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646A -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646A
KR20110044646A KR1020090101441A KR20090101441A KR20110044646A KR 20110044646 A KR20110044646 A KR 20110044646A KR 1020090101441 A KR1020090101441 A KR 1020090101441A KR 20090101441 A KR20090101441 A KR 20090101441A KR 20110044646 A KR20110044646 A KR 2011004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security system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102009010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4646A/ko
Publication of KR2011004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차량과 운전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하여 게이트에 경비 인원을 배치하지 않아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는 차단장치(100)와;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접근중이거나 또는 접근하여 정지한 차량과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통행이 허가된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아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확인모듈(400)과; 검색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탑승자 정보와 카메라가 촬영한 탑승자의 특징을 비교하여 통과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차단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판단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하며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탑승자를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통과 여부를 확인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며 허가받지 못한 자의 출입이 제한되므로 보안에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무인 게이트 영상인식 보안 카메라 시스템

Description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for unattended gate}
본 발명은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의 번호와 차량의 탑승자를 파악한 후 통행 허락여부를 확인하여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군이나 산업체의 연구시설 등은 보안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일 먼저 출입하는 차량과 사람의 통제가 필요하다. 즉 출입구에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통행이 허가된 사람만 통과시켜 침입자가 정보를 훔쳐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출입구에 경비가 배치되어 있어 경비원이 출입하는 출입자의 신분증 등을 확인하고 허가자 명단에서 출입자의 성명을 찾아 통과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경비원을 배치하는 경우 한 명의 경비원이 24시간 감시할 수 없으므로 두 명 이상의 경비원이 서로 교대하면서 근무하게 된다. 특히 한명의 경비원이 근무할 경우 침입자가 경비원을 제압할 경우 경보를 울리거나 비상신호를 전달하기 곤란하므로 한번에 적어도 두 명 이상이 함께 근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경비원을 채용하여 경비를 하게 되면 경비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차량과 운전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하여 게이트에 경비 인원을 배치하지 않아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는 차단장치(100)와;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접근중이거나 또는 접근하여 정지한 차량과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통행이 허가된 차량과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아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차량확인모듈(400)과; 검색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탑승자 정보와 카메라가 촬영한 탑승자의 특징을 비교하여 통과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차단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판단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 및 동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차종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모듈(500);을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500)은 인식모듈이 인식한 차종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검색모듈에서 검색한 차량의 차종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차량 내부의 열원을 촬영하여 차량 내의 탑승자를 파악하는 적외선카메라를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인게이트 보안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탑승자를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통과 여부를 확인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며 허가받지 못한 자의 출입이 제한되므로 보안에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인으로 경비가 이루어지므로 경비와 침입자가 사전에 모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무인으로 운영되므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게이트의 보안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게이트의 보안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의 무인게이트의 보안 시스템은 크게 차단장치(100)와 카메라와 데이터베이스(300)와 차량확인모듈(400)과 제어모듈(500) 그리고 판단모듈(600)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차단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단장치(100)는 보안을 요하는 시설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평상시 닫혀있어 통행을 제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장치(100)는 철망으로 이루어진 도어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폭보다 크게 제작되어 있으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게이트가 자동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를 철망문의 형태로 하는 대신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벽을 상하나 좌우로 이동시켜 개폐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200)는 차단장치(100) 인근에 설치되어 있어 차단장치(100)에 접근하는 차량이나 사람을 촬영하게 되며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대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먼저 첫번째 카메라는 차단장치(100)로 접근하는 차량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첫번째 카메라(210)는 도로를 향해 설치된다.
두번째 카메라는 적외선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220)로 첫번째 카메라가 촬영하는 차량을 적외선 촬영하여 차량 내부의 탑승자 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 다. 이에따라 차량 내부의 인원을 확인할 수 있어 차량 내부에 숨어 통과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세번째 카메라(230)는 차량이 정지하면 이동하여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는 줌, 틸트, 팬 기능 및 3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량의 높이가 높은 차량(예를 들면 트럭)의 경우에는 세번째 카메라(23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운전석의 높이에서 촬영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면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운전석의 높이로 카메라를 이동시켜 촬영하게 되므로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운전자의 안면이 달라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촬영하게 되며 필요시 이동하여 뒷좌석이나 트럭의 경우 짐칸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적외선 카메라와 차량이 접근하는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차량의 내부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으로 별도로 구성하고 있으나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여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전석과 조수석 뒷좌석 등을 서로 다른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통행이 허가된 차량과 번호와 차종 그리고 통행이 허가된 사람의 안면 이미지와 신분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서는 차량과 사람(운전자 및 탑승자)의 관계를 함께 저장하여 차량과 사람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이는 각각의 차량과 사람은 통행을 허가받았을 지라도 차량과 사람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다른 사람의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등)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침입자가 허가받은 사람이지만 통행 여부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려고 다른 사람의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확인모듈(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확인모듈(400)은 카메라가 촬영한 차량의 영상에서 번호판을 찾아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차량의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의 통행 허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차량확인모듈(400)은 차량의 색상이나 차종 등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침입자가 번호판을 위조하거나 다른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하였을 경우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어모듈(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 기 차량확인모듈(400)에서 차종이 확인되면 상기 차종의 정보에 따라 카메라를 이동시켜 탑승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카메라로 전달하게 된다.
이는 얼굴을 촬영할 때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른 이미지로 촬영되어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이동시켜 각 인물의 정면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대형트럭일 경우에는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소형차량일 경우에는 카메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차량의 정면에서 촬영할 경우 유리창에 의해 왜곡이 발생하거나 빛에 반사되어 명확하게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차량의 측면으로 접근시키고 차량의 창문을 내린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500)은 차량확인모듈(400)에서 확인한 차량의 번호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여 차종을 확인하거나 반대로 차량의 영상을 인식하여 차종을 확인하고 차종에 따라 카메라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차종을 확인하지 않고 차량의 영상에서 창문의 위치를 인식하고 창문측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에 동승자가 있을 경우에는 동승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중 하나를 적외선 카메라로 하여 차량 내부의 열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탑승자가 몇 명인지 확인하며 탑승자의 탑승위치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탑승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해당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이동시켜 촬영한다.
여기서 동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카메라를 차량의 모든 좌석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판단모듈(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판단모듈(600)은 상기 차량확인모듈(400)에서 차량이 통행이 허가된 것으로 확인되었을 경우 수행하게 된다.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그리고 뒷좌석을 촬영하여 탑승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와 비교하여 탑승자의 통행 허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차량 내의 모든 탑승자가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제어신호를 차단장치(100)에 전달하여 게이트가 열리도록 한다.
여기서 차량과 탑승자 각각은 등록되어 있으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없는 차량에 탑승하여 통행을 시도할 경우에는 통과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남의 차량을 이용하여 행적을 감추려고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게이트 보안 시스템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보안시설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보안시설의 관리자에게 자신이 운전하거나 탑승할 차량의 번호를 등록하고 차량에 탑승할 탑승자의 정보도 함께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차량의 정보(차량번호, 차종)와 탑승자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탑승자가 자주 통행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개인정보 등은 사전에 저장해 두고 관리자가 상기 탑승자의 정보에 허가받은 통행시간만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후 보안시설의 게이트에 차량이 접근하게 되면 카메라(210)가 먼저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여 전송하면 차량확인모듈(400)이 상기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차량을 검색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300)내에 차량번호가 있을 경우 통행이 허가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차량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통행이 제한되는 구역에 접근하였음을 알려 차량을 돌리도록 유도하게 된다.
차량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나 허가된 시간이나 지역이 아닐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차량의 통행이 허가되지 않았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가 돌아가거나 관리자를 호출하여 통행 여부를 확인받도록 한다.
차량번호와 허가 시간 및 허가 지역이 모두 맞을 경우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차량이 정지하면 먼저 적외선 카메라(220)가 차량을 촬영하고 열원을 분석하여 차량에 탑승한 인원의 수와 위치를 확인하게 되며 상기 정보에 따라 제어모듈(500)이 카메라(230)들을 제어하여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탑승자들이 모두 카메라(230)을 향하도록 하여 얼굴 정면이 촬영될 수 있도록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창을 이용하여 안내하게 된다.
이후 촬영된 안면의 이미지는 판단모듈(600)에서 데이터베이스(300)와 비교하여 통행 허가 여부를 확인하고 통행이 허가된 경우 게이트를 열어 차량과 탑승자를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게이트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으로 차량과 탑승자의 통행 여부를 확인하여 처리하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카메라가 탑승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하게 되므로 인식율을 높여 통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보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 무인게이트 보안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0 : 차단장치 200 : 카메라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차량확인모듈
500 : 제어모듈 600 : 판단모듈

Claims (5)

  1.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는 차단장치(100)와;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접근중이거나 또는 접근하여 정지한 차량(700)과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통행이 허가된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아 차량(700)의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확인모듈(400)과;
    검색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탑승자 정보와 카메라가 촬영한 탑승자의 특징을 비교하여 통과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차단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판단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차종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모듈(500);을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0)은
    인식모듈이 인식한 차종에 따라 좌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검색모듈에서 검색한 차량의 차종에 따라 좌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차량 내부의 열원을 촬영하여 차량 내의 탑승자를 파악하는 적외선카메라를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KR1020090101441A 2009-10-23 2009-10-23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KR20110044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41A KR20110044646A (ko) 2009-10-23 2009-10-23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41A KR20110044646A (ko) 2009-10-23 2009-10-23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46A true KR20110044646A (ko) 2011-04-29

Family

ID=4404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41A KR20110044646A (ko) 2009-10-23 2009-10-23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46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560A (zh) * 2018-10-08 2018-12-14 丰和营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免人工控制的车辆进出门
CN114140921A (zh) * 2021-11-26 2022-03-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智慧检查站系统
CN114283511A (zh) * 2021-12-27 2022-04-05 上海益邦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和ai技术的智慧园区出入管理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560A (zh) * 2018-10-08 2018-12-14 丰和营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免人工控制的车辆进出门
CN114140921A (zh) * 2021-11-26 2022-03-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智慧检查站系统
CN114283511A (zh) * 2021-12-27 2022-04-05 上海益邦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和ai技术的智慧园区出入管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1220B2 (ja) 自律走行車両
US9679425B2 (e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to a restricted area
US20140334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ighborhood-scale vehicle monitoring
JP4357521B2 (ja) 不正通過者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正通過者録画システム
WO2020004134A1 (ja) ゲート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7148987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CN106144861A (zh) 用于乘客运输控制的基于深度传感器的乘客感测
CN111164036B (zh) 电梯的防范系统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144795A (zh) 通过识别用户操作用于乘客运输控制和安全的系统和方法
KR101153980B1 (ko) 차량 감시 장치
KR20200035536A (ko)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75702B2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101936824B1 (ko) 스마트 원패스 시스템
KR20110044646A (ko) 무인 게이트 보안 시스템
RU2596993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оплаты проезда в общественном транспорте
JP2018152134A (ja) 自律走行車両
JP4617286B2 (ja) 不正通過者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正通過者録画システム
KR102289772B1 (ko)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JP5996379B2 (ja) 車輛入退場管理装置
JP7153517B2 (ja) 自動運転車駐車システム
JP732225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CN108698788B (zh) 电梯访问控制系统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