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341A -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341A
KR20110045341A KR1020090101871A KR20090101871A KR20110045341A KR 20110045341 A KR20110045341 A KR 20110045341A KR 1020090101871 A KR1020090101871 A KR 1020090101871A KR 20090101871 A KR20090101871 A KR 20090101871A KR 20110045341 A KR20110045341 A KR 2011004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scalp
ginseng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328B1 (ko
Inventor
최수봉
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샤르코스
윤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르코스, 윤성남 filed Critical (주)샤르코스
Priority to KR102009010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3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성분으로 효모,금,프로폴리스,인삼,마치현,정향,하수오를 함유하는 복합추출물이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pH 조정제 등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성물에 있어서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효모추출물 0.066614% ~ 2.220468%, 금 0.000116% ~ 0.003867%, 프로폴리스추출물 0.016654% ~ 0.555133%, 인삼추출물 0.016654% ~ 0.555133%, 마치현추출물 0.016654% ~ 0.555133%, 정향추출물 0.016654% ~ 0.555133%, 하수오추출물 0.016654% ~ 0.555133%로 한정된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5∼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진통, 소염작용등으로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복합추출물이 탈모증과 관련된 피지의 과잉생성을 억제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어린모를 잘 자라게 해주는 육모효과,가늘고 힘이 없는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양모효과,모발의 보습효과 및 갈라짐 방지효과,유연효과,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탁월하며,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임상실험 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다.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

Description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Improvement composite of scalp and hair be contain yeast, gold, propolis, ginseng, purslane, clove, pleuropterus multiflorus}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모발의 보습효과 및 갈라짐 방지효과, 유연효과, 탈모증과 관련된 피지의 과잉생성을 억제하고 탈모방지효과 및 발모효과, 비듬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작용을 가지며 동시에 어린 모발을 잘 자라게 해주는 육모효과와 가늘고 힘이 없는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양모효과등을 발휘토록 한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의 개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주기를 가지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거쳐 성장,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 내지 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말한다.
또한 두피 이외에도 수염, 겨드랑이, 눈썹, 음모등에도 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온몸에서 탈모가 일어날 수 있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비듬균 및 기타 세균등에 의한 두피 기능저하설, 유전적요인, 노화, 스트레스등이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탈모증의 원인중에서 남성호르몬 과잉분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탈모증의 가장 흔한 유형은 남성형 탈모증인데, 이 용어는 안드로겐성 탈모증이라 부르는 것이 좀 더 정확하고 과학적인 명칭이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있는 경우 건강한 모발은 점차로 가늘어지고 짧아지며,모발이 약해서 쉽게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축소화라고 한다.
축소화가 일어나는 모낭은 결국 가늘고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짧은 솜털로 변해 탈모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남성호르몬활성 억제를 통한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남성호르몬에 대한 탈모의 기전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남성호르몬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 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고,이렇게 활성화된 호르몬이 일정한 수용체와 결합하여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게 되어 탈모를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해 피지를 과잉생성하기도 하여 여드름이나 지루성피부염 등을 일으키기도 하며 그 결과로서 두피에서는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남성형 탈모증은 5 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한다면 남성형 탈모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성분으로서 여러 한방추출물을 선택하여 연구,실험한 결과를 함유하는 복합추출물이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갈라짐 방지효과, 유연효과, 비듬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력을 가지며 동시에 피지의 과잉생성을 억제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 어린모를 잘 자라게 해주는 육모효과, 가늘고 힘이 없는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양모효과등의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성분으로서 효모추출물,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추출물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pH 조정제 등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성물에 있어서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효모추출물 0.066614% ~ 2.220468%, 금 0.000116% ~ 0.003867%, 프로폴리스추출물 0.016654% ~ 0.555133%, 인삼추출물 0.016654% ~ 0.555133%, 마치현추출물 0.016654% ~ 0.555133%, 정향추출물 0.016654% ~ 0.555133%, 하수오추출물 0.016654% ~ 0.555133%로 한정된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5∼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여 두피 및 모발의 개선된 상태라는 것은 비듬,가려움방지 및 치료효과,모발의 보습효과 및 갈라짐 방지효과, 유연효과, 양모효과, 육모효과, 피지의 과잉생성 억제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 모발성장 촉진효과 등에 대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두피 및 모발의 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성분으로서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효모추출물 0.066614% ~ 2.220468%, 금 0.000116% ~ 0.003867%, 프로폴리스추출물 0.016654% ~ 0.555133%, 인삼추출물 0.016654% ~ 0.555133%, 마치현추출물 0.016654% ~ 0.555133%, 정향추출물 0.016654% ~ 0.555133%, 하수오추출물 0.016654% ~ 0.555133%로 한정된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5∼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는 다른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에 본 발명의 목적의 효과가 확인되는 티로시나제 활성촉진제, 침투촉진제, 혈류촉진제, 모포부활제 또는 5α-리덕타제 억제제,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해보조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착색제, 착향제등의 성분을 본 조성물의 함유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란 이러한 조성물을 두피 및 모발에 외용함으로써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개선된 형태로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인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모발 및 두피의 상태개선이란 두피의 비듬균방지 및 치료효과,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갈라짐 방지효과, 유연효과, 양모효과, 육모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 피지의 과잉생성억제효과, 모발성장 촉진효과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추출물은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과 병변 및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기제와 함께 각 성분을 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양은 효모추출물 0.066614% ~ 2.220468%, 금 0.000116% ~ 0.003867%, 프로폴리스추출물 0.016654% ~ 0.555133%, 인삼추출물 0.016654% ~ 0.555133%, 마치현추출물 0.016654% ~ 0.555133%, 정향추출물 0.016654% ~ 0.555133%, 하수오추출물 0.016654% ~ 0.555133%로 한정된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5∼5.00% 중량부 범위 내에서 조성물 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여기서 복합조성물이라 함은,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화 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pH 조정제 등등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 즉, 외용제는,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보조성분으로서 두피 및 모발의 국부적 표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제제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함유시킬 수 있는 복합 조성물의 종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나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이나 효과에 적합하도록 배합할 수 있을 정도의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티로시나제 활성촉진제, 침투촉진제, 혈류촉진제, 모포부활제, 5α-리덕타제 억제제, 두피영양제, 가려움 억제제등을 본 발명의 복합 조성물의 함유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예시의 내용을 알아본다.
티로시나제 활성 촉진제로서는 상백피추출물, 녹차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침투촉진제 및 혈류촉진제로서는 창포추출물, 당귀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연명초추출물, 천궁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홍삼추출물, 당약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모포부활제로서는 지황추출물, 홍삼추출물, 산초추출물, 당약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5α-리덕타제 억제제로서는 회향추출물, 감초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고삼추출물, 천궁추출물, 지황추출물, 당귀추출물등을 예시할 수 있다.
두피영양제로서는 철분, 칼슘, 망간, 필수아미노산, 염산 피리독신, 비오틴,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D 및 엽산으로 이루어진 1가지 이상 되는 비타민 또는 비타민 전구체, 멘톨 디엘-판테놀, 폴리쿼터늄-7, 트리세틸모늄클로라이드, 디메치콘/이소라우레스-6,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세테아릴알코올,케라틴아미노산,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디메치콘/이소라우레스-6 이외 각종 미네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려움억제제로서는 컴푸리추출물, 고삼추출물, 범부채추출물, 황금추출물, 페파민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에는 일반적인 외용조성물(모발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제 성분이나 약효성분을 구체적인 조성물의 제형이나 형태에 따라 이의 제형이나 형태에서 원하는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들을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해보조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착색제, 착향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형이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용해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포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쿼터늄-10, 염화나트륨,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이 사용되고,
pH 조정제에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 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 히단토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금속이온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항염증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항미생물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 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에탄올, 정제수, 트윈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필요에 따라 착색제와 착향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헤어토닉,헤어팩,삼푸,삼푸와 린스혼합형 등의 통상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의 형태를 선택되는 제품 형태의 하나이며,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모발 또는 경피 투여에 의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차이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모발처리제로서 의약품,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또한 이들 실시예 등에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이의 성분이 배합되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중량% 이다.
〈 표 1 〉복합조성물 함유하는 헤어토닉 의 제조
표 1 에 나타낸 3 가지 제형으로 각각의 원료를 계량하여 Disper Mixer 500 rpm 으로 5 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제조를 한다.
배합목적 순번 원료명 분 량 (g)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용제 1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보습제 2 1,3부틸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두피영양제 3 비오틴 0.02 0.02 0.02 0.02 0.02 0.02
금속이온봉쇄제 4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3 0.03 0.03 0.03 0.03 0.03
항염증제 5 알란토인 0.10 0.10 0.10 0.10 0.10 0.10
용제 6 에탄올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두피영양제 7 멘톨 0.02 0.02 0.02 0.02 0.02 0.02
착향제 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9 디엠디엠히단토인 0.10 0.10 0.10 0.10 0.10 0.10
두피영양제 10 복합추출물 1.00 2.00 5.00
pH조정제 11 구연산 0.10 0.10 0.10 0.10 0.10 0.10
살균제 12 살리실산 0.10 0.20 0.30 0.10 0.10 0.10
용제 13 트윈20 0.10 0.10 0.10 0.10 0.10 0.10
방부제 14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0 0.10 0.10 0.10 0.10 0.10
항염증제 15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02 0.02 0.02 0.02 0.02 0.02
가려움억제제 16 페파민트 0.10 0.10 0.10 0.10 0.10 0.10
〈 표 2 〉 복합조성물을 함유하는 삼푸의 제조
표 2 에 나타낸 3가지 제형으로 각각의 원료중 향료, 정제수를 제외한 원료들을 혼합한 후 80℃ 까지 가열하여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키고, 냉각하면서 40℃에서 향료,색소와 정제수를 첨가하여 30℃에서 냉각을 종료하여 삼푸를 제조한다.
배합목적 순번 원 료 명 분량 (g)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1 비교예1
용제 1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금속이온봉쇄제 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0.01
두피영양제 3 디엘-판테놀 0.20 0.20 0.20 0.20 0.20 0.20
보습제 4 프로필렌글리콜 0.50 0.50 0.50 0.50 0.50 0.50
점증제 5 폴리쿼터늄-10 0.35 0.35 0.35 0.35 0.35 0.35
계면활성제 6 암모늄 라우레스-3 설페이트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계면활성제 7 소듐 라우레스-3 설페이트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계면활성제 8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 8.00 8.00 8.00 8.00 8.00 8.00
두피영양제 9 폴리쿼터늄-7 2.50 2.50 2.50 2.50 2.50 2.50
pH 조정제 10 인산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계면활성제 11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계면활성제 12 코카마이드 엠이에이 1.80 1.80 1.80 1.80 1.80 1.80
계면활성제 13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점증제 14 염화나트륨 0.80 0.80 0.80 0.80 0.80 0.80
두피영양제 15 트리세틸모늄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0.50 0.50
살균제 16 살리실산 0.10 0.10 0.10 0.10 0.10 0.10
살균제 17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0.10 0.10 0.10 0.10 0.10 0.10
두피영양제 18 디메치콘/이소라우레스-6 3.20 3.20 3.20 3.20 3.20 3.20
방부제 19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클로로치아졸리논
0.05 0.05 0.05 0.05 0.05 0.05
두피영양제 20 복합추출물 0.30 1.00 2.00
벌킹제 21 벤토나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계면활성제 22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착색제 23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향제 24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표 3 〉 복합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의 제조
표 3 에 나타낸 3가지 각각의 원료중 원료 1∼5번을 계량하여 80℃ 까지 가온한다(1). 그 다음에 원료 6∼13번을 계량하여 80℃ 까지 가온한다(2). (1)(2)의 온도 및 용해상태를 확인한후 (1)에 (2)를 투입하여 유화를 실시한다.
Homo Mixer 2500 rpm 및 Disper Mixer 25 rpm 으로 3분간 교반한후, 냉각을시작한다.
40℃에서 원료 14∼20까지를 투입하여 교반 및 냉각을 하여 30℃에서 종료한다.
배합목적 순번 원료명 분량 (g)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1 비교예1
용제 1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점증제 2 구아르 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0.50 0.50
보습제 3 프로필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두피영양제 4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방부제 5 메칠파라벤 0.10 0.10 0.10 0.10 0.10 0.10
계면활성제 6 스테아르트리모늄 클로라이드 4.00 4.00 4.00 4.00 4.00 4.00
계면활성제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두피영양제 8 세테아릴알코올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9 프로필 파라벤 0.10 0.10 0.10 0.10 0.10 0.10
용제 10 사이클로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2.00
용제 11 미네랄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두피영양제 12 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 3.00 3.00 3.00 3.00 3.00 3.00
용제 13 디메치콘 0.50 0.50 0.50 0.50 0.50 0.50
착색제 14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두피영양제 15 디메치콘/이소라우레스-6 3,00 3,00 3,00 3,00 3,00 3,00
두피영양제 16 복합추출물 015 1.50 3.00
두피영양제 17 케라틴아미노산 0.20 0.20 0.20 0.20 0.20 0.20
살균제 18 피록톤올아민 0.02 0.02 0.02 0.02 0.02 0.02
용제 19 에탄올 0.15 0.15 0.15 0.15 0.15 0.15
착향제 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활성을 갖는 실험평가 〉
실험예1 :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탈모방지,발모,양모,육모,피지의 과잉생성 억제효과에 대한 실험평가
표 4의 임상 실험평가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표 3의 조성물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성물을 1일 1∼3회 이상 평균 4 개월 동안 임상실험결과, 표 8 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실험 결과중 피부의 상태도 특이한 피부자극 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면서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모발의 탈락주기가 보통사람인 경우 일일 평균 60∼100여 개는 정상이지만 탈모가 진행중인 사람에게서 일일 탈락의 숫자가 90%∼40%로 탈락속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 8 과 같이 탈모방지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리고, 표 5의 결과에서 발모효과의 점수가 저조한 것은 단지 실험기간중에 나타난 평가의 결과이고,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모델에게 있어 효과면에 대한 점수는 계속하여 증가되고 있다.
〈 임상실험평가대상 1 〉
표 4 는 비슷한 각 그룹에 있는 모델들이 서로의 소개로 연결되어 예비조성물을 전달받아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하도록 임상실험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하였다.
〈 표 4 〉
모 델 그 룹 모 발 의 상 태
제 1 그 룹 탈모현상이 육안평가시 50%이상 진행중이며,피지가과잉생성되는 20대부터50대성인
남성12명
제 2 그 룹 탈모현상이 육안평가시 50%이상 진행중이며,피지가과잉생성되는 20대부터50대성인
남성10명
제 3 그 룹 탈모는 아니나 육안평가시 머리카락이 가는 것이 많고,많아 빠지며,피지가과잉생성되는 20대부터50대까지 남성 14명 과 여성 22명
제 4 그 룹 육안평가시 건강한 모발로 보이지만 평상시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18세부터50대까지 남성20명 과 여성30명
〈 임상실험평가결과 2 〉
표 5 는 상기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예비조성물을 계속 전달하면서 7일에 1회 정도,평균 4 개월 동안 예비조성물의 사용상태 및 효과 등을 전화 및 직접적인 육안평가를 근거로 평가된 임상실험 평가 결과이다.
< 표 5 >
모델그룹 조성물의 효과
탈모방지효과 발모효과 육모효과 양모효과 피지과잉생성억제효과
제1그룹 7.8점 2.8 5.4 5.8 8.4
제2그룹 8.3점 3.9 6.1 5.7 8.4
제3그룹 9.7점 3.6 5.6 5.7 9.0
제4그룹 8.6점 - - - -
※예비조성물의 임상실험평가에서의 점수는 각 그룹에 속한 모델의 개선된 효과상태를 상 : 8∼10점, 중 : 5∼7점, 하 : 0∼4점 으로 하고 이것을 각 모델그룹의 점수를 평균화한 결과를 조성물에 대한 효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2 : 복합추출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효과실험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실험은 액체배지에서 배양시킨 지성비듬균(pityrosporum ovale)과 건성비듬균에 일정농도의 복합추출물을 가하여 혐기성배양조에서 배양한후 각 비듬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최소억제 농도(MIC)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아세틸살리산의 각 비듬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범위는 지성비듬균 10∼100 ppm, 건성비듬균 7∼100 ppm 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표 6의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임상실험은 표 1부터 표 3의 조성물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성물을 1일 1∼3회 이상 평균 3 개월 동안 임상 실험평가결과가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임상실험 과정중 피부의 상태도 특이한 피부자극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면서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본 발명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실험에 있어서, 복합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농도 제한은 0.15∼5.00%로 제한을 두며, 특히 지성비듬균과 건성비듬균 및 기타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피부발작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임상실험평가대상 2-1 〉
표 6 은 각 그룹에 있는 모델들이 서로의 소개로 연결되어 예비조성물을 전달받아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하도록 임상실험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하였다
〈 표 6 〉
모델그룹 모 발 의 상 태
제1그룹 탈모현상이 육안평가시 50%이상 진행중이며 지성비듬균이 있는 20대부터60대성인 남성 15명
제2그룹 탈모현상이 육안평가시 10%이상 진행중이며 건성비듬균이 있는 20대부터60대성인 남성 15명
제3그룹 두피에 지루성피부염을 동반한 지성비듬균이 있는 10대부터50대까지 남성 15명 과 여성 20명
제4그룹 육안평가시 건강한모발로 보이면서 기타비듬균이 있는 10대부터60대까지 남성20명 과 여성 20명
〈 임상실험평가결과 2-2 〉
표 7 은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예비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면서 7일에 1회 정도,평균 3 개월 동안 예비조성물의 사용상태 및 효과등을 정화 및 직접적인 육안평가를 근거로 평가된 임상실험 평가 결과이다.
〈 표 7 〉
모 델 그 룹 제1그룹 제2그룹 제3그룹 제4그룹
비듬균에대한항균력효과 9.3점 8.8점 3.5점 5.5점
※ 예비조성물의 임상실험평가에서의 점수는 각 그룹에 속한 모델의 개선된 효과상태를 상 : 8∼10점, 중 : 5∼7점, 하 : 0∼4점으로 나누고 이것을 각 모델그룹의 점수를 평균화 한 결과를 조성물에 대한 효과로 나타냈다.
실험예3 :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유연, 보습, 모발의 갈라짐 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평가.
표 8의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은 상기 표 1 부터 표 3의 조성물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성물을 1일 1∼3회 이상 평균 2 개월 동안 임상실험평가 결과가 표 9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임상실험 과정중 피부의 상태도 특이한 피부자극 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면서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파마등으로 손상된 모발의 회복효과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 방지 효과 실험에 있어서, 복합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농도 제한은 0.15 ∼5.00 % 로 제한을 두며, 중량을 높여도 피부발작등의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장기간 사용을 해도 피부 발작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모발의 유연 및 갈라짐 방지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임상실험평가대상 3-1 〉
표 8 은 비슷한 각 그룹에 있는 모델들이 서로의 소개로 연결되어 예비조성물을 전달받아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하도록 임상 실험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모델그룹을 대상으로 하였다.
〈 표 8 〉
모 델 그 룹 모발 의 상태
제1그룹 모발이 갈라지고,뻣뻣하고,푸석거리며 유연성이 떨어진 (육안평가시 30% 이상 진행중)20대부터 60대 남성 10명
제2그룹 모발이 갈라지고, 뻣뻣하고,푸석거리며 유연성이 떨어진 (육안평가시 30% 이상 진행중)20대부터 60대 남성 5명 과 여성 11명
제3그룹 모발이 뻣뻣하고,푸석거리며 유연성이 떨어진 (육안평가시 20% 이상 진행중)20대부터
60대 남성 5명 과 여성 15명
제4그룹 육안평가시 건강한 모발인 18세부터60대 남성 15명 과 여성 20명
〈 임상실험평가결과 3-2 〉
표 9 는 상기 표 8의 각 그룹을 대상으로 예비조성물을 계속 전달하면서 7일에 1회,평균 2개월 동안 예비조성물의 사용상태 및 효과 등을 전화 및 직접적인 육안평가를 근거로 평가된 임상실험 평가 결과이다.
〈 표 9 〉
모 델 그 룹 조 성 물 의 효 과
유 연 효 과 보 습 효 과 갈 라 짐 방 지 효 과
제 1 그 룹 8.7점 7.9점 8.0점
제 2 그 룹 8.4점 7.5점 6.7점
제 3 그 룹 8.8점 7.0점 6.8점
제 4 그 룹 8.1점 7.2점 7.1점
※ 예비조성물의 임상실험평가에서의 점수는 각 그룹에 속한 모델의 개선된 효과상태를 상 : 8∼10점, 중 : 5∼7점, 하 : 0∼4점으로 나누고 이것을 각 모델 그룹의 점수를 평균화한 결과를 조성물에 대한 효과로 나타냈다.

Claims (3)

  1. 두피영양제, 가려움억제제, 용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항염증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pH 조정제 등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성물에 있어서
    효모추출물, 금, 프로폴리스추출물, 인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추출물 0.066614% ~ 2.220468%, 금 0.000116% ~ 0.003867%, 프로폴리스추출물 0.016654% ~ 0.555133%, 인삼추출물 0.016654% ~ 0.555133%, 마치현추출물 0.016654% ~ 0.555133%, 정향추출물 0.016654% ~ 0.555133%, 하수오추출물 0.016654% ~ 0.555133%로 한정된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5∼5.00% 중량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KR1020090101871A 2009-10-26 2009-10-26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KR10112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71A KR101121328B1 (ko) 2009-10-26 2009-10-26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71A KR101121328B1 (ko) 2009-10-26 2009-10-26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41A true KR20110045341A (ko) 2011-05-04
KR101121328B1 KR101121328B1 (ko) 2012-02-28

Family

ID=4424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871A KR101121328B1 (ko) 2009-10-26 2009-10-26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3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11B1 (ko) * 2011-12-23 2013-03-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세정 및 탈모 예방용 습윤티슈
CN103262886A (zh) * 2013-05-05 2013-08-28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圣女果防腐和保鲜的制剂及其应用
KR20150030922A (ko) 2013-09-13 2015-03-23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시킨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6948A (ko) 2017-02-22 2018-08-30 한윤섭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714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위즈켐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68B1 (ko) * 2012-12-14 2015-03-06 김영숙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손상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896B1 (ko) * 2018-02-13 2018-10-08 주식회사 옐로우트리 코스메틱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2146522B1 (ko) * 2020-04-03 2020-08-20 전나래 천연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19B1 (ko) 2007-04-04 2011-04-06 김종곤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11B1 (ko) * 2011-12-23 2013-03-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세정 및 탈모 예방용 습윤티슈
CN103262886A (zh) * 2013-05-05 2013-08-28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圣女果防腐和保鲜的制剂及其应用
KR20150030922A (ko) 2013-09-13 2015-03-23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시킨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6948A (ko) 2017-02-22 2018-08-30 한윤섭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714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위즈켐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328B1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328B1 (ko)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EP1755547B1 (en) Hair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060049895A (ko)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041890A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20090095992A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101091002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83003B1 (ko) 복합추출물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9990018331A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20080073458A (ko) 토끼풀,살구씨 및 홍삼추추물을 함유하는 모발개선용조성물
KR20030036536A (ko)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16003231A (ja) 皮膚外用剤
US20120258972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Loss
KR100534483B1 (ko) 홍삼, 당약, 천궁, 목단피 및 범부채를 함유하는 두피 및모발 개선용 조성물
EP0914816A1 (en) Scalp care compositions
US20080267899A1 (en)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hair growth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JP2000212057A (ja) 化粧料組成物
KR20100029807A (ko)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화장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KR20120046564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1973638B1 (ko)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70089A (ko)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