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736A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736A
KR20110042736A KR1020090099544A KR20090099544A KR20110042736A KR 20110042736 A KR20110042736 A KR 20110042736A KR 1020090099544 A KR1020090099544 A KR 1020090099544A KR 20090099544 A KR20090099544 A KR 20090099544A KR 20110042736 A KR20110042736 A KR 2011004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support
support member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5916B1 (en
Inventor
박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9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916B1/en
Priority to CN2009102593975A priority patent/CN102039247A/en
Priority to TW098144951A priority patent/TWI372082B/en
Publication of KR2011004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44Apparatus or installatio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applying apparatus or several dispensing outlets, e.g. to several extrus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Abstract

PURPOSE: A paste dispens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form various paste patterns on a substrate by minimizing a gap between nozzles of plural had units. CONSTITUTION: A supporting unit is installed to a heat support(40). A first driv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 support and the supporting unit and moves the supporting uni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Two or more head units(50) are installed to one supporting unit, and a head unit includes a nozzle dispensing paste. A second driv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head unit and moves the head uni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Paste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te dispenser for forming a paste pattern on a substrat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종 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들의 접착 또는 실링을 위하여 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장치이다.The paste dispenser is a device for applying paste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substrate for adhesion or sealing of substrates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flat panel displays (FPD).

이와 같은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시린지(82) 및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83)이 장착된 헤드유닛(80)과, 헤드유닛(80)이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지지대(89)와, 헤드유닛(80)과 헤드지지대(89)의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유닛(80)을 헤드지지대(89)가 연장되는 방향(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유닛(80)에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841)와 발광부(841)에서 발광되어 기판(S)의 상면에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842)로 구성되어 노즐(83)과 기판(S) 사이의 간격을 계측하는 레이저변위센서(84)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aste dispenser includes a head unit 80 equipped with a syringe 82 in which the paste is accommodated and a nozzle 83 in which the paste is discharged, and the head unit 80. Interposed between the head support 89 and the head support unit 80 and the head support unit 89 so as to be movable, the head unit 80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support unit 89 extends (X-axis direction). It comprises a X-axis drive device 90 for moving. The head unit 80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841 for emitting a laser and a light receiving part 842 for receiving a laser tha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841 and ref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84 which measures the space | interval between (S) is provided.

X축구동장치(90)는, 헤드유닛(80)이 지지되는 가동부(91)와, 헤드지지대(89)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부(92)로 구성되고, 가동부(91)와 고정부(92)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헤드유닛(80)이 헤드지지대(8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X-axis driving device 90 is composed of a movable portion 91 on which the head unit 80 is supported, and a fixing portion 92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89, and the movable portion 91 and the high portion. The head unit 80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89 by the interaction of the government unit 92.

이와 같이, X축구동장치(90)는 헤드유닛(80)을 헤드지지대(8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동부(91)의 크기는 헤드유닛(80)의 중량, 시린지(82)의 페이스트 수용용량 등 가동부(91)가 이동시키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헤드유닛(80)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동부(91)의 X축방향의 폭(Wm)은 헤드유닛(80)의 X축방향의 폭(Wh)에 비하여 커질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드유닛(80)이 서로 최대로 인접되는 경우, 복수의 헤드유닛(80) 사이의 최소거리는, 즉, 복수의 헤드유닛(80)에 구비되는 노즐(83) 사이의 최소간격(Wn)은, 가동부(91)의 X축방향의 폭(Wm)에 영향을 받는다.As such, the X-axis driving device 90 serves to move the head unit 8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89, the size of the movable portion 91 is the weight of the head unit 80, syringe ( It is decid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 which the movable part 91 moves, such as paste accommodation capacity of 82). 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head unit 80, the width Wm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movable unit 91 is inevitably larger than the width W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head unit 80. As shown in FIG. 3, wh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maximum,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is, that is, the nozzle 83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The minimum distance Wn therebetween is influenced by the width Wm of the movable part 91 in the X-axis direction.

따라서, 복수의 헤드유닛(80)이 서로 최소거리로 인접한 경우의 각 노즐(81) 사이의 간격(Wn)을 유지하면서 기판(S)상에 형성한 페이스트 패턴(P)의 간격(DPW)에 비하여 작은 간격(DPN)을 가지는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의 헤드유닛(80)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하기는 어렵고, 복수의 헤드유닛(80)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여 패턴(90)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헤드유닛(80)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패턴(90)을 형성하여야 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Therefore, the gap DPW of the paste pattern P formed on the substrate S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gap Wn between the nozzles 81 wh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minimum distance. 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form the paste pattern P having a smaller spacing DPN compared with the above,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aste pattern P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and thus the plurality of head units 80. To move alternately to form a pattern 90, or to use a single head unit 80 to form a plurality of patterns 90 is a constraint follow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동부(91)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가동부(91)의 구동력이 헤드유닛(80)을 적절히 이동시킬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므로, 헤드유닛(80)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없어 진동이 발생하는 등 더 큰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considered a method of reducing the size of the movable portion 91, 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movable portion 91 is small enough to not properly move the head unit 80, The head unit 80 may not be moved smoothly, causing vibration and other problems.

이와 같이, 종래의 가동부(91)의 X축방향의 폭(Wm)으로 인하여 기판(S)에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P)의 간격을 축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interval of the paste pattern P formed on the substrate S due to the width Wm of the conventional movable portion 91 in the X-axis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간의 X축방향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판상에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paste dispenser capable of efficiently forming a variety of patterns on the substrate by minimizing the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nozzles from which the paste is discharged There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지지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페이스트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하나의 지지부재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A drive unit, a head ejecting nozzle is provided, and two or more head units are provided in one support member, and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ead unit to move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e unit.

여기에서, 상기 제2구동유닛의 구동력은 상기 제1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비하여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unit.

그리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이 결합되는 가동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가동부의 폭은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헤드유닛의 폭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movable part to which at least one head unit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is coupled, and a fixing part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Preferably, the movable portion has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 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unit to move the at least one head unit of the two or more head unit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r more head units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It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지지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하나의 지지부재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1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이 설치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노즐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켜 기판 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 and the first drive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paste, the head unit being provided in two or more on one support member,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ead unit to move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A control method of a paste dispenser including a second driving unit,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operating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r more head units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is adjusted; Moving at least one of the head units, and (b)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to control the two or more heads. And discharging the paste from the nozzle while moving the supporting member in which the uni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to form a paste pattern on the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복수의 헤드유닛의 노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기판상에 다양한 페이스트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thereby effectively forming various paste patterns on the substrat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aste dispens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설치되고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20)와, 스테이지(20)의 양측에 설치되고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30)에 양단이 지지되어 스테이지(2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40)와, 헤드지지대(4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50)과, 페이스트 도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 stage 20 mounted on the frame 10 and a substrate S mounted thereon, and a stage 20. A pair of support movement guides 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movement guides 30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age 20 and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support 40, a head unit 50 which is installed in the head support 40 to be movabl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aste coating operation.

프레임(10)상에는, 스테이지(2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장치(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테이지(2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장치(2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상에는 Y축이동장치(22)의 Y축가이드(221)가 설치되며, Y축가이드(221)의 상부에는 X축이동장치(21)의 X축가이드(211)가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의 상부에는 스테이지(2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테이지(20)는 X축가이드(211)에 안내되어 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X축가이드(211)가 Y축가이드(221)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Y축가이드(221)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가 Y축가이드(221)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프레임(10)의 상부에 X축가이드(211)가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의 상부에 Y축가이드(221)가 안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X축이동장치(21) 및 X축가이드(211)와, Y축이동장치(22) 및 Y축가이드(221) 중 어느 한 쪽만이 적용되어, 스테 이지를 X축방향 및 Y축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frame 10, an X-axis moving device 21 for moving the stage 20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installed, and a Y-axis moving device 22 for moving the stage 20 in the Y-axis direction is installed. Can be. That is, the Y-axis guide 221 of the Y-axis moving device 22 is installed on the frame 10, and the X-axis guide 211 of the X-axis moving device 21 is installed above the Y-axis moving device 22. The stage 20 may be seated on the X-axis guide 211. By such a configuration, the stage 20 may be guided by the X-axis guide 211 and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X-axis guide 211 is guided and moved by the Y-axis guide 221 to the Y-axis.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that the Y-axis guide 22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the X-axis guide 211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Y-axis guide 221, the frame 10 The X-axis guide 2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configuration that the Y-axis guide 221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X-axis guide 211 may be applied. Of course, only one of the X-axis moving device 21 and the X-axis guide 211 and the Y-axis moving device 22 and the Y-axis guide 221 is applied, so that the stage i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 configuration of moving only in either direction may be applied.

헤드지지대(40)의 양단에는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연결되는 지지대이동장치(41)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지지대이동장치(41)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헤드지지대(40)가 지지대이동가이드(30)의 길이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유닛(50)은 헤드지지대(40)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head support 40 may be installed with a support for moving the support 4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guide movement guide (30). By the interaction of the support movement guide 30 and the support movement device 41, the head support 4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ovement guide 30, that is,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head unit 50 may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head support 40 in the Y-axis direction.

헤드유닛(50)은 페이스트가 충전되는 시린지(52)와, 시린지(52)와 연통되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53)과, 노즐(53)과 기판(S)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변위센서(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변위센서(54)는 레이저가 발광하는 발광부(541)와, 발광부(541)에서 발광되어 기판(S)의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542)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d unit 50 is a syringe 52 for filling the paste, a nozzle 53 in communication with the syringe 52 to discharge the paste, and a lase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53 and the substrate 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cement sensor 54.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54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541 for emitting a laser and a light receiving unit 542 for receiving a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541 and reflect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이러한, 헤드유닛(50)은 헤드지지대(4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데, 복수의 헤드유닛(5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the head unit 50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in the head support 40, a configuration that can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 50 as follows.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지지대(40)에 헤드지지대(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헤드지지대(40)와 지지부재(1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100)를 헤드지지대(40)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지지 대(4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o 8,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40 to the head support 40, the head support (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100 to move the support member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40. Such, the support member 100, as shown in Figure 7,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head support (40).

또한, 하나의 지지부재(100)에는 복수의 헤드유닛(50)이 설치되는데, 지지부재(100)와 헤드유닛(50)의 사이에는 헤드유닛(50)을 헤드지지대(40)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upport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d unit 50, the head unit 50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head unit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40) ( A second driving unit 70 for moving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지지부재(100)에 두 개의 헤드유닛(50)이 설치된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재(100)에 세 개의 헤드유닛(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개수의 헤드유닛(50)이 설치될 수 있다.In FIG. 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head units 50 are provided in one support member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6, one Three head units 5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00, and a larger number of head units 50 may be installed.

제1구동유닛(60)은,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는 가동부(61)와, 헤드유닛(50)의 길이방향(X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구동유닛(60)은 리니어모터, 볼스크류기구 등과 같이 지지부재(100)를 직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61)가 고정부(62)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X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100) 및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헤드유닛(50)이 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drive unit 60 may include a movable part 61 to which the support member 100 is coupled, and a fixing part 62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head unit 50. Can be.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be applied to various configurations for linearly moving the support member 100, such as a linear motor, a ball screw mechanism. Accordingly,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head unit 50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00 are moved in the X axis direction by the movable part 61 being moved in the X axis direction by the interaction with the fixing part 62. Can be.

제1구동유닛(60)은,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헤드유닛(5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장치는 제1구동유닛(60)을 동작시켜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50)이 설치된 지지부재(100)를 헤드지지대(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노즐(53)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켜 기판(S)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동작을 제어한다.The first driving unit 60 serves to move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aste on the substrate (S). Th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first drive unit 60 to move the support member 100 provided with two or more head units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40 while discharging the paste from the nozzle 53 to form a substrate. The operation of forming the paste pattern on (S) is controlled.

또한, 제2구동유닛(70)은, 헤드유닛(50)과 결합되는 가동부(71)와, 지지부 재(100)에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구동유닛(70)은 리니어모터, 볼스크류기구 등과 같이 헤드유닛(50)을 지지부재(100)에 대하여 직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71)가 고정부(72)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X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헤드유닛(50)이 지지부재(100)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70 may include a movable part 71 coupled to the head unit 50, and a fixing part 72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support part material 100. The second driving unit 70 may be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to linearly move the head unit 5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00, such as a linear motor, a ball screw mechanism. Accordingly, the head unit 50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00 by moving the movable part 71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interaction with the fixing part 72.

이와 같은 제2구동유닛(70)은 하나의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복수의 헤드유닛(50) 사이의 간격(노즐(53) 사이의 간격(Wn))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헤드유닛(50)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5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구동유닛(70)은 복수의 헤드유닛(50)에 전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헤드유닛(50) 중 일부에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 units (such as a gap Wn between the nozzles 53)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installed in one support member 100. At least one of the head unit 50) serves to move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unit 70 may be entire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and may be installed only in some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이러한, 제2구동유닛(70)은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50)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5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물론, 제2구동유닛(70)은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제1구동유닛(60)과 함께 동작되어 헤드유닛(50)이 지지부재(100)의 이동에 의한 이동과 함께 지지부재(100)에 대하여 스스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is second driving unit 70 is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and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applying the paste on the substrate (S), between the two or more head unit 50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100 The at least one head unit 50 of the two or more head units 50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the interval is adjusted. Of cours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aste on the substrate S, the second driving unit 70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unit 60 so that the head unit 50 moves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00. An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00 can be controlled to move itself.

이러한, 제2구동유닛(70)은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복수의 헤드유닛(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2구동유닛(70)의 구동력은 제1구동유닛(60)의 구동력에 비하여 작다. 또한, 제2구동유닛(70)은,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 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복수의 헤드유닛(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헤드유닛(50)을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만의 최소한의 구동력만 있으면 되므로, 제2구동유닛(7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구동유닛(70)의 가동부(71)의 X축방향의 폭을 헤드유닛(50)의 X축방향의 폭(Wh)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헤드유닛(50)의 노즐(53) 사이의 간격(Wn)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00)상에서 복수의 헤드유닛(50)을 서로 인접시키는 경우 제2구동유닛(70)의 가동부(71)의 X축방향의 폭은 제약이 되지 않는다.The second driving unit 70 i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100,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70 is the first driving unit 60 It is small compared to the driving force of.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70 may move the head unit 5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can be adjusted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applying the paste on the substrate S. FIG. Since only a minimum driving force is necessary, the size of the second driving unit 70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head unit in the X axis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71 of the second driving unit 70 can be minimized. The width Wh in the X-axis direction of (50) can be made to be equal to or less.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member 100 in order to minimize the distance Wn between the nozzles 53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The width of the movable portion 71 in the X axis direction is not limit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드유닛(50)의 노즐(53) 사이의 간격(Wn)은 헤드유닛(50)을 이동시키는 가동부(71)의 폭에 영향을 받지 않고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노즐(53) 사이의 간격(Wn)을 종래에 비하여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는 동시에 형성할 수 없었던 좁은 간격(DPN)을 가지는 페이스트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the distance Wn between the nozzles 53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50 may be minimiz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idth of the movable portion 71 for moving the head unit 50. As a result, the gap Wn between the nozzles 53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and therefore, a paste pattern having a narrow gap DPN that cannot be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conventional paste dispenser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복수의 헤드유닛의 노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는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spacing between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and thus has the effect of forming a paste pattern having a narrower spacing than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페이스트 디스펜서에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패널 또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접착제 또는 액정 등의 액체 를 공급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 paste dispenser as an example,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only to the paste dispenser, supplying a liquid such as adhesive or liquid crystal in the liquid crystal panel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t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unit of a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 헤드유닛이 서로 인접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head uni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aste dispenser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4.

도 6은 도 4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4.

도 7은 도 4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head unit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4.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도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40: 헤드지지대 50: 헤드유닛40: head support 50: head unit

53: 노즐 60: 제1구동유닛53: nozzle 60: first drive unit

70: 제2구동유닛 100: 지지부재70: second drive unit 100: support member

Claims (5)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 상기 헤드지지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head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하나의 지지부재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헤드유닛; 및A head unit having a nozzle through which paste is discharged and installed in at least two support members; And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An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ead unit to move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구동유닛의 구동력은 상기 제1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비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And a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이 결합되는 가동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movable part to which at least one head unit of the plurality of head units are coupled, and a fixing part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가동부의 폭은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헤드유닛의 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 서.And the width of the movab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to move at least one head unit of the two or more head units to adjust a gap between the two or more head units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Paste dispenser.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지지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하나의 지지부재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헤드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 a first drive unit installed between the head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past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comprising a head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two or more, and a second drive uni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ead unit to move the head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In (a) 상기 제2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a) operating the second driving unit to move at least one head unit of the two or more head units such that an interval between the two or more head units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is adjusted; And (b) 상기 제1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두 개 이상의 헤드유닛이 설치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헤드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노즐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켜 기판 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b)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to move the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the two or more head un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to discharge paste from the nozzle to form a paste pattern on the substrat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containing.
KR1020090099544A 2009-10-20 2009-10-20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15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4A KR101115916B1 (en) 2009-10-20 2009-10-20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09102593975A CN102039247A (en) 2009-10-20 2009-12-23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098144951A TWI372082B (en) 2009-10-20 2009-12-25 Past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4A KR101115916B1 (en) 2009-10-20 2009-10-20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36A true KR20110042736A (en) 2011-04-27
KR101115916B1 KR101115916B1 (en) 2012-02-22

Family

ID=4390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44A KR101115916B1 (en) 2009-10-20 2009-10-20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5916B1 (en)
CN (1) CN102039247A (en)
TW (1) TWI37208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06B1 (en) * 2019-04-23 2019-11-04 (주)알루코 retouching equipments for edge of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4905B2 (en) * 2013-09-30 2016-06-2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ispensing units of a dispenser
KR102571644B1 (en) * 2016-03-28 2023-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play device
CN106824672A (en) * 2017-04-16 2017-06-13 上海山泰柯电子有限公司 Intelligent circuit board point gum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899A (en) * 2001-08-08 2003-02-18 Shibaura Mechatronics Corp Paste applying apparatus
JP4481576B2 (en) * 2003-02-28 2010-06-16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Paste applicator
KR100649962B1 (en) 2006-06-28 2006-11-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Head unit of paste dispenser
KR100807824B1 (en) 2006-12-13 2008-02-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aste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06B1 (en) * 2019-04-23 2019-11-04 (주)알루코 retouching equipments for edge of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14498A (en) 2011-05-01
CN102039247A (en) 2011-05-04
KR101115916B1 (en) 2012-02-22
TWI372082B (en)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16B1 (en)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520904B1 (en) Working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KR101026426B1 (en)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sealant, etc. using the same
JP3836119B2 (en) Coating device
JP2010279944A (en) Paste application method and substrate having paste pattern formed by the method
KR100733729B1 (en) Substrates Aligning Apparatus
JP4863999B2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KR101074666B1 (en)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applying paste
KR101528456B1 (en) Apparatus and method treating substrate
JP5172756B2 (en) Coating device
KR20070074269A (en) Dispensing head for paste dispenser
EP2806720B1 (en) Printed board working apparatus
KR101723376B1 (en) Head unit of fluid discharge apparatus
KR102593613B1 (en) Nozzle for paste dispenser
KR1020413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JP2015196106A (en) Coating liqui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33563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substrate
KR101069371B1 (en) Dispenser with head-units arranged as mirror type
KR1013459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Material
KR20160013352A (en) Clean unit,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US11766860B2 (en) Method of controlling inkjet printing process
JP5663297B2 (en) Coating device
KR10210321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glass using laser
JP2010224338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ing structure
JP5518427B2 (en) Co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