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06A -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06A
KR20110040006A KR1020090097116A KR20090097116A KR20110040006A KR 20110040006 A KR20110040006 A KR 20110040006A KR 1020090097116 A KR1020090097116 A KR 1020090097116A KR 20090097116 A KR20090097116 A KR 20090097116A KR 20110040006 A KR20110040006 A KR 2011004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rystals
gold
nanorattle
nano
ir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884B1 (ko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8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5Applications of microcapsule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6Distribution of the active metal ingredient
    • B01J35/398Egg yolk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나노입자의 합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나노래틀 구조물,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이용하여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유용한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나노래틀 구조물, 하이브리드 나노결정, 나노입자, 다공성 실리카 껍질

Description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Nanorattle Structur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나노입자의 합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나노래틀 구조물,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이용하여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유용한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Au/Fe3O4, Ag/Fe3O4, CdS/FePt 및 γ-Fe2O3/금속 황화물과 같은 하이브리드 나노결정들이 화학적으로 다른 종을 헤테로접합을 통해 결합시켜 합성되었으며, 단일 성분 나노결정으로는 달성될 수 없는 신규한 성질 및 독특한 이용가능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끌어 왔다.
한편, 래틀(rattle) 타입의 나노구조물은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많은 관심을 끌어 왔다.
그러나, 래틀 타입의 나노구조물을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으로부터 제조한 예 및 나노입자의 합성을 공간적으로 한정하는 나노반응기(nano-reactor)로서 사용한 예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이용하여 래틀 타입의 나노구조물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하고, 상기 래틀 타입의 나노구조물을 나노입자의 합성을 공간적으로 한정하는 나노반응기(nano-reactor)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나노입자의 합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나노래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이용하여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유용한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의(hollow) 다공성(porous) 실리카 나노껍질 및 상기 공동에 갇힌(entrapped)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nanorattle) 구조물에 관한 것 이다.
본 발명의 나노래틀 구조물에서 금 나노결정의 크기는 2 내지 10 nm가 바람직하고, 공동의 크기는 10 내지 50 nm가 바람직하며, 나노래틀 구조물의 크기는 20 내지 100 n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래틀 구조물은 다양한 금속 종의 결정핵생성(nucleation) 및 성장이 금 코어에 의해 공동의 나노껍질내에서만 일어나도록 유도하고 나노입자의 합성을 공간적으로 한정하는 나노반응기(nano-reactor)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i) 산화철 나노결정과 금 이온 착물을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실리카 나노껍질로 피막화(encapsulation) 반응시켜, 금 나노결정이 산화철 나노결정에 부착된 하이브리드 나노결정 및 실리카 나노껍질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 상기 실리카 나노구를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상기 산화철 나노결정을 환원 분해하고 상기 실리카 나노껍질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i)의 피막화 반응은 공지된 역마이크로에멀젼(reverse microemuls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참고문헌: D. K. Yi, S. S. Lee, G. C. Papaefthymiou and J. Y. Ying, Chem. Mater. 2006, 18, 614; D. C. Lee, F. V. Mikulec, J. M. Pelaez, B. Koo and B. A. Korgel, J. Phys. Chem. B, 2006, 110, 11160]. 구체적으로, 올레산으로 안정화된 산화철 나노결정과 금 이온 착물을 함유한 수용액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시클로헥산 용액에서 혼합하여 금 이온 착물을 함유한 물방울과 산화철 나노결정을 함유한 외부 시클로헥산 상을 포함하는 역마이크로에멀젼 시스템을 형성시킨 다음, 수산화암모늄 수용액과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TEOS)를 연속적으로 가하여 산화철 나노결정 주위에 실리카 껍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i)에서 산화철로는 Fe3O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금 이온 착물로는 Au3+ 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HAuCl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에서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의 형성은 금 이온이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환원되고, 금이 산화철 표면에서 우선적으로 결정핵형성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단계 (ii)에서는 상기 나노구를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처리하면, 산화철/금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으로부터 산화철 결정만이 환원 분해 공정을 통해 신속하게 제거된다. 이는 부착된 금 결정에 의해 촉진되며, 부착된 금 결정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산화철 결정이 분해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ii)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산화철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고 실 리카를 에칭함으로써 금 나노결정이 공동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껍질의 공동(cavity)에 남게 되어, 본 발명의 나노래틀 구조물이 생성된다.
생성된 나노래틀 구조물의 공동 크기는 일반적으로 제거된 산화철 입자에 비해 크며, 이는 산화철 분해 후에 생성된 공동 표면이 에칭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금 나노결정은 성장하는데, 이는 에칭 반응 동안 공동 내에서 금 입자가 융합(coalescence) 또는 숙성(ripening)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생성되는 나노래틀 구조물의 공동 크기를 사용되는 산화철 나노결정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주형(template)으로 이용하여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에서 금속염을 환원제와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금속으로는 은, 백금, 팔라듐, 니켈, 이들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금속의 질산염, 황산염, 옥살산염, 인산염,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세트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환원제로는 히드라진, 과산화수소, 아스코르브산, 히드록실아민, 시트르산, 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금속 나노결정이 공동의 껍질 내에서만 성장하여 금속 코어가 다공성 실리카 껍질로 잘 코팅된 나노입자가 생성된다.
금 나노결정이 없는 나노래틀 구조물을 사용하거나, 다공성이 아닌 실리카 나노껍질로 된 나노래틀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이 실리카 껍질 내부의 공동이 아닌 실리카 껍질 외부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성장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금속염의 초기 농도를 증가시키면 생성되는 금속 나노결정의 크기가 증가되며, 이는 금속이 우선적으로 공동 내의 금 표면에 결정핵형성을 한 다음 점차 성장됨을 의미한다.
도 1은 산화철로 Fe3O4를 사용하고 금 이온 착물로 HAuCl4를 사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래틀 구조물의 제조공정 및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주형으로 이용한 은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20 내지 100 nm가 바람직하고, 금속 코어의 크기는 10 내지 50 nm가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입자는 수성 현탁액으로 용이하게 분산되어 안정한 콜로이드를 생성한다. 아울러, 실리카 나노껍질에 의해 활성 금속 코어를 가혹한 조건에서도 안정화시키고, 다공성 구조에 의해 반응 분자가 확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나노입자는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껍질 및 상기 공동에 갇힌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 구조물은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금속 나노결정 합성의 주형으로서 작용하여 소정 크기의 다양한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를 위한 나노반응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는 수성 매질에서 안정한 콜로이드를 생성하고, 가혹한 조건에서도 안정하며, 활성 금속 코어에 반응 분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촉매 및 바이오센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Fe 3 O 4 /Au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Fe 3 O 4 /Au@SiO 2 ) 의 제조
평균 코어 크기가 8 nm인 Fe3O4 나노결정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득하였다[참고문헌: Park, J.; An, K.; Hwang, Y.; Park, J.-G.; Noh, H.-J.; Kim, J.-Y.; Park, J.-H.; Hwang, N.-M.; Hyeon, T. Nat. Mater. 2004, 3, 891].
폴리옥시에틸렌(5)노닐페닐 에테르 (7.68 g, 18.0 mmol, Igepal CO-520, 50 mol% 친수성기 함유, Aldrich)를 시클로헥산 (170 ml)를 함유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교반에 의해 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시클로헥산에 분산된 상기에서 수득한 8.0 mg의 Fe3O4 나노결정을 반응용액에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투명해질 때까지 보텍스(vortex)하였다. HAuCl4 수용액 (24 mM, 0.5 ml) 및 수산화암모늄 용액 (30 %, 1.3 ml)을 반응 혼합물에 연속적으로 가하여 투명 현탁액을 형성시켰다. 그런 다음,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TEOS; 1.5 ml)를 가하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Fe3O4/Au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Fe3O4/Au@SiO2)를 자성 디캔테이션(magnetic decantation)에 의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나노구(Fe3O4/Au@SiO2)를 에탄올에 재분산시키고 자석을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Fe3O4/Au@SiO2를 에탄올 현탁액으로 분산시키고 자기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metry: XPS)으로 분석한 결과, 반응 동안 Au(3+)가 환원되어 Au(0)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성된 고체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으로 분석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Fe3O4 나노결정 주위에 1 내지 2 nm 직경의 작은 Au 나노결정이 수개 성장되어, Fe3O4/Au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29(± 1) nm 직경의 실리카 나노구(Fe3O4/Au@SiO2)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 구조물(Au@h-SiO 2 )의 제조 (I)
NaBH4 수용액 (0.2 M, 1.0 ml)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1.0 mg의 Fe3O4/Au@SiO2를 포함하는 2.0 ml의 수성 현탁액에 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의 암갈색이 수소 기체를 방출하면서 점차 희미해졌다. 생성된 금 나노결정 및 공동의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래틀 구조물(Au@h-SiO2)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Au@h-SiO2를 수성 현탁액으로 분산시키고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된 고체의 TEM 및 X-선 회절법(X-ray diffraction: XRD)에 의한 분석 결과를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하이브리드 나노결정 으로부터 Fe3O4이 분해되고 제거되어 실리카 나노구에 14(± 2) nm 직경의 공동이 형성되어 외부 직경이 28(± 2) nm인 공동의 다공성 실리카 껍질 및 평균 크기가 4(± 1) nm인 Au 나노결정으로 구성된 래틀 타입의 나노구조물(Au@h-SiO2)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 구조물(Au@h-SiO 2 )의 제조 (II)
평균 코어 크기가 5 nm인 Fe3O4 나노결정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Fe3O4/Au@SiO2 및 Au@h-SiO2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Fe3O4/Au@SiO2 및 Au@h-SiO2의 TEM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로부터 생성된 나노래틀 구조물(Au@h-SiO2)의 평균 공동 크기는 10(± 1) nm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공성 실리카 껍질로 피막화된 은 나노결정으로 구성된 나노입자(Ag@SiO 2 )의 제조
AgNO3 수용액 (0.3 M, 1.0 ml)를 실시예 2에서 수득한 1.0 mg의 Au@h-SiO2를 함유한 0.2 ml의 수성 현탁액에 가하고 노광(light exposure) 없이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히드라진 용액 (N2H4, 0.2 M, 0.02 ml)을 반응 현탁 액에 적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히드라진의 적가 후에 바로 암갈색이 반응 현탁액으로부터 나타났다. 생성된 고체(Ag@SiO2)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Ag@SiO2를 수성 현탁액으로 분산시키고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된 고체의 TEM 및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으로부터 평균 직경이 17(± 3) nm 인 Ag 나노결정이 공동의 껍질내에서만 성장하여, Ag 코어가 다공성 실리카 껍질에 의해 잘 코팅된 Ag@SiO2 나노구가 생성됨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은염의 초기 농도에 따른 나노입자(Ag@SiO 2 )의 크기 변화 측정
AgNO3의 초기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입자(Ag@SiO2)를 제조하여, 각 나노입자의 TEM 분석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로부터 AgNO3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더 큰 Ag 나노결정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서 보듯이, 정제된 Ag@SiO2 고체는 수성 현탁액으로 용이하게 분산되어 안정한 콜로이드를 생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래틀 구조물의 제조공정 및 상기 나노래틀 구조물을 주형으로 이용한 은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Fe3O4/Au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Fe3O4/Au@SiO2)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와 실리카 나노구, Fe3O4 입자 및 Au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 구조물(Au@h-SiO2)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와 실리카 나노구, 공동 및 Au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4(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Fe3O4/Au 하이브리드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Fe3O4/Au@SiO2)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이고, 도 4(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Au@h-SiO2)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Fe3O4/Au@SiO2 및 Au@h-SiO2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와 실리카 나노구, 공동, Fe3O4 입자 및 Au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 껍질로 피막화된 은 나노결정으 로 구성된 나노입자(Ag@SiO2)의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와 실리카 나노구 및 Ag 나노결정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7은 다양한 농도의 AgNO3을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 제조된 Ag@SiO2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와 Ag 나노결정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8은 다양한 농도의 AgNO3을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 제조된 Ag@SiO2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0.8 mg/ml)의 사진이다.

Claims (11)

  1. 공동의(hollow) 다공성(porous) 실리카 나노껍질 및 상기 공동에 갇힌(entrapped)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nanorattle)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금 나노결정의 크기가 2 내지 10 nm이고, 공동의 크기가 10 내지 50 nm이며, 나노래틀 구조물의 크기가 20 내지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래틀 구조물.
  3. 공동의(hollow) 다공성(porous) 실리카 나노껍질 및 상기 공동에 갇힌(entrapped)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nanorattle) 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i) 산화철 나노결정과 금 이온 착물을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실리카 나노껍질로 피막화(encapsulation) 반응시켜, 금 나노결정이 산화철 나노결정에 부착된 하이브리드 나노결정 및 실리카 나노껍질을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구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 상기 실리카 나노구를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상기 산화철 나노결정을 환원 분해하고 상기 실리카 나노껍질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산화철로 Fe3O4를 사용하고, 금 이온 착물로 HAuCl4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단계 (i)의 피막화 반응이 올레산으로 안정화된 산화철 나노결정과 금 이온 착물을 함유한 수용액을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시클로헥산 용액에서 혼합하여 금 이온 착물을 함유한 물방울과 산화철 나노결정을 함유한 외부 시클로헥산 상을 포함하는 역마이크로에멀젼 시스템을 형성시킨 다음, 수산화암모늄 수용액과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TEOS)를 연속적으로 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산화철로 Fe3O4를 사용하고, 금 이온 착물로 HAuCl4를 사용하며, 폴리에텔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공동의(hollow) 다공성(porous) 실리카 나노껍질 및 상기 공동에 갇힌(entrapped) 금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나노래틀(nanorattle) 구조물을 주형(template)으로 이용한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나노래틀 구조물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에서 금속염을 환원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금속염이 은, 백금, 팔라듐, 니켈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질산염, 황산염, 옥살산염, 인산염,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아세트산염이고, 환원제가 히드라진, 과산화수소, 아스코르브산, 히드록실아민, 시트르산 또는 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금속 코어 및 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11. 제10항에 있어서, 금속이 은, 백금, 팔라듐, 니켈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KR1020090097116A 2009-10-13 2009-10-13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16A KR101094884B1 (ko) 2009-10-13 2009-10-13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16A KR101094884B1 (ko) 2009-10-13 2009-10-13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06A true KR20110040006A (ko) 2011-04-20
KR101094884B1 KR101094884B1 (ko) 2011-12-15

Family

ID=4404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16A KR101094884B1 (ko) 2009-10-13 2009-10-13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88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5249A (zh) * 2013-04-11 2013-07-17 常州大学 一种基于氧化钒核壳结构的制备方法
WO2013112643A1 (en) * 2012-01-23 2013-08-01 Nvigen, Inc. Low density, highly porous nano structure
WO2013169078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CN103611480A (zh) * 2013-12-06 2014-03-05 河南师范大学 一种同质蛋黄-壳结构二氧化钛微球的制备方法
WO2014104805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담체에 담지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WO2014104806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담체에 담지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WO2014196785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금속 나노입자
WO2014196807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
WO2014196806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
KR20160115322A (ko) * 2015-03-26 2016-10-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크-쉘 구조를 갖는 속빈 나노촉매의 제조방법
US10456838B2 (en) 2014-08-14 2019-10-29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metal nanoparticles
KR20200121629A (ko) * 2019-04-16 2020-10-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공-가공된 실리카 나노반응기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백금 나노수상돌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193B1 (ko) 2017-05-26 2018-11-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금속 촉매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속 빈 나노 반응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602B1 (ko) * 2003-08-14 2006-02-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 내부에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hcms 캡슐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4188A (zh) * 2012-01-23 2015-02-18 纳维基因股份有限公司 低密度、高度多孔性纳米结构
WO2013112643A1 (en) * 2012-01-23 2013-08-01 Nvigen, Inc. Low density, highly porous nano structure
US9711266B2 (en) 2012-01-23 2017-07-18 Nvigen, Inc. Low density, highly porous nano structure
CN104364188B (zh) * 2012-01-23 2016-12-07 纳维基因股份有限公司 低密度、高度多孔性纳米结构
WO2013169078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US8992660B2 (en) 2012-05-11 2015-03-31 Lg Chem, Ltd. Method for fabricating hollow metal nano particles and hollow metal nano particles fabricated by the method
WO2014104806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담체에 담지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WO2014104805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담체에 담지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US9517460B2 (en) 2012-12-27 2016-12-13 Lg Chem, Ltd. Method for fabricating hollow metal nano particles supported on carrier
US9517450B2 (en) 2012-12-27 2016-12-13 Lg Chem, Ltd. Hollow metal nano particles supported on carrier
CN103205249A (zh) * 2013-04-11 2013-07-17 常州大学 一种基于氧化钒核壳结构的制备方法
CN105307799A (zh) * 2013-06-07 2016-02-03 Lg化学株式会社 中空金属纳米粒子
WO2014196807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
WO2014196785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금속 나노입자
WO2014196806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
US9776173B2 (en) 2013-06-07 2017-10-03 Lg Chem, Ltd. Hollow metal nanoparticles
US10322452B2 (en) 2013-06-07 2019-06-18 Lg Chem, Ltd. Metal nanoparticles
US10350678B2 (en) 2013-06-07 2019-07-16 Lg Chem, Ltd. Metal nanoparticles
CN103611480A (zh) * 2013-12-06 2014-03-05 河南师范大学 一种同质蛋黄-壳结构二氧化钛微球的制备方法
US10456838B2 (en) 2014-08-14 2019-10-29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metal nanoparticles
KR20160115322A (ko) * 2015-03-26 2016-10-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크-쉘 구조를 갖는 속빈 나노촉매의 제조방법
KR20200121629A (ko) * 2019-04-16 2020-10-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공-가공된 실리카 나노반응기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백금 나노수상돌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884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884B1 (ko) 나노래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Busbee et al. An improved synthesis of high‐aspect‐ratio gold nanorods
Shankar et al. Synthesis of gold nanospheres and nanotriangles by the Turkevich approach
Zhao et al. Fabrication of Cu–Ag core–shell bimetallic superfine powders by eco-friendly reagents and structures characterization
Bhol et al. Modern chemical routes for the controlled synthesis of anisotropic bimetallic nanostructures and their application in catalysis
US8075664B1 (en) Synthesis of metallic nanoshells on porphyrin-stabilized emulsions
JP5400154B2 (ja) ナノ複合体
Zhou et al. Site-specific growth of AgPd nanodendrites on highly purified Au bipyramids with remarkable catalytic performance
US9937556B2 (en) Templated synthesis of metal nanorods in silica nanotubes
KR101168653B1 (ko) 나노덴드라이트의 제조방법
Min et al. Azeotropic distillation assisted fabrication of silver nanocages and their catalytic property for reduction of 4-nitrophenol
Liu Cu 2 O microcrystals: a versatile class of self-templates for the synthesis of porous Au nanocages with various morphologies
Wang et al. Tailored synthesis of various Au nanoarchitectures with branched shapes
Yeo et al. Reductive dissolution of Fe3O4 facilitated by the Au domain of an Fe3O4/Au hybrid nanocrystal: formation of a nanorattle structure composed of a hollow porous silica nanoshell and entrapped Au nanocrystal
WO2012123435A1 (en) Platinium/silver noble metal single wall hollow nanoparticles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
KR101734426B1 (ko) 비귀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속빈 나노 래틀 입자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Huang et al. Formation of CdSe/CdS/ZnS-Au/SiO 2 dual-yolk/shell nanostructures through a Trojan-type inside-out etching strategy
Georgiev et al. Acceleration effect of copper (II) ions on the rate of citrate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KR101890463B1 (ko)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KR101308889B1 (ko) 구리산화물 환원을 이용한 무기산화물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102439B1 (ko) 공동의 나노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Zhan Synthetic architecture of integrated nanocatalysts with controlled spatial distribution of metal nanoparticles
CN111112640A (zh) 一种调控Yolk-shell纳米结构的方法
KR101885561B1 (ko) 다중가지 금 나노입자 코어-팔라듐 쉘 나노입자 및 그 합성방법
Bhattarai et al. Direct observation of early stages of growth of multilayered dna-templated au-pd-au core-shell nanoparticles in liquid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