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494A -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494A
KR20120016494A KR1020100078897A KR20100078897A KR20120016494A KR 20120016494 A KR20120016494 A KR 20120016494A KR 1020100078897 A KR1020100078897 A KR 1020100078897A KR 20100078897 A KR20100078897 A KR 20100078897A KR 20120016494 A KR20120016494 A KR 2012001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resistors
current
comm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순
강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6494A/ko
Priority to EP11173872A priority patent/EP2420991A1/en
Priority to US13/185,947 priority patent/US8680786B2/en
Publication of KR2012001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3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amplitud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복수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저항의 조합 상태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류를 백라이트 유닛에 제공하는 공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력 전류의 조정이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용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되어, 제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USE OF POWER SUPPLY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출력 전류를 가변할 수 있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작게는 MP3 플레이어에 구비되는 것에서 대형 광고판에 이용되는 것까지, 응용범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응용장치에서 요구되는 크기 역시 다양할수 밖에 없다. 가정마다 구비하고 있는 TV만 생각해도, 종래에는 일정 크기를 벗어나지 못했던 반면, 최근 TV 생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영화관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크기의 TV까지 생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와 더불어 화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 중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가 크게 이용되고 있으며, LCD 장치에서 영상 출력을 가능케 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BLU)을 구성하는 광원 역시 점차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전력 소비가 작고 균질한 광을 입사할 수 있는 광원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최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주목받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구성이나 크기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크기 역시, 그 크기나 구성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인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는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나 구성에 따라서, 출력 전류를 달리 설정해서 장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하나의 SMPS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출력 전류를 공급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복수의 SMPS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하여 장착하는 방법을 택해왔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서 상이한 SMPS를 사용하여야 하고, 모두 수동으로 처리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력 낭비, 생산성의 저하 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어 왔다.
특히,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량으로 생산되는 요즘에 있어서는, 각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출력 전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전류를 쉽게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상이한 방식으로 조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회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공용 전원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회로부는, 전압원; 상기 전압원의 양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저항; 및 상기 전압원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 노드는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를 백라이트 유닛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커넥터부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복수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의 조합 상태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류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제공하는 공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의 조합 상태는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저항 간의 연결 노드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항 간의 조합 상태는, 상기 복수의 연결 포인트 간의 연결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적어도 세 개의 저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은, 백라이트 유닛에 전류를 제공하는 공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용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를 조정하여 출력 전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전류를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변경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저항 간의 조합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적어도 세 개의 저항이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출력 전류의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용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되며, 이로써 제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향상시켜 생산성 증가뿐만 아니라 인건비, 생산비 등의 생산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회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서의 커넥터부(140)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 변화를 나타내는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컨트롤러(120) 및 조절 회로부(13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직접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전류는, 백라이트를 제공받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10)가 출력하는 전류는, 이하에서 설명할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저항의 조합을 달리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이하에서 설명할 조절 회로부(130)로부터 변경된 출력 전압이 백라이트 유닛에 제공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절 회로부(130)는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될 전류를 가변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절 회로부(130)는 복수 개의 저항을 가지고 있고, 복수 개의 저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조합 가능하다. 또한, 조절 회로부(130)는 전압원, 전압원의 양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노드를 포함하고, 연결 노드는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공용 전원공급장치(100)는 커넥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는 전원 공급부(110)를 백라이트 유닛과 연결하는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이와 다른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커넥터부는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노드와 연결되어,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LED 광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ELP), 평판형 형광램프(FFL), 열음극 형광램프(HCFL)와 같은 광원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저항들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정도의 개수이면 충분하고, 특정 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공용 전원공급장치(10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한다. 공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 컨트롤러(120) 및 조절 회로부(130)를 포함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공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를 바가 없기 때문에, 도 3에서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공용 전원공급장치(100)에 포함된 전원 공급부(1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서, 공급되는 전류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사이즈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에 제공되어야 할 전류의 크기가 가변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원 공급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2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류를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영상 신호를 시각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표시장치(LCD)일 수 있다. LCD는 투과형 표시소자로서,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사이즈에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이나 사이즈 역시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구동 전류 역시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200)은 공용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필요한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LCD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면 LCD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에 커넥터부(140)가 더 포함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40)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디스플레이부(22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부(140)는 조절 회로부(13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부(140)는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저항들과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저항들 간의 연결 노드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커넥터부(140)에서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저항들 간의 연결 구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저항들 간의 연결 노드들을 쇼트하거나 오픈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합의 회로 구성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결국 전원 공급부(1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전류의 변경은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요구하는 크기의 출력 전류이어야 하므로, 커넥터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사이즈를 감안하여, 조절 회로부(130)를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 전류의 생성을 유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회로도이다. 도 5의 회로도와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을 대응시키면, 컨트롤러(120)는 PWM 컨트롤러(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로, 커넥터부(140)는 LED 출력 Connector로 표기되어 있다. 한편, 조절 회로부(130)는 R1, R2, R3 및 VR의 4개의 저항 및 전압원(V)으로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00)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백라이트 유닛(200)에 제공하는 기능 및 조절 회로부(130)의 회로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와 백라이트 유닛(200)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 및 조절 회로부(130)와 연결된 연결 구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부(140)가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을 변경하는 방식과 관련해서는 도 5a 내지 도 5d,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컨트롤러(120)는 조절 회로부(130)의 회로 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가 상이한 전류를 출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저항의 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전압원(V)으로부터 컨트롤러(120)에 입력되는 전압은 달라지게 되고, 컨트롤러(120)는 입력된 전압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하여 출력 전류를 변경한다.
한편, 도 4에서 커넥터부(140)에 포함된 조절 회로부(130)와 연결된 연결 구조는 스위치 구조를 가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회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가장 단순화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도시된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은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수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또한, 조절 회로부(130)가 도 4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수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 커넥터부(140)의 구성도 그에 따라 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저항들의 연결 구성 또한 더 다양하게 조합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커넥터부(140)의 조절에 따라 가변되는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서의 커넥터부(14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서로 다른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W,X,Y,Z)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요구하는 구동 전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에서 커넥터부(140)는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각 저항(R1,R2,R3,VR) 간의 연결 노드들과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부(140)의 연결 포인트를 각각 a(140-1), b(140-2), c(140-3)으로 나타내었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커넥터부(140)의 연결 포인트는 모두 오픈되어 있다. 이 경우, 조절 회로부(130)에서 컨트롤러(120)에 입력되는 전압은, V*(R2+R3+R4)/(R1+R2+R3+VR)이 된다. 컨트롤러(120)는 입력 전압 V*(R2+R3+R4)/(R1+R2+R3+VR)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w크기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도록 한다. w크기를 갖는 출력 전류는 다시 커넥터부(14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w크기의 출력 전류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W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류에 해당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커넥터부(140)의 연결 포인트는 a(140-1) 및 b(140-2) 만이 쇼트되어 있다. 이 경우, 조절 회로부(130)에서 컨트롤러(120)에 입력되는 전압은, V*(R3+VR)/(R1+R3+VR)이 된다. 컨트롤러(120)는 입력 전압 V*(R3+VR)/(R1+R3+VR)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x크기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도록 한다. x크기를 갖는 출력 전류는 다시 커넥터부(14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x크기의 출력 전류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X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류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커넥터부(140)의 연결 포인트는 b(140-2) 및 c(140-3) 만이 쇼트되어 있다. 이 경우, 조절 회로부(130)에서 컨트롤러(120)에 입력되는 전압은, V*(R2+VR)/(R1+R2+VR)이 된다. 컨트롤러(120)는 입력 전압 V*(R2+VR)/(R1+R2+VR)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y크기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도록 한다. y크기를 갖는 출력 전류는 다시 커넥터부(14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x크기의 출력 전류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Y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류에 해당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d를 참조하면, 커넥터부(140)의 연결 포인트는 a(140-1) 및 c(140-3) 만이 쇼트되어 있다. 이 경우, 조절 회로부(130)에서 컨트롤러(120)에 입력되는 전압은, V*VR/(R1+VR)이 된다. 컨트롤러(120)는 입력 전압 V*VR/(R1+VR)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z크기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도록 한다. z크기를 갖는 출력 전류는 다시 커넥터부(14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z크기의 출력 전류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Z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류에 해당할 것이다.
도 6은 상술한 설명에 따른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40)에서의 제어를 통하여, 조절 회로부(130)는 다양한 연결 조합을 가지게 되고, 연결 조합에 따라 달리 입력되는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20)는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적합한 출력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더 많은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더 다양한 연결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6의 표 역시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특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만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회로부(130)를 조절하는 단계(S800)를 거쳐, 출력 전류가 변경된다(S810). 여기서, 조절 회로부(130)의 조절로 인한 출력 전류의 변경은, 상술한 바와 같다. 요약하면, 조절 회로부(130)에 포함된 저항들의 구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컨트롤러(120)로의 입력 전압을 변경하고, 컨트롤러(120)는 입력 전압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 전류를 변경한다.
이후, 전원 공급부(110)에 의하여 출력된 전류는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S820).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200)으로 공급되는 출력 전류는, 커넥터부(140)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원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도 8의 공용 전원공급방법을 구체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처음 단계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사이즈에 따라 커넥터부(140)를 조절한다(S900). 이후, 커넥터부(140)와 연결된 조절 회로부(130)의 구성이 변경된다(S910).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전원 공급부(110)로부터의 출력 전류가 변경된다(S920).
변경된 출력 전류는 커넥터부(140)를 통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된다(S930). 백라이트 유닛(200)은 공급받은 전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백라이트를 제공한다(S940).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은 백라이트를 통해,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S9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공용 전원공급장치
110..............................전원 공급부
120..............................컨트롤러
130..............................조절 회로부
140..............................커넥터부
200..............................백라이트 유닛
210..............................디스플레이 패널
220..............................디스플레이부
300..............................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6)

  1.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이한 방식으로 조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회로부;를 포함하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공용 전원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회로부는,
    전압원;
    상기 전압원의 양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저항; 및,
    상기 전압원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 노드는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공용 전원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백라이트 유닛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커넥터부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장치.
  6.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복수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의 조합 상태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류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제공하는 공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저항 간의 연결 노드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항 간의 조합 상태는, 상기 복수의 연결 포인트 간의 연결 상태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적어도 세 개의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백라이트 유닛에 전류를 제공하는 공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용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조절 회로를 조정하여 출력 전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전류를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의 조합 상태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경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저항 간의 조합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공용 전원 공급부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저항은 적어도 세 개의 저항이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원공급방법.
KR1020100078897A 2010-08-16 2010-08-16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16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97A KR20120016494A (ko) 2010-08-16 2010-08-16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11173872A EP2420991A1 (en) 2010-08-16 2011-07-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use of power supp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3/185,947 US8680786B2 (en) 2010-08-16 2011-07-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use of power supp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97A KR20120016494A (ko) 2010-08-16 2010-08-16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94A true KR20120016494A (ko) 2012-02-24

Family

ID=4465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897A KR20120016494A (ko) 2010-08-16 2010-08-16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0786B2 (ko)
EP (1) EP2420991A1 (ko)
KR (1) KR201200164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829A (ko) * 2014-01-02 2015-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조명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60016026A (ko) * 2014-08-0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KR20160143353A (ko) * 2015-06-05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3378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그것의 구동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7191B (zh) * 2015-12-07 2020-03-10 厦门歌乐电子企业有限公司 一种亮度调节电路及显示设备
US11393390B2 (en) * 2020-04-29 2022-07-19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and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439A (en) * 1993-04-20 1994-12-06 The Genlyte Group Incorporated Electronic ballast with lamp power regulation and brownout accommodation
KR100674867B1 (ko) * 2005-05-18 2007-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KR20070108736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구동시스템
KR100799869B1 (ko) * 2006-06-29 2008-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구비한 lcd 백라이트 구동 시스템
US7738928B2 (en) * 2006-09-21 2010-06-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egrated switch-mode power supply and linear regulator
US20090015174A1 (en) * 2007-07-11 2009-01-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ght source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thereof
TW200921597A (en) * 2007-11-08 2009-05-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voltage compensation device for backlight module
KR101549040B1 (ko) * 2008-07-11 2015-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018036B1 (ko) 2008-12-30 2011-03-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손잡이 싸개 겸용 가방
KR101538675B1 (ko) * 2009-10-28 2015-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TWI418244B (zh) * 2010-05-18 2013-12-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控制電路及應用其之發光二極體驅動器及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829A (ko) * 2014-01-02 2015-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조명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60016026A (ko) * 2014-08-0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KR20160143353A (ko) * 2015-06-05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3378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그것의 구동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8290A1 (en) 2012-02-16
US8680786B2 (en) 2014-03-25
EP2420991A1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287B2 (ja) 発光素子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
EP1648205B1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1153219B1 (ko) 디밍 신호를 이용한 dc-dc 컨버터용 pwm 신호 발생회로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용 led 구동 회로
KR101065226B1 (ko) Lcd 백라이트용 디지털 제어 시스템
US8253682B2 (en) Backlight driv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brightness of a lamp not only according to an adjustment of user, but also according to gray level voltages of a display image
US20070216322A1 (en) Backlight unit f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of the same
KR20120016494A (ko)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64823A1 (en) Method and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system with adjustable color gamut
US862494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JP2007110070A (ja) 発光ダイオードのためのコントローラ回路
JP2010152337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10175938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JP2008077892A (ja) Led駆動制御装置
CN102254526A (zh) 发光元件驱动装置和显示装置
US8106879B2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CN110189712B (zh) 一种背光模组驱动电路、显示装置、及控制方法
US8928239B1 (en) Driving LEDs in LCD backlight
CN104599643B (zh) 可调背光源设备、显示设备及其使用方法
KR20110049131A (ko) 복수의 led 스트링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제공방법
US8344658B2 (en)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multiple lamp current matching circuit
US6215680B1 (en) Circuit for obtaining a wide dimming ratio from a royer inverter
US8866395B2 (en) Display apparatus using a backlight
KR20050100510A (ko) 발광램프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40312800A1 (en) Driver circuit for led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86661B2 (en) LED dimming method and LED dimm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