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518A - 환기창 - Google Patents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518A
KR20110044518A KR1020090101237A KR20090101237A KR20110044518A KR 20110044518 A KR20110044518 A KR 20110044518A KR 1020090101237 A KR1020090101237 A KR 1020090101237A KR 20090101237 A KR20090101237 A KR 20090101237A KR 20110044518 A KR20110044518 A KR 2011004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s
window frame
operating
ventil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찬
Original Assignee
김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찬 filed Critical 김기찬
Priority to KR102009010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4518A/ko
Publication of KR2011004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들을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절곡할 수 있게 구성하여 환기창을 조절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작레버를 틀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게 한 환기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틀의 안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횡으로 설치되어 환기시킬 수 있게 작동되는 루버(louver)들과 상기 루버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들을 창틀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구들과 상기 작동구들을 연결하여 상기 루버들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의해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구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구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신장(伸長)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절곡하여 창틀에 밀착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대와 조작레버의 결합 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관절부를 포함한다.
환기창, 루버, 조작레버, 절곡부, 환기

Description

환기창{a window for ventilation}
본 발명은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들을 작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조작레버를 절곡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가 틀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창틀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건물의 베란다 혹은 보일러실 등과 같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환기창에 구비되는 조작레버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루버(louver)들을 개폐시킴으로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환기창은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대략 사각링 형상을 갖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안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횡으로 설치된 루버(louver)들과 상기 루버들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한 조작레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창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틀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의해, 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틀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레버에 사용자 등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상기 조작레버가 항상 틀체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들을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절곡할 수 있게 구성함에 의해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해 조작레버를 조작할 경우에는 그 조작레버를 틀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절곡하여 틀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사용자가 조작레버에 걸리지 않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한 환기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기창용 창틀의 안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횡으로 설치된 루버(louver)들과 상기 루버들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루버들이 맞닿았을 경우 상기 루버들의 사이를 밀폐하여 주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진 환기부; 상기 환기부에 구비되는 루버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들을 상기 창틀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구들과 상기 작동구들을 연결하여 상기 루버들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구비되는 작동구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구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신장(伸長)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임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창틀의 외면에 설치하여 상기 루버들이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 게 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를 절곡하여 창틀에 밀착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대와 조작레버의 결합 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절부는 조작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대에 설치하기 위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조작레버의 단부에 형성한 구형부와 상기 구형부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유동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기창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에 관절부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를 절곡할 수 있어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 그 조작레버를 창틀에 밀착되게 위치시킴으로서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레버를 창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에 사용자가 걸리지 않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환기창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에서 신장되는 연결대에 의해 조작레버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100)은 환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기부는 상기 환기창(100)을 구성하기 위한 창틀(102)의 안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횡으로 설치되는 루버(louver)(112)들과 상기 루버(112)들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루버(112)들이 맞닿았을 경우 상기 루버(112)들의 사이를 밀폐하여 주는 밀폐부재(11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환기부의 상기 루버(112)를 개폐함에 의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100)은 작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부는 상기 루버(112)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112)들을 상기 창틀(102)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구(122)들과 상기 작동구(122)들을 연결하여 상기 루버(112)들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는 연결편(12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부는 상기 루버(112)의 양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루버(112)들을 동시에 작동시켜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구(122)들에 의해 상기 루버(112)들이 회동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작동구(122)를 루버(112)에 각각 끼워지게 설치한다. 즉, 상기 루버(112)의 양단에 지지편(126)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지지편(126)에 사각형상의 홈(126a) 을 형성하고, 상기 홈(126a)에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끼움돌부(122a)를 상기 작동구(122)에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부(122a)를 상기 홈(126a)에 끼움 결합함으로서 상기 작동구(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루버(112)들이 작동되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100)은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부는 작동구(122)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구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122)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신장(伸長)되는 연결대(132)와 상기 연결대(132)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1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작동구(122)를 회전시킬 수 있게 조작하는 조작레버(134)와 상기 조작레버(134)를 임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창틀(102)의 외면에 설치하여 상기 루버(112)들이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정구(13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조작부에 구비되는 조작레버(134)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루버(112)들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134)를 회동시키게 되면 그 조작레버(134)에 연결되는 연결대(132)가 작동구(122)를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된다. 즉, 상기 연결대(132)는 작동구(122)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연결대(132)는 작동구(12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작동구(122)들은 연결편(126)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면서 그 작동구(122)들에 결합되는 상기 루버(112)들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136)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고정홈(136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36a)들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부(134a)가 상기 조절레버(134)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레버(134)를 조작 후 상기 고정돌부(134a)를 상기 고정홈(136a)에 위치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루버(112)들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부(134a)를 고정홈(136a)에 고정되게 하거나 해지하게 위한 동작은 상기 연결대(132)가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신장되게 설치됨으로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대(132)를 신장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대(132)의 외부를 감싸도록 관체(133)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관체(133)의 단부에는 고정턱(13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133a)과는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관체(133)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대(132)에 걸림턱(132a)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턱(132a)과 고정턱(133a)의 사이에 위치되게 스프링(135)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대(132)가 신장되게 한다. 즉, 상기 관체(133)에 삽입되는 연결대(132)에 스프링(135)을 설치하여 그 스프링(135)의 양단이 걸림턱(132a)과 고정턱(133a)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대(132)가 신장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100)은 관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절부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관절부에 의해 조작레버(134)를 절곡하여 창틀(102)에 밀착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대(132)와 조작레버(134)의 결합 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관절부는 상기 조작레버(13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대(132)에 설치하기 위한 힌지부(142)와 상기 힌지부(142)에 인접하는 상기 조작레버(134)의 단부에 형성한 구형부(144)와 상기 구형부(144)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유동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46a)을 갖는 지지부(14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관절부에 의해 조작레버(134)를 창틀(102)에 밀착되게 하거나 혹은 돌출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환기를 위해 상기 조작레버(134)를 조작할 경우에는 그 조작레버(134)가 창틀(1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조작하고, 또 상기 조작레버(134)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134)를 창틀(102)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134)에 사용자가 걸리는 경우를 없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환기창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에서 신장되는 연결대에 의해 조작레버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에 구비되는 루버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환기창 102 - 창틀
112 - 루버 114 - 밀폐부재
122 - 작동구 124 - 연결편
132 - 연결대 134 - 조작레버
136 - 고정구 142 - 힌지부
144 - 구형부 146 - 지지부

Claims (2)

  1. 환기창용 창틀의 안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횡으로 설치된 루버(louver)들과 상기 루버들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루버들이 맞닿았을 경우 상기 루버들의 사이를 밀폐하여 주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진 환기부;
    상기 환기부에 구비되는 루버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들을 상기 창틀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구들과 상기 작동구들을 연결하여 상기 루버들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구비되는 작동구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구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신장(伸長)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작동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임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창틀의 외면에 설치하여 상기 루버들이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를 절곡하여 창틀에 밀착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대와 조작레버의 결합 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관절부를 포함하는 환기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조작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대에 설치하기 위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조작레버의 단부에 형성한 구형부 와 상기 구형부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유동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KR1020090101237A 2009-10-23 2009-10-23 환기창 KR2011004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37A KR20110044518A (ko) 2009-10-23 2009-10-23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37A KR20110044518A (ko) 2009-10-23 2009-10-23 환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18A true KR20110044518A (ko) 2011-04-29

Family

ID=4404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237A KR20110044518A (ko) 2009-10-23 2009-10-23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45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126A (ko) * 2018-12-24 2020-07-02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KR20210111571A (ko) *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2334510B1 (ko) * 2021-06-08 2021-12-03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126A (ko) * 2018-12-24 2020-07-02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KR20210111571A (ko) *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2334510B1 (ko) * 2021-06-08 2021-12-03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KR20110044518A (ko) 환기창
KR101631707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WO2012137466A1 (ja) 差圧作動式の換気口
KR20100006024U (ko)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EP1404940B1 (en) Window with ventilating aperture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KR200440195Y1 (ko) 창문용 통풍 개폐장치
JP4367756B2 (ja) 方立部内換気装置
KR200258237Y1 (ko) 환기창
KR20180004524A (ko) 루버 조립체
US6692350B1 (en) Ergonomically accessible airflow control mechanism for a register
JP4599981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並びに住宅構造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3898282B2 (ja) 換気口
KR100916848B1 (ko) 자연 환기장치
JP7379220B2 (ja) ドアセットおよび換気装置
JP2010222846A (ja) 建具
JP3824946B2 (ja) 換気装置
JP6006042B2 (ja) 換気装置と開口部装置
KR200492236Y1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102616162B1 (ko) 결로방지용 환기장치와 이를 구비한 루버창
JPH05227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