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150A -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150A
KR20110045150A KR1020090101568A KR20090101568A KR20110045150A KR 20110045150 A KR20110045150 A KR 20110045150A KR 1020090101568 A KR1020090101568 A KR 1020090101568A KR 20090101568 A KR20090101568 A KR 20090101568A KR 20110045150 A KR20110045150 A KR 2011004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ne pattern
decoration
produc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일
정석홍
문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10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5150A/ko
Publication of KR2011004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7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윈도우 표면의 무늬 형성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미세 패턴을 윈도우에 직접 형성시키는 데코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 증착, 포토리소그라피법 (Photo Lithography)을 이용하여 윈도우 대상물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을 형성시키는 단계(증착); 및 DFR(Dry film resist)을 이용하여 제품에 감광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Mask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노광); 및 자외선에 의해 화학적인 변화를 이룬 층을 알카리성 용액을 통해 현상하며 제거하는 단계 (현상 및 에칭); 및 에칭 완료 후 인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표면 데코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윈도우 데코레이션, 포토리소그라피법, 미세패턴, 진공 증착, 에칭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FINE PATTERN DECORATION WINDOW FOR MOBILE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폰, 게임기등의 휴대 단말기의 윈도우 표면에 직접적인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은 진공증착, 포토리소그라피법, 인쇄를 통해 윈도우 표면에 다양한 컬러와 메탈감을 가진 스핀, 격자무니 및 기타 패턴등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표면에는 인쇄 및 스탬핑을 통하여 문자나 기타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윈도우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단에 위치하여 Glass 또는 PC, PMMA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방식을 이용하면 인쇄 제판의 조밀성과 잉크의 입자크기의 한계로 인해 단순한 형상의 문구나 로고인쇄만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격자무늬로 인쇄 제판이 형성되어 있어 표현된 문구나 로고의 테두리 부는 인쇄 제판의 격자무늬와 같이 그대로 제품에 나타나 매끄럽지 못한 패턴이 제품에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메탈감의 잉크도 입자가 굵기 때문에 미세한 메탈감의 패턴은 인쇄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마이크론 단위의 다양한 컬러 또는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은 윈도우에 직접적인 인쇄나 스탬핑을 통하여 구현할 수 없게 되며 윈도우의 디자인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윈도우 표면에 여러가지 컬러 및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표면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공 증착, 포토리소그라피법 (Photo Lithography)을 이용하여 윈도우 대상물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을 형성시키는 단계(증착); 및 DFR(Dry film resist)을 이용하여 제품에 감광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Mask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노광); 및 자외선에 의해 화학적인 변화를 이룬 층을 알카리성 용액을 통해 현상하며 제거하는 단계 (현상 및 에칭); 및 에칭 완료 후 인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표면 데코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윈도우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 구현 방법에 따르면, 진공증착, 포토리소그라피법, 에칭 및 인쇄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세 패턴을 윈도우 표면에 직접 형성시킬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표면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 구현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표면에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각 공정을 이해하기 쉽게 이미지화 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그에 증착 대상 제품 즉, 윈도우를 장착한다. (Step 1)
그 다음, 작업자는 대상제품이 장착되어있는 지그를 챔버 내부에 장입한다. (Step 2)
그 다음, 작업자는 원하는 디자인의 컬러 및 메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약품보충과 진공 증착기의 가동조건을 설정하여 증착한다. (Step 3)
그 다음, 작업자는 증착이 완료된 제품을 지그에 장착 후 DFR(Dry Film resist)과 함께 라미네이팅하여 밀착 시킨다. (Step 4)
그 다음, 작업자는 DFR 과 밀착된 제품이 있는 지그에 원하는 사양의 미세 패턴이 구현된 Mask 를 얹어 진공 흡입하여 밀착시킨다. (Step 5)
그 다음, 작업자는 패턴이 구현된 Mask 와 밀착된 제품이 장착된 지그를 노광 기를 통해 자외선을 투과시켜 빛에 의해 화학적인 변화가 이루어 지도록 노광작업을 한다. (Step 6)
여기서, 윈도우 제품에는 원하는 사양의 미세 패턴이 제품에 형성된다.
그 다음, 작업자는 미세 패턴이 형성된 제품을 포토 현상기에 투입하여 알카리 성분의 액체에 의해 현상한다. (Step 7)
그 다음, 작업자는 현상이 완료된 제품을 에칭기에 투입하여 노광 작업으로 패턴이 구현되지 않은 영역을 산성액에 의해 제거한다. (Step 8)
그 다음, 작업자는 제품에 묻어있는 잔류 에칭액 및 DFR 을 깨끗이 세척한다. (Step 9)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미세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를 인쇄기의 지그에 장착하여 최종 인쇄를 통하여 추가 컬러 구현 혹은 문자를 구현하여 마무리한다. (Step 10)
이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론 단위의 패턴을 윈도우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컬러 및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직접 윈도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표면에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 구현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윈도우 표면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윈도우 표면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Claims (3)

  1. 윈도우 표면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의 미세 패턴의 데코레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공 증착, 포토리소그라피법 (Photo Lithography)을 이용하여 윈도우 대상물에 다양한 컬러 및 메탈감을 형성시키는 단계(증착); 및 DFR(Dry film resist)을 이용하여 제품에 감광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Mask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노광); 및 자외선에 의해 화학적인 변화를 이룬 층을 알카리성 용액을 통해 현상하며 제거하는 단계 (현상 및 에칭); 및 에칭 완료 후 인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표면 데코레이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법의 대상 제품은 각종 휴대 단말기의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단에 위치하여 Glass 또는 PC, PMMA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법.
KR1020090101568A 2009-10-26 2009-10-26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KR20110045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68A KR20110045150A (ko) 2009-10-26 2009-10-26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68A KR20110045150A (ko) 2009-10-26 2009-10-26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150A true KR20110045150A (ko) 2011-05-04

Family

ID=4424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568A KR20110045150A (ko) 2009-10-26 2009-10-26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5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34B1 (ko) * 2013-10-23 2015-05-26 (주)창성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캐리어 필름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34B1 (ko) * 2013-10-23 2015-05-26 (주)창성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캐리어 필름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0579B (zh) 一种可提高图形深宽比的纳米压印方法及其产品
KR100988437B1 (ko)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유리 또는 금속 식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리쉐의 제조방법
KR101295251B1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멀티 증착 방법
WO2018000602A1 (zh) 一种3d玻璃的曝光显影加工方法
CN107663028A (zh) 一种含蚀刻纹路图案的镀膜玻璃板的制备方法及玻璃板
CN107445489B (zh) 一种含彩色油墨纹路图案的玻璃板的制备方法及玻璃板
KR100782595B1 (ko) 가공부품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CN105159028A (zh) 纳米图案压印掩模版及其制作方法
JP2012182108A (ja) キーパッド構造およびキーパッド構造の製造方法
KR101385843B1 (ko)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8344B1 (ko) 차량용 도어스커프 및 도어스텝의 하프 및 관통 에칭 제조방법
KR100923724B1 (ko) 엠보 인쇄층 제조방법 및 엠보 인쇄용 제판
KR20110045150A (ko) 휴대단말기 윈도우의 미세 패턴 데코레이션 제조 방법
KR20110018635A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677B1 (ko) 미세패턴 형성방법
TW201306689A (zh) 形成圖案之方法及採用該方法形成有圖案之殼體
US10955748B2 (en) Curved shaped mask, curved device having color resists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891861B2 (ja) 反転印刷方法および反転印刷装置
CN102890403A (zh) 形成图案的方法及采用该方法形成有图案的壳体
JP2008207374A (ja) 樹脂モールドおよび樹脂モールドを利用した印刷版の製造方法
CN106353965B (zh) 曲面形光罩、具彩色光阻图案的曲面装置及其制作方法
KR20090081497A (ko) 광중합수지를 이용한 입체이미지 형성방법
KR101226914B1 (ko) 미세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클리쉐
CN102915950B (zh) 在半导体器件上同时制作通孔和沟槽的方法
CN102436135A (zh) 无铬光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