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57B1 - 테이프 풀림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57B1
KR101287157B1 KR1020110113931A KR20110113931A KR101287157B1 KR 101287157 B1 KR101287157 B1 KR 101287157B1 KR 1020110113931 A KR1020110113931 A KR 1020110113931A KR 20110113931 A KR20110113931 A KR 20110113931A KR 101287157 B1 KR101287157 B1 KR 10128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air
roller
close contac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974A (ko
Inventor
박용열
Original Assignee
박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열 filed Critical 박용열
Priority to KR102011011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온이나 배관의 보호 등의 목적을 가지고 각종 배관의 외면에 테이프를 감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테이프를 풀고 일정 장력으로 당기면서 감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내부에 동그랗게 말린 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공간 형상의 테이프 삽입부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의 전방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테이프 삽입부와는 절개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방 끝단은 개방된 테이프 인출부가 형성되는 로울러 장착부와, 상기 로울러 장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에서 테이프 인출부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장착축이 형성되는 몸체와;
편심된 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축에 장착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호 밀착하여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압캠과;
상기 가압캠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장착축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 인출부로 테이프가 맞물려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테핑 로울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풀림장치{The ravelling device for a tape using wind up a pipe}
본 발명은 테이프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온이나 배관의 보호 등의 목적을 가지고 각종 배관의 외면에 테이프를 감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테이프를 풀고 일정 장력으로 당기면서 감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테이프 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배관의 보온을 위한 목적으로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배관을 따라 감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배관을 매립할 때 배관과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차이가 날 경우 배관이 강제로 신축하게 되어 쉽게 손상되는 경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기도 한다.
이때 사용되는 테이프는 보통 접착력이 없는 것이며 신축이 되는 천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상황에 따라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밴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작업자는 배관에 이러한 배관용 테이프를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감는 작업 즉 말려있는 테이프를 일정 길이 풀어낸 다음 잡아당겨 일정장력을 가지도록 하면서 감는 작업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작업자가 테이프를 풀고 당기는 작업과 감는 작업의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02988호 (1993년02월26일) (특허 문헌 2) 실용신안공개 제20-1990-0003188호 (1990년02월0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테이프를 배관에 감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테이프 풀림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테이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테이프 풀림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동그랗게 말린 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공간 형상의 테이프 삽입부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의 전방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테이프 삽입부와는 절개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방 끝단은 개방된 테이프 인출부가 형성되는 로울러 장착부와, 상기 로울러 장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에서 테이프 인출부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장착축이 형성되는 몸체와;
편심된 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축에 장착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호 밀착하여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압캠과;
상기 가압캠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장착축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 인출부로 테이프가 맞물려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테핑 로울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개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3 장착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장착축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테이프가 맞물려 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풀림 로울러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풀림 로울러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로울러와 상대적으로 큰 제2 로울러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인출된 후 상기 제1 로울러의 외측을 감은 후 반전하여 제1 로울러와 제2 로울러의 맞물리는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반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캠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울러 장착부의 내벽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캠의 전방 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가압캠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밀착되는 상기 몸체의 내벽면에는 외부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장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과 밀착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압력조절수단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가 풀릴 때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지면서 풀리도록 하여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배관 테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코일스프링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내부에 동그랗게 말린 테이프(1)가 삽입되는 원형 공간 형상의 테이프 삽입부(21)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21)의 전방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테이프 삽입부(21)와는 절개부(22)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방 끝단은 개방된 테이프 인출부(23)가 형성되는 로울러 장착부(24)와, 상기 로울러 장착부(24)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22)에서 테이프 인출부(23)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장착축(25, 26)이 형성되는 몸체(2)와;
편심된 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축(25)에 장착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호 밀착하여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압캠(3)과;
상기 가압캠(3)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4)와;
상기 제2 장착축(26)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 인출부(23)로 테이프(1)가 맞물려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테핑 로울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테이프(1)를 별다른 장치 없이 작업자가 직접 감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테이프(1)를 풀고 이를 당겨 장력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배관에 감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상기 장치의 경우 한 쌍의 가압캠(3)이 테이프(1)를 가압하도록 하여 테이프(1)가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가해 테이프(1)를 그 힘 중 일부는 탄성부재(4)에 의한 저항력을 상쇄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는 테이프(1)를 풀리게 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힘만 주어서 연속적으로 테이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테이프(1)를 푸는 동작이 생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테이프(1)에는 항상 탄성부재(4)에 의해 작용되는 힘만큼의 장력이 일정하게 작용되어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테이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테핑 로울러(5)의 외주면은 몸체(2)의 전방에 일부 노출되도록 하여 최초 끝단에 일부 나와있는 테이프(1)를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고 배관의 외면에 굴리듯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 후에는 새 테이프(1)를 용이하게 다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는 상하 두 개로 분리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2)의 테이프 삽입부(21)의 중앙에는 수직 돌출되어 테이프(1)가 장착되는 테이프 장착축(2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상기 절개부(22)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3 장착축(2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장착축(27)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22)를 통하여 인출되는 테이프(1)가 맞물려 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풀림 로울러(6)를 추가로 구비하여 테이프(1)의 풀림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테이프(1)가 풀리면서 상기 절개부(22)의 일측과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상기 탄성부재(4)는 상기 로울러 장착부(24)의 내벽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캠(3)의 전방 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가압캠(3)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밀착되는 상기 몸체(2)의 내벽면에는 외부로 관통된 나사홀(28)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28)에 장착되는 볼트(71)와, 상기 볼트(71)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과 밀착되는 고정판(72)으로 구성되는 압력조절수단(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보다 강한 장력을 주고 테이프(1)를 감아야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볼트(71)를 조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면 테이프(1)에 보다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풀어주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수단(7)은 일측에만 설치하여도 그 사용에 지장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상기 한 쌍의 풀림 로울러(6)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로울러(61)와 상대적으로 큰 제2 로울러(62)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테이프(1)는 상기 절개부(22)를 통하여 인출된 후 상기 제1 로울러(61)의 외측을 감은 후 반전하여 제1 로울러(61)와 제2 로울러(62)의 맞물리는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반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캠(3)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테이프(1)에 보다 용이하게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 및 제2 로울러(61, 62)가 상호 맞물리면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로울러(62)에서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인장력이 부여되는 것이다.
1 : 테이프
2 : 몸체
21 : 테이프 삽입부 22 : 절개부
23 : 테이프 인출부 24 : 로울러 장착부
25 : 제1 장착축 26 : 제2 장착축
27 : 제3 장착축 28 : 나사홀
29 : 테이프 장착축
3 : 가압캠
4 : 탄성부재
5 : 테핑 로울러
6 : 풀림 로울러
61 : 제1 로울러 62 : 제2 로울러
7 : 압력조절수단
71 : 볼트 72 : 고정판

Claims (4)

  1. 내부에 동그랗게 말린 테이프(1)가 삽입되는 원형 공간 형상의 테이프 삽입부(21)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21)의 전방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테이프 삽입부(21)와는 절개부(22)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방 끝단은 개방된 테이프 인출부(23)가 형성되는 로울러 장착부(24)와, 상기 로울러 장착부(24)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22)에서 테이프 인출부(23)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장착축(25, 26)이 형성되는 몸체(2)와;
    편심된 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축(25)에 장착되어 전방 방향으로 상호 밀착하여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압캠(3)과;
    상기 가압캠(3)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4)와;
    상기 제2 장착축(26)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 인출부(23)로 테이프(1)가 맞물려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테핑 로울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2)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3 장착축(2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장착축(27)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22)를 통하여 인출되는 테이프(1)가 맞물려 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풀림 로울러(6)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림 로울러(6)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로울러(61)와 상대적으로 큰 제2 로울러(62)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테이프(1)는 상기 절개부(22)를 통하여 인출된 후 상기 제1 로울러(61)의 외측을 감은 후 반전하여 제1 로울러(61)와 제2 로울러(62)의 맞물리는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반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캠(3)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는 상기 로울러 장착부(24)의 내벽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캠(3)의 전방 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가압캠(3)이 상호 밀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밀착되는 상기 몸체(2)의 내벽면에는 외부로 관통된 나사홀(28)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28)에 장착되는 볼트(71)와, 상기 볼트(71)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과 밀착되는 고정판(72)으로 구성되는 압력조절수단(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풀림장치.
KR1020110113931A 2011-11-03 2011-11-03 테이프 풀림장치 KR10128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31A KR101287157B1 (ko) 2011-11-03 2011-11-03 테이프 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31A KR101287157B1 (ko) 2011-11-03 2011-11-03 테이프 풀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974A KR20130048974A (ko) 2013-05-13
KR101287157B1 true KR101287157B1 (ko) 2013-07-17

Family

ID=4865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931A KR101287157B1 (ko) 2011-11-03 2011-11-03 테이프 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3209B2 (en) 2017-01-30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lication device for low cost covering on SIR wire, tether wires, and any round rod shaped compon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686A (ja) * 1993-08-06 1995-03-0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2010535678A (ja) 2007-08-10 2010-11-25 シーイーシーシー ベヘール ビー.ブイ.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テーピング方法及び射出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686A (ja) * 1993-08-06 1995-03-0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2010535678A (ja) 2007-08-10 2010-11-25 シーイーシーシー ベヘール ビー.ブイ.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テーピング方法及び射出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3209B2 (en) 2017-01-30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lication device for low cost covering on SIR wire, tether wires, and any round rod shaped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974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0895C (en) Self-adjusting payoff core
WO2008070621A3 (en) Tensioning devices and methods for composite structures
WO2009021577A3 (de) Embolisiereinrichtung
WO2014016725A3 (en) Machine for closing the tail end of a roll of web material
US8944138B2 (en) System for coupling a roller shade and shade motor
CA2677759A1 (en) An elongate element tensioning member
WO2008089225A3 (en) Lateral storage spool for overhead cable pathway
WO2008136660A8 (en) Tightenable clamping device,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ie wraps
WO2014132062A3 (en)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287157B1 (ko) 테이프 풀림장치
WO2016030677A3 (en) Winch for poster hoarding
US8820487B2 (en) Rope arresting apparatus
DE502009000531D1 (de) Spannschloss
WO2008048837A3 (en) Belt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755662U (zh) 一种梁柱模板对拉固定装置
EP2559644A3 (en) Yarn winding device and yarn unwinding method
WO2012071506A3 (en) Deformable tube winding device
BR112018017280A2 (pt)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de energia
WO2013121169A3 (en) Device for holding cables and the like
EP2364945A3 (en) Method of winding a tape
CN206232237U (zh) 收卷装置
AU2012202734A1 (en) Fall Arrest Apparatus
WO2014167364A3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poster hoarding
CN210594534U (zh) 一种绕包带收紧装置
AU2011204933A1 (en) Drywall Repair Pro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