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869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869A
KR20110045869A KR1020090102605A KR20090102605A KR20110045869A KR 20110045869 A KR20110045869 A KR 20110045869A KR 1020090102605 A KR1020090102605 A KR 1020090102605A KR 20090102605 A KR20090102605 A KR 20090102605A KR 20110045869 A KR20110045869 A KR 2011004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detection signal
power
comm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675B1 (ko
Inventor
주성용
이진형
우원명
이용주
정성범
이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675B1/ko
Priority to US12/906,193 priority patent/US8421929B2/en
Publication of KR2011004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를 포함하며, 전원회로부는, DC 전압을 승압시켜 전원회로부의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역률보정부와;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입력 받는 공통입력단자를 포함하고, 공통검출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여부에 대응하여 역률보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이 있는 경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브리지 다이오드, 션트 레귤레이터, 포토 커플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회로부의 이상 여부에 대한 검출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작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예컨대 SMPS와 같은 전원회로부를 구비한다. 전원회로부는 상용 전원인 AC전원을 입력 받아, 공급 대상에 필요한 레벨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다른 구성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회로부는 최대 유효전력을 얻기 위해 동작전원의 역률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률 보정은 PFC 회로를 이용하는데, PFC 회로는 역률 보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압 승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회로부는 전원회로부를 구성하는 구성부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각 구성부 마다 별도의 검출부를 두고 있다. 각 검출부는 각 구성부의 출력전압을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마이콤(Micom)에 이상신호를 제공하여, 마이콤에서 각 구성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검출부는 검출 대상이 많은 경우에는 해당 검출부를 계속해서 늘려야 하며, 마이콤도 입력단자가 늘어나게 되어 고비용의 마이콤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면적이 늘어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비단 디스플레이장치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전원구성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에서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회로부를 구성하는 구성부의 이상여부에 대한 공통검출신호를 제공하여 검출을 위한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하여 전원회로부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DC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전원회로부의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역률보정부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공통검출신 호를 입력 받는 공통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검출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역률보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역률보정부는, 상기 DC전압을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며, 검출부는, 상기 피드백부의 출력전압이 제1문턱값 보다 큰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부는, 상기 DC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압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압변환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동작전압이 제2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전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절감을 위한 대기모드 시에 출력되는 대기전압을 포함할 수 있고, 전원회로부는, 상기 AC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상기 A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파형이 아닌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검출되는 전압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검출신호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전압 레벨을 가지도록 동작하는 반도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DC 전압을 승압하여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복수 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검출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역률 보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역률 보정을 위해 피드백되는 상기 DC전압에 대한 피드백전압이 제1문턱값보다 큰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전압이 제2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전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절감을 위한 대기모드 시에 출력되는 대기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파형이 아닌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회로부의 구성부의 이상여부에 대한 공통된 검출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출력전압의 이상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마이콤에서 검출파트에서 출력하는 검출신호를 공통입력단자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어, 마이콤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이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1),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통신부(14), 사용자입력부(15), 저장부(16) 및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DTV신호, 케이블방송신호 등과 같은 방송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신호수신부(11)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호수신부(11)로 수신되는 신호는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신호, 데이터정보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는 하나의 신호를 통해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처리는, 디코딩, 이미지 인핸싱, 스케일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신호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은 LCD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LCD 패널, 패널구동부, 백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신호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장치(도시 안됨)와 통신을 수행한다. 혹은, 통신부(14)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장치(도시 안됨)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4)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상대방 통신장치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대방 통신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를 통해 상대방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정보에 맞는 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3)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리모컨, 조작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원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은 제어부(17)에 전달된다.
저장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의 데이터 내지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다른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제어프로그램인 펌웨어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CPU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3) 등과 같은 상기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회로부(18)는 상용 전원인 AC전원을 입력 받아, 이를 디스플레이부(13) 등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해당 구성에 공급한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 상, 전원회로부(18)로부터 디스플레이부(13) 등 각 구성으로의 전원 공급의 구체적인 경로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는 검출부(140)를 포함한다. 검출부(140)는 전원회로부(18)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 이상여부에 대한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원회로부(18)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원회로부(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100), 역률보정부(110), 피드백부(135), 검출부(140), 전압변환부(145) 및 마이콤(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00)는 입력되는 AC전압을 정류함으로써,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정류부(100)는, 예컨대 브리지 다이오드(200)로 구현될 수 있다.
역률보정부(110)는 정류부(100)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캐패시터(255)를 포함한다. 또한, 역률보정부(110)는 인덕터(210), 제1다이오드(230), 제1 FET(220) 및 PFC IC(285)를 더 포함한다. PFC IC(285)는 소정 듀티비로 제1 FET(220)를 스위칭시켜,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을 승압시킴으로써, 전원회로부(18)의 역률(power factor)을 향상시킨다.
평활캐패시터(255)에 전압이 충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 FET(220)이 턴 온 되면, 제1 다이오드(230)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인덕터(210)에 전류가 흐르면서 인덕터(210)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또한, 평활캐패시터(255)에는 인덕터(210)에 축적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이 승압되지 않는다.
반면, 제1 FET(220)가 턴 오프 되면, 제1 다이오드(230)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인덕터(210)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평활캐패시터(255)에 전달되어 평활캐패시터(255)에는 인덕터(210)의 에너지가 부가된다. 제1 FET(220)의 온타임에 대응하여 인덕터(210)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증가되므로, 이에 따라 평활캐패시터(255)에 저 장되는 에너지도 증가한다. PFC IC(285)는 제1 FET(220)의 온타임을 제어하여 인덕터(210)에 축적되는 에너지 및 평활캐패시터(255)에 저장되는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부(135)는 평활캐패시터(255)에 병렬 연결되는 제1 저항(272) 및 제2 저항(274)을 포함한다. 피드백부(135)는 역률보정부(110)의 동작을 위하여,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Vc)에 대한 피드백전압(V2;270)을 역률보정부(110)에 출력한다. 피드백전압(V2;2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Vc)을 제1 저항(272) 및 제2 저항(274)으로 분배한 전압, 즉, 제2 저항(274)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된다.
역률보정부(110)는 피드백부(135)에서 출력되는 피드백전압(V2;270)을 감지하여,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된 전압(Vc)의 레벨을 추정한다.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Vc)은 제1 저항(272) 및 제2 저항(274)의 저항값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Vc)은 390(V) 부터 400(V) 정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일, 평활캐패시터(255)의 전압(Vc) 상승을 방지해야 되는 경우 PFC IC(285)는, 제1 FET(220)의 온타임을 줄여서 인덕터(210)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평활캐패시터(255)의 전압(Vc)의 상승을 방지한다. 반면, 평활캐패시터(255)에 더 많은 전압이 충전될 필요가 있는 경우, PFC IC(285)는 제1 FET(220)의 온타임을 늘여서 인덕터(210)에 더 많은 에너지가 축적되도록 함으로써, 평활캐패시터(255)에 충전되는 전압(Vc)이 상승되도록 한다.
전압변환부(145)는 역률보정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c)의 레벨을 변환 하여 디스플레이부(13) 등에 동작전원(Vo)을 출력한다. 전압변환부(1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률보정부(1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변압부(278), 변압부(278)의 1차코일 측에 직렬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 FET(284), 제2 FET(284)를 스위칭시키는 제어IC(276), 변압부(278)의 2차코일 측에 마련되어, 출력되는 동작전원(Vo)을 정류하는 제4다이오드(280) 및 동작전원(Vo)의 레벨을 유지시켜 주는 제1 캐패시터(282)를 포함한다.
제어IC(276)는 동작전원(Vo)의 레벨이 소정 목표값에 이르도록 제2 FET(284)를 스위칭한다. 동작전원(Vo)은 디스플레이부(13)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서, 그 레벨은 동작전원(Vo)이 공급되는 구성에 대응한다. 예컨대, 제어부(17)에 해당하는 CPU 또는 마이컴과 같은 칩에 공급되는 동작전원(Vo)은 5V 정도일 수 있다. 동작전원(Vo)은 하나 혹은 2이상일 수도 있다. 동작전원(Vo)이 복수 개인 경우, 전압변환부(145)는, 각 동작전원(Vo)에 대응하여 변압부(278)의 2차코일, 제2다이오드(280) 및 제1 캐패시터(28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동작전원(Vo)의 레벨은 각각이 공급되는 대상에 대응하며,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을 표시하는 등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인 정상모드와, 정상모드가 아닌 상태로서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모드를 가진다. 역률보정부(110)는 대기모드 시에는 동작하지 않고, 정상모드 시에 동작할 수 있다.
검출부(140)는 전원회로부(18)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 된 복수의 지점의 전압의 이상여부에 대한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서는 AC전압, 역률보정부(110)의 출력전압(Vc) 및 전압변환부(145)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Vo;120)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검출부(140) 션트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265 및 277) 및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275 및 280)를 포함한다.
션트레귤레이터(265 및 277)는 입력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인 경우 턴온 된다. 포토커플러(275 및 280))는 발광부(175) 및 수광부(180)를 포함한다. 발광부(275)에 전류가 흐르면 빛이 발산되며, 수광부(280)는 발산된 빛을 수용하여, 수용되는 광량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 턴 온된다.
마이콤(130)은 전원회로부(1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마이콤(130)은 복수의 입력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검출부(140)에서 출력하는 공통검출신호는 공통입력단자를 통하여 공급받는다. 검출부(140)에서 전원회로부(18)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마이콤(130)은 역률보정부(11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의 검출부(140)가 AC전압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는 정격 입력전압이 설정되어 있다. 즉, AC 120(V) 또는 AC 230(V) 정도의 입력전압이 있는 경우 정상동작이 가능하다. 정격 AC 전압이 입력되면, 정류부(100)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한편, 검출부(140)는 AC 전압 출력단자의 일단에 제2 다이오드(296)와 제3 저항(290)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3 다이오드(298)와 제4 저항(294)이 연결된다. 또한, 제5 저항(292)의 일단은 제 3저항(290)과 제4 저항(294)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부에 연결된다.
AC 전압이 입력되면, 제5 저항(292)에는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V1;260)이 발생하며, 전압(V1;260)은 제1 션트레귤레이터(265)의 입력전압이 된다. 제1 캐패시터(300)는 전압(V1;260)의 레벨을 유지하며, 제1 션트레귤레이터(265)의 문턱전압은 정격 AC전압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입력되는 AC 전압이 정격AC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전압(V1;260)은 제1 션트 레귤레이터(265)의 문턱전압 보다 작으므로 제1 션트 레귤레이터(265)는 턴오프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션트레귤레이터(265)와 직렬연결된 발광부(275)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빛을 발산하지 않는다. 수광부(280)는 발광부(275)로부터 광을 제공받지 못하므로 턴오프되고, 전압(Vde;250)는 전압(Vo)와 직력열결되므로 검출부(140)는 전압(Vo)와 동일한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Vo)는 전압변환부(145)의 출력되는 동작전압으로서 5(V)로 한다.
전압(Vde;250)가 5(V)가 되므로, 마이콤(130)의 입력단자(A/D port;304)에는 하이(High) 신호가 입력(I)된다. 마이콤(130)은 하이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단자(I/O port;306)를 통하여 PFC IC(285)에 오프신호를 공급하고 역률보정부(110)가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정격 AC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전압(V1;260)이 제1 션트 레귤레이 터(265)의 문턱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동작하지만, 문턱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 션트 레귤레이터(265)가 턴온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발광부(275)의 일단은 전압(Vcc) 및 제6 저항(308)과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므로 발광부(275)는 전류가 흘러 광을 발산한다. 발산부(275)에서 광을 발산하면, 수광부(280)는 광을 수용하므로 턴온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압(Vde;250)는 접지단과 연결되므로 마이콤(130)의 입력단자에는 로우(Low) 신호가 입력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마이콤(130)의 입력단자(A/D port;304)에는 하이신호와 로우신호가 반복되는 펄스신호가 공급된다. 즉, 입력된 AC 전압이 기 설정된 파형인 경우, 마이콤(130)에는 펄스신호가 공급된다. 마이콤(130)은 소정의 시간동안 펄스신호가 입력되면(II), 정격 AC 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단자(I/O port;306)를 통하여 PFC IC(285)에 온 신호를 공급하고 역률보정부(110)가 동작을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0)의 검출부(140)가 역률보정부(110)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정의 시간동안 검출부(140)로부터 마이콤(130)에 입력되는 검출신호가 펄스신호인 경우(I), 마이콤(130)은 정격 AC 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PFC IC(285)에 온 신호를 공급하여 역률보정부(110)가 동작 하도록 한다.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면, 평활캐패시터(255)에는 에너지가 저장되고(II), 평활캐패시터(255)가 완전히 충전되면, 전압(Vc)는 390(V) 부터 400(V) 사이에서 유지(III)된다.
한편, 피드백 전압(V2;270)는 제2 션트레귤레이터(277)의 입력전압이 되고, 제2 캐패시터(302)는 전압(V2;270)의 레벨을 유지한다. 제2 션트레귤레이터(277)의 문턱전압은 전압(Vc)가 400(V) 정도 되는 경우의 전압(V2;270)의 레벨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전압(Vc)가 400(V)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압(V2;270)는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의 문턱전압 보다 작으므로,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는 턴오프 된다. 따라서, 마이콤(130)의 입력단자(A/D port)에는 AC 전압에 따라 온/오프 되는 포토커플러(275 및 280)에 의해 하이상태와 로우상태가 반복되는 펄스신호가 입력된다.
반면, 전압(Vc)가 400(V)를 초과하게 되면(IV), 전압(V2;270)의 크기가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의 문턱전압 보다 커지므로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는 턴온된다.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가 턴온되면 발광부(275)는 전류가 흘러 빛을 발산하고, 수광부(280)는 광을 수용하여 턴온된다. 수광부(280)가 턴온되면, 전압(Vde;250) 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므로 마이콤(130)에는 로우신호가 공급된다.
마이콤(130)에 로우신호가 계속해서 공급되면, 마이콤(130)은 평활캐패시터(255)에 과전압이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고, PFC IC(285)에 오프신호를 공급하여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지 않으면, 평활캐패시터(255)는 방전되어 전압(Vc)는 400(V) 이하로 감압된다.
전압(Vc)가 감압되어 전압(V2;270)의 레벨이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의 문턱전압 보다 작아지면,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는 턴오프 된다. 제2 션트 레귤레이터(275)가 턴오프되면, 전압(Vde;250)는 AC전압에 따라 하이상태와 로우상태를 반복하며, 마이콤(130)에는 펄스신호가 다시 공급된다. 마이콤(130)에 소정의 시간 동안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콤(130)은 PFC IC(285)에 하이신호를 공급하여 다시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도록 한다.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면, 평활캐패시터(255) 에는 에너지가 다시 저장되고, 전압(Vc)가 400(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의 검출부(140)가 전압변환부(145)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C 전압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파워를 온 하기 전에도 마이콤(130)등에는 5(V) 정도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는 대기전압으로서,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파워를 온하면, 마이콤(130)은 바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18)의 구성부가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전압변환부(145)의 출력전압, 즉, 동작전압(Vo)가 5(V)인 경우, 마이콤(130)에 공급되는 검출신호는 하이상태에서는 5(V)가 되고, 로우상태에서는 0(V)가 된다. 따라서, 마이콤(130)은 전압 레벨이5(V)와 0(V)가 반복되는 펄스신호가 입력(I)되면, 정상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압변환부(145)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압(Vo;120)의 레벨은 5(V)가 아닌 3(V)가 될 수 있다. 여기서, 3(V)는 문턱 전압으로서, 5(V) 보다 작은 다른 전원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마이콤(130)에 공급되는 신호는 하이상태와 로우상태를 반복하는 펄스신호이지만, 하이상태에서의 신호의 레벨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콤(130)은 하이상태에서 신호의 레벨이 정상인 경우에 비해 하강한 것으로 판단되면, PFC IC(285)에 오프신호를 공급하여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출부(140)가 동작하면, 입력 AC 전압이 정격 전압인지 여부, PFC 회로의 평활캐패시터(255)에 과전압이 충전되었는지 여부, 전압변환부(145)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여 하나의 공통된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마이콤(130)은 공통된 검출신호를 공통입력단자를 통하여 제공받아,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PFC IC(285)에 오프신호를 공급하여 역률보정부(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전원회로부(18)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AC 전압이 입력되면, 정류부(100)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전압변환부(145)는 DC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동작전압(Vo;120)을 공급한다.
AC 전압이 정격전압인 경우, 역률보정부(110)는 전원회로부(18)의 역률을 보정한다(600). 검출부(140)는 AC전압, 역률보정부(110)의 출력전압(Vc) 및 전압변환부(145)의 출력되는 동작전압(Vo;120)을 검출하여(610)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한다(620). 마이콤(130)은 공통된 입력단자로 공통검출신호를 공급받아 역률보정부(110)의 동작여부를 제어한다. 검출부(140)에서 AC전압, 역률보정부(110)의 출력전압(Vc) 및 전압변환부(145)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Vo;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이 있다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경우(630의 Yes) 마이콤(130)은 역률보정부(11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640). 검출된 전압에 이상이 없는 경우(630의 No) 마이콤(130)은 역률보정부(110)가 역률 보정을 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회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의 검출부가 AC전압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의 검출부가 역률보정부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의 검출부가 전압변환부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회로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통신부
15: 사용자 입력부 16: 저장부
17: 제어부 18: 전원회로부

Claims (11)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DC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전원회로부의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역률보정부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입력 받는 공통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검출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역률보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보정부는, 상기 DC전압을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피드백부의 출력전압이 제1문턱값 보다 큰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DC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압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압변환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동작전압이 제2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절감을 위한 대기모드 시에 출력되는 대기전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AC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상기 A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파형이 아닌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검출되는 전압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검출신호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전압 레벨을 가지도록 동작하는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AC 전압으로부터 얻어진 DC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DC 전압을 승압하여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복수의 지점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검출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지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역률 보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역률 보정을 위해 피드백되는 상기 DC전압에 대한 피드백전압이 제1문턱값보다 큰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전압이 제2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절감을 위한 대기모드 시에 출력되는 대기전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파형이 아닌 경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공통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방법.
KR1020090102605A 2009-10-28 2009-10-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10153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05A KR101538675B1 (ko) 2009-10-28 2009-10-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12/906,193 US8421929B2 (en) 2009-10-28 2010-10-18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05A KR101538675B1 (ko) 2009-10-28 2009-10-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69A true KR20110045869A (ko) 2011-05-04
KR101538675B1 KR101538675B1 (ko) 2015-07-22

Family

ID=438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05A KR101538675B1 (ko) 2009-10-28 2009-10-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1929B2 (ko)
KR (1) KR101538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80A1 (ko) * 2018-03-05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494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742624B1 (en) * 2010-12-27 2014-06-03 Juniper Networks, Inc. N+1 power supply system upgrade using dual output power supplies
US9065327B2 (en) * 2011-02-08 2015-06-23 Lear Corporation Efficiency optimized power converter with dual voltage power factor correction
KR102083301B1 (ko) 2013-06-12 2020-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부, 그 전원공급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CN103944409B (zh) * 2014-04-17 2016-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变频器的控制方法、设备和系统
CN206743466U (zh) * 2017-04-14 2017-12-12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电压自适应供电电路及机顶盒
US10811185B2 (en) * 2018-09-13 2020-10-20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Saturation prevention of current transformer
US10608552B1 (en) * 2018-11-13 2020-03-3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Transistor protection in a boost circuit using surg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549A (en) * 1994-09-20 1997-02-04 Astec International, Ltd. Power factor corrected electrical power converter
KR19990035769U (ko) * 1998-02-09 1999-09-15 윤종용 역률 보정 회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US6956336B2 (en) * 2002-07-22 2005-10-1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Single chip ballast control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US6847195B2 (en) * 2002-08-07 2005-01-25 Skynet Electronic Co., Ltd. Auxiliary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or having self-power supplying and zero current detection mechanisms
JP3801184B2 (ja) * 2004-05-07 2006-07-2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553763B1 (ko) * 2004-05-31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095215B2 (en) * 2004-06-04 2006-08-22 Astec International Limited Real-time voltage detection and protection circuit for PFC boost converters
KR100594425B1 (ko) * 2004-12-28 2006-06-30 주식회사 미디어테크놀로지 고압방전등의 안정기회로
US20070139984A1 (en) * 2005-12-20 2007-06-21 Yu-Kang Lo Resonant conver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with a very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KR20080047866A (ko) * 2006-11-27 2008-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전원 장치
US7495875B2 (en) * 2007-06-05 2009-02-24 Fsp Technology Inc. Power abnormal protection circuit
KR100946437B1 (ko) 2007-09-10 2010-03-10 한국전기연구원 저손실 대기모드를 갖는 스위칭 전원장치
US7626372B2 (en) * 2007-10-04 2009-12-01 System General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multi-phase, multi-channels PFC converter with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US20090168469A1 (en) * 2007-12-28 2009-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low cost fault-tolerant power supply
JP5163283B2 (ja) * 2008-05-22 2013-03-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力率改善回路
KR100904299B1 (ko) * 2008-11-03 2009-06-25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US8405372B2 (en) * 2008-12-10 2013-03-26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wer factor correction (PFC) compatible solution for nonsinusoid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80A1 (ko) * 2018-03-05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05354A (ko) * 2018-03-05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63959B2 (en) 2018-03-05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voltage of a display device to normally display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6242A1 (en) 2011-04-28
KR101538675B1 (ko) 2015-07-22
US8421929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6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101772237B1 (ko) 전원 제어 장치, 전원 시스템 및 전자 기기
JP6433652B2 (ja) 電源装置及び電気機器
US8693216B2 (en) Switch control device,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switch control method
US8363428B2 (en) Adapter power supply having variable switching mode
US2008029170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5905689B2 (ja) 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70120419A (ko)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US906534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2017034961A (ja) 多出力型dc−dcコンバータ
KR2011004493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2006002347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21419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JP6249167B2 (ja) Led点灯装置及びled照明装置
US7541691B2 (en) Standby power supply apparatus
US9531285B2 (en) PFC power system with power managed main and standby voltage outputs
US892302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having shunt regulator with switchable gain
KR100636550B1 (ko) 프리 볼테이지 방식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EP3079244B1 (en) Power supply system
JP200806758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921326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030407B1 (ko) 어댑터 전원 장치
KR20170064385A (ko)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384205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