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165A -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165A
KR20110045165A KR1020090101589A KR20090101589A KR20110045165A KR 20110045165 A KR20110045165 A KR 20110045165A KR 1020090101589 A KR1020090101589 A KR 1020090101589A KR 20090101589 A KR20090101589 A KR 20090101589A KR 20110045165 A KR20110045165 A KR 2011004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evator
grip
cable grip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696B1 (ko
Inventor
오재정
Original Assignee
(주)익스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스팬텔 filed Critical (주)익스팬텔
Priority to KR10200901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고정구조는 케이블(5)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10) 및 이 메쉬부(10)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이 관통되도록 안내하고 그 단부에 고정플랜지부(21)가 형성된 한 쌍의 관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그립(100); 상기 일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브래킷(200); 및 상기 타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9)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기기브래킷(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관형 메쉬구조를 갖는 케이블그립을 운동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운동케이블과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지부위(굴곡부)에 설치함으로써, 운동케이블이 자체 중력 등에 의해 장력을 받을 경우 이 운동케이블을 밀착 감싸고 있는 케이블그립의 메쉬부도 이 운동케이블과 같이 장력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그 직경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운동케이블을 조여주게 되어 연결부위 및 접지부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지지하는 등 제품(엘리베이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케이블그립, 엘리베이터, 메쉬부, 관체부, 연결링

Description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Cable grip and movable cable fixing structure for elev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형 메쉬구조를 갖는 케이블그립을 운동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운동케이블과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지부위(굴곡부)에 설치함으로써, 운동케이블이 자체 중력 등에 의해 장력을 받을 경우 이 운동케이블을 밀착 감싸고 있는 케이블그립의 메쉬부도 이 운동케이블과 같이 장력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그 직경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운동케이블을 조여주게 되어 연결부위 및 접지부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지지하는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외부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자체의 폐쇄회로카메라로 전력 공급 및 화상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상황실에서 엘리베이터실까지 연결되는 고정케이블과, 다시 이 고정케이블에서 엘리베이터까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운동케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케이블은 보통 엘리베이터실 전체의 중간 지점까지 연결되 며 나머지 전체 엘리베이터의 승강길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의 운동케이블이 마련된다.
이러한 운동케이블은, 예를 들어 건물의 층수가 36층이라면 이 운동케이블의 길이는 최소한 50m 정도가 필요하며, 이럴 경우 운동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위에 받는 하중은 적어도 10kg 이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은 그 연결부위 및 접속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운동케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 및 접속부위가 단락하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관형 메쉬구조를 갖는 케이블그립을 운동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운동케이블과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지부위(굴곡부)에 설치함으로써, 운동케이블이 자체 중력 등에 의해 장력을 받을 경우 이 운동케이블을 밀착 감싸고 있는 케이블그립의 메쉬부도 이 운동케이블과 같이 장력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그 직경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운동케이블을 조여주게 되어 연결부위 및 접지부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지지하는 등 제품(엘리베이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그립은 케이블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 및
상기 메쉬부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이 관통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그립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는 메쉬부의 양단부로 각각 삽입되고 그 단부에 메쉬부의 단부를 감싸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플랜지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그립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의 직경은 관체부를 통과한 케이블의 외주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관체부의 직경보다 좁은 소직경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는 케이블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 및 이 메쉬부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안내하고 그 단부에 고정플랜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관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그립; 상기 일측 케이블그립을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브래킷; 및 상기 타측 케이블그립을 엘리베이터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기기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그립과 브래킷의 연결방식은 이 브래킷에 케이블그립의 고정플랜지부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체부의 고정플랜지부가 중앙관통공 테두리에 걸리고 그 외주면은 브래킷의 관통공 테두리에 걸려 케이블그립과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링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면이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 및 엘리베이터에 고 정되고 그 타측면이 케이블그립과 연결되도록 하는 직각 절곡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는 관형 메쉬구조를 갖는 케이블그립을 운동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운동케이블과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지부위(굴곡부)에 설치함으로써, 운동케이블이 자체 중력 등에 의해 장력을 받을 경우 이 운동케이블을 밀착 감싸고 있는 케이블그립의 메쉬부도 이 운동케이블과 같이 장력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그 직경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운동케이블을 조여주게 되어 연결부위 및 접지부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지지하는 등 제품(엘리베이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그립은 케이블(5)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10) 및 이 메쉬부(10)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이 관통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원관형 관체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부(20)는 메쉬부(10)의 양단부로 각각 삽입되고 그 단부에 메쉬부(10)의 단부를 감싸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플랜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10)의 직경은 관체부(20)를 통과한 케이블(5)의 외주면 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관체부(20)의 직경보다 좁은 소직경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케이블(5)이 관체부(20)를 관통하는 순간부터 메쉬부(10)가 케이블(5)의 외주면을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부(10)는 그 교차점의 내측부위가 자연히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 교차점 내측부위가 실질적으로 케이블(5)의 외주면과 밀착 가압되면서 케이블(5)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쉬부(10)는 케이블(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력 및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는 마찰력이 높은 수지,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밖에 케이블(5)의 외주면을 견고히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는 케이블(5)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10) 및 이 메쉬부(10)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이 관통되도록 안내하고 그 단부에 고정플랜지부(21)가 형성된 한 쌍의 관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그립(100)과, 상기 일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브래킷(200) 및 상기 타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9)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기기브래킷(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그립(100)과 브래킷(200,300)의 연결방식은 이 브래킷(200,300)에 케이블그립(100)의 고정플랜지부(21)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210,310)을 형성하되, 상기 관체부(20)의 고정플랜지부(21)가 중앙관통공(410) 테두리에 걸리고 그 외주면은 브래킷(200,300)의 관통공(210,310) 테두리에 걸려 케이블그립(100)과 브래킷(200,3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링(40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200,300)은 일측면이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 및 엘리베이터(9)에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케이블그립(100)과 연결되도록 하는 직각 절곡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00,300)과 연결링(400)은 별도의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부호 211, 311은 나사체결공을 나타낸 것이고, 411은 나사관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는 우선, 각각의 브래킷(200,300)을 해당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 및 엘리베이터(9)에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체결 고정시킨 후 연결링(400)을 이용하여 각각의 케이블그립(10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그립(100)의 일단부는 브래킷(200,300)의 관통공(210,310)으로 관통시키고, 그 타단부는 연결링(400)의 중앙관통공(410) 테두리에 상기 관체부(20)의 고정플랜지부(21)가 걸리도록 하며, 이 연결링(400)의 외주면은 다시 브래킷(200,300)의 관통공(210,310) 테두리에 걸려 케이블그립(100)과 브래킷(200,3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그립(100)을 통해 케이블(5)을 각각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위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5)을 케이블그립(100)으로 통과시킬 경우에는 이 케이블그립(100)의 메쉬부(10)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키면 상대적으로 메쉬부(10)의 직경이 넓어지게 되면서 케이블(5)이 수월하게 관통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그립(100) 및 브래킷(200,300)을 통한 케이블(5)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렇게 완성된 케이블그립(100)은 케이블(5)이 자체 하중 등에 의해 장력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5)을 밀착 감싸고 있는 케이블그립(100)의 메쉬부(10)도 이 케이블(5)과 같이 장력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그 직경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케이블(5)을 조여주게 되어 연결부위 및 접지부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그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를 통해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그립이 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변형을 일으켜 조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케이블 7 : 내측벽
9 : 엘리베이터 10 : 메쉬부
20 : 관체부 21 : 고정플랜지부
100 : 케이블그립 200 : 벽체브래킷
210 : 관통공 211 : 나사체결공
300 : 기기브래킷 310 : 관통공
311 : 나사체결공 400 : 연결링
410 : 중앙관통공 411 : 나사관통공

Claims (6)

  1. 케이블(5)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10); 및
    상기 메쉬부(10)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이 관통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체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20)는 메쉬부(10)의 양단부로 각각 삽입되고 그 단부에 메쉬부(10)의 단부를 감싸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플랜지부(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10)의 직경은 관체부(20)를 통과한 케이블(5)의 외주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관체부(20)의 직경보다 좁은 소직경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그립.
  4. 케이블(5)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관형 격자 구조로 엮여있고 양단부가 관통된 메쉬부(10) 및 이 메쉬부(10)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이 관통되 도록 안내하고 그 단부에 고정플랜지부(21)가 형성된 한 쌍의 관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그립(100);
    상기 일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브래킷(200); 및
    상기 타측 케이블그립(100)을 엘리베이터(9)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기기브래킷(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그립(100)과 브래킷(200,300)의 연결방식은 이 브래킷(200,300)에 케이블그립(100)의 고정플랜지부(21)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210,310)을 형성하되, 상기 관체부(20)의 고정플랜지부(21)가 중앙관통공(410) 테두리에 걸리고 그 외주면은 브래킷(200,300)의 관통공(210,310) 테두리에 걸려 케이블그립(100)과 브래킷(200,3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링(40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0,300)은 일측면이 엘리베이터실의 내측벽(7) 및 엘리베이터(9)에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케이블그립(100)과 연결되도록 하는 직각 절곡 구조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그립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KR1020090101589A 2009-10-26 2009-10-26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KR10113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89A KR101132696B1 (ko) 2009-10-26 2009-10-26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89A KR101132696B1 (ko) 2009-10-26 2009-10-26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165A true KR20110045165A (ko) 2011-05-04
KR101132696B1 KR101132696B1 (ko) 2012-03-30

Family

ID=4424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589A KR101132696B1 (ko) 2009-10-26 2009-10-26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4316A (zh) * 2014-04-21 2015-11-04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导线的保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4316A (zh) * 2014-04-21 2015-11-04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导线的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696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040B2 (en) Safety device applied to appliances for lifting boards onto ceilings and walls
PL2066523T3 (pl) Urządzenie do kompensacji zmian długości naprężonych kabli z zasadniczo stałym naprężeniem
US20210372479A1 (en) Bearing Compression Strap
JP6602835B2 (ja) 差込み式スリーブ
KR101132696B1 (ko) 케이블그립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운동케이블 고정구조
AU2003301948A1 (en) Ceiling support for a medico-technical radiation source
US20170089516A1 (en) Truss Adapter for Mounting Objects on Space Frame Truss
WO2015093066A1 (ja) 高耐圧管継ぎ手と高耐力継ぎ手
JP3201319U (ja) 電線ケーブル組立体
JP3991742B2 (ja) 防爆電気機器のケーブル引込構造
JP2008118072A (ja) 変圧器コイル輸送装置および変圧器コイル輸送方法
WO2021171603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把持装置
KR101598586B1 (ko)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KR20050002951A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100089219A (ko) 파이프 벤딩용 맨드릴
JP2009063014A (ja) 空気ばね
JP2013130026A (ja) 中空パイプ内部固定装置
KR200480634Y1 (ko)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JP2008263746A (ja) 柱状立設体への線状体の保持構造及びその保持方法
JP7550908B1 (ja) 小スペース用ケーブル移動抑制装置
JP4669345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支持具取着体
JP4429794B2 (ja) 配管包持具の製造方法
US11187353B1 (en) Strut channel mounting clip
KR101287157B1 (ko) 테이프 풀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