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442A -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442A
KR20110041442A KR1020107029672A KR20107029672A KR20110041442A KR 20110041442 A KR20110041442 A KR 20110041442A KR 1020107029672 A KR1020107029672 A KR 1020107029672A KR 20107029672 A KR20107029672 A KR 20107029672A KR 20110041442 A KR20110041442 A KR 2011004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ebral body
curable material
endplates
container
cann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에이 크루거
에반 린더맨
루이스 밍기원
어린 샤우스
제임스 캔톨라
테일라 라일리
세이나 매시
Original Assignee
케어퓨전 2200, 아이엔씨
테일라 라일리
세이나 매시
에반 린더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퓨전 2200, 아이엔씨, 테일라 라일리, 세이나 매시, 에반 린더맨 filed Critical 케어퓨전 2200,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1004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7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61B17/1617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with mobile or detach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7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 A61B17/7098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wherein the implant is permeable or has openings, e.g. fenestrated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11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the introducer tip, i.e. the part inserted into or onto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 A61B17/8852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capable of being assembled or enlarged, or changing shape, inside the bone or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 A61B17/8852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capable of being assembled or enlarged, or changing shape, inside the bone or disc
    • A61B17/885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capable of being assembled or enlarged, or changing shape, inside the bone or disc inflatable, e.g. kyphoplasty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9Chain, wire or band s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한 실시예에서, 척추체를 안정화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척추체의 제 1 단판을 지지하기 위해 척추체의 제 1 단판(endplates) 근위에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material deposit)를 가지고, 척추체의 제 2 단판을 지지하기 위해 척추체의 제 2 단판 근위에 제 2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material deposit)를 가진다. 상기 장치는 역시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와 제2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사이에 안정화 구조 및 척추체에 지지하기 위한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 및 제2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연결구조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척추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단판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 1 단판(endplates) 근위에 치료가능한 물질이 전달되고, 다른 단계에서, 제 1 단판(endplates)과 제 2 단판 사이의 구조적 지지를 위해 안정화 구조가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척추체내에 안정화 구조물을이 제공된다. 한 단계에서, 두 단판(endplates)을 가지는 척추체는 접근 캐뉼라에 접근된다. 또 다른 단계에서,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가 척추체 내에 삽입된다. 또 다른 단계에서, 상기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의 높이가 상기 두 단판사이의 척추체의 높이의 적어도 약 80%가 되도록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가 팽창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하는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더욱 명백해진다. 본 발명은 기타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실현될 수 있고 그 자세한 내용은 여러가지 양태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과 설명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Description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METHOD AND STRUCTURE FOR STABLIZING A VERTEBRAL BODY}
이 출원은 35 USC 119(e)을 따라, 미국 잠정특허출원 제61/075202호로 2008년6월24일에 미국 특허청에 제출된 척추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 및 구조이라는 제목의 출원을 참조로 통합된 내용을 가진다.
본 발명은 척추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치료가능한 물질 또는 다른 안정화 구조물로 척추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상을 받거나 손상된 뼈부위의 외과수술은 환자, 예를 들면 추골손상을 수반하는 등의 요통을 가진 환자에게 대단히 유익한 것으로 판명된 바 있다. 특정 뼈수술 절차동안, 척추체내의 망상조직 뼈는 섬유주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진통제 (또는 치유적인)의 주사로 보충된다. 예를 들면 척추내의 상하 척추뼈는 적당한, 치료가능한 물질(예 PMMA 또는 다른 골 시멘트)의 주사로 잘 안정화될 수 있다. 다른 시술에서, 예를들어 경척추경(transpedicular or parapedicular) 시술로 추골압축 골절로 안정화 물질을 경피 주사하는 것은 통증을 경감해서 손상된 뼈부위를 안정시키는 것에 유익하다고 판명된 바 있다. 다른 골격의 뼈(예를 들면 대퇴골)도 동일한 형태로 취급될 수 있다. 대부분의 뼈와 특히 망상조직의 뼈는 뼈호환 물질을 일시적인 주사로 강화 및 안정될 수 있다.
손상된 척추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척추체의 내부에 접근하여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의 척추체의 내부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은 몇 가지 결점을 가진다.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지지 그라데이션을 제공하는 척추체내에 다소의 구면경화 구조를 형성한다.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는 단판(endplates)의 표면에 고르게 힘이 분포되도록 하지 않으므로, 척추체 내에 압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의 골절이나 재골절을 유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척추체의 국부 구조가 최적으로 안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의 또 하나의 결점은 골절된 척추체를 골절 이전에 척추체의 높이로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통상의 척추체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2장의 평면 단판(endplates)을 포함한다. 골다공증 또는 또 다른 손상을 받거나 병에 걸린 척추체에서, 단판(endplates) 또는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영역은 단판이 더 이상 평면을 이룰 수 없게된다. 단판들 사이의 높이는 적어도 일부의 척추체에서 감소된다. 골절 후, 등에는 새로운 하중 상태가 발생한. 사람은 등을 둥글게 할지 구부릴지를 통해서 등을 재편성함으로써, 골절된 상태와 관련되는 통증에 적용할 수 있다. 일단 골절이 일어나면 사람은 이에따라 골절에 따르는 통증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구부리게 된다.
종래의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은 골절된 척추체가 상실된 높이를 통상의 골절이전 상태로 충분히 원상태로 돌릴 수 없다. 한 공지된 방법 따르면, 척추체의 높이 회복은 척추후굴풍선복원술(Kyphoplasty)의 알려진 혜택이다. 척추후굴풍선복원술(Kyphoplasty)은 연장가능한 풍선이 시멘트의 주입전에 척추체의 중심부에 공동을 형성하는데 채용할 수 있는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의 변형이다. 척추후굴풍선복원술(Kyphoplasty)에서, 척추체 내의 풍선을 확대하는 것은 골절이전 상태로 척추를 회복하도록 하는 노력으로 척추체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풍선이 척추체 범위에 접혀진 골수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동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된다. 풍선이 제거된 뒤, 상기 공동은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진다. 척추후굴풍선복원술(Kyphoplasty)이 척추체의 높이를 원상태로 돌린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형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도 역시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의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와 유사한 방법으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지지 그라데이션만을 제공한다.
척추체를 안정화시키는 공지된 방법의 또 다른 결점은 골절된 척추체를 위한 치유적인 방법이 유사 질병으로 약화된 척추체에 미치는 영향이다. 공지된 방법이 척추체 내에 지지 그라데이션을 형성하므로, 오직 점 또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의 작은 부분만이 경화 및 안정된다. 척추체 내에 강성의 국지 영역은 인접한 척추체에 압점을 형성한다. 인접한 척추체가 병에 걸리거나 약화된 곳에서, 국지 영역에 대한 압력은 인접한 척추체에 골절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이 치료가능한 물질로 안정화될 경우에도, 높이는 회복되지 않고, 인접한 척추체는 척추체가 오정렬됨에도 불구하고 경직도가 보상되어야 한다. 이것은 역시 인접한 병들거나 약화된 척추체의 골절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메타크릴산 메틸(PMMA) 골 시멘트와 같은 손상된 척추체에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의 치료가능한 물질이 인체에 일정수준의 독성 갖는 것도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물질을 인체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한 범위로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인회석, 인산 칼슘, 항생 물질, 단백질, 등과 같은 척추체에 주사될 수 있는 무독성 물질은 척추체 내에서 뼈 성장을 촉진한다. 그러나, 상기 물질은 일반적으로 주사된 곳에 스스로 충분한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더 완전하게 안정화하고, 단판(endplates)에 더 광범위하게 힘을 분배하도록 척추체 내에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단판(endplates)의 안정화는 척추체에 높이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한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척추체에 PMMA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시술하는 동안 환자가 더욱 쾌적함을 느끼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시스템(20)은 외부가이드 캐뉼라(22)와 전달 캐뉼라 기기(26)(일반적으로 참조)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구성요소에서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제공된다. 한편, 일반적 조건에서, 일부의 전달 캐뉼라 기기(26)는 가이드 캐뉼라(22)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 외에는 골 내에 의도된 전달 사이트를 형성하거나 위치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이즈 설정을 한다. 일단 위치설정이 되면 전달 캐뉼라 기기(26)은 전달 사이트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시스템(20)은 골내 사이트에서 물질을 제거하거나 흡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및 다른 골 증가 시술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시술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20) 및 특히 전달 캐뉼라 기기(26)는 골 시멘트 물질의 형태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 대단히 도움이 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포함 및 일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의도된 장점의 대부분은 하기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요소가 반드시 실측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부분에 대응된다.
도 1은 내부 섹션을 캐뉼라에 삽입하기 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내부 섹션을 캐뉼라에 삽입한 후,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내부 섹션을 캐뉼라에 삽입한 후,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11A, 11B 및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를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 구조를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구조물을 가지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26A-F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캐뉼라의 말단부분의 개략적 사시도.
도 27A 및 27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28A 및 28B는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29, 29B 및 29C는 시스템의 사용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부분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2A 및 32B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을 도시하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의 높이의 회복을 나타내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4A, 34B 및 34C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의 높이의 회복을 나타내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의 높이의 회복을 나타내는 척추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골내의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 시스템(2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여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장치로 전달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문맥에서 치료가능한 물질과 같은 표현은 유체 또는 유동가능한 상태 또는 상 및 경화되거나 고형화 또는 치료된 상태 또는 상을 가지는 (예를들어, 혼합물, 폴리머 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사이트 및 경화된 시멘트로 실질적인 치료로 캐뉼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예를들어 주사되는) 유동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메타크릴산 메틸(PMMA) 골 시멘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산 칼슘, 골내 성장 물질, 항생 물질, 단백질 등과 같은 다른 치료가능한 물질이 PMMA 대신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유동가능한 상태 및 경화, 고형화 또는 치료된 상태의 결과적 형태의 우선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것은 충전물보충 재료의 형태에 따라 인체가 시멘트를 재흡수하거나 임상결과를 개선하도록 한다.
이에따라 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20)은 전달 캐뉼라 기기(26)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치료가능한 물질 자원(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 따른 외부가이드 캐뉼라(22)는 일반적으로 전달 캐뉼라 기기(26)가 해당 골 부위에 접근가능하게 하며, 많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조건에서, 가이드 캐뉼라(22)는 열린 말단 팁(28)에서 끝나는 전달 캐뉼라 기기(26)의 일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말단 팁(28)은 골내의 전달 사이트를 형성하도록 가이드 캐뉼라(22)를 사용할 때와 같이 골조직의 코링(coring, 파냄)을 용이하게 하도록 더 채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캐뉼라(22)는 그 근위단부에서 시스템(20)을 조작하는 외과의사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핸들(30)에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30)은 제외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 기기(26)는 프리세트된 곡선 또는 만곡부(90)을 형성하는 편향가능한 부분(88)(일반적인 참조번호)을 포함하는 전달 캐뉼라(36)를 포함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편향가능한 부분(88) 및 특히 만곡부(90)는 말단부(82)를 포함하거나 그 후, 연장되며, 편향가능한 부분(88)이 구부러진 형태로부터 실질적인 직선형태가 되게 하고 힘이 제거되면 자연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돌아가게 하는 형상기억 특질을 가진다.
또한, 구부러진 형태로부터 실질적인 직선상태로 편향가능한 부분(88)이 즉시 용이하게 변형 (전달 캐뉼라(36)가 외부 가이드 캐뉼라(22)내로 삽입될 때와 같이(도 1))되고, 구부러진 형태로 돌아가기 위해, 전달 캐뉼라(36) 또는 적어도 변형가능한 부분(88)은 형상기억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36)는 (니켈(Ni)과 티타늄(Ti)의 공지된 형상기억 합금인 니치놀(TM)을 포함한다.
니치놀에 더해서, 상기와 같은 형상기억 작용을 나타내는 다른 재료가 채용될 수 있으며, 구리, 알루미늄 및 니켈의 합금, 그리고 구리, 알루미늄 및 아연의 합금, 그리고 구리와 아연의 합금과 같은 초 탄성 또는 의탄성(pseudoelastic) 동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향가능한 부분(88)은 탄성있고, 자연스럽게 바람직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전달 캐뉼라(36) 및 특히 편향가능한 부분(88)이 이후의 완화과정과 동시에 실질적인 직선 형태(도시되지 않음)으로 구부러진후, 편향가능한 부분(88)은 프리세트 된 구부러진 형태를 기억하고, 가역적으로 만곡부(90)로 완화/복귀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오리피스(84)는 말단부(8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달 캐뉼라(36)의 측벽의 두께를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나의 오리피스(84)가 제공되어, 만곡부(90)의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도 1에 도시된 전달 캐뉼라(36)의 측면 오리피스(84)를 통해 척추체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른 오리피스 구성은 척추체의 내부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 더욱 자세히도 논의되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36)는,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를 척추체에 삽입해서 전달 캐뉼라의 세로의 축에 대해서 이를 회전시키고 및/또는 왕복 운동 방법으로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를 움직임으로써, 척추체 내의 부드러운 인체 물질 내에 공동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확한 구성과는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전달 캐뉼라 기기는 전체적인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 시스템의 일부로서 다종다양한 골 안정화 시술을 수행하는데 대단히 도움이 된다.
이 때문에, 도 2은 척추성형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골내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 시스템(150)을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150)은 외부가이드 캐뉼라(22), 전달 캐뉼라 기기(26), 상기 전달 캐뉼라 기기(26)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치료가능한 물질원(152), 상기 치료가능한 물질원(152)에 연결된 제어기(154)를 포함한다.
상기 치료가능한 물질원(152)은 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치료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용기(160) 상기 용기(160)로부터 전달 캐뉼라 기기(26)의 핸들 조립체(30)로 연장되는 관(16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164)은 허브(34)로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피팅(166)에서 끝난다. 특히 피팅(166)은 허브(34)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40)의 통로(52)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어기(154)은 공지된 어떠한 형태일 수도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원(152)에 연결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154)은 용기(160)로부터 전달 캐뉼라 기기(26)까지 치료가능한 물질이 질량 흐름 및 질량흐름율(즉, 유체전달율)을 제어한다.
제어기(154)는 사용자가 전달 캐뉼라(36)로 액체의 흐름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작동기(예를 들면 스위치, 풋 페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동제어가 사용되어 제어기(154)가 제외될 수 도 있다.
전달 캐뉼라(36)가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거되는 일시적인 골 시술과정동안, 외부가이드 캐뉼라(22)는 골 내에 의도하는 전달 사이트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척추성형술에서, 외부가이드 캐뉼라(22)은 바람직하게는 척추경(182)에서 척추뼈(180)로 도입된다. 이것에 대해서, 척추뼈(180)는 인체 물질(예를들어, 망상조직의 뼈, 피, 골수 및 다른 연부조직)(188)을 둘러싸는 추골벽(186)을 형성하는 척추체(184)를 포함한다.
척추경(182)은 척추체(184)로부터 연장되고, 추골구멍(190)을 둘러싼다. 특히 척추경(182)은 척추체(184)에 뒤에 부착되고 이들은 척주(180)를 포함하고, 추골구멍(190)의 벽을 형성한다. 참고로, 골내 시스템(150)은 다양한 뼈부위에 접근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척추뼈(180)가 도시되는 반면, 다른 뼈부위가 시스템(150) (즉, 대퇴골, 대표뼈, 늑골, 선골, 등)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외부가이드 캐뉼라(22)는 인체 물질(188)내에 척추경(182)을 통해 전달 사이트(192)(또는 전달 사이트(192)를 형성)로 가는 접근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가이드 캐뉼라(22)는 경척추경 접근법을 통해 척추경(182)을 통과하게 된다. 경척추경 접근법은 유두 프로세스와 척추경(182)의 주변 기기 프로세스의 사이에 외부 가이드 캐뉼라(22)위치를 찾아낸다. 상기 방법에서, 외부 가이드 캐뉼라(22)는 열린 말단 팁(28)의 전달 사이트(192)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다른 시술에서 외부가이드 캐뉼라(22)는 골내의 확대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코링(coring)과 같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캐뉼라(22)의 말단 팁(28)은 전달 사이트(192)내로 입구 지점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말단 팁(28)이 전달 사이트로 더 작게 돌출할 수록, 전달 캐뉼라(36)가 전달 사이트(192)내로 더 많이 접근하고 치료가능한 물질이 전달 사이트(192)내의 의도된 위치로 전달되도록 한다. 일단 외부가이드 캐뉼라(22)가 형성되거나 아니면 의도하는 전달 사이트(192)의 뼈내에 위치되면, 전달 캐뉼라(36)는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거나/말단으로 진행한다. 도 2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캐뉼라(36)의 말단부(82)는 외부가이드 캐뉼라(22)의 말단 팁(28)에 유지된다. 제 1 깊이 마킹(110a)과 핸들(30)의 대략적인 정렬은 사용자에게 외부 가이드 캐뉼라(22)에 대해 말단 팁(28)을 위치설정하는 말단부(82)의 시각적 확인(환자의 외부지점에서)을 제공한다.
또 다른 말단부의 운동 이전에, 전달 캐뉼라(36)의 편향가능한 부분(88)이 외부가이드 캐뉼라(22)의 형태에 일반적으로 따르는 실질적으로 직선형태로 구속되도록, 전달 캐뉼라(36)가 완전히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에 있게된다. 가이드 캐뉼라(22)의 내경보다 큰 자연상태에서 편향가능한 부분(88)에 의해 정해지는 곡률반경으로 인해, 가이드 캐뉼라(22)에 의해 힘이 편향가능한 부분(88) 위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기본적으로 만곡부(90)의 프리세트된 곡률을 제거하여, 편향가능한 부분(88)이 실질적으로 직선상태가 되도록 한다.(가이드 캐뉼라(22)의 내부직경이 전달 캐뉼라(36)의 외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편향가능한 부분(88)이 가이드 캐뉼라(22)내에 약간의 곡률을 계속해서 가지게 되고, 따라서, 실질적인 직선이라는 것이 전달 캐뉼라(36)에 관련되나 전적으로 선형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달 사이트(192)에 의한 상호작용 이전에(도2), 전달 캐뉼라(36)는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에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비 구부러진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전달 캐뉼라 기기(26) 및 특히 전달 캐뉼라(36)는 그후 도3에 도시된 가이드 캐뉼라(22)내에서 말단으로 진행한다. 특히, 적어도 일부의 편향가능한 부분(88)이 가이드 캐뉼라(22)의 열린 팁(28) 너머로 그리고 전달 사이트(192)내로 연장되도록 전달 캐뉼라(36)는 말단으로 움직인다.
이제 편향가능한 부분(88)의 비제한된 부분은 상술한 형상기억 특징으로 인해 만곡부(90)의 프리세트된 곡률이 되도록 가는 가이드 카테터(22)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측면으로(상술한 실질적인 직선형상으로부터) 당연히 편향된다.
사용자는 핸들(30)에 비교하여 표시 110b 또는 110c의 세로 위치설정을 통해(표시 110c은 도 3에 보여진다) 가이드 카테터(22)로부터 전달 카테터(36)의 말단 확장의 길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향표시 114는 핸들(40)의 공간위치와 비교해서 전달 사이트(192)내의 에 만곡부(90)의 공간방향을 (환자의 외측의 점으로)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전달 캐뉼라(36)의 말단 진행과 관련하여, 말단부(82)의 무딘 팁(82)이 반구형으로 (또는 다른 날카롭지 않거나 무딘 형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접촉되는 조직/뼈에 대해 외상을 입히지 않게 된다. 상기 방법으로, 무딘 팁(100)은 척추체(184)를 천공하거나 코링하는데 있어 최소한의 위험을 가지고 추골벽(186)에 접촉 또는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무딘 팁(100)은 종래의 예리한 골 시멘트 전달 바늘보다 장점을 제공하고, 그외에, 이용가능한 구부러진 바늘을 더 요하는 코링을 방해하는 분리된 와이어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측면 오리피스(84)는 말단부(82)로부터 분기되고, 따라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 사이트(192)로 전달하여 이로부터 인체 물질을 제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측면 오리피스(84)는 말단부(82)가 척추체(184)의 내부 벽과 같은 표면에 대하여 가압될 때라도,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 캐뉼라(36)로부터 방사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인체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한 실시예서, 치료가능한 물질을 척추체로 일반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도 도4A-4B에 도시된다. 유체 자원(152)이 치료가능한 물질(도시되지 않음)을 허브(34)를 통해 잔달 캐뉼라(36)로 전달하기 위해서 동작된다(예를들어, 제어기(154)를 통해)
전달 캐뉼라(36)로 들어 오는 치료가능한 물질은 루멘(86)을 통해 측면 오리피스(84)를 향하여 통과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후 방사형 형태로 분배 캐뉼라(36)으로부터 그리고, 측면 오리피스(84)로부터 운상형태(194)내의 전달사이트(192)로 분배/주입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이어 더하여, 전달 사이트(192)는 치료가능한 물질 자원(152)를 진공 자원(도시되지 않음)으로 교체함으로써, 흡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전달 캐뉼라(36)를 가이드 캐뉼라(22)로 도입하기 전에 전달 캐뉼라(36)로 전달된다.
실제로, 작동자는 완전히 전달 캐뉼라(36)을 채우기 위해 측면 오리피스(84)를 넘은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 캐뉼라(36)로 보내고, 그후, 가이드 캐뉼라(22)로 삽입하기 전에 여분의 치료가능한 물질을 측면 오리피스(84)에서 제거한다. 전달 캐뉼라(36)는 따라서, 가이드 캐뉼라(22)와 전달 캐뉼라(36)가 연결되기 전에 치료가능한 물질로 미리 채워진다. 일단 전달 캐뉼라(36)가 가이드 캐뉼라(22)에 삽입되면 치료가능한 물질은 이식 사이트로 전달되도록 즉시 이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최대 말단부로부터 축상으로보다는 전달 캐뉼라(36)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함으로써(그렇지 않으면 종래의 전달 바늘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150)은 치료가능한 물질이 골절을 통해 치료가능한 물질이 바람직하지 않게 유출될 수 있는 골절 또는 다른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예증으로서 도 4A는 추골벽(186)의 골절(196)을 도시한다. 척추성형술은 치료가능한 물질이 여기에 비교적 가깝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골절(196)에 또는 이에 면하는 말단부(82)에 위치하는 것을 수반하는 치료기술을가지는 상기 척추 골절에 공통적인 해결책이다. 공지된 전달 바늘을 사용하는 상기 바람직한 접근은 치료가능한 물질이 골절(196) 부위에 직접 주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전달 카테터(36)를 사용하여, 말단부(82)는 골절(196)에 여전히면하고 있다, 그러나, 주입된 치료가능한 물질 클라우드(194)는 골절(196) 부위를 직접 향하도록 강제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치료가능한 물질 클라우드(194)가 골절(196)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보유된 추진력으로 골절(196)에 간접적으로 도달한다. 그러나, 전달 사이트(192)은 바람직한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서 치료가능한 물질 클라우드(194)로 여전히 전체적으로 채워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사이트(192)의 전부는 전달 캐뉼라(36)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근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캐뉼라(22)가 우측 후측면 접근을 통해서 삽입되는 동안, 시스템(15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후측면으로부터 또는 우측 또는 좌측 후측면으로 척추성형술을 달성할 수있다. 한 실시예에서, 도 4A로 돌아가면, 의도하는 부피의 치료가능한 물질이 전달 캐뉼라(22)를 통해 전체적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36)를 통해 제 1 부피의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한 후, 전달 캐뉼라(36)는 치료가능한 물질원(152)으로부터 단절되어, 가이드 캐뉼라(22)로부터 제거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원(152)은 그후, 가이드 캐뉼라(22)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예를 들면 피팅(166)은 핸들(30)이 제공되는 대응하는 유체 포트/허브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가이드 캐뉼라(22)를 통해 전달 사이트(192)에 치료가능한 물질의 제 2 부피를 주입하도록 동작된다.
더 일반적인 조건에서, 일시적인 골시술과정동안, 골 내 시스템(150)을 조작하는 임상의는 프리세트된 만곡부(90)의 일부를 전달 사이트(192)로 연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뼈내에 한정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36)의 이후의 회전은 전달 사이트(192)과 비례해서 측면 오리피스(84)의 공간위치를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외부 가이드 캐뉼라(22)의 오직 하나의 스틱을 가진 전달 사이트(192)의 복수의 평면에 접근한다. 따라서, 전달 캐뉼라(36)을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로 후퇴시키고, 외부 가이드 캐뉼라(22)에 비례하여 전달 캐뉼라(36)를 원위로 진행시키는 동작의 조합으로, 그리고 전달 캐뉼라(36)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골 사이트의 다중 평면 및 다중 영역이 외부 가이드 캐뉼라(22)의 일회의 접근으로 전달 캐뉼라(36)로 접근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일척추경(unipedicular) 척추성형술이 시스템(150)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5A-6B(전방 사시도인 도5A 및 5B; 좌측 사시도인 도6A 및 6B)는 회전으로 접근가능한 척추체(182)의 다양한 평면/영역, 및/또는 가이드 캐뉼라(22)에 비례한 전달 캐뉼라(36)의 진행(다시 정지상태의 가이드 캐뉼라(220를 가지는)을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5A-6B의 도면에서, 전달 캐뉼라(36)로 정해지는 만곡부의 방향은 각각의 시각에서 완전히 만곡부가 명백하지 않은 것처럼 상기 페이지의 평면에 필수적으로 수직한 것은 아니다.
도 7-8을 참조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 또 다른 바람직한 방법이 서술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전달 캐뉼라(36)을 조작함으로써 골전달 사이트 내에 부드러운 인체 물질(200)(예를들어, 망상조직의 뼈, 피, 골수 및 다른 연부조직)에 공동(210)을 형성한다. 상기 공동(210)은 그후,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공동이 형성될 때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인체 물질(200) 대신 전달 사이트로 전달되는 치료가능한 물질이 공동(210)내에 유입되는 것이 관찰된다. 그 결과, 임상의는 비교적 작은 의도하는 영역에서 공동(210)을 형성할 수 있고, 우선척으로 상기 영역을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운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동은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에 전달 캐뉼라(36)을 후퇴시키고, 외부가이드 캐뉼라(22)과 비례해서 말단으로 전달 캐뉼라(36)을 진행시키는 동작의 조합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왕복 운동 방법으로 전달 캐뉼라(36)가 움직인다. 왕복 운동 동작은 전달 캐뉼라(36)가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부수고, 부드러운 인체 물질 내에 채널(212)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가이드 캐뉼라(22)내로 전달 캐뉼라(36)을 후퇴시키고, 전달 캐뉼라(36)을 회전시킴으로써, 만곡부가 다른 방향에서 전달 사이트 내로 말단으로 진행하게 하여, 전달 캐뉼라(36)는 부드러운 인체 물질(200)내에 다중 채널(2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캐뉼라(36)는 전달 사이트 내에 부분적으로만 말단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의도하는 이식 사이트 내에 더 짧은 채널(212)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36)는이식 사이트에 도입된 후, 회전 또는 선회할 수 있다. 전달 캐뉼라(36)의 회전 또는 스핀은, 이를 전달 사이트 내에서 회전 또는 스핀하게 하거나, 전달 사이트내의 부드러운 조직내에 원추형 공동(214)를 형성하도록 부드러운 인체 물질(200)을 내보내게 한다. 다양한 크기의 원추형 공동(214)은 부분적으로 전달 캐뉼라(36)를 이식 사이트에 부분적으로 삽입해서 전달 캐뉼라(36)을 회전하게 하는 것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부드러운 인체 물질 내의 공동(210)이 상술한 방법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의사는 이식 사이트 내에 공동을 형성하여 이식 사이트 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은 동시에 형성되고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의사는 치료가능한 물질을 더욱 정밀하게 척추체 내에 두고 척추체를 안정화시키도록 치료가능한 물질을 의도하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공동을 형성하거나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도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가능한 물질은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공동내에 치료가능한 물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평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232a, 232b)은 척추체의 단판(endplates)(230a, 230b)에 인접하게 놓여져서, 치료가능한 물질이 실질적으로 단판(endplates)(230a, 230b)과 면하고 구조적 지지물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술은 실질적으로는 치료가능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의 사이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따라서, 공동 영역 또는 특정 영역에만 존재될 수 있다.
도 9A 및 9B의 실시예에서,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36)의 단부가 의도하는 장소에 의도하는 치료가능한 물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판(endplates)에 가장 인접하도록 반복 조작됨에 따라, 상기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36)는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필연적으로 형성한다.
당업자는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36)에 의한 공동의 형성과 치료가능한 물질의 주입이 동시에 또는 별도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에 더욱 자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공동이 별도의 단계로 형성되는 곳에서 다른 장치와 방법은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0A-1OB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도 9A-9B에 따른 곡선의 전달 캐뉼라(36)보다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2의 전달 캐뉼라(36)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곡선은 의사에게 척추체 내 더욱 큰 장소의 전달 캐뉼라(36)의 팁을 위치시키는데 더욱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역시 의사가 척추체 내에 추가적인 치료가능한 물질 부피를 두거나 더욱 정밀하게 더 많은 치료가능한 물질을 두도록 허용한다. 2개의 다른 캐뉼라가 도10A-10B에 도시된 반면, 다른 만곡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캐뉼라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칼럼(234)를 안정화시키는 치료가능한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 사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놓음으로써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최초에 형성된다.
안정화 치료가능한 물질 칼럼(234)은 그후,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의 사이에 형성되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를 연결하고, 척추체 내에 치료가능한 물질 구조를 형성한다.
최초에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압축 골절로 인해 형성되는 기형이 안정화될 수 있다. 두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고, 그후 단판들사이의 칼럼 타입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척추체 경도가 매우 증가되고 이에따라 척추체의 전체 강도의 문제를 최소화시킨다.
척추후굴풍선복원술로 전형적으로 형성되거나 척추체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척추성형술로 형성되는 바와 같이 분산되게 척추체의 중앙에 물질을 두는 공지된 방법으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두는 것이 척추체를 균일하게 강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 시멘트가 지역적으로 집중되므로 단판(endplates) 안정화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두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고, 그후 이들을 함께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회복된 척추체 경도가 공지된 척추성형술 또는 척추후굴풍선복원술에 비교할 때 비골절된 척추체의 정상경도에 더 근접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축 골절이 한 단판(endplates)에 더 가해지면 그 한 단판(endplates)만의 안정화가 필요할 경우가 있고 하나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만이 추골단판(endplates)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은 회복되는 추골단판(endplates)의 반대측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와 추골단판(endplates)을 연결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축물을 안정시키기 위한 형성, 공동의 형성 및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은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의 사용에 관해서 상술된 바 있다.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 대신 또는 이와 관련되는 가에 관계 없이 다른 장치와 방법이 상술한 원리를 따라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안정화
도 11A-11C를 참조하면, 척추체에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또 다른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가 침천자(232a, 232b)를 지지하기 위해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는 PMMA와 같은 상당한 구조적 정합성을 가지는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치료가능한 물질이 컨테이너(300)을 넘어서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컨테이너(300)는 치료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제한한다. 치료가능한 물질 역시 의도하는 형태로 고쳐지고, 구조적 지지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서, 수산화인회석 또는 인산 칼슘 뼈 성장 물질과 같은 치료가능한, 상당한 구조적 정합성이 부족한 물질이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내에 놓여질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스스로는 예를 들면 PMMA와 같이 상당한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물질들은 의도하는 결합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치료될 때 너무나 무른 경향이 있다.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는 그러나 치료가능한 물질에 추가적인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한다.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는 서로 물질을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을 사용하지 않는 것 보다 강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치료가능한 물질의 사용은 척추체 내에 골형성을 촉진하고 따라서, 구조적으로 보다 단단한 PMMA의 사용에 비교할 때 사전 골절상태에 더 근접하게 척추체를 회복시키도록 기능한다.
골 성장 물질을 가지는 메쉬백과 같은 다공질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의 사용은 척추체 내에 조직이 골 성장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메쉬 백과 교합하도록 한다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 상기 방법에서, 골 성장 물질은 메쉬 백외부에서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고 메쉬 백에 내부에서도 골조직의 성장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교합은 척추체 내에서 비교적 더 강한 구조의 형성을 촉진한다.
컨테이너(300)의 한 실시예에서, 백은 다크론 메쉬(DACRON mesh)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고압을 견딜 수 있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틸렌 테레프탈산소금) (PET)의 메쉬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메쉬 백은 척추와 골절의 여러가지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약 15mm과 약 30mm의 사이 크기이다. 메쉬의 파이버는 cm2 당 50x55 파이버인 느슨한 위브로 직조될 수 있다. 평균 구멍(pore) 크기는 0.146mm x 0.143mm(세로방향x가로방향)이고, 0.021 mm2의 구멍영역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에서,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는 본원의 방법에 따라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근접하여 최초로 전달된다.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는 그후 전달 캐뉼라(36)를 통해 척추체로 삽입되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의 사이에서 팽창된다.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는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가 팽찰될 때,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를 연결하고 이에 따라 물질 침전차에 지지물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의 높이는 두 단판사이의 척추체의 높이의 적어도 약 8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은 척추체내에서 먼저 팽창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후, 척추체 단판(endplates)을 안정시키는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232b)를 형성하는 척추체의 단판들과 컨테이너(300)의 단부들 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드러운 조직내의 공동은 컨테이너(300) 자체의 팽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술하는 동안, 비어있거나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300)은 척추체에 최초로 삽입된다. 컨테이너(300)는 그후, 척추체 내에서 팽창되어 백에 인접한 부드러운 인체 물질이 붕괴되도록 한다
컨테이너(300)의 팽창은 척추체의 부드러운 인체 물질 내에 공동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 실시예 따르면 컨테이너(300)는 식염수와 같은 액체를 사용해서 수압으로 팽창한다. 다른 액체가 사용될 수 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액체는 컨테이너(300)로부터 꺼내질 수 있고, 그후 골 성장 물질과 같은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은 제거될 수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은 컨테이너(300)로 형성되는 공동으로 채워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는 치료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PMMA 또는 골 성장 물질을 사용해서 팽창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동을 형성하고, 의도된 물질을 전달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의도하는 물질은 컨테이너의 미리 정해진 형태에 따른 구체적인 의도된 형태의 척추체 내에 놓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동은 컨테이너(300)가 삽입되기 전에 컨테이너(300)가 위치되는 장소에서 먼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은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360의 사용을 통해 또는 공동을 형성하는 다른 구조 또는 방법중 어떤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는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232a 또는 232b)의 형성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연결하는 적절한 높이를 가지고, 단판(endplates)의 비교적 넓은 영역에 하중을 전체적으로 분배하기 위해서 단판(endplates)과의 적당한 표면 영역 연결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는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의도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의도하는 형태를 가지는 척추체내에 치료가능한 물질 구조를 형성한다. 도 11A-11C의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컨테이너(300)는 척추체 내에 위치되어 팽창시, 원통형 컨테이너(300)의 실질적인 평면 단부가 연결되고 척추체의 물질 침천자 또는 단판(endplates)을 지지한다. 컨테이너(300)는 팽창시 척추체내에 컨테이너(300) 또는 공동의 의도하는 위치를 달성하도록 팽창하기 전에 척추체내에 있거나 척추체를 향한다. 일반적으로 박스형태, 입방형, 사다리꼴, H형 또는 일반적으로 스포크형 패턴과 같은 다른 컨테이너(300)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컨테이너(300)가 척추체에 높이를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골절된 척추체의 공동높이보다 높은 컨테이너(300)의 사용으로 백의 팽창시 골절이전의 높이로 회복될 수 있다. 여기에 서술된 장치 및 방법에 더하여 몇 가지 다른 구조가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구조적 정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치료가능한 물질로 먼저 안정화하지 않고 척추체의 단판 사이에 치료가능한 물질(5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럼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이상의 칼럼은 힘과 단일 칼럼보다 큰 표면 면적을 배포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에 지지물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또 다른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종래의 척추성형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척추체 내에 비교적 큰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51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성형술과는 다르게, 치료가능한 물질의 클라우드가 척추체 내영역으로 전달되는 곳에서, 상기 실시예의 운상형태(cloud-like formation)(510)는 척추체 내에 비교적 더 넓은 영역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는 보다 균일하게 힘을 분배해서 단판(endplates)상의 압점을 방지하기 위해 단판(endplates)이 넓은 영역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인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단판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1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척추체의 전체 내부를 치료가능한 물질(520)로 채울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520)은 보다 균일하게 힘을 분배해서 단판(endplates)에 압점을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 단판(endplates)이 넓은 영역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치료가능한 물질(520)은 추가적인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단판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판들사이에서 만곡된 및/또는 직립 전달 캐뉼라를 사용하여 먼저 채널(530)을 형성하고 그 후 채널을 시멘트로 채움으로써 척추체의 단판사이에 치료가능한 물질이 위치될 수 있다.
치료가능한 물질 구조는 척추체에 추가적인 경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잭(jack)과 같은 기기(540)가 척추체를 안정화시키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연장가능한 기기가 척추체로 삽입된다. 한 실시예 따라 연장가능한 기기는 척추체의 반대 단판을 연결하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면 지지물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평면지지물은 기기에 인접한 부드러운 인체 물질이 부셔지도록 하는 잭과 같은 기기(540)를 연장하기 위해서 서로로부터 기계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잭과 같은 기기(540)는 접혀져서 척추체로부터 제거된다. 결과로서 생기는 공동은 그로후 치료가능한 물질 또는 또 다른 안정화 구조로 채워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잭과 같은 기기(540)는 척추체에 남겨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잭과 같은 기기(540)는 척추체 내에 배치되어, 배치시 기기의 평면지지물이 실질적으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과 연결되고 지지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잭과 같은 기기(540)는 기기가 척추체내에 남겨지고 치료가능한 물질은 평면 지지물사이와 잭과 같은 기기주위에 채워진다. 이후의 치료가능한 물질 전달은 척추체 내에 더욱 구조를 강화해서 단단하게 한다.
당업자는 잭과 같은 기기(540)가 척추체에 높이를 원상태로 돌리는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잭과 같은 기기(540)는 척추체의 보다 많은 단판(endplates)을 직접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잭과 같은 기기(540)는 역시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기는 척추체를 더 안정화 시키기 위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사이 또는 단판사이에 구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550)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가능한 컨테이너(550)는 척추체에 삽입되고, 팽창되어 컨테이너에 인접한 부드러운 인체물질이 부셔지게 한다. 한 실시예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550)는 수축되어 척추체로부터 제거된다. 결과로서 생기는 공동은 그 후,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550)은 치료가능한 물질과 함께 팽창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동의 형성하고,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연장가능한 컨테이너(550)에 채워진 시멘트는 척추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판(endplates)을 직접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풍선 기기는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시멘트로 채워진 풍선은 척추체를 더 안정화시키기 위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사이에 또는 단판(endplates)과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사이에 구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멘트의 흐름을 바운딩하는 장치가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 장치(560)가 척추체에 삽입된다. 상기 장치(560)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중공 규브와 같은 다른 형태 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장치(560)는 가이드 캐뉼라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경계 장치(560)는 척추체로 삽입된 후, 미리 정해진 형에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 형상기억 특징을 가진다. 한 실시예에서, 공동은 경계 장치(560)가 위치되는 영역에내의 척추체에 번저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경계 장치(560)은 확장시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경계 장치(560)은 척추체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서 척추체의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척추체에 놓여질 수 있다.
경계 장치(560)는 척추체의 단판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한 실시예에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연결할 수 있다. 일단 배치되면 공동은 경계 장치(56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전달 캐뉼라는 그후, 경계 장치(560)의 내부의 공동을 투과하거나 접근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공동을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경계 장치(560)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연결하는 곳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경계 장치(560)로 한정되는 공동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제한된다. 따라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척추체 내의 의도된 영역 내에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구조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 발판형 구조(570)가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 내부에 위치한다. 한 실시예에서, 발판형 구조(570)는 가이드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기 위해 접을 수 있고, 삽입 후, 척추체내에서 팽창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판형 구조(570)는 척추체 내에서 조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판형 구조(570)는 척추체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서 척추체의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척추체내에 놓여질 수 있다.
발판형 구조(570)는 척추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판(endplates)을 직접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발판형 구조(570)는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발판형 구조(570)는 척추체를 더 안정화시키기 위해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사이에 또는 단판(endplates)과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의 사이에 구조를 제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척추체의 단판을 안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는 척추체의 단판(endplates)과 반대 방향 및 인접한 치료가능한 물질을 배포하는 양방향성의 말단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동시에 상하부 단판(endplates)에 배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말단부는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텔레스코핑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의 접혀진 텔레스코핑 말단부(600)는 가이드 캐뉼라에 의해 척추체로 삽입된다. 삽입후, 텔레스코핑 말단부는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종래의 곧은 전달 캐뉼라의 사용은 척추체에 접근 지점을 통해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은 캐뉼라(610)는 단판(endplates)에 의해 더 근접하도록 척추경 외에(extrapedicular)에 위치한다. 한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제 1 영역에 번저 전달될 수 있다. 전달 캐뉼라는 그로후,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제 2의 영역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척추체로부터 부분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형태의 열린-단부 백들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에서, 미리형성된 형태의 열린 단부(open-ended)백(620)이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축된 백(620)은 척추체에 삽입되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위치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백(620)에 흐른다. 치료가능한 물질이 척추체의 상부 단판(endplates)과 하부단판(endplates)에 인접하게 전달되도록 백(620)의 미리 형성된 형태가 치료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안내한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형태의 백은 치료가능한 물질이 다중 채널을 통해 단판(endplates) 인접하여 전달되도록 한다. 형태의 백(620)이 도 22에 도시되나, 형태, 일반적으로 스풀 또는 원통형 백 또는 스포크 형 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백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서, 열린 단부 백(open ended bag)이 치료가능한 물질로 실질적으로 채워진 척추체 내에 남겨진다. 굳은 후, 척추체를 더 경화시키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단단한 구조가 단판사이에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백은 제거될 수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이 백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으로 전달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백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형 백(630)이 단판(endplates)을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단판(endplates)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후, 척추체를 경화 및 안정화시키기 위해 단단한 구조를 형성하는 백을 연결하기 위해 백(630)의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서술한 바와 가다른 구조가 역시 안정화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백(630)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서,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 내에 구체적인 의도된 영역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두 캐뉼라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서, 제 1 전달 캐뉼라(640)가 척추체 내에 영역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전달 캐뉼라(645)는 척추체 내에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치료가능한 물질의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경계로 작용하도록 척추체내에 삽입된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전달 캐뉼라(645)는 의도하지 않은 위치로 치료가능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 내에 구체적인 의도하는 영역에 시멘트를 전달하기 위해서 진공 자원과 연결된 진공 캐뉼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달 캐뉼라(650)는 척추체의 내부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한다. 진공 캐뉼라(655) 역시 부드러운 인체 물질과 여분의 시멘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진공으로 부드러운 인체 물질의 제거하는 것은 시멘트가 흐르는 것을 도우는 공동을 형성한다. 척추체 내의 진공은 시멘트를 전달 캐뉼라(650)로부터 미는 것을 도우고 따라서 척추체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 것을 지원한다. 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또는 백은 치료가능한 물질의 전달 이전에 진공으로 형성되는 공동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자기조영제 및 자기장의 사용을 통해 단판(endplates)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기조영제는 치료가능한 물질에 추가될 수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은 척추체로 주입된다. 자기장은 그후 단부판과 같은 의도하는 위치로 자기 치료가능한 물질(magnetic curable material)을 이동하기 위해 척추체에 적용될 수 있다.
공동 형성
척추체 내에 공동의 형성이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를 참조로 서술된다 다른 방법 및 구조가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하거나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동의 형성에 관해서, 전달 캐뉼라(36)의 말단부(82)는 몇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26A-26F를 참조하면, 구성은 척추체내에 공동을 형성하고, 척추체 내에 연부조직에 액체에 스며들게 하고, 척추체로부터 조직을 제거하고 및/또는 척추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6A는 일반적으로 거품기형태의 말단부, 도 26B는 일반적으로 볼(Ball)형의 말단부, 도 26C는 일반적으로 풍차(wind mill)형의 말단부를 공개한다. 도 26D는 일반적으로 웨이브가 형성된 말단부를, 도 26E는 밝히는 반월형의 말단부를, 도 26F는 일반적으로 L자형의 말단부를 공개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척추체내로 삽입되는 동안 가이드 캐뉼라 내에서 접혀지고, 일단 척추체에 삽입되면 미리 형성된 형태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특성을 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말단팁 실시예는 공동이 형성되고 치료가능한 물질이 척추체로 전달된 후, 척추체내부에 남겨질 수 있다. 말단부 구성이 척추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곳에는, 다양한 의도된 방향으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내보내기 위해 말단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리피스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7A-B를 참조하는 척추체내에 공동을 형성하는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턱이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일 또는 이중 힌지가 형성된 턱(405)은 접근 캐뉼라(22)를 통해 폐쇄된 위치에서 척추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단 척추체 내에 삽입되면 임상의는 금속 턱을 연장할 수 있고,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턱(40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8A-B를 참조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곧은 와이어(410)는 편향가능한 부분을 곧게 하기 위해 전달 캐뉼라(36)의 편향가능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곧은 와이어(410)와 전달 캐뉼라(36)는 척추체로 삽입된다. 임상의는 그후, 전달 캐뉼라에서 곧은 와이어(410)를 제거하고, 편향가능한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로 돌아가기 하며 이에따라 공동을 형성한다.
도29A29C를 참조하는 또 다른실시예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자석(420)과 와이어(422)가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척추체내로 이중척추경 접근을 수행하여 단판에 인접한 접근 캐뉼라에 위치시킨다. 한 실시예에서, 각각 와이어(422)에 부착된 2개의 자석(420)이 접근 캐뉼라에 의해 척추체에 삽입된다. 상기 자석들은 서로 끌어 당겨지고 접촉될 때 까지 서로 이동한다. 임상의는 그후, 2개의 자석(420)을 접근 캐뉼라중 아나에서 당겨내고 하나의 와이어를 척추체 내에 남긴다. 임상의는 그후, 캐뉼라와 와이어(4220를 당겨서 그 통로내의 손상된 뼈를 절한다고 단판에 인접한 공동을 형성한다. 상기 공동은 접근 캐뉼라를 통해 치료가능한 물질로 채워질 수 있거나 전달 캐뉼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다중 공동 형성 시술이 척추체 내에 몇 개의 공동 평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연장된 편향가능한 부분(30)이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연장된 편향가능한 부분(430)은 연장된 슬롯(434)을 가지는 비교적 얕은 곡선(432)을 형성한다. 임상의는 연장된 편향가능한 부분(430)을 가진 연장된 얕은 공동을 형성할 수 있고, 단판(endplates)에 인접한 구분된 라인의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한다. 선택적으로, 임상의는 상기 영역에 다량의 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고, 연장된 편향가능한 부분(430)을 가진 의도하는 영역에 분포되게 할 수 있다. 도 31A- 31B를 참조하는 공동을 형성하고,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또 다른실시예가 공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가 공개된다.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가 단판(endplates)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가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에 의해 척추체로 삽입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후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에 주입된다. 치료가능한 물질이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를 충전해서 확대하면,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는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또한, 치료가능한 물질이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를 충전해서 확대하면,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의 구멍도 따라 커지고, 치료가능한 물질이 단판(endplates)에 인접하여 배포되도록 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이 배포된 뒤 다공질의 연장가능한 컨테이너(440)는 척추체로부터 제거될 수 도 있고 남아있을 수도 있다.
도 32A32B를 참조하면, 공동을 형성하고 치료가능한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공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형상기억 특징을 가지는 복수의 구부러진 와이어(450)가 연장가능한 시스(sheath, 455)로 둘러싸여 진다. 구부러진 와이어가 척추체에 삽입되면, 구부러진 형태로 돌아간다. 구부러진 와이어(450)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위치로 놓여진다. 구부러진 와이어(450)는 구부러진 와이어(450)가 원래의 구부러진 형태로 되돌아감에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시스(455)로 둘러싸여진다. 상기 방식으로 와이어(450)와 시스(455)가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 후, 시스(455)의 내부 및 공동에 주입될 수 있다. 치료가능한 물질이 배포된 뒤 구부러진 와이어(450)와 시스(455)은 척추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척추체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기기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분절된 와이어를 사용하여 척추체 내에서 의도하는 위치로 분절된 와이어의 단부를 조종할 수 있다.
조종가능한 분절된 와이어에 의해 임상의는 척추체 내의 의도하는 위치, 형태 및 크기의 공동을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종가능한 분절된 와이어는 다른 시술을 위해 재사용할 수 있다.
척추체에 공동을 형성하는 기기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캐뉼라의 단부와 연결된 복수의 중첩 힌지가 형성된 부분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중첩 힌지 부분은 척추체에 삽입되어 의도하는 위치에 놓일 때 접힐 수 있다. 치료가능한 부분이 전달 캐뉼라를 통해 주입되면, 중첩힌지 부분은 외부로 움직이고 연장되며 따라서, 공동을 형성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 후, 공동으로 전달되어 공동에 인접위치할 수 있다.
척추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얽힌 필라멘트 그룹이 척추체의 상부 및 하부 단판(endplates)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얽힌 필라멘트를 위치설정하는 동안, 얽힌 필라멘트는 단판에 입접한 척추체내의 공동을 형성한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 후, 얽힌 필라멘트로 주입되고, 이에따라 얽힌 필라멘트에 의해 공동이 형성된다. 상기 얽힌 필라멘트는 의도하는 주입 영역으로 치료가능한 물질을 한정하기 위해서 실행될 수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구조가 강화된 필라멘트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조를 보강하도록 작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동은 전기, 화학, 또는 열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척추체의 연부조직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고강도 라디오 주파수를 방출하는 프로브가 척추체에 삽입될 수 있다. 라디오 주파수는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파괴할 수 있고,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 따르면 공동은 제거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기적으로 대전된 프로브가 척추체에 삽입될 수 있다.
프로브는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파괴해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척추체 내에 고온을 발생시킨다. 고온에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노출하도록 하는 다른 방법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초 냉각 프로브 또는 액체질소에 노출할 때,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냉각할 수 있다.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냉각함에 따라 부드러운 인체 물질을 파괴해서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높이 회복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척추체의 높이 회복이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전에 달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높이 회복은 척추체 내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한 예시에서, 메쉬 백이 팽창하여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을 연결하는 단부를 가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메쉬 백이 척추체의 높이를 원상태로 돌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높이는 인접한 척추체를 통해서 손상된 척추체의 하나 또는 두 단판(endplates)에 접근하고, 척추체의 골절이전 높이로 회복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판을 당김으로써 보존될 수 있다. 도 3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부에서 척추체는 골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임상의는 손상된 척추체에 인접한 척추체에 먼저 접근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근지점이 그후 중간 척추경을 통해 손상된 척추경내에 형성된다. 단판의 내부 표면을 연결하기 위해 조작가능한 파스너(7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근 지점을 통해 위치된다. 파스너(700)은 그 후, 척추체를 손상받지 않은 높이로 회복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다.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 후, 척추체로 전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파스너(700)는 캐이블상의 힌지형성된 로드일 수 있고, 접근지점을 통해 로드가 위치될 수 있게 하나, 그후 척추체로 일단 삽입된 단판의 내부표면을 연결하도록 선회한다. 훅과 같은 다른 파스너(700)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이 손상된 척추체에 높이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전자석(710)이 척추체에 삽입되어 척추체의 골절된 측면 근처에 서로 나란히 위치된다. 자석(710)은 자석의 극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놓여진다. 자석(710)이 활성화되면, 척력이 발생하여 단판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척추체가 골절되기전 높이를 달성할 때 까지 임상의는 자석(710)을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자석은 척추체에 남겨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그 후, 회복된 높이로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척추체로 전달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된 척추체의 높이를 골절이전 높이로 회복하기 위해 척추를 구부리도록 환자의 몸을 위치 설정함으로써 높이 회복이 달성될 수 있다.
외부 지지 구조물은 손상된 척추뼈의 높이 회복을 달성하도록 인체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환자의 인체 밑에 놓여진다. 정확하게 위치된 외부 지지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이의 상당한 회복과 척추후만(kyphosis)의 정정이 달성되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 따라서, 외부 지지구조는 접혀진 척추체의 자세의 축소를 쉽게 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을 있을 수 있다. 수술중 그리고 수술후에 접혀진 척추체의 자세의 축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지지구조가 수술 전에 사용될 수 있다.
환자가 반드시 누운 위치에 놓여지는 한 실시예에서, 골절된 척추체에 인접하게 위치한 외부 지지 구조물이 골절된 인체의 단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척구를 구부리고 이에따라 골절된 척추체의 높이가 회복하도록 한다.
형광투시 이미징으로, 골절된 척추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임상의는 의도하는 높이 회복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서포트 구조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외부 지지 구조물은 이미징 작업을 방해 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가 스테인레스강 수술대를 내림으로서 외부 지지 구조물이 보다 좋은 이미징을 촉진하도록 한다.
환자가 엎드린 위치에 놓여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외부 지지 구조물이 골절된 척추체로부터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지지 구조물은 골절된 척추체의 단판(endplates)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나 방법으로 척추를 구부리고, 이에따라 골절된 척추체에 높이를 회복시킨다.
형광투시 이미징으로 골절된 척추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임상의는 의도하는 높이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베개를 둘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지지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반원통형이다. 다른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외부 지지 구조물은 베개와 같은 부드러운 구조물이다. 수술하는 동안 환자 아래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베개의 배치는 그렇지 않으면 평평하고 딱딱한 수술대에 누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환자가 편안해짐에 따라 수술하는 동안 환자가 덜움직이게 되고, 환자가 덜움직일수록 이미징의 성능이 효율적으로 발휘된다.
인접한 척추체를 통해서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과 장치가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척추체의 하나에 한 접근저점을 통해 두 인접한 척추체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4A-34B를 참조하면 제 1 척추체 및 제2의 척추체가 도시된다.
접근 지점은 종래의 방법 따라 제 1 척추체에 형성된다. 구부러지거나 그 외의 형태인 바늘은 제 1 척추체의 상부 단판, 중간척추경 및 제 2 척추체의 하부 단판을 통해 구멍을 뚫는데 사용된다. 접근 지점(720)은 이에 따라 제 2의 척추체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 34A의 실시예에서,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의 말단부는 그 후, 여기에 기술되는 방법의 하나에 따라 제2의 척추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제2의 척추체에 삽입된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전달 캐뉼라의 말단부는 그 후, 제 1 척추체로 부분적으로 빼내어 질 수 있고 치료가능한 물질은 제 1 척추체의 내부로 전달된다.
도 34C를 참조하는 한 실시예 따르면, 치료가능한 물질은 각각의 척추체의 치료가능한 물질의 침천자를 연결하기 위해 제 1 척추체와 제2의 척추체의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결과로서 생기는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722)는 일반적으로 덤벨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다른 척추체에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를 연결함으로써, 2개의 척추체는 서로 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골절된 척추체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 1 척추체와 골절된 제2의 척추체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골절된 단판(endplates)의 외부표면에 접근하는 것은 먼저, 제 1 척추체의 내부에 접근하여 제 1 척추체의 단판을 통하여 중간척추경을 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천공은 골절된 단판(endplates)의 외부표면에 접근지점을 형성한다. 구부러진 전달 캐뉼라를 사용함으로써 치료가능한 물질은 골절된 단판(endplates)의 외부표면에 접근 지점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치료가능한 물질은 골절에 의해 남겨진 공동을 채우는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침천자는 제2 척추체의 골절된 단판(endplates)이 골절되기 전 높이로 실제로 회복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인접한 척추체와 비교해서 골절된 척추체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된 단판(endplates)의 외측으로 접근하는 것은 인접한 척추체에 접근하지 않고 중간 척추경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비록 구체적인 실시예가 예시되고 서술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또는 균등물을 수행함으로써 도시된 특정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다고 인정을 받는다. 본 출원은 상술된 구체적인 실시예의 어떤 변형 및 적용예도 모두 커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로만 제한된다. 예를 들어, 특정 참조가 척추성형술에 이루어지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의 복수의 다른 골 내에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는 것과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Claims (20)

  1.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척추체의 제 1 단판에 지지물을 제공하기 위해 척추체의 제 1 단판에 인접한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
    척추에의 제 2 단판에 지지물을 제공하기 위해 척추체의 제 2 단판에 인접한 제 2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차; 및
    척추체에 지지물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 및 제 2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 사이에서 제 1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 및 제 2 치료가능한 물질 침천자를 연결하는 안정화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구조물이 내부에 물질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 메쉬 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백이, 메쉬백으로부터 척추체로 물질의 유동을 허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물질이 골 성장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물질이 치료가능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구조물이 척추체내의 기계적 배치로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
  8.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판을 지지하기 위해 제 1 단판에 인접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고;
    제 1 단판 및 제 2 단판 사이에 구조적 지지물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단판 및 제 2 단판 사이에 안정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치료가능한 물질이 다른 곡률을 가지는 전달 캐뉼라를 사용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구조물이 내부에 물질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 메쉬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백이, 메쉬백으로부터 척추체로 물질의 유동을 허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의 물질이 골성장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의 물질이 치료가능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기계턱을 사용함으로써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이전에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이전에 척추체 내에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치료가능한 물질을 전달하기 이전에 척추체에 높이를 회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
  18. 척추체 내에 안정화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근 캐뉼라로 두 개의 단판을 가진 척추체에 접근하고;
    척추체 내에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를 삽입하고;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의 높이가 두 단판사이의 척추체의 높이의 80%가 되도록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를 물질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 내에 안정화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가 뼈성장 물질로 팽창되는 메쉬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 내에 안정화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가 삽입되는 위치에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를 삽입하기 이전의 위치에서 척추체 내에 공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 내에 안정화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07029672A 2008-06-24 2009-06-23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KR20110041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20208P 2008-06-24 2008-06-24
US61/075,202 2008-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442A true KR20110041442A (ko) 2011-04-21

Family

ID=4110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672A KR20110041442A (ko) 2008-06-24 2009-06-23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277506B2 (ko)
EP (1) EP2303167A1 (ko)
JP (1) JP2011525413A (ko)
KR (1) KR20110041442A (ko)
CN (1) CN102186432A (ko)
AU (1) AU2009271315A1 (ko)
BR (1) BRPI0914542A2 (ko)
CA (1) CA2736139A1 (ko)
MX (1) MX2011000027A (ko)
RU (1) RU2011102453A (ko)
WO (1) WO2010008818A1 (ko)
ZA (1) ZA2010093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6029B2 (en) 2004-08-11 2012-08-07 Nlt Spine Ltd. Devices for introduction into a body via a substantially straight conduit to for a predefined curved configuration, and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WO2009091811A1 (en) 2008-01-14 2009-07-23 Brenzel Michael P Apparatus and methods for fracture repair
US20110178520A1 (en) 2010-01-15 2011-07-21 Kyle Taylor Rotary-rigid orthopaedic rod
WO2011091052A1 (en) 2010-01-20 2011-07-28 Kyle Taylor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access and cavity preparation
AU2011224529C1 (en) * 2010-03-08 2017-01-19 Conventus Orthopaedic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a bone implant
US8795369B1 (en) 2010-07-16 2014-08-05 Nuvasive, Inc. Fracture reduction device and methods
JP2014504172A (ja) * 2010-11-12 2014-02-2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体内の組織を持ち上げるための膨張式操向可能バルーン
US8771276B2 (en) 2010-12-01 2014-07-08 Carefusion 2200,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cavity in, and delivering curable material into, bone
EP2706931B1 (en) 2011-05-12 2015-04-15 NLT Spine Ltd. Tissue disruption device
US20130012951A1 (en) * 2011-07-08 2013-01-10 Carefusion 207,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spine through a single vertebral body insertion point
US9119639B2 (en) 2011-08-09 2015-09-01 DePuy Synthes Products, Inc. Articulated cavity creator
US9814592B2 (en) * 2011-10-20 2017-11-14 Clariance Silicone nucleus implants
US9241729B2 (en) 2012-12-14 2016-01-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Device to aid in the deployment of a shape memory instrument
US9717551B2 (en) 2013-02-21 2017-08-01 Carefusion 2200, Inc. Intravertebral tissue ablation device and method
WO2015089357A2 (en) 2013-12-12 2015-06-18 Conventus Orthopaedics, Inc. Tissue displacement tools and methods
US9351739B2 (en) 2013-12-31 2016-05-31 Amendia, Inc. Tunneling device
US9393061B2 (en) * 2014-03-17 2016-07-19 Stryker Corporation Method for balloon-assisted augmentation and fusion of adjacent vertebral bodies
US9101408B1 (en) 2014-08-20 2015-08-11 ZynFusion, LLC Minimally invasive spinal fusion system and method
US11452548B2 (en) 2017-04-21 2022-09-27 Stryker Corporation Stabilization system, implant, and methods for preventing relative motion between sections of tissue
US10918426B2 (en) 2017-07-04 2021-02-16 Conventus Orthopaedic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 bone
US11376044B2 (en) * 2020-02-28 2022-07-05 Set Point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using micro-electromagnets secured to bone structure for stabilization, fixation, and accelerated healing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231A (en) 1979-04-30 1981-05-05 Scheller Jr Arnold D Curved drill attachment for bone drilling uses
US5295980A (en) 1989-10-30 1994-03-22 Ersek Robert A Multi-use cannula system
US6248110B1 (en) 1994-01-26 2001-06-19 Kyph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fractured or diseased bone using expandable bodies
ES2287635T3 (es) 1994-01-26 2007-12-16 Kyphon Inc. Dispositivo inflamable mejorado para uso en metodos quirurgicos relacinados a la fijacion de hueso.
US6241734B1 (en) 1998-08-14 2001-06-05 Kyph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cing materials into bone
WO1995020345A1 (en) 1994-01-28 1995-08-03 Ep Technologies, Inc. Minimizing blood contact in cardiac tissue measurements
US5601561A (en) 1995-01-17 1997-02-11 W. L. Gore & Associates, Inc. Guided bone rasp
US5609629A (en) 1995-06-07 1997-03-11 Med Institute, Inc. Coated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5851209A (en) 1996-01-16 1998-12-22 Hospital For Joint Diseases Bone cerclage tool
US5741261A (en) 1996-06-25 1998-04-21 Sdgi Holdings, Inc. Minimally invasive spinal surgical methods and instruments
AU3669497A (en) * 1996-07-18 1998-02-10 Implant Innovations, Inc. Power-driven osteotome tools for compaction of bone tissue
EP1459691A1 (en) 1996-10-23 2004-09-22 Oratec Interven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US5843103A (en) 1997-03-06 1998-12-01 Scimed Life Systems, Inc. Shaped wire rotational atherectomy device
NZ513472A (en) 1997-06-09 2002-12-20 Kyphon Inc Apparatus for treating fractured or diseased bone using plastically expandable bodies
US5972015A (en) 1997-08-15 1999-10-26 Kyphon Inc. Expandable, asymetric structures for deployment in interior body regions
US6048346A (en) 1997-08-13 2000-04-11 Kyph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flowable materials into bones
US5928239A (en) 1998-03-16 1999-07-27 University Of Washington Percutaneous surgical cavitation device and method
US7572263B2 (en) 1998-04-01 2009-08-11 Arthrocare Corporation High pressure applicator
WO1999049819A1 (en) 1998-04-01 1999-10-07 Parallax Medical, Inc. Pressure applicator for hard tissue implant placement
US6440138B1 (en) 1998-04-06 2002-08-27 Kyphon Inc. Structures and methods for creating cavities in interior body regions
US6296639B1 (en) 1999-02-12 2001-10-02 Novacept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nterstitial tissue removal
ES2228165T3 (es) 1998-12-09 2005-04-01 Cook Incorporated Aguja hueca, curvada, superelastica, para uso medico.
IL130307A0 (en) 1999-06-04 2000-06-01 Influence Med Tech Ltd Bone suturing device
ES2164548B1 (es) 1999-08-05 2003-03-01 Probitas Pharma Sa Dispositivo para la dosificacion de masa fraguable para vertebroplastia y otros tratamientos oseos similares.
US6783515B1 (en) 1999-09-30 2004-08-31 Arthrocare Corporation High pressure delivery system
US6383188B2 (en) 2000-02-15 2002-05-07 The Spineology Group Llc Expandable reamer
US6575979B1 (en) 2000-02-16 2003-06-10 Axia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terior or anterior trans-sacral access to spinal vertebrae
US6899716B2 (en) 2000-02-16 2005-05-31 Trans1,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augmentation
US6790210B1 (en) 2000-02-16 2004-09-14 Trans1,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curved axial bores through spinal vertebrae
US6358251B1 (en) 2000-03-21 2002-03-19 University Of Washingt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vity in soft tissue or bone
FR2808208B1 (fr) 2000-04-27 2002-06-28 Optimex 2000 Ltd Set de cannules pour injections dans le corps humain
US6916308B2 (en) 2000-06-08 2005-07-12 Cook Incorporated High pressure injection syringe
US7144414B2 (en) 2000-06-27 2006-12-05 Smith & Nephew, Inc. Surgical procedures and instruments
JP2004500963A (ja) 2000-06-27 2004-01-15 カイフォ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動可能材料を骨に注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025771B2 (en) 2000-06-30 2006-04-11 Spineology, Inc. Tool to direct bone replacement material
JP4809572B2 (ja) 2000-07-14 2011-11-09 カイフォン・ソシエテ・ア・レスポンサビリテ・リミテ 椎体を処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086133A1 (en) * 2003-05-16 2008-04-10 Spineology Expandable porous mesh bag device and methods of use for reduction, filling, fixation and supporting of bone
US20020068974A1 (en) * 2000-07-21 2002-06-06 Kuslich Stephen D. Expandable porous mesh bag device and methods of use for reduction, filling, fixation and supporting of bone
US7114501B2 (en) 2000-08-14 2006-10-03 Spine Wave, Inc. Transverse cavity device and method
US6679886B2 (en) 2000-09-01 2004-01-20 Synthes (Usa) Tools and methods for creating cavities in bone
US7008433B2 (en) 2001-02-15 2006-03-07 Depuy Acromed, Inc. Vertebroplasty injection device
US6613018B2 (en) 2001-02-20 2003-09-02 Vita Licensing, Inc. System and kit for delivery of restorative materials
US7087040B2 (en) 2001-02-28 2006-08-08 Rex Medical, L.P. Apparatus for delivering ablation fluid to treat lesions
US6575978B2 (en) 2001-04-05 2003-06-10 Spineology, Inc. Circumferential resecting reamer tool
US6746451B2 (en) 2001-06-01 2004-06-08 Lance M. Middleton Tissue cavitation device and method
US6814734B2 (en) 2001-06-18 2004-11-09 Sdgi Holdings, Inc, Surg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passage in bone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portion
US6793660B2 (en) 2001-08-20 2004-09-21 Synthes (U.S.A.) Threaded syringe for delivery of a bone substitute material
AU2002336694A1 (en) 2001-11-01 2003-05-12 Lawrence M. Boyd Devices and methods for the restoration of a spinal disc
US7066942B2 (en) 2002-10-03 2006-06-27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Bendable needle for delivering bone graft material and method of use
US6875219B2 (en) 2003-02-14 2005-04-05 Yves P. Arramon Bone access system
US20060264967A1 (en) 2003-03-14 2006-11-23 Ferreyro Roque H Hydraulic device for the injection of bone cement i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US7473267B2 (en) 2003-04-25 2009-01-06 Warsaw Orthopedic,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fixation
CN1845709B (zh) 2003-09-03 2012-06-20 科丰有限公司 用于在身体内部区域里形成空洞的设备
WO2005034781A1 (en) 2003-09-29 2005-04-21 Promethean Surgical Devic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spine repair
WO2005070071A2 (en) * 2004-01-08 2005-08-04 Spine Wav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fluent material at a distracted tissue site
US20060064101A1 (en) 2004-02-12 2006-03-23 Arthrocare Corporation Bone access system
US7556650B2 (en) 2004-06-29 2009-07-07 Spine Wave, Inc. Methods for injecting a curable biomaterial into an intervertebral space
US7427295B2 (en) * 2005-02-03 2008-09-23 Elli Quence, Llc Spinal fill for disk surgery
US20060195091A1 (en) 2005-02-15 2006-08-31 Mcgraw J K Percutaneous spinal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JP2006263184A (ja) 2005-03-24 2006-10-05 Gc Corp 骨セメント注入充填方法及び骨セメント注入充填用漏洩防止袋
JP2006288864A (ja) 2005-04-13 2006-10-26 Padoru:Kk 外科手術用の骨固定具
US7799035B2 (en) * 2005-11-18 2010-09-21 Carefusion 2200,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urable material into bone
US20070233258A1 (en) 2006-02-28 2007-10-04 Zimmer Spine, Inc. Vertebroplasty-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00027A (es) 2011-10-17
BRPI0914542A2 (pt) 2017-05-23
CN102186432A (zh) 2011-09-14
AU2009271315A1 (en) 2010-01-21
EP2303167A1 (en) 2011-04-06
CA2736139A1 (en) 2010-01-21
US20100100184A1 (en) 2010-04-22
RU2011102453A (ru) 2012-07-27
JP2011525413A (ja) 2011-09-22
US8277506B2 (en) 2012-10-02
WO2010008818A1 (en) 2010-01-21
ZA201009311B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1442A (ko) 척추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AU200920026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fractured and/or diseased bone
EP2010267B1 (en) Instrumentation kit for delivering viscous bone filler material
US20030050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treating diseased or fractured bone employing a guide wire
KR20120028873A (ko) 최소 침습성 척추 보강 및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WO2005016193A1 (en) Biocompatible wires and systems employing same to fill bone void
AU20012532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fractured and/or diseased bone
AU2001253267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fractured and/or diseased bone
CN107320173B (zh) 椎体扩张成形系统和方法
EP3119301B1 (en) Kit for balloon-assisted augmentation and fusion of adjacent vertebral bodies
JP2016532479A (ja) バルーン補助による椎骨補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