)의 가압 조작 등에 의해 동작하는 외부의 동력 등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 몸체부(1611)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수동 조작을 통해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부 몸체부(16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 방향(d), 즉 하우징(150)의 배출부(157)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부 몸체부(1611)는 별도로 형성된 가이드바(16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1612, 1613)은 이동부 몸체부(161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 삽입구(158)을 통해 하우징(150) 내부로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54)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1612, 1613)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54)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하우징(150) 내부의 스트립(30) 중 적어도 하나를 밀어서 배출부(157) 방향, 즉 도 9의 경우 우측 방향(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50) 내부의 스트립(30)은 돌출부(1612, 1613)의 미는 힘에 의해 이동하여 배출부(157)를 통해 하우징(15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1612, 1613)은 하우징(150)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만을 밀어서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만을 배출부(157)로 밀어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612, 1613)는 하우징(150)의 거치대(153) 상에 직접 접촉하여 거치되어 있거나 또는 거치대(153)와 가장 근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스트립(30)만을 밀어서 배출부(157)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돌출부(1612, 1613)가 복수의 스트립(30)을 밀어서 복수의 스트립(30)을 배출부(157)로 밀어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탄성체 연결부(1614)는, 이동부(161)의 이동 또는 이동 후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63)와 이동부(161)를 연결시켜, 이동부(161)가 탄성력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탄성체 연결부(1614)가 이동부(161)의 이동 방향(d)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바(162)는 이동부 몸체부(1611)가 적절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 몸체부(1611)를 가이드할 수 있다.
탄성체(163)는 탄성체 연결부(1614)를 통하여 제1 이동부(161)에 연결되고, 제1 이동부(160)가 이동하거나 또는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이동부(16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61)가 외부의 동력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방향(d)으로 이동했다고 하자. 이 경우 이동부(161)에 대한 외부의 동력 공급이 중단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동부(161)에 직접 인가한 힘을 제거한 경우, 이동부(161)는 탄성체(163)의 탄성력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탄성체(163)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pring)일 수도 있으나, 그 외 탄성력을 구비한 각종 부재, 일례로 고무 재질의 탄성체 등 역시 상술한 탄성체(163)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전극(162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57)의 방향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출부(157)를 통해 스트립(30)이 배출된 경우, 스트립(30)의 일 말단에 형성된 제1 전극(34)과 접촉하여 제1 전극(34)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극(162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극(1621)은 외형상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극(1621)은 이와 같이 굴곡된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제1 이동부(161)의 이동에 따라 스트립(30)이 이동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만약 스트립(30) 상부판(31)의 절개부(33)가 제2 전극(1621)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2 전극(1621)은 탄성력에 따라서 다시 도면의 상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전극(1621)은 제1 전극(34)과 접하게 되고, 따라서 제2 전극(1621)은 제1 전극(34)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2 이동부(164, 165)는 하우징(15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2 이동부(164, 165)는, 제1 이동부(161)가 하우징(150) 내부의 스트립(30)을 외부로 배출한 경우, 제1 이동부(161)가 새로운 스트립(30)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스트립(30)이 하우징(150)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된 스트립(30)은 상술한 거치대(153)에 거치되고, 제1 이동부(161)의 돌출부(1612, 1613)에 의해 밀려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이동부(164, 165)는 탄성력에 의해서 스트립(30)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스트립 보관부(15)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립 보관부(15)는 시약 반응에 따른 스트립(30)의 발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광 신호 측정 모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신호 측정 모듈은 광원과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과 감지 수단은 상술한 하우징(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트립 보관부(15)는 도 9 및 도 10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고,광 신호 측정 모듈을 이용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립 보관부(15)는 상술한 두 실시예가 모두 적용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두 실시예가 모두 적용된 경우 상술한 두 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스트립 보관부(15)는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부(10) 또는 수납부(20)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진단 장치의 스트립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 설명한 스트립 보관부(15)는 사용자의 토출 버튼(111) 조작 등에 따라서 제1 이동부(161)를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배출된 스트립(30)은 진단 장치(1)의 몸체부(10) 또는 수납부(20)에 형성된 토출구(141)를 통해 토출된다. 결과적으로 스트립 보관부(15)는 사용자가 상술한 토출 버튼(111)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조작하면, 자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30)을 진단 장치(1)의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자가 스트립(30)을 이용하여 혈당 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출된 스트립(30)에 소정의 혈액을 떨어뜨려 혈당이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스트립을 이용하여 혈당,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진단 장치의 수납부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진단 장치의 수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부(20)에는 채혈 및 진단에 필요한 각종 용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 공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 수납부(21), 채혈기 수납부(22) 및 알콜솜 수납부(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침 수납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35)을 수납할 수 있다.
채혈침(35)은 인체 등 피검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어 혈액이 상처 부위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채혈침 수납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35)을 보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35)이 내측에 고정되는 소정의 스트랩(strap) 및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35)이 안착되는 채혈침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스트랩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밴드일 수 있다. 한편 채혈침 안착부는 안착홈일 수도 있다. 소정의 스트랩과 채혈침 안착부는 채혈침이 수납부(20) 내에서 안정적으로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채혈기 수납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를 수납할 수 있다.
채혈기는 채혈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작은 창 구조의 용구를 의미한다.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채혈기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의 일 말단을 커버하는 캡(ca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에 의해 커버되는 몸체의 일 말단에는 채혈침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는 채혈침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채혈기의 몸체의 일 말단에 채혈침을 고정시키고 캡을 몸체에 결합한 후, 캡의 일 말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채혈침을 이용하여 인체의 일부, 일례로 손가락에 상처를 내어 채혈하도록 할 수 있다.
채혈기 수납부(22)는 채혈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 형상의 스트랩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탄성력에 따라서 고리 사이로 삽입된 채혈기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알콜솜 수납부(23)는 알콜솜(37)을 수납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술한 채혈침 수납부(21)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알콜솜(37)이 내측에 고정되는 소정의 스트랩 및 적어도 하나의 알콜솜(37)이 안착되는 알콜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진단 장치의 수납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진단 장치의 수납부(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침 수납부(24)는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35)을 고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hook)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침(35)은 고정 후크에 삽입 고정되어 수납부(20)에 수납될 수 있다.
동일하게 채혈기 수납부(25) 역시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36)를 고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는 고정 후크에 삽입 고정되어 수납부(20)에 수납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수납부(30)의 채혈침 수납부(21, 24) 및 채혈기 수납부(22, 25)가 동일한 방식으로 채혈침(35) 및 채혈기(36)을 고정하는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채혈침 수납부(21, 24) 및 채혈기 수납부(22, 25)는 동일한 방식으로 채혈침(35) 및 채혈기(36)을 고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채혈침 수납부(2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스트랩을 이용하고, 채혈기 수납부(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고정 후크를 이용하는 실시예 역시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수납부는 각종 금속 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종 수지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체부 및 수납부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4는 본체부 및 수납부가 힌지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 및 수납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41a, 41b)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부(10) 및 수납부(20)는 서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41a, 41b)에 의해 회동할 수 있으며, 본체부(10) 및/또는 수납부(20)의 회동에 따라 수납부(20)는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부(10) 및 수납부(20)가 사용자의 의도와 반대로 임의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본체부(10) 및 수납부(20)의 힌지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 소정의 체결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체부 및 수납부가 슬라이딩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및 수납부(20)는 슬라이딩 결합되어 본체부(10) 및 수납부(20)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적어도 하나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납부(20)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또는 수납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라이딩 부재(42a, 42b)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자(42a, 42b)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수납부(20) 또는 본체부(10)에는 슬라이딩 레일(42c, 42d)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부재(42a, 42b)는 슬라이딩 레일(42c, 42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 부재(42a, 42b)는 슬라이딩 레일(42c, 42d)를 따라 구르는 소정의 슬라이딩 바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체부 및 수납부가 피봇 부재에 의해 결합된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및 수납부(20)의 일부에는 피봇 부재(4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피봇 부재(43)는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양자 모두에 설치되어, 본체부(10) 및 수납부(20)가 피봇 부재(43)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및 수납부(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에 따라서 수납부(20)가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진단 장치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는 진단 장치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장치(1)가 힌지 결합된 몸체부(10) 및 수납부(20)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진단 장치(1)의 몸체부(10)나 수납부(20) 또는 몸체부(10) 및 수납부(2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납부(20)를 열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20)의 수납 공간에 마련된 채혈침(35) 및 채혈기(36)을 꺼내고, 채혈기의 캡(361)을 채혈기 몸체(362)로부터 분리시킨 뒤, 채혈기 몸체(362)의 일 말단에 채혈침(35)을 삽입 고정시켜, 채혈기 몸체(362)와 채혈침(35)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채혈기 몸체(362)의 일 말단에 캡(361)을 다시 결합한 후, 캡(361)의 말단에 손가락 등의 인체의 일부를 접촉시킨 후, 채혈기를 조작하여 캡(361)의 말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채혈침을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돌출되는 채혈침에 의해 손가락 등의 인체에 상처가 생기고 상처로부터 토출되는 혈액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혈액을 수집하기 전 또는 후에 진단 장치(1)의 외부에 형성된 토출 버튼(111)을 가압하고, 토출 버튼(111)의 가압에 따라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스트립(30)이 토출구(141)를 통해 토출된다. 사용자는 토출된 스트립(30)에 수집된 혈액을 묻힌다.
그러면 진단 장치(1)는 스트립(30)에 묻은 혈액을 기초로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또는 혈중 알콜 농도 등을 측정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결과를 표시부(12)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간단하게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또는 혈중 알콜 농도 등을 측정하고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한 스트립(30)은 사용 후 진단 장치(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스트립(30)을 스트립 토출구(141)로부터 강제로 인출하여 사용한 스트립(30)을 진단 장치(1)에서 제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진단 장치(1)에 설치된 스트립 이젝터(strip ejector)를 이용하여 스트립(30)을 스트립 토출부(141) 외부로 배출시켜 스트립(30)을 진단 장치(1)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1 : 진단 장치 10 : 본체부
11 : 측면프레임 12 : 표시부
13 : 터치스크린부 14: 스트립 보관 구역
15 : 스트립 보관부 20 : 수납부
21, 24 : 채혈침 수납부 22, 25 : 채혈기 수납부
23 : 알콜솜 보관부 30 : 스트립
31 : 상부판 32 : 하부판
33 : 절개부 34 : 제1 전극
35 : 채혈침 36 : 채혈기
37 : 알콜솜 41a, 41b : 힌지
42a, 42b : 슬라이딩 모듈 43 : 피봇 부재
111 : 토출 버튼 112 내지 114 : 조작 버튼
115 : 전원 버튼 141 : 토출구
150 : 하우징 151, 152, 155, 159 : 외벽
153 : 거치대 154 : 가이드부
156 : 결합부 157 : 배출부
158 : 이동부 삽입구 161 : 제1 이동부
162 : 가이드바 163 내지 165 : 탄성체
1621 : 제2 전극

Claims (34)

  1.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고,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가 보관되는 채혈기 수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이 보관되는 채혈침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혈당,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기 화학 측정 방식, 효소 발색 반응 검출 방식 또는 광학 측정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스크린 패널인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표시되는 진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가 설치되는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진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버튼이 형성된 진단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진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적층 순서대로 밀어내어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의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하나의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을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20. 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고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 및 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에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진단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피봇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진단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채혈기가 보관되는 채혈기 수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채혈침이 보관되는 채혈침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진단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버튼이 형성된 진단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적층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진단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적층 순서대로 밀어내어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의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하나의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배치된 스트립을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진단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동부가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을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보관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KR20130109190A 2013-09-11 2013-09-11 휴대용 진단 장치 KR20150030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190A KR20150030017A (ko) 2013-09-11 2013-09-11 휴대용 진단 장치
US14/244,421 US9459227B2 (en) 2013-09-11 2014-04-03 Portable diagnostic test apparatus
EP14184399.5A EP2848197A1 (en) 2013-09-11 2014-09-11 Portable diagnostic te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190A KR20150030017A (ko) 2013-09-11 2013-09-11 휴대용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017A true KR20150030017A (ko) 2015-03-19

Family

ID=5153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190A KR20150030017A (ko) 2013-09-11 2013-09-11 휴대용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59227B2 (ko)
EP (1) EP2848197A1 (ko)
KR (1) KR20150030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41B1 (ko) * 2016-06-09 2017-01-09 (주)큐브바이오 자체 광원을 이용한 판정환경 제어 윈도우를 갖는 암 진단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4380A1 (en) * 2016-06-10 2017-12-14 Carydean Enterprise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for analyzing an analyte
WO2020106536A1 (en) * 2018-11-20 2020-05-28 Xa Tek, Inc. Portable dielectric spectroscopy device
TWI718921B (zh) * 2020-04-07 2021-02-1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檢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2469B1 (en) 1998-11-09 2003-08-05 Lifestream Technologies, Inc. Health monitoring and diagnostic device and network-based health assessment and medical records maintenance system
US8137618B2 (en) 2004-08-18 2012-03-20 Abbott Laboratories Blood glucose monitoring kit
DE102004057503B4 (de) 2004-11-29 2013-11-21 Roche Diagnostics Gmbh Diagnosesystem zum Ermitteln von Stoffkonzentrationen in flüssigen Proben
WO2006065754A2 (en) 2004-12-13 2006-06-22 Bayer Healthcare Llc Sensor-dispensing instruments
DE202005005375U1 (de) 2005-04-03 2005-08-04 Stern, Hans-Jakob Kombinationsgerät "Handy/Blutzuckermessgerät"
US20100178703A1 (en) 2007-03-12 2010-07-15 Bayer Healthcare Llc Single-sensor meter system with no sensor handl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89890B1 (ko) 2009-10-26 2016-12-26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센서 카트리지 및 계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41B1 (ko) * 2016-06-09 2017-01-09 (주)큐브바이오 자체 광원을 이용한 판정환경 제어 윈도우를 갖는 암 진단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72406A1 (en) 2015-03-12
US9459227B2 (en) 2016-10-04
EP2848197A1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3129B2 (en) Easy insert finger sensor for transmission based spectroscopy sensor
CN101237815B (zh) 用于监测体液的集成测试系统
US7179233B2 (en) Compact structure of a new biosensor monitor
US8858467B2 (en) Lancing and analysis device
US8894933B2 (en) Portable handheld medical diagnostic devices
US20140364711A1 (en) All-in-one analyte sensor in a detachable external mobile device case
US20080032407A1 (en) Sensor dispensing instrument having a pull/push activation mechanism
KR101772174B1 (ko) 휴대용 소변 분석 장치
PL202808B1 (pl) Zintegrowany tester próbek płynu zwłaszcza krwi i płynu śródmiąższowego
KR20150030017A (ko) 휴대용 진단 장치
CN104887242A (zh) 分析物传感系统
CN104792994B (zh) 基于血糖管理的一体化连续式血糖仪
US20200305779A1 (en) Body fluid sampling element
JP4299675B2 (ja) 一体収納アダプタ
KR20140094931A (ko) 혈당 측정기
CN108354616B (zh) 血糖仪
US20210145363A1 (en) Measuring device
US9877677B2 (en) Integrated-testing system
CN103263270A (zh) 血糖仪
JP2001258867A (ja) 無侵襲生体検査用装置
JP2010233845A (ja) 成分測定装置
CN210354698U (zh) 血糖监测提醒装置
CN210982465U (zh) 一种检验科用血糖快速测定仪
KR101929689B1 (ko) 모바일 의료 장치의 포트 어셈블리
US9737254B2 (en) Personal medical testing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