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457A -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 Google Patents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457A
KR20110045457A KR1020090102056A KR20090102056A KR20110045457A KR 20110045457 A KR20110045457 A KR 20110045457A KR 1020090102056 A KR1020090102056 A KR 1020090102056A KR 20090102056 A KR20090102056 A KR 20090102056A KR 20110045457 A KR20110045457 A KR 20110045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
chopsticks
finger
thumb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916B1 (ko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102009010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9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로 각각 손바닥부(1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되며,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17)를 가진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27)를 가진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37)를 가진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별도로 특수한 젓가락을 준비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손가락 조작 자세를 학습하지 않고도 손쉽고 빠른 젓가락질 조작 자세 숙달 및 젓가락의 안정된 안착 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장갑, 제1 연통 끼움 지지부, 제2 연통 끼움 조작부, 안착 가이드부

Description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GLOVE TO MASTER THE USE OF 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린이, 외국인 등 사용자에게 별도로 올바른 젓가락질을 위한 손가락 조작 자세를 학습하지 않아도 저절로 안정된 조작 자세를 숙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즉, 별도의 손가락 자세 학습이 필요없이 착용하기만 하면 일반 젓가락을 파지하는 손가락들이 저절로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약지와 소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1 연통 끼움 지지부와 검지와 중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 연통 끼움 조작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하 제1 및 제2 젓가락을 정위치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안착 파지할 수 있는 안착 가이드부가 구비된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질이 숙달되지 않은 어린이, 외국인 등의 젓가락질의 올바른 방법으로 우선, 약지와 소지 사이의 안쪽에 잘못된 자세로 젓가락을 끼워 넣 어 파지하지 않도록 약지와 소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고 붙인 상태에서 약지에 제1 젓가락이 파지되고, 검지(인지)와 중지 사이의 안쪽에 잘못된 자세로 젓가락을 끼워 넣어 파지하지 않도록 검지와 중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고 붙인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 사이의 전단부에 제2 젓가락이 파지되는 젓가락의 정확한 안착 파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올바른 자세의 젓가락질 숙달용 보조구(도시 안함)는 상하의 제1 및 제2 젓가락을 적정한 간격으로 파지해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그 적정한 간격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젓가락을 사용하기 시작한 유아, 어린이, 외국인 등에게 있어서는 젓가락질 숙달용 보조구가 구비된 두 개의 젓가락의 보조장치를 손의 손가락들의 어느 부분에 안정적으로 안착해 파지하면 좋을지 알 수 없어, 젓가락을 손가락들의 올바른 위치에 안착 파지하는 자세와 파지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올바른 자세로 움직이는 방법을 별도로 옆에서 손가락 조작 자세의 숙달 교육을 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린이, 외국인 등 사용자가 손가락들을 벌려 약지와 소지 사이 또는 검지와 중지 사이에 젓가락을 끼워 넣어 파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해, 반드시 별도로 옆에서 젓가락을 손가락들의 어느 위치에 안착 파지해야 하는지의 손가락과 젓가락의 위치 관계 숙달 교육을 별도로 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도 어린이, 외국인 등 사용자가 손가락들 자체를 틀리게 벌려 잘못된 손가락 자세로 젓가락을 잡아 움켜쥐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 외국인 등 사용자가 착용하기만 하면 별도로 손가락들의 올바른 조작 자세를 학습하지 않아도 통상 사용되는 상하의 제1 및 제2 젓가락을 파지하는 손가락들이 저절로 올바른 자세를 취해 숙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 젓가락을 정위치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안착 파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이 등 옆에서 일일이 손가락 자세를 맞춰 주는 교습을 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 된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엄지 및 약지와 소지의 손가락들 자세가 저절로 손쉽게 잡혀 제1 젓가락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부의 제1 젓가락을 지지하는 엄지 끼움 지지부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의 일측부에 젓가락을 잡아 쥐는 방향으로 당김 신축력이 작용되는 당김 신축부재가 더 포함된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손쉽게 집을 수 있게 검지와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검지와 중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끼워지는 제2 연통 끼움 조작부의 전단부의 가운데 부분이 일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절개 분기부가 더 포함된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로 각각 손바닥부(1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되며,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17)를 가진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27)를 가진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37)를 가진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은 약지와 소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1 연통 끼움 지지부와 검지와 중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 연통 끼움 조작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하 제1 및 제2 젓가락을 정위치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안착 파지할 수 있는 안착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별도로 특수한 젓가락을 준비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손가락 조작 자세를 학습하지 않고도 손쉽고 빠른 젓가락질 조작 자세 숙달 및 젓가락의 안정된 안착 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의 제1 젓가락을 지지하는 엄지 끼움 지지부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의 일측부에 젓가락을 잡아 쥐는 방향으로 당김 신축력이 작용되는 당김 신축부재가 더 포함되어 엄지 및 약지와 소지의 손가락들 자세가 저절로 손쉽게 잡혀 제1 젓가락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지와 중지가 떨어져 벌어지지 않도록 끼워지는 제2 연통 끼움 조작부의 전단부에 가운데 부분이 일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절개 분기부가 더 포함되어 검지와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벌어질 수 있어 제2 젓가락을 외측 방향으로 벌릴 때는 전단 외부로 노출된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으로 밀어 벌리고, 내측 방향 즉 지지 고정된 상태의 제1 젓가락 전단부 방향으로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오므릴 때는 전단 외부로 노출된 검지의 첫째 마디 부분으로 눌러 오므려 올바른 자세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제1 젓가락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제2 젓가락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100)은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로 각각 손바닥부(1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된다.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와,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는 각각 전단이 절단 개방되어 손가락들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엄지 삽입 착용홀에 엄지가 끼워지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약지와 소지 연통삽입 착용홀에 약지와 소지가 함께 끼워지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의 검지와 중지 연통삽입 착용홀에 검지와 중지가 함께 끼워진다.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17)를 가진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27)를 가진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37)를 가진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와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는 상하의 제1 및 제2 젓가락(200, 300)이 안착되는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되어 각각 안착 가이드부(117, 127, 137)가 안착 가이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젓가락(200)이 정위치에 안착 파지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젓가락(300)이 정위치에 안착 파지된 상태에서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진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를 외측으로 벌리면 제2 젓가락(300) 전단부(360)가 제1 젓가락(200) 전단부(260)에서 떨어져 벌어지고,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를 내측으로 오므리면 제2 젓가락(300) 전단부(360)가 제1 젓가락(200) 전단부(260)에 맞닿아 음식물을 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와 중지가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함께 끼워져 검지와 중지의 전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항상 손가락 간에 벌어지지 않고 항상 고정되어 올바른 자세의 젓가락질이 저절로 숙달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일측부에는 제1 젓가락(200)을 파지 고정하는 파지 악력을 높여 안정된 파지 자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젓가락을 잡아 쥐는 악력 방향 즉, 당김 신축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당김 신축부재(119, 129)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당김 신축부재(119, 129)는 일체로 고신축 재질로 일체로 이중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당김 신축부재(119, 129)는 별도의 고신축의 띠 밴드형으로 외부면에 덧대어 상대적으로 두껍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당김 신축부재(119, 129)는 제1 젓가락(200)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서포터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검지와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검지와 중지 사이의 전단부에는 가운데 부분이 일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절개 분기부(138)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검지 및 중지 각각의 첫째 마디가 서로 독립적으로 벌어져 분리 조작가능하게 하는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의 전단 일부분이 절개 분기부(138)에 의해 트임 분기되어 제2 젓가락(300)이 엄지와 면접된 부분 즉, 제2 젓가락 중간의 엄지 첫째 마디 끝단에 의해 면접 지지되는 중심축 접점(P)을 중심축(힌지축)으로 해 손쉽게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회동 조작된다.
즉, 제2 젓가락(300)을 외측 방향으로 벌릴 때는 전단 외부로 노출된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으로 밀어 벌리고, 내측 방향 즉 지지 고정된 상태의 제1 젓가락 전단부 방향으로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오므릴 때는 전단 외부로 노출된 검지의 첫 째 마디 부분으로 눌러 오므려 올바른 자세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100)은 목각 금형에 신축성 고무, 실리콘재 원액을 부어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장갑 몸체를 천 재질로 직조하고 상기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와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 부분 등은 고무재 등으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은 다음과 같이 젓가락의 안착 파지 및 손가락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100)에 손을 끼워넣어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안착 가이드부(117)에 안착되고,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안착 가이드부(127)에 안착되어 파지되도록 제1 젓가락(200)을 잡는다(도 2 참조).
그 후,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의 안착 가이드부(137)에 안착되고, 제2 젓가락(300) 후방은 제2 젓가락 중간의 엄지 첫째 마디 끝단에 의해 면접 지지되는 중심축 접점(P)을 중심축(힌지축)으로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의 후방에서 자유 회동될 수 있도록 걸쳐져 상하의 제1 및 제2 젓가락(200, 300)이 올바른 위치에 안착 파지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제1 젓가락(200)은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당김 신축부재(119, 129)에 의해 당겨져 안정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2 젓가락(300)이 정위치에 안착 파지된 상태의 엄지 첫째 마디 끝단과 면접된 제2 젓가락 중간의 중심축 접점(P)은 중심축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중심축 접점(P)을 중심축(힌지축)으로 해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의 절개 분기부(138) 전단 외부로 노출된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으로 제2 젓가락(300)의 전단부(360)가 제1 젓가락(200) 전단부(260)에서 떨어져 벌어지도록 밀어 올려 제2 젓가락(300)의 전단부(360)를외측 방향으로 벌리고, 전단 외부로 노출된 검지의 첫째 마디 부분으로 제2 젓가락(300)의 전단부(360)가 제1 젓가락(200) 전단부(260)에 맞닿아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눌러 제2 젓가락(300)의 전단부(360)를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 조작한다. 검지와 중지가 전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함께 끼워져 항상 손가락 간에 벌어지지 않고 항상 고정되어 올바른 자세의 젓가락 조작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의해 엄지 및 약지와 소지는 유동 조작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되고, 검지 및 중지는 전단부만 약간 벌어져 유동되는 상태에서 손가락 간에 벌어지지 않고 항상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올바른 자세에서 손쉽게 젓가락을 조작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600)은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6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6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630)로 각각 손바닥부(6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된다.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610)의 손바닥부(6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1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6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2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6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3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610)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620)의 손바닥부(640)에 연접한 일측부에는 각각 당김 신축부재(619, 629)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630)의 전단부에는 가운데 부분이 일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절개 분기부(638)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제1 젓가락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에 제2 젓가락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110. 엄지 끼움 지지부
116.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 117. 안착 가이드부
119. 당김 신축부재 120. 제1 연통 끼움 지지부
126.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 127. 안착 가이드부
129. 당김 신축부재 130. 제2 연통 끼움 조작부
136.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 137. 안착 가이드부
138. 절개 분기부 140. 손바닥부
200. 제1 젓가락 210. 후방 접점
220. 중간 접점 260. 전단부
300. 제2 젓가락 320. 중간 접점
P. 중심축 접점 360. 전단부
600.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610. 엄지 끼움 지지부
617. 안착 가이드홈 619. 당김 신축부재
620. 제1 연통 끼움 지지부 627. 안착 가이드홈
629. 당김 신축부재 630. 제2 연통 끼움 조작부
637. 안착 가이드홈 638. 절개 분기부
640. 손바닥부

Claims (4)

  1.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로 각각 손바닥부(1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되며,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17)를 가진 제1 젓가락 후방 파지용 돌기(1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27)를 가진 제1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부(137)를 가진 제2 젓가락 중간 파지용 돌기(136)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110)와 제1 연통 끼움 지지부(120)의 손바닥부(140)에 연접한 일측부에는 젓가락을 잡아 쥐는 방향으로 당김 신축력 이 작용되는 당김 신축부재(119, 129)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1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의 첫째 마디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검지와 중지 사이의 전단부에는 가운데 부분이 일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절개 분기부(13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4. 엄지가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엄지 끼움 지지부(610)와,
    약지 및 소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1 연통 끼움 지지부(620)와,
    검지 및 중지가 함께 끼워지도록 연통된 제2 연통 끼움 조작부(630)로 각각 손바닥부(640)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분리 형성되며,
    상기 엄지 끼움 지지부(610)의 손바닥부(640)에 연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후방의 접점(21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1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 끼움 지지부(620)에 끼워지는 약지와 인접한 내측에는 제1 젓가락(200) 중간의 접점(2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2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 끼움 조작부(630)에 끼워지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인접한 내측에는 제2 젓가락(300) 중간의 접점(320)이 안착되는 안착 가이드홈(637)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KR1020090102056A 2009-10-27 2009-10-27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KR10104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056A KR101047916B1 (ko) 2009-10-27 2009-10-27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056A KR101047916B1 (ko) 2009-10-27 2009-10-27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457A true KR20110045457A (ko) 2011-05-04
KR101047916B1 KR101047916B1 (ko) 2011-07-08

Family

ID=4424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056A KR101047916B1 (ko) 2009-10-27 2009-10-27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1326A (zh) * 2015-11-16 2016-03-23 上海理工大学 横握式筷子套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931A (zh) * 2015-11-16 2016-04-06 上海理工大学 用于横握式筷子的手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2878A (ja) 1997-04-11 1998-10-23 Mitsuhiko Terajima 箸練習用器具
KR20000019909U (ko) * 1999-04-19 2000-11-25 박우순 젓가락 교정기
KR200397753Y1 (ko) * 2005-01-03 2005-10-07 고재우 두 손가락 장갑
KR100761898B1 (ko) * 2005-06-09 2007-10-04 김두철 골프용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1326A (zh) * 2015-11-16 2016-03-23 上海理工大学 横握式筷子套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916B1 (ko) 201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2499B (zh) 勺子
KR101223345B1 (ko) 젓가락용 보조구
WO2006004290A1 (en) Chopsticks
KR101047916B1 (ko) 젓가락질 숙달용 장갑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JP3144710U (ja) 箸補助具
KR101753987B1 (ko)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200357490Y1 (ko) 젓가락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WO2006047642A3 (en) Multipurpose glove
KR20070026555A (ko) 이쑤시개가 장착된 젓가락
CN211049026U (zh) 一种儿童训练筷
KR101230385B1 (ko) 젓가락
JP3108532U (ja) 箸の使い方練習用箸
KR100717538B1 (ko) 셔츠의 카라 지지대
KR200480167Y1 (ko) 교정부가 구비된 젓가락
KR20020088215A (ko) 교육용 젓가락
JPH10225361A (ja) 箸の支持具
CN216393743U (zh) 练习用筷子
JP5922354B2 (ja) 幼児用の練習用箸
JP4424837B2 (ja) 箸遣い補助装置
JP3192321U (ja) 握り動作訓練・補助具
KR20140148252A (ko) 손가락 끼움식 젓가락
KR20110130019A (ko) 책장 넘김 수단을 구비한 책
TWM519460U (zh) 樂活易用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