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318A -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318A
KR20110043318A KR1020090100382A KR20090100382A KR20110043318A KR 20110043318 A KR20110043318 A KR 20110043318A KR 1020090100382 A KR1020090100382 A KR 1020090100382A KR 20090100382 A KR20090100382 A KR 20090100382A KR 20110043318 A KR20110043318 A KR 2011004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evel value
fuel level
vehicle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527B1 (ko
Inventor
최경락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5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는 제1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제1조건이 만족한다면,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와,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는 제2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제2조건이 만족한다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4단계와,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제3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제3조건을 만족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고, 제3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연료게이지, 차량, 표시

Description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uel gauge displa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유 중인지 아닌지를 정확히 판단하고, 주유중인 경우 상기 급유에 따른 정확한 연료게이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연료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 잔여 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 계기판이 구비된다. 상기 연료 계기판에 표시되는 연료량을 보고 운전자는 적절한 시기에 연료를 주유하여 보충한다.
연료 계기판의 지침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 센더(Fuel sender)의 저항값에 따라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한다. 상기 연료 센더는 플로우터(Floater)의 부력를 이용하여 저장되는 연료량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상향 경사로에 진입하게 되면 플로우트가 있는 측의 수위가 높아져서 플로우트의 높이가 높아진다. 또한, 하향 경사로에 진입하게 되면 연료 센더의 플로우트가 있는 측의 수위가 낮아져서 플로우트의 높이가 낮아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일정속도(예를 들어, 2 Km/Hr)이하의 속도로 상향 경사로에 진입을 하는 경우, 연료변화량이 순간적으로 일정량(예를 들어 6L)이상 변화를 일정시간(예를 들어 3초)이상 감지하게 되면 급유모드로 판단하여 연료게이지가 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연료게이지 값은 실제 연료량과 다른 값을 표시하게 되는데, 주행모드가 되더라도 실제값을 인식하기까지 상당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런 경우,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향 경사로에 저속으로 진입하여 연료량이 실제보다 많다고 판단하여 게이지에 표시할 경우에는 시동꺼짐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반대로 하향 경사로에 진입하여 연료량이 작다고 표시할 경우라도 연료량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데에 대한 운전자 불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가지고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임 딜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연료 탱크내의 연료 센더의 변화량에 댐핑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연료 급유량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연료 게이지 지침이 표시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예를 들어 급유가 마친 상태에서 실제로는 연료탱크에 연료가 가득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료 게이지 지침은 한동안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운전자가 정확하게 연료 보충량을 판단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에는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연료탱크 뚜껑이 열리는 경우 이전의 주유량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하고, 디지탈 유량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연료량에 대한 정보와 저장된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새롭게 주유된 연료량을 구한다. 이에 따르면, 연료가 주유중인지 여부를 연료탱크 뚜껑이 열리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료탱크의 뚜껑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급유중인지를 별도의 센서 없이 판단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유시의 급유량을 반영하여 정확한 연료게이지 지침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이 경사중인 경우에도 연료 게이지 지침이 정확한 연료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은,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는 제1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조건이 만족한다면,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 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는 제2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조건이 만족한다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 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제3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상기 제2연료레 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3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인 경우에 정확한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상기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연료이지 지침 위치와 상기 제1위치를 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연료게이지 지침 표시방법은, 시동 "0N" 상태에서 시동 "OFF" 상태로 되는 시점에서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기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동 "OFF" 된 후의 일정기간 경과 후에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와, 시동 "OFF"에서 시동 "0N" 되는 시점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상기 제2연료레벨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연료 레벨 값과 제1연료 레벨값보다 높으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에서 차량속도가 일정시간 동안 0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상기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연료이지 지침 위치와 상기 제1위치를 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급유중인지 여부를 별도의 장치나 센서 없이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한, 급유중의 연료 보충량을 실시간으로 연료 게이지 지침으로 표시할 수 있음으로써, 급유 중 및 급유 후에 운전자가 연료 보충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은 시동이 Key "ON" 상태이고, 차량속도가 0인 상태에서 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은,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는 제1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조건이 만족한다면,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유지되는 제2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2조건이 만족한다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제3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3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6단계(S60)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단계(S10)는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는 제1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일정시간 경과 동안 시동이 on 상태로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는 급유 없이 차량이 주행하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시동이 꺼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서(S11), 시동이 꺼진 상태이면 후술하는 시동 "OFF" 시의 표시 제어방법을 취하게 되고, 차량이 주행한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차량 주행시의 표시 제어방법을 취하게 된다.
제2단계(S20)는 제1조건이 만족하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한다. 이 경우,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은 연료탱크에서 연료 센더(fuel sender)가 가리키는 저항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료레벨값이 차량이 정지되고 난 뒤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실제로 연료탱크 내에서 측정한 값이 된다. 이는 차량이 정지해서 출렁거림이 멈춘 이후에 연료탱크 내의 잔여 연료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즉, 단순히 차량이 정차하자마자의 연료 탱크의 연료값을 측정한다면, 연료 탱크내의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그 잔여 연료량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서 후술하는 제2연료레벨값과의 차이를 측정함에 있어서도 그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일정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8 내지 15초일 수 있으며, 이는 급유를 위해서 정차한 시점에서부터 급유를 시작하기까지의 시점 사이에서 연료가 안정화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연료레벨값은 차량이 급유를 위하여 정차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값이 됨과 동시에, 차량이 급유를 시작하기 전에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약 제1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면 연료게이지의 지침은 변화가 없이 본 알고리즘을 종료하게 된다.
제3단계(S30)는, 상기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일정 시간은 차량이 급유를 정차하고 난 뒤에 급유를 시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제1연료레벨값을 측정한 시간으로부터 8 내지 15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동안 시동 on 상태로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는 급유 없이 차량이 주행하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시동이 꺼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서(S31), 시동이 꺼진 상태이면 후술하는 시동 "OFF" 시의 표시 제어방법을 취하게 되고, 차량이 주행한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차량 주 행시의 표시 제어방법을 취하게 된다.
제4단계(S40)에서는, 상기 제2조건이 만족한다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한다. 상기 제2연료레벨값은 차량이 실제로 급유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파라메터(parameter)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연료레벨값은 제1연료레벨값을 측정한 후에 일정시간 유지된 후에 값이다. 따라서 연료탱크의 연료가 안정화된 상태에서 측정한 값이므로, 이 또한 정확한 값이 된다.
제5단계(S50)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제3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제3조건은 상기 제1연료레벨값이 기억된 것을 전제로 판단하게 된다.
제6단계(S60)는,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고(S61),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S62).
즉, 제1연료레벨값이 충분히 안정화된 상태에서 계측한 값이고, 제2연료레벨값 또한 제1연료레벨값 기억 후에 충분히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의 계측 값이므로,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으면 이는 그 시간 동안에 급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료게이지 지침을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도록 상승시킨다.
단, 상기 제5단계에서 제3조건은,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 보다 높다고 판단되는 조건(S51) 이외에,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을 조건(S52)을 요구할 수도 있 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제2연료레벨값이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차이가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지 않으면 연료 게이지를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단계(S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문턱 연료 주입량이 3l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3l 이하일 경우에는 제1연료레벨값 및 제2연료레벨값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약간의 출렁거림이 있거나 한계 오차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연료 게이지의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는, 연료 게이지 값을 변화시키기 시작하는 최소 연료량 변화치를 설정하여서, 너무 민감하게 연료게이지가 반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6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제2연료레벨값을 제1연료레벨값으로 변경하여 기억하고(S70), 다시 제3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상기 변경된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에서 급유 여부를 반복형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서 실시간으로 연료게이지로 정확하게 현재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6단계에서 만약 제3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 후에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제1연료레벨값으로 변경 저장하여 제3단계로 되돌아가거나, 제1연료레벨값을 다시 기억한 다음 제3단계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지 않으면), 다시 제3단계로 되돌아가되 상기 판단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동안 시동 "0N" 상태로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도록 하여 제1연료레벨값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급유에 따른 연료의 증가량을 타임 딜레이 또는 댐핑 로직을 사용하지 않고 연료게이지 지침으로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연료 급유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사로에서의 연료 센더의 센싱값은 오차가 발생하므로, 급유후에 단순히 연료센더의 센싱값을 연료게이지로 나타내면 당연히 정확하지 않은 값이 표현된다. 즉, 연료 게이지 차량이 경사 도로에 위치하는 경우에 연료탱크의 연료 센더는 이전의 연료 센더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으나, 이는 경사에 의하여 연료센더의 높이가 왜곡되어 발생되는 것으로서, 실제로는 연료량이 많아지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차량이 경사로에 진입하여 정차 중이거나, 주차 중인 경우에도 연료 게이지의 지침을 정확한 높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급유전의 연료게이지 값이 경사로에 진입하더라도 정확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급유후의 연료게이지 지침은 급유전에 정확한 연료게이지에 연료주입량을 더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급유 전의 연료게이지가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주행시에 연료게이지의 표시위치는 이전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에서 보정된 연료소비량 정보를 감산하여 얻어지도록 한 후에, 이를 반영하여 연료게이지가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의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는 이전의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에서 특정 값을 감하여서 이루어짐으로써, 이전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보다 높아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르면, 차량이 경사 도로에 위치하더라도 연료게이지 값이 거꾸로 올라가거나, 급속도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현재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는 하기 계산식에 근거할 수 있다.
L2(t)=L2(t-1)-K*D
상기 계산식에서 L2(t) 및 L2(t-1)은 주행중 시간 t 및 t-1에서 계기판의 연료게이지 지침위치를 나타내며, D는 인젝터에서 분사되는 연료소비량을, K는 연료소비량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를 나타낸다. 보정상수 K는 시간 t-1에서의 연료게이지 위치(L2(t-1))와 그 시간 t-1에서의 연료레벨 평균값(L1(t-1))의 크기 비교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이 경우, 보정상수 K는 시간 t-1에서의 연료게이지 지침(L2(t-1))이 그 시간 t-1에서의 연료레벨 평균값(L1(t-1))보다 클 경우 1보다 큰 값이고, 연료게이지 지침 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 L1(t-1)과 동일할 경우 1의 값이며, 연료게이지 지침 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 L1(t-1)보다 작을 경우 1보다 작은 양수 값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료게이지 지침(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L1(t-1))보다 크다는 것은 연료게이지 지침(L2(t-1))이 실제보다 높게 표시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실제 소비된 연료량보다 큰 수를 감함으로써 실제 정확한 현재 연료게이지 지침을 표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하게, 연료게이지 지 침(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L1(t-1))보다 작다는 것은 연료게이지 지침(L2(t-1))이 실제보다 낮게 표시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연료게이지 지침(L2(t-1))에서 작은 수를 감함으로써 실제 정확한 현재 연료게이지 지침을 표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일예로서 시간 (t-1)에서의 연료게이지 지침 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 L1(t-1) 보다 클 경우의 K=1.9, 연료게이지 지침 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 L1(t-1)과 동일할 경우 K=1, 연료게이지 지침 L2(t-1)이 연료레벨 평균값 L1(t-1)보다 작을 경우의 K=0.1과 같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령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한다 하더라도, 이전(t-1)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와 이전(t-1) 잔여 연료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 얻어진 보정상수(K)로 연료소비량(D)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연료소비량을 이전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에서 차감하여 현재(t)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연료소비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연료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인 경우에 정확한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연료게이지의 지침을, 제1위치에서 연료증가량을 더하여 구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연료게이지 지침은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상기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연료이지 지침 위치와 상기 제1위치를 더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료레벨값은 제1단계에서 연료탱크가 기울어져서 안정화된 상태에서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을 의미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기억되는 제2연료레벨값 또한 차량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센더의 정보에 의한 값이 된다.
연료량의 변화 여부는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제2연료레벨값을 서로 비교하여서 판단하게 된다. 이때에 연료량이 변화하였다면, 이전에 기억된 연료게이지 값에 변화된 연료량을 더하여서 연료게이지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서 차량이 시동 “OFF"이 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의 알고리즘을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이전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에서 보정된 연료소비량 정보를 감산하여 얻어지도록 한 후에, 이를 반영하여 연료게이지가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알고리즘을 따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차량이 시동을 OFF 시킨 후에 시동을 ON 복귀시에 차량의 급유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연료게이지에 정확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은 시동 "0N" 상태에서 시동 "OFF" 상태로 되는 시점에서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기억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시동 "OFF" 된 후의 일정기간 경과 후에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S200)와, 시동 "OFF"에서 시동 "0N" 되는 시점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 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상기 제2연료레벨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연료 레벨 값과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으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단계(S100)는 차량이 평지 및 경사로에 있음에 상관없이, 정확한 기준 연료게이지 값을 정하는 단계이다. 즉, 제1위치는 차량이 시동 "OFF" 직전에 정확한 연료게이지 값을 나타내며, 후에 급유시에 연료게이지는 제2연료레벨값을 반영한 값을 표시하게 된다.
제2단계(S200)는 상기 시동 "OFF" 된 후의 일정기간 경과 후에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계는, 시동 "OFF" 된 후의 일정기간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와, 일정시간 유지된다면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단계(S220)로 나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료레벨값이 차량이 시동 "OFF"되고 난 뒤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실제로 연료탱크 내에서 측정한 값이 된다. 이는 차량이 시동 "OFF"되어서 출렁거림이 멈춘 이후에 정확한 연료탱크 내의 연료 잔류량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단순히 차량이 시동 "OFF" 된 직후의 연료 탱크의 연료값을 측정한다면, 연료 탱크내의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그 잔류 연료량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일정시간은 예를 들어 8-15초일 수 있으며, 이는 급유를 위해서 시동 "OFF"된 시점에서부터 급유를 시작하기까지의 시점 사이에서 연료가 안정화되는 시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 의하면 연료탱크의 잔류 연료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료레벨값은 차량이 급유를 위하여 시동 "OFF"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이 됨과 동시에, 차량이 급유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이 된다.
만약 시동 "OFF" 상태가 되고 난 뒤에 일정한 시간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0), 유지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1위치로 표시하고(S230), 차량 주행중인지를 판단하여서(S240), 차량이 주행 모드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주행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정차 모드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차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제3단계(S300)는 시동 "OFF"에서 시동 "0N" 되는 시점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단계이다. 즉, 시동 "OFF"에서 시동 "ON"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와, 시동 "ON"이 된 경우, 그 때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단계(S320)로 나뉠 수 있다.
만약 시동을 Key off 상태에서 차량에 급유를 하였다면, 급유단계가 마치고 다시 주행하려면 시동을 반드시 Key “ON"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시동 "0N" 상태로 되돌린 상태에서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이 얼마인지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2연료레벨값은 실제로 급유가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파라메타이다.
제4단계(S400)는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상기 제2연료레벨값을 비교하여(S410),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으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2 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킨다(S430).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중인지 여부를 연료탱크의 뚜껑이 열렸는지 여부를 센싱하거나, 기어가 N위치 또는 P 위치에 있는지를 센싱할 필요가 없이, 제1연료레벨값과 제2연료레벨값을 비교만 하여 급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내의 연료가 충분히 안정화 되고 난 뒤 시점에서 연료량을 센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연료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단계(S400)는,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제2연료레벨값이 높지 않으면 이는 주유를 하지 않은 상태로, 주, 정차를 목적으로 시동을 Key off한 것이므로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00)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와, 상기 차이가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지 않으면 연료 게이지를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턱 연료 주입량이 3l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3l 이하일 경우에는 제1연료레벨값 및 제2연료레벨값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약간의 출렁거림이 있는 단계로 볼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연료 게이지의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는, 연료 게이지 값을 변화시키기 시작하는 최소 연료량 변화치를 설정하여서, 너무 민감하게 연료게이지가 반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4단계(S400)를 마친 후에는, 차량 주행중인지를 판단하여서(S450), 차량이 주행 모드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주행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정차 모드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차 모드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계(S100)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에서 차량속도가 일정시간 동안 0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이며 차량속도가 일정시간 동안 0이 유지되면, 제1연료 레벨 및 제2연료레벨은 상기 연료탱크가 기울어져서 안정화된 상태에서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계기판 지침이 나타내는 제1위치는 상기 차량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잔류하는 연료량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시에 연료게이지의 표시위치는 이전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에서 보정된 연료소비량 정보를 감산하여 얻어지도록 한다. 즉, 현재의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는 이전의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에서 특정 값을 감하여서 이루어짐으로써, 이전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보다 높아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르면, 차량이 경사 도로에 위치하더라도 연료게이지 값이 거꾸로 올라가거나, 급속도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현재 연료게이지의 지침 위치는 하기 계산식에 근거할 수 있다.
L2(t)=L2(t-1)-K*D
상기 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종합하면, 차량이 주행중에는 본 발명은 평지 혹은 경사로에 상관없이 주행중에는 이전(t-1)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와 이전(t-1) 잔여 연료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 얻어진 보정상수(K)로써 연료소비량(D)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연료소비량을 이전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현재(t) 연료게이지의 지침위치를 계산하고(S1), 이를 연료 게이지에 업데이트 표시함으로써, 주행중 연료게이지가 잔여 연료량에 맞춰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연료소비량에 맞춰 비례 감소되도록 한다(S2). 이에 따르면, 차량이 경사로에서 주행, 정차하더라도, 연료게이지 지침은 정확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시동이 켜진 상태로 주, 정차되는 경우인지(S3) 및 시동이 꺼진 상태(S4)를 판단하며, 만약 시동이 켜진 상태로 차량속도가 O인 경우 차량이 급유를 위하여 주, 정차중인지를 판단하며, 급유 중인 경우에는 이를 연료게이지에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이 시동이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시동이 꺼지기 직전과 다시 켜진 상태에서의 연료량을 체크하여서 급유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연료게이지에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경사로 주차시를 고려하여 시동 'OFF' 시의 연료레벨값과, 시동 'ON'시의 연료레벨값을 저장하고, 이들의 연료레벨값 변동 여부에 따라 현재 연료탱크 내 연료레벨값 혹은 시동 '오프' 직전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맞춰 연료 게이지 표시함으로써, 경사로 주차시에도 잔여 연료량에 맞는 연료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차량이 주행시에 연료 게이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시동 "0N" 위치에 있으면서 차량속도가 0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는 제1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조건이 만족한다면,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연료탱크의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고 난 직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차량속도가 0이 유지되는 제2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조건이 만족한다면, 이때의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제3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3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연료게이지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료게 이지의 지침 변화 없이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건은,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조건과 함께,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1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료게이지값을 기억하는 단계를 거쳐서 다시 제3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로 차량속도가 0 인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0N" 상태인 경우에 정확한 연 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상기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연료이지 지침 위치와 상기 제1위치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새로운 제1연료레벨값이 되도록 변경되어서 다시 제3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8. 시동 "0N" 상태에서 시동 "OFF" 상태로 되는 시점에서의 연료게이지 지침 위치인 제1위치를 기억하는 제1단계;
    상기 시동 "OFF" 된 후의 일정기간 경과 후에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1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2단계;
    시동 "OFF"에서 시동 "0N" 되는 시점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레벨값인 제2연료레벨값을 기억하는 제3단계;
    상기 제1연료레벨값과 상기 제2연료레벨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연료 레벨 값과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으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제2연료레벨값이 높지 않으면 연료게이지 지침을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2연료레벨값이 상기 제1연료레벨값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연료레벨값과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문턱 연료 주입량보다 많지 않으면 연료 게이지를 지침을 변화시키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로 차량속도가 0 인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서 시동 "OFF" 상태에서 차량속도가 일정시간 동안 0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2연료레벨값에 대응되는 위치는, 상기 제2연료레벨 값과 상기 제1연료레벨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연료이지 지침 위치와 상기 제1위치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KR1020090100382A 2009-10-21 2009-10-21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KR10159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82A KR101591527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82A KR101591527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18A true KR20110043318A (ko) 2011-04-27
KR101591527B1 KR101591527B1 (ko) 2016-02-18

Family

ID=4404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82A KR101591527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3992A (ja) * 1996-12-30 1998-07-28 Robert Bosch Gmbh 燃料タンクにおける燃料残量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H1182206A (ja) * 1997-09-02 1999-03-26 Yazaki Corp フューエル残量表示システム
JPH11190655A (ja) * 1997-12-26 1999-07-13 Yazaki Corp 車両用燃料残量表示装置
JP4106634B2 (ja) * 2005-03-04 2008-06-25 日本精機株式会社 燃料残量表示装置とそ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3992A (ja) * 1996-12-30 1998-07-28 Robert Bosch Gmbh 燃料タンクにおける燃料残量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H1182206A (ja) * 1997-09-02 1999-03-26 Yazaki Corp フューエル残量表示システム
JPH11190655A (ja) * 1997-12-26 1999-07-13 Yazaki Corp 車両用燃料残量表示装置
JP4106634B2 (ja) * 2005-03-04 2008-06-25 日本精機株式会社 燃料残量表示装置とその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527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9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stance to empty of vehicle
US758793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ing vehicle fuel level
JP4106634B2 (ja) 燃料残量表示装置とその表示方法
US9371071B2 (en) Method for refueling motor vehicles
WO2011125851A1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US9758097B2 (en) Remaining fuel amount display device
US6252499B1 (en) Fuel supply indica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fuel tank
US5485740A (en) Method of calibration for gauging fuel in an automotive tank
JP2019173692A (ja) 車両の燃料残量算出装置
KR100828796B1 (ko) 트립 컴퓨터의 주행가능거리 산정방법
CN110614918B (zh) 一种汽车燃油系统判断坡驻与加油的方法
KR20110043318A (ko) 차량의 연료게이지 표시 제어방법
US5752409A (en) Method of accurately gauging fuel in an automotive tank
JP2003343379A (ja) 燃料タンクレベルセンサ及び燃料残存量計測装置
JP2006023141A (ja) 車両の燃料情報出力装置
JP2013061245A (ja) 車両用燃料残量表示装置
KR102096626B1 (ko) 자동차 연료량 측정장치
KR20130066203A (ko) 차량의 연료 잔량 검출 장치 및 방법
JP5458465B2 (ja) 車両のフューエルメータ制御装置
KR101619523B1 (ko) 연료레벨 표시방법
KR100902866B1 (ko) 차량의 연료량 표시방법
US1150520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gauge in circuit mode of vehicle
TWI510763B (zh) 油量測量方法及油量測量系統
EP2362192A1 (en) Fuel economy calculation correction
KR20090070621A (ko) 차량의 주유량 판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