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551A -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551A
KR20110039551A KR20117002837A KR20117002837A KR20110039551A KR 20110039551 A KR20110039551 A KR 20110039551A KR 20117002837 A KR20117002837 A KR 20117002837A KR 20117002837 A KR20117002837 A KR 20117002837A KR 20110039551 A KR20110039551 A KR 20110039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plant
implant
medical
bone
fix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227B1 (ko
Inventor
팔로 말로 까발로
라르스 외르네우스
헨릭 페터손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3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4Long implant, e.g. zygomatic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의료용 임플란트 및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20)는 세장형이고, 환자 내의 고착을 위한 것이며, 골 침착을 위한 근첨 골 고정부(200) 및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 관상 부분(210)을 포함하고, 상기 관상 부분(210)은 상기 근첨 부분(200)의 길이(L1)를 초과하거나 이와 같은 길이(L2)를 가지며, 상기 근첨 부분(200)은 상기 관상 부분의 최대 외경(D2)과 같거나 이보다 큰 최대 외경(D1)을 갖는다.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에서, 근첨부는 광대뼈에 부착되고, 관상부는 점막 내에서 상악 외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용 임플란트 분야 및 이러한 임플란트들의 식립(implantation)에 대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들 및 이들의 식립에 대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의료용 임플란트들은, 예를 들어 환자의 턱에 식립되기 위한 고정 요소(anchoring element)들로서 알려져 있다. 식립 시, 이 고정 요소들은 예를 들어 연결 계면을 통해 치과 수복물(dental restoration)들을 지지한다.
질병과 같은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환자의 소정 뼈 구역들에서 뼈 특성(bone quality)이 열악할 수 있다. 이가 없거나 부분적으로 이가 없는 환자들에 있어서는, 턱 뼈 조직이 지나치게 재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손상되거나 재흡수된 뼈 조직 구역들에서 만족스럽게 종래의 의료용 임플란트들을 고정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악, 즉 위턱에서, 상악 및 관골, 즉 광대뼈 모두에 고정되는 특수한 세장형 고정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정 요소는 상악 및 광대뼈에서의 이중 고정 기술에 의해 부착가능하다. 상악과 광대뼈 사이에서, 고정 요소들은 두개(skull) 내의 공동, 상악동 공동(maxillary sinus cavity)을 통해 연장된다.
US 5,362,236 및 US 5,564,926에서, 이러한 세장형 고정 요소 및 고정 요소를 식립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고정 요소는 상이한 직경을 갖고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2 개의 부분을 갖는다. 고정 요소의 나사산 근첨단 부분(threaded apical end portion)은 고정 요소의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광대뼈에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고정 요소의 나사산 관상 부분(threaded coronal portion)은 고정 요소의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악에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고정 요소는 뼈 조직에 2 개의 정렬된 구멍을 뚫음으로써 식립된다. 더 작은 직경의 고정 요소의 근첨 부분은 상악에서 더 큰 직경의 구멍을 통과하고, 광대뼈에서 더 작은 직경의 구멍으로 나사결합된다. 더 작은 직경의 근첨 부분에 의한 자가-나사결합(self-threading)이 제 2 구멍에서 일어나는 한편, 더 큰 직경의 부분은 상악에서의 더 큰 직경의 제 1 구멍에 자가-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는 적용되는 경우 확실하게 이중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US 5,362,236 및 US 5,564,926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들 및 고정 요소들은 모두 더 개선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고정 요소는 WO 2005/079697에 개시된다. 고정 요소는 근첨에 배치된 제 1 고착부(fixation portion), 고정 요소의 기부에 배치된 제 2 고착부, 및 제 1 고착부와 제 2 고착부 사이에 있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악동 내부 및 그 내부로부터의 작업은 제한된 가시성, 공간 등으로 인해 어려울 수 있다. 상악동 공동으로의 시야를 얻기 위해, 때때로 상악골 내의 접근구(access hole)가 상악동 공동을 향해 개방된다. 하지만, 이는 번거로우며, 환자에 대한 치유 문제(healing complication)를 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의료용 임플란트 및/또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의료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개선된 의료용 임플란트 및/또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의료 방법이 유리할 것이다. 특히, 뼈 조직에 확실한 고정; 증가된 수술 유연성(surgical flexibility); 예를 들어, 의료 절차의 개선된 가시성 피드백(visible feedback)에 의한 개선된 수술 제어; 및/또는 예를 들어 감소된 수술 시간, 환자 회복 시간, 잠재적 부작용들에 의한 비용-유효성; 등을 허용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및/또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의료 방법이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에 따른 의료용 임플란트 및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을 개별적으로, 또는 여하한의 조합으로 제공함으로써, 앞서 확인된 바와 같은 기술분야의 1 이상의 결함들, 단점들 또는 문제들을 완화하거나, 경감하거나, 또는 제거하려고 노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의료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의료용 임플란트는 환자 내의 고착을 위한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이다. 임플란트는 골 침착(bone apposition)을 위한 근첨 골 고정부(apical bone anchoring portion), 및 비-나사산 관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관상 부분은 근첨 부분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근첨 부분은 관상 부분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최대 외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의료 절차 시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환자 상악의 뼈 조직의 안면에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악의 안면에서의 제 1 후퇴부의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안면 두개골 조직(facial skull bone tissue)에서 외부에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고정 구멍에 근첨 고정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제 1 후퇴부에 인접하여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관상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의료용 임플란트 및 방법은 브릿지(bridge) 또는 치아/치아들의 대체물에 대한 임플란트 계면의 더 유리한 위치 및 장소를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이는 더 작은 대체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임플란트는 광대뼈로부터의 대안적인 경로를 설명하며, 이는 구강 내에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는 심미적인 이유들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며, 혀를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따라 광대뼈에 부착되는 경우 치과 수복물에 관하여 유익한 위치는 더 정렬된 하중 전달(load transfer)을 허용하며, 이는 주위 몸체 부분들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되며, 이때 본 발명의 제 2 및 후속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특징들은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개선된 고정을 제공하는 치과 수복물의 고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상악의 치조제(alveolar ridge)에서의 연결 계면과 두개골 조직에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는 개선된 의료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임플란트의 식립을 용이하게 하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식립의 가시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은 식립에 있어서 개선된 정밀도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외과의가 수행하기에 더 안전하고 덜 복잡한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의료 절차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증가된 수술 유연성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의료 절차의 개선된 가시성 피드백에 의한 개선된 수술 제어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감소된 수술 시간, 환자 회복 시간, 잠재적 부작용들 등에 의한 비용-유효성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도록 취해지지만, 1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구성요소들 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 또한 다른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이 나타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의료용 임플란트들의 사시도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 및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단 부분의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2a 내지 도 2c와 유사한 도면;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상악동 공동을 통하는 종래의 의료 식립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단계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및
도 6은 일 실시예의 의료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 실시예들은 이 기재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들은 동일한 요소들을 칭한다.
다음 설명은 광대뼈와 같은 두개골에 고정하는 치과 임플란트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이러한 고정 치과 임플란트들은 고착물이라고 칭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적용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의료용 임플란트들(100, 101)은 길이방향으로 접해 있는 2 개의 원통형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출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소유자의 US 5,362,236 및 US 5,564,926의 도 1에 대응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인용참조된다. 임플란트는 본질적으로 서로 접하고 일직선이 되는 2 개의 원통형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이때 관상의 제 1 세그먼트(1)는 근첨의 제 2 세그먼트(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임플란트의 관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통형 관상 세그먼트(1)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제외한 임플란트의 외부는 나사산 형성된다. 외측 나사산들은 관상 원통형 세그먼트(1) 상의 제 1 나사산(4) 및 근첨 원통형 세그먼트(2) 상의 제 2 나사산(5)을 포함한다. 원통형 세그먼트들 간의 경계 구역에서 결합하는 두 나사산(4, 5)에 대해 피치(pitch)는 동일하다. 제 1 나사산(4)의 내경은 제 2 나사산(5)의 외경보다 더 크다. 나사산들(4, 5)이 나사홈을 형성(self-tapping)한다.
대칭적으로 중심에 있는 구멍(17)은 근첨단(6)으로부터 연장되고, 근첨 세그먼트(2)의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연장부를 갖는다. 세그먼트(2)에서 대칭적으로, 또한 그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 개의 관통 슬릿(through slit: 7, 8)은 근첨단(6) 부근에서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슬릿들(7, 8)은 삭마(ablation)에 의해 제거된 뼈 재료의 수송을 위해 근첨 세그먼트(2)의 외부와 그 안에 배치된 대칭적으로 중심에 있는 구멍(17) 사이에 통로(communication)를 확립한다. 근첨 세그먼트(2)의 외부는 근첨단(6)을 향해 비스듬하다(사면: 16).
장착부(3)는 관상 원통형 세그먼트(1)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 챔버 내에 포함된다. 장착 세그먼트(3)는 원통 축에 관하여 45 도 기울어진 평면에 의해 절단된 원통형 몸체의 형태를 갖는 기저부(base portion: 9)를 포함한다. 기저부가 결합하는 관상 원통형 세그먼트(1)의 관상단에 기저부(9)의 원형 기부가 연결된다. 관상 원통형 세그먼트(1) 가장 가까이에서, 기저부(9)는 관상단의 방향으로 환형 홈(15)이 연결되는 환형 플랜지(annular flange: 14)를 갖는다. 기저부(9)의 단부면(end face: 10)이 절단면에 의해 정의되고, 매끄럽게 라운딩된 그 관상 구역에서 기저부(9)의 원통 맨틀(cylinder mantle)과 접합하며, 비딩(beading)은 기저부의 근첨 부분을 향해 점점 감소한다. 사면으로 인해, 단부면(10)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그 중심에서, 단부면(10)은 임플란트(100)의 종축(A)에 관하여 45 도 기울어져 진행하는 구멍(12)을 갖는다. 구멍(12)에서, 기저부(9)는 기저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감(taper)하는 원뿔대(11)를 형성하면서 연장된다. 원뿔대(11)의 맨틀 표면(13) 및 환형 단부면(10)은 나사 수단에 의해 기저부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치과 보철물 또는 브릿지(도시되지 않음)의 지대치(abutment)를 봉하도록 설계된다.
도 1b에 나타낸 임플란트(101)는, 연결 계면이 원뿔대형 부분(11) 대신에 육각형 유닛(11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a의 임플란트(100)와 상이하다.
도 2a 및 도 2b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20)의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20)는 환자의 뼈 조직 내의 고착을 위해 고안된다.
임플란트(20)는 골 침착을 위한, 나선형으로 나사산 형성된 근첨 골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근첨 부분(200)에는 점감하는 최상부(201)가 제공된다. 최상부는 임플란트(20)의 근첨단을 향하여 점감한다. 임플란트(20)의 점감하는 최상부(201)는 25 도 내지 75 도 범위의 점감 각도(tapering angle)로 점감한다. 점감하는 최상부 때문에, 식립 시 구멍으로의 진입이 쉽게 얻어진다. 임플란트(20)는 구멍 내에 자동유도(homing)되고, 자동으로 중심에 온다(self-centering). 이는 특히, 구멍이 부분적으로 숨겨지거나 가려진 경우에 유리하다. 따라서, 점감하는 최상부(201)는 구멍으로의 임플란트(20)의 근첨단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근첨 부분(200)은 점감하는 최상부(201)를 제외하고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근첨 부분(200)은 식립 시 임플란트의 1차 안정성(primary stability)을 개선하도록 최상부(201)를 향해 약간 점감할 수 있다.
점감하는 최상부(201)에 의한 근첨단의 직경은 근첨 부분의 최대 외경(D1)의 절반보다 더 작다.
대안적으로, 근첨 부분(200)은 점감하는 부분(201)을 향해 점감하여, 원뿔형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일 수 있다. 점감하는 부분(201)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근첨단에 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으로 나사산 형성된 근첨 골 고정부(201)의 나사산은, 뼈 조직 내의 식립 시 회전 및 선형 이동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사용된다. 이는, 임플란트(20)를 회전시킴으로써 임플란트(20)가 그 종축 방향으로 구멍에 나사고정(screw)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사산의 골(valley) 및 마루(peak) 구조체는 뼈 조직 내에서의 임플란트(20)의 1차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임플란트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나선형 나사산과는 다른 골 고정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근첨 부분에는 다른 골 맞물림 계면(bone engagement interface)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근첨 부분은, 예를 들어 구멍에서 마찰 맞물림(frictional engagement)에 의한 고착을 제공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또한, 뼈 조직에 대한 근첨 부분의 고착은 플러그(plug) 또는 페그(peg)와 유사한, 침착된 뼈 조직을 향해 압력을 제공하는 구조체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들은 환형 리브(annular rib)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장기간 골유착(osseointegration)뿐만 아니라, 식립 시간과 1차 안정성 간의 타협(trade off)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20)는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unthreaded) 관상 부분(210)을 더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은, 관상 부분(210)을 따라 나사산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 것의 대안적인 용어는 비-나사산이며, 즉 관상 부분(210)에는 나사산의 마루 및 골 구조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관상 부분(210)은 거시적(macro) 수준에서는 실질적으로 매끄럽다. 관상 부분(210)의 거시적 거칠기(아래에서 설명됨)는 고정부의 거시적 거칠기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다.
이는 내재된 근육, 혈관, 또는 신경을 포함하는 잇몸과 같은 침착된 연조직을 자극하거나 손상시키지 않도록 배치되는 임플란트(20)의 일부분을 제공한다.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시적(micro) 수준에서는 비-나사산 관상 부분의 표면에 표면 거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용어는, 관상 부분(210)의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연장부에 골 고정 구조체들이 없다는 것을 포함한다. 관상 부분(210)에는 침착된 연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돌출부들이 없다.
US 5,362,236 및 US 5,564,926에 개시된 종래의 고정 요소들은, 적용되는 경우 조직에 침착되는 나사산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고정 요소의 나사산 부분들은 예를 들어 상악동 공동에서 조직을 자극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악동으로부터의 조직은 고정 요소의 근첨부의 나사산에 걸릴 수 있으며, 이는 골유착 및 광대뼈에서의 2차 안정성을 약화시키고, 결국 고정된 임플란트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선된 연조직 침착을 제공한다.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 부분(210)으로 인해, 치과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에서 임플란트에 침착되는 경우에 연조직의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이 제공된다. 연조직 자극 또는 손상, 카타르(catarrh), 또는 점막의 자극과 같은 조건들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방지에 예방 치료가 포함된다.
관상 부분(210)은 조악한 미시적 거칠기를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관상 부분(210)은 조직 친화성 부분(tissue friendly portion)을 제공하도록 적합하게 된다.
임플란트(20)의 외측 표면- 간명함을 위해, 이하 "표면"이라고도 함 -은 주위 뼈 조직에 의료용 임플란트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고정부(200)에 하나 또는 수 개의 나사산들의 형태로 거시적 거칠기를 갖는 토포그래피를 가질 수 있다. 토포그래피는 특히 의료용 임플란트에 관하여 대상물의 구역의 표면 특징들의 연구 또는 세부 설명으로서 정의된다. 의료용 임플란트는 외측 표면을 가지며, 그 지오메트리는 거시적 규모 및 미시적 규모로 정의된 토포그래피를 따른다.
거시적 거칠기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외측 지오메트리를 정의한다. 도 2a 및 도 3a에서, 거시적 거칠기는 의료용 임플란트(20 또는 30)의 나사산 부분의 형태로 예시된다. 추가적으로, 나사산 외측 표면(40)의 거시적 거칠기는 본질적으로, 예를 들어 표면의 다공성으로서 정의된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아래에서 미시적 거칠기라고 칭해진다. 표면의 거시적 거칠기는, 예를 들어 의료용 임플란트에 대해 mm 범위 내에 놓이고, 이때 거시적 거칠기는 mm 이하 범위의 비-나사산 부분들 또는 나사산 부분들 상의 홈들과 같이 더 미세한 구조체들로 더 세분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임플란트의 외측 표면은 ㎛ 범위 내의 미시적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미시적 거칠기는 본 명세서에서 의료용 임플란트들의 실시예들의 표면의 토포그래피를 정의한다. 대조적으로, 앞서 설명된 거시적 거칠기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외측 윤곽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20)가 세라믹 임플란트인 경우, 외측 표면 토포그래피는 기계가공되어 임플란트의 외측 표면을 처리하지 않고 조밀하게 소결(sinter)될 수 있으며, 즉 세라믹 의료용 임플란트를 소결시킨 이후에 매우 미세한 미시적 거칠기를 갖는다. 관상 부분(210)은 유리하게는 이러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매끄러운 외측 표면은 의료용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관하여 불리한 특성들을 갖는다. 그러므로, 고정부에는 처리되지 않고 소결된 외측 표면에 비해 증가된 미시적 거칠기를 갖는 더 조악하거나 거친 외측 표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조악하거나 거친 외측 표면은 예를 들어 ㎛ 범위에서 Ra 값(아래에서 설명됨)을 갖는 외측 표면 거칠기를 갖는 다공성의 거친 표면 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인용참조되는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의 WO 2005/027771은 세라믹 층이 배치되어 있는 조밀하게 소결된 세라믹 의료용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세라믹 층, 및 이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외측 표면에는 다공성을 갖는 표면이 제공되며, 이는 아래놓인 조밀하게 소결된 세라믹 재료에서보다 더 크거나 더 많은 공극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적 강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세라믹 의료용 임플란트가 제공되며, 골유착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이 달성된다. 동시에, 관상 부분(210)에서의 미세한 미시적 거칠기를 갖는 부분에 유리한 특성들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US-A1-2005/010653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 또는 기계적 연마 방법들에 의해 소결된 외측 표면을 수정함으로써, 세라믹 의료용 임플란트의 외측 미시적 거칠기가 그 세라믹 기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의료용 임플란트(20)는 산화티타늄과 같은 다른 생체에 적합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임플란트에는 원하는 표면 거칠기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인용참조되는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의 WO 0174412 또는 WO 03003936에 개시된 바와 같은 TiUnite®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TiUnite® 표면은 비교적 높은 표면 거칠기 및 다공성을 갖는다.
이러한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들은 거시적 거칠기, 즉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나사산들의 거시적 구조체에 의해 뼈 조직에서 식립 시 즉시 1차 안정성에 도달한다. 그 후, 의료용 임플란트는 2차 안정성이 제공되도록, 즉 뼈 조직에 나사고정된 의료용 임플란트의 나사산 고정부(200)와 뼈 조직 간의 영구 합착(permanent bond)이 제공되도록 약 3 내지 4 달의 치유 시간 내에 주위 뼈 조직과 골유착한다. 하지만, 식립 이후의 소정 시간 동안, 뼈 조직에서의 의료용 임플란트의 전체 안정성이 초기 안정성보다 낮은 소정 안정성으로 감소하며, 즉 의료용 임플란트의 안정성은 식립 이후 안정성 저하(stability dip)를 보인다. 그 후, 뼈 성장이 가속하고, 골유착이 달성된다. 뼈 조직이 확고히 성장하고 있는 거친 표면의 공극들이 2차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점막도 유리하게는 조악한 미시적 거칠기지만 미세한 거시적 거칠기를 갖는 표면에 침착 상태일 수 있다.
표면 거칠기에 대한 측정치는 Ra 값(평균 거칠기), Rt 값(최대 거칠기), Sa 값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이다. 평균 또는 표준 거칠기(Ra)는 해당 표면을 가로지른 다수 측정들의 절대적 거리 값들의 평균으로서 정의된다. Sa는 3D 또는 면적(areal)을 기초로 한 등가 진폭 파라미터(equivalent amplitude parameter)이다.
거칠기 측정들은, 예를 들어 국제 표준들에서 결정된 절차들을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 ISO 표준들에 따른 측정들은, 예를 들어 치과 임플란트의 작은 표면들로 인하여 이에 대해 실행하기 어렵다고 판명될 수 있다.
종래의 치과 지대치 및 치과 임플란트들의 표면 거칠기를 정의하고 측정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예를 들어, Wennerberg, Ann 외, Desig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13 Commercially Available Oral Implant System(JOMI, Vol. 8, No. 6, 622 내지 633 페이지, 1993 년) 참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인용참조됨]. Wennerberg 논문은 2 개의 표면 거칠기 파라미터: (ⅰ) Rt- 이는 표면의 프로파일의 최대 마루 대 골 높이(maximum peak to valley height)임 -(623 페이지 참조), 및 (ⅱ) Ra- 이는 마루 대 골 거리(peak to valley distance)의 평균 값임 -를 정의한다.
Wennerberg 정의들을 이용하면, 매끄럽게 기계가공 및/또는 연마된 임플란트들의 표면은 약 10 미크론 이하의 Rt 및 약 0.6 미크론 이하의 Ra를 갖는다.
관상 부분(210)은 근첨 부분(200)의 길이(L1)를 초과하는 길이(L2)를 갖는다. 근첨 부분(200)은 관상 부분(210)의 최대 외경(D2)보다 더 큰 최대 외경(D1)을 갖는다.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D1이 D2와 같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근첨 골 고정부(200)는 환자의 광대뼈에 대한 침착을 위해 고안된다.
관상 부분(2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악의 광대 외면(cheek exterior)의 잇몸 및 근육 조직을 포함한 연조직에 대한 침착을 위해 고안된다. 일 실시예에서, 관상 부분(210)은 전체 길이를 따라 원통형이다.
관상 부분(210)은 뼈 조직에 대한 부분적 침착 및 비-뼈 조직에 대한 부분적 침착을 위해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립 시 상악을 향해 방위된 관상 부분의 방사부(radial portion)는 상악에 침착될 수 있다. 임플란트(20)는 상악 외부에 위치될 것이므로, 상악으로부터 연조직을 향해 방위된 관상 부분(210)의 외측 방사부는 이 연조직에 대한 방사상 침착을 위해 고안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관상 부분(210)은 근첨 부분(200)의 최대 외경에서의 나사산의 내경(D1)보다 더 작은 직경(D2)을 갖는다.
D2가 D1보다 더 작기 때문에, 복수의 임플란트들은 그 관상단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임플란트들이 좁은 공간에서 가까이에 피트된다는 점에서 치과 수복물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관상 부분은 회전 비대칭일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는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경우, 개선된 해부학적 유연성(anatomical flexibility)을 제공한다.
실제 실시예들에서,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치과 임플란트는 그 길이 및 직경에 있어서 다음의 근사 범위들 및/또는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총 길이(L1 + L2): 30 mm 내지 55 mm
L1 : 전형적으로, 15 mm
L2 : 15 내지 40 mm
(L1 / (L1 + L2)) 비 : 약 0.25 내지 0.50
(L1 / L2) 비 : 약 0.35 내지 1.0
D2 : 전형적으로, 근첨 부분(200)에서의 나사산의 골 또는 다른 홈의 직경보다 작음
(D1 / D2) 비 : 0.5 내지 0.95
실시예들에서, 관상 부분의 길이(L2)에 대한 근첨 부분의 길이(L1) 비는 0.2 내지 0.5의 범위 내에 있다.
임플란트의 총 길이는 임플란트의 관상 부분의 길이와 근첨 부분의 길이를 더한 길이이다. 예를 들어, 관상 부분으로부터 돌출한 여하한의 예외적인 추가 부분들은 총 길이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추가 돌출부들은,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관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장착부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US 5,362,236 및 US 5,564,926에 개시된 고정 요소들은, 원통형 세그먼트들에 대한 공통 축에 대해 기울어진 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내부 나사산들을 갖는 구멍을 갖는다. 보철물 상의 외부 나사산들이 이러한 보철물을 고정 요소에 고정하도록 내부 나사산들과 나사결합으로 맞물린다. 하지만, 기울어진 각도로 인해 장착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관골 임플란트들은 도 4a, 도 4b, 또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개 방향으로, 즉 구강 내부를 향해 치조제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위치되는 관상단을 갖는다. 따라서, 관골 임플란트의 관상단으로부터 상악의 기존 치조체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브릿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부학적으로 올바른 위치에 치과 수복물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의료용 임플란트의 연결 계면이 상악의 치조제에, 또는 이에 가까이 제공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임플란트(20)가 치아 보철물 또는 브릿지와 같은 치과 수복물 및/또는 지대치의 부착을 위한 연결 계면(220)을 더 포함한다.
연결 계면(220)은 실질적으로 의료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플란트(20)의 관상단에 내부 나선형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종래의 임플란트들은 임플란트(100)의 종축에 대해, 예를 들어 45 도 기울어져 진행하는 구멍(12)을 갖는다. 구멍(12)은 치과 수복물을 지지하는 지대치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계면의 방위를 정의한다. 각도 방위(angular orientation)로 인한 구멍(12)의 방위는 식립 시 임플란트의 회전 위치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임플란트가 이상적인 교합 평면을 향해 정의된 위치로 나사고정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연결 계면(220)의 나사산 형성된 내부 구멍(221)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20)의 종축과 일직선으로 방위된다. 따라서, 의료용 임플란트(20)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대치 연결 계면이 배치된다. 따라서, 지대치의 장착이 유리하게는 식립 시 임플란트의 회전 방위와 관계없이 용이할 수 있다. 지대치는, 예를 들어 브릿지, 치아 보철물 또는 유사한 치과 수복물의 부착을 위해 임플란트(20)의 종축에 관하여 각도를 갖는 제 2 연결 계면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20)는 단일 일체형(monolithic piece)으로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20)는 적어도 2 이상의 상호연결가능한 부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첨 부분과 관상 부분 사이에 연결 계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제, 수술 방법에 관하여 임플란트들(20, 30)의 적용이 설명될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상악동 공동을 통해 이중 고정함으로써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종래의 의료 절차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a 및 도 1b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고정 요소들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두 부분을 갖는다. 고정 요소(1')의 나사산 근첨단 부분(2')은 고정 요소의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광대뼈(Z) 내부에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고정 요소(1')의 나사산 관상 부분(4')은 고정 요소의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악(M)의 구개 구역에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고정 요소(1')는 뼈 조직에 2 개의 정렬된 구멍을 뚫음으로써 식립된다. 관상 부분을 고정하기에 적절한 직경을 갖는 제 1 구멍이 상악(M)을 통해 뚫어진다. 드릴링(drilling)은 두개 내의 상악동 공동(17)을 통해 계속된다. 후속하여, 고정 요소의 근첨 부분을 고정하기에 적절한 직경을 갖는 제 2 구멍(5')이 상악동(17) 내부로부터 광대뼈(Z)에 뚫어진다. 고정 요소의 근첨 부분- 더 작은 직경 -은 상악(M) 내 구멍으로 통과되고, 광대뼈(Z) 내 구멍으로 나사결합된다. 제 2 구멍에서 더 작은 직경의 근첨 부분에 의한 자가-나사결합이 일어나는 한편, 더 큰 직경의 부분은 상악 내 제 1 구멍에서 자가-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가 이중 고정된다. 도 4b에서, 복수의 임플란트들(101, 400, 401, 402, 403)에 부착된 치과 브릿지(410)가 도시된다.
하지만, 이 종래의 방법은 앞서 설명된 몇몇 단점들을 갖는다. 이 종래의 방법과 대조적으로, 개선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상악의 외부 뼈 표면에 제 1 후퇴부가 만들어지며, 이는 상악의 안면 측을 향해, 즉 구강의 외부로 방위된다. 수술을 통해 상악으로부터 뼈 조직을 제거하여 제 1 후퇴부를 생성한다. 제 1 후퇴부는 상악의 치조정(alveolar crest)을 향하여 상악의 외부 상에 고정 요소의 관상 부분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진다. 제 1 후퇴부는 통상적으로 상악동 공동 내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 1 후퇴부 아래놓인 뼈 조직의 남아 있는 양은 유지된다. 제 1 후퇴부는, 통상적으로 제 1 후퇴부와 동일한 측의 두개 상에 위치된 광대뼈에서의 뼈 조직의 외부를 향해 방위된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그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제 1 후퇴부가 광대뼈에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경우 툴에 대한 안내 수단(guide channel)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뼈에 구멍을 뚫는 경우, 제 1 후퇴부에 의해 고정 구멍의 진입부를 향해 드릴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악의 외측 표면에서의 제 1 후퇴부의 길이방향 연장부는 광대뼈에서의 고정 구멍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작업에 의해서와 같이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것은 수술 작업 영역에 있어서 우수한 가시성 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구멍에서의 의료용 임플란트의 후속한 식립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적용되는 경우, 의료용 임플란트는 고정 구멍에서의 임플란트의 근첨단으로부터 상악의 치조정을 향해 제 1 후퇴부에서의 임플란트의 관상 부분까지 연장된다.
이제,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여, 특정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상악 외(extra maxillary)에 식립된 의료용 임플란트(2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b는 동일한 상황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현재의 상악 외 방법과 종래의 상악동 공동 교차 방법(maxillary sinus cavity crossing method) 간의 차이를 예시하기 위해,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종래의 임플란트(101)가 도시된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종래의 임플란트는 입 안에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브릿지 또는 유사물과 상호연결되어 부착된 것으로서 개시된다. 이 예시는, 이러한 가정된 경우의 근첨 부분들이 매우 상이한 위치들에 있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고정 뼈의 뼈 특성은 임플란트가 부착될 수 있는 방식 및 장소에 결정적이기 때문에, 오히려 임플란트들 각각의 관상단 부분에 있어서 상이한 결과적 위치들을 예시하는 것이 더 올바를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상황은 예시되지 않으며 상상하여야 한다. 나중에 생각해보면, 종래 형태 및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주장하는 기술로 바뀜으로써 요구되는 것보다 구개와(palate cavity)에 의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종래의 방법들로 적용되는 임플란트에 대한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다.
본 발명의 의료 절차에서, 의료용 임플란트가 환자에게 식립된다. 의료 절차는 환자 상악의 뼈 조직의 안면 내에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악의 안면 내의 제 1 후퇴부의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안면 두개골 조직에서 외부에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고정 구멍에 근첨 고정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제 1 후퇴부에 인접하여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관상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개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두개골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성인의 두개는 22 개의 뼈를 포함한다. 하악, 즉 아래턱을 제외한 모든 두개골은 봉합(suture), 골화(bony ossification)에 의해 형성된 반-강성(semi-rigid) 관절에 의해 함께 접합되며, 샤피 섬유(Sharpey's fibre)의 존재가 두개골들 간에 약간의 유연성을 허용한다.
상기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안면 두개골 조직은 광대뼈의 관골 돌기(zygomatic process) 내에 포함된다. 관골 돌기는 나머지 두개로부터의 돌출부이다. 그 대부분은 광대뼈에 속하지만, 이에 기여하는 다른 뼈들, 즉 전두골, 상악 및 측두골도 존재한다.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악 또는 광대뼈 내의 소공(foramen)을 통과하는 신경 또는 혈관과 같은 여하한의 해부학적인 민감한 구조(sensitive structure)들에 부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방법은 고정 구멍에 고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면, 잇몸 조직 아래에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부를 끼워넣는(embed)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잇몸 조직과 제 1 후퇴부 사이에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부를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잇몸 조직의 판막(flap)이 그 원래 위치에 다시 놓일 수 있으며, 치유를 위해 봉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는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 1 후퇴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는 구멍 직경, 구멍 길이 및 구멍의 길이방향 방위를 갖는 원통형 구멍을 뚫음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근첨단 부분의 직경과 근첨(나사산 부분) 부분 자체의 직경 사이의 치수 내에서 구멍 직경이 만들어진다. 점감하는 근첨 부분의 나사산들은 초기에 뼈의 고정 구멍으로 쉽게 진입될 수 있다. 그 후, 임플란트가 더 진입되는 경우 구멍의 직경에 대한 근첨 부분의 더 큰 직경으로 인해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고정 안정성이 보장된다. 임플란트의 점감하는 부분으로부터 시작하는 나선형 나사산들은, 임플란트가 구멍 내에 진입하는 동안 구멍(hole) 더 아래로 태핑(tap)될 수 있음을 보장할 것이다. 점감 각도는 도면에서 부호 α로 정의되며, 25 내지 70 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는 길이방향 연장부, 최대 깊이, 및 최대 폭을 갖는 상악의 안면 내의 압흔(indentation)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최대 폭은 구멍 직경과 같거나 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두개골은 압흔에서 환자의 두개의 안면 측에서의 상악이며, 원통형 구멍을 뚫는 단계는 관골 돌기에서의 상악 내에 원통형 구멍을 뚫는 단계이고, 상기 구멍을 뚫는 단계는 압흔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수행된다.
상기 고정은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 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근첨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큰 고정 구멍에 확실한 고정이 제공된다. 동시에, 좁은 관상 부분은 여러 장점들을 제공한다. 제 1 후퇴부는 그렇게 크지 않아도 되며, 즉 제거되는 뼈 조직의 양이 제한된다. 이는 환자에게 도움이 되며, 기계적 강도가 위협되지 않도록 상악의 잔여 뼈 조직을 충분히 남긴다. 추가적으로, 관상 부분이 더 적은 부피를 취하기 때문에, 주위 조직의 잠재적 자극이 최소화된다. 또한, 이용가능한 좁은 공간 내에 복수의 이러한 의료용 임플란트들을 식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치과 임플란트의 기계적 안정성 및 이에 부착되는 치과 수복물들의 정밀성이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두개골은 압흔에서 환자 두개의 안면 측 광대뼈이며, 원통형 구멍을 뚫는 단계는 광대뼈 내에 원통형 구멍을 뚫는 단계이고, 상기 구멍을 뚫는 단계는 압흔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수행된다. 제 1 후퇴부는 광대뼈 내에 구멍을 뚫는 경우 드릴에 대한 안내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악의 외측 표면에서의 제 1 후퇴부가 광대뼈 내의 구멍과 정렬된다.
상기 방법은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툴에 대한 안내 수단으로서 제 1 후퇴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 구멍을 제 1 후퇴부와 정렬시키는 단계가 제공된다. 고정 구멍은 제 1 후퇴부로부터의 조준선(line of sight)을 따라 생성될 수 있다.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는 완전한 가시성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료 절차의 수술 작업 영역에서 신경 또는 혈관과 같은 민감한 해부학적 구조들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악의 안면 뼈 조직은 상악의 치조제에 인접하여 상악의 외부 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근첨 고정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단계는, 근첨 고정부가 고정 구멍에서 골 침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단 부분은 제 1 후퇴부에서 뼈 조직에 침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식립 시 제 1 후퇴부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들에 비해 레버암(lever arm)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의료용 임플란트에 대한 휨 모멘트(bending moment)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휨 모멘트들의 최소화는 임플란트에 지지되는 치과 수복물의 장기간 안정성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된 임플란트는 심지어 정렬된 지대치의 사용을 허용한다.
상기 방법은 고정 구멍을 생성하기 전에 두개골에 뼈 진입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점막 아래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점막의 자극 또는 카타르와 같은 조건들을 예방하여 처리하거나 방지한다.
환자 상악의 남은 치아는 제 1 후퇴부를 생성하기 전에 발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악의 치조정에서 상악의 잇몸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악의 치조정의 내부 및 외부에 잇몸 판막을 생성하는 단계; 상악의 치조정으로부터 상악에 인접하는 환자의 광대뼈까지 외부 잇몸 판막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잇몸 판막은 우수한 가시성의 수술 작업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임시로 봉합될 수 있다.
뼈 기반(bone foundation)을 생성하는 연골 조직(soft bone tissue)을 제거함으로써, 상악의 치조정에 실질적으로 평탄한 뼈 표면이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과 수복물을 부착하기 위한 우수한 기부가 제공된다.
식립 후 잇몸을 봉합하는 단계가 의료 절차를 끝낸다.
의료 절차에 적용된 의료용 임플란트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임플란트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며, 이때 단계들 중 일부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생략되거나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610: 환자의 상악의 남은 치아를 발치하는 단계;
620: 상악의 잇몸을 절개하는 단계;
630: 상악의 치조정의 내부 및 외부에 잇몸 판막을 생성하는 단계;
640: 상악으로부터 상악에 인접한 환자의 관골까지 외부 잇몸 판막을 확장시키는 단계;
650: 조준선을 생성하기 위해, 내무 잇몸 판막을 함께 임시로 봉합하는 단계;
660: 상악으로부터 여전히 존재하는 치아 조각을 제거하는 단계;
670: 뼈 기반을 생성하는 연골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치조정에 실질적으로 평탄한 뼈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680: 관골에 드릴 구멍 진입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690: 관골에서의 드릴 구멍 진입 위치와 정렬되는 상악 외부 측에서의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후퇴부는 상악의 외부 뼈 표면 내에 생성되며, 이는 상악의 안면 측을 향해 방위됨; 상기 후퇴부는 광대뼈를 향해 방위되는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도록 구성됨;
700: 후퇴부와 정렬되어, 관골에서의 드릴 구멍 진입 위치로부터 관골 내에 구멍을 뚫는 단계; 상기 후퇴부는 광대뼈 내에 구멍을 뚫는 경우 드릴에 대한 안내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악의 외측 표면에서의 후퇴부가 광대뼈 내의 구멍과 정렬됨; 상기 드릴링 작업은 완전한 가시성 하에 수행되며, 따라서 의료 절차의 수술 작업 영역 내의 신경 또는 혈관과 같은 민감한 해부학적 구조들의 손상을 회피함;
710: 드릴 구멍 내에 골 침착으로 근첨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후퇴부에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점막 아래 위치되며, 따라서 점막의 자극 또는 카타르를 회피함; 상기 점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료용 임플란트의 나사산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거친 표면을 둘러쌈; 및
720: 의료 절차는 치과 수복물 또는 지대치의 고착을 위하여 잇몸을 통해 연장되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단을 남긴 채로 잇몸을 함께 봉합함으로써 완료됨.
의료용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치과 수복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임플란트의 관상단에서의 임플란트의 연결 계면의 공간 내 위치를 고려하여, 브릿지와 같은 치과 수복물이 준비된다. 환자에게 복수의 의료용 임플란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후속하여, 상악의 치조정에 위치된 임플란트의 관상 측에서 적어도 1 이상의 의료용 임플란트의 연결 계면에 치과 수복물이 부착된다.
앞서 설명된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환자가 임상적으로 증상이 없는 부비강(clinically symptom-free sinuses)을 갖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수술-전 검사가 용이하게 된다. 더 다양한 환자들이 치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것들과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앞서 설명된 것과 다른 방법 단계들, 상기 방법 단계들의 상이한 순서 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 및 단계들이 앞서 설명된 것과 다른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8)

  1. 환자 내의 고착(fixation)을 위한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20, 30)에 있어서:
    골 침착(bone apposition)을 위한 근첨 골 고정부(apical bone anchoring portion: 200, 300); 및
    비-나사산 관상 부분(non-threaded coronal portion: 210, 310)
    을 포함하며, 상기 관상 부분(210, 310)은 상기 근첨 부분(200, 300)의 길이(L1)를 초과하거나 이와 같은 길이(L2)를 갖고, 상기 근첨 부분(200, 300)은 상기 관상 부분의 최대 외경(D2)과 같거나 이보다 큰 최대 외경(D1)을 갖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의 길이(L2)에 대한 상기 근첨 부분의 길이(L1) 비는 0.2 내지 0.5의 범위 내에 있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의 최대 외경(D2)에 대한 상기 최대 외경 D1의 비(D1 / D2)는 0.5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의 최대 외경(D2)은 상기 근첨 부분(200, 300)에서의 나사산들의 골(valley)들 또는 다른 홈들의 직경보다 더 작은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첨 부분은 점감하는 최상부(tapered top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근첨단을 향하여 점감하며, 근첨단 직경은 상기 근첨 부분의 최대 외경(D1)의 절반보다 더 작은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감하는 최상부는 25 도 내지 75 도 범위의 점감 각도(tapering angle: α)로 점감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은 회전 비대칭인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은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단을 향하여 점감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임플란트의 관상단에서의 연결 계면의 후퇴부가 방위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는 단일 일체형(monolithic single piece)으로 만들어지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첨 골 고정부는 상기 골 고정을 위한 나선형 나사산을 포함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첨 골 고정부는 상기 환자의 광대뼈로의 침착을 위해 고안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은 잇몸 침착을 위해 고안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분은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부분을 따라 뼈 조직에 대한 부분적인 방사상 침착(partial radial apposition) 및 비-뼈 조직에 대한 부분적인 방사상 침착을 위해 고안되는 세장형 의료용 임플란트.
  15. 의료 절차 시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악의 뼈 조직의 안면에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악의 안면에서의 상기 제 1 후퇴부의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안면 두개골 조직(facial skull bone tissue)에서 외부에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구멍에 근첨 고정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상기 제 1 후퇴부에 인접하여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관상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잇몸 조직 아래에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부를 끼워넣는(embed)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는 단계는 상기 잇몸 조직과 상기 제 1 후퇴부 사이에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부를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는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는 상기 제 1 후퇴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후퇴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상기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두개골에 뼈 진입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툴에 대한 안내 수단(guide channel)으로서 상기 제 1 후퇴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 구멍을 상기 제 1 후퇴부와 정렬시키는 단계가 제공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제 1 후퇴부로부터의 조준선(line of sight)을 따라 생성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완전한 가시성(full visibility) 하에서 상기 고정 구멍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의료 절차의 수술 작업 영역 내의 신경 또는 혈관과 같은 민감한 해부학적 구조들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의 안면 두개골 조직은 상기 상악의 치조제(alveolar ridge)에 인접한 상기 상악의 외부 측 상에 위치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첨 고정부를 갖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단계는, 상기 근첨 고정부가 상기 고정 구멍에서 골 침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부분을 점막 아래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점막의 자극 또는 카타르(catarrh)와 같은 조건들을 예방적으로 처리하거나 방지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나사산 부분의 거친 표면을 상기 점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7. 제 15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임플란트인 의료용 임플란트 식립 방법.
  28. 치과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의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 및
    상기 상악의 치조정(alveolar crest)에 위치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관상 측에서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연결 계면에 상기 치과 수복물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 수복물 생성 방법.
KR1020117002837A 2008-07-09 2008-07-09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KR10153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05585 WO2010003433A1 (en) 2008-07-09 2008-07-09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551A true KR20110039551A (ko) 2011-04-19
KR101536227B1 KR101536227B1 (ko) 2015-07-14

Family

ID=4051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837A KR101536227B1 (ko) 2008-07-09 2008-07-09 의료용 임플란트 및 식립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125708B2 (ko)
EP (1) EP2299927B1 (ko)
JP (1) JP5275460B2 (ko)
KR (1) KR101536227B1 (ko)
CN (1) CN102088926B (ko)
AU (1) AU2008359050B2 (ko)
BR (1) BRPI0822920B1 (ko)
WO (1) WO2010003433A1 (ko)
ZA (1) ZA2010078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708B2 (en) 2008-07-09 2015-09-08 Nobel Biocare Services Ag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DE102009014772A1 (de) 2009-03-25 2010-09-30 Cochlear Ltd., Lane Cove Hörhilfevorrichtung
US9226806B2 (en) 2010-09-17 2016-01-05 Biocad Medical, Inc. Occlusion estimation in dental prosthesis design
US20120078035A1 (en) * 2010-09-27 2012-03-29 Andersson Marcus Cover for a bone fixture
US9168110B2 (en) 2012-05-29 2015-10-27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GB2509138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screw fixation
GB2509135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abutment with conical metal adapter
GB2509136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metal adapter
US9744008B2 (en) 2013-05-06 2017-08-29 Zimmer Dental, Inc. Surgical tool with flexible shaft
MX2015017567A (es) * 2013-07-01 2016-09-07 Angel Martinez Navarro Manuel Sistema de fijacion de protesis dental.
CN103550001B (zh) * 2013-11-18 2016-01-13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防断裂种植体装置
WO2016108238A1 (en) * 2014-12-31 2016-07-07 Cortex Dental Implants Industries Ltd Dental implants having golden ratio
EP3106121A1 (en) 2015-06-19 2016-12-21 Nobel Biocare Services AG Placement device for a dental component
KR101779980B1 (ko) * 2015-12-15 2017-09-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체형 치과용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JP6642135B2 (ja) * 2016-03-09 2020-02-05 株式会社リコー 歯科用補綴物、歯科用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歯科用補綴物の製造装置
EP3389551B1 (en) * 2016-03-30 2019-12-18 Southern Implants (Pty) Ltd. Angulated dental implant
CN108095861B (zh) * 2018-02-08 2023-10-2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便于骨科植入物稳固性测量及取出的锁定装置
IL276785B1 (en) 2018-02-21 2024-03-01 Southern Implants Pty Ltd Asymmetric dental implant for the cheekbone with a partial microgroove
WO2019212372A1 (en) * 2018-05-03 2019-11-07 Mendes Carames Joao Manuel Medical implant and medical implant system for malar process of the maxilla
IL261494B (en) * 2018-08-30 2019-06-30 Noris Medical Ltd Zygomatic implant device and method
EP3883495A1 (en) 2018-11-23 2021-09-29 Nobel Biocare Services AG Multi-part implant
DE102018222901A1 (de) * 2018-12-22 2020-06-25 Georgia Trimpou Dentalimplantat
BR202019001133U2 (pt) * 2019-01-21 2020-08-04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Implante zigomático com porção rosqueada parcialmente interrompida
US11786343B2 (en) 2020-07-09 2023-10-17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s with stepped threa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13057733B (zh) * 2020-08-31 2022-02-1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基于三维模型确定颧骨种植体种植位置的方法和装置
FR3126298B1 (fr) 2021-08-31 2024-04-12 Global D Implant zygomatique et methode chirurgicale correspondant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623A (en) * 1981-01-09 1983-09-27 Grafelmann Hans L Screw-type bone implant for receiving a dental prosthesis
JPS63119749A (ja) * 1985-11-27 1988-05-24 川原 春幸 多重毛管構造を有するインプラント部材
US4780081A (en) * 1986-01-14 1988-10-25 Hoya Corporation Artificial dental root capable of being firmly fixed to a jawbone
IT207895Z2 (it) * 1986-03-27 1988-02-22 Colombo Domenico Perno cilindrico filettato per impianto protesi odontoiatrica
JPS6324935A (ja) * 1986-07-18 1988-02-02 永井 教之 人工歯根用部材
JPH02286154A (ja) * 1989-04-12 1990-11-26 Luigi Mondani Pierre 義歯植込用自動ねじ切り式脚
FR2653989B1 (fr) * 1989-11-08 1992-01-17 Gallais Jacques Implant dentaire, outillage et procede de mise en place.
USRE37646E1 (en) 1989-11-14 2002-04-09 Sulzer Dental Inc. Dental implant system
EP0690705B1 (en) * 1991-05-24 1998-09-30 ZANG, Kerry Bone fastening device
US5201736A (en) * 1992-01-13 1993-04-13 Strauss Sorrell I Maxillofacial bone clamp
JP3485320B2 (ja) * 1992-02-14 2004-01-13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外科用ポリマーねじ及び被覆
US5564926A (en) * 1992-11-26 1996-10-15 Medevelop Ab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SE500383C2 (sv) * 1992-11-26 1994-06-13 Medevelop Ab Dubbelförankrad tandfixtur
US5269686A (en) * 1993-05-10 1993-12-14 James Robert A Threaded drivable dental implant
US5473138A (en) * 1993-07-13 1995-12-05 Singh; Rajiv K. Method fo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ceramics, metals and composites
IT1269482B (it) * 1994-01-26 1997-04-01 New Line Srl Impianto protesico per implantologia odontoiatrica
US5727943A (en) * 1995-07-18 1998-03-17 Implant Innovations, Inc. Self-tapping, screw-type dental implant
US5961329A (en) * 1997-07-02 1999-10-05 Stucki-Mccormick; Suzanne U. Combination distrac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5947967A (en) * 1997-10-22 1999-09-07 Sdgt Holdings, Inc. Variable angle connector
AU1811399A (en) * 1997-12-10 1999-06-28 Diro, Inc.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SE517066C2 (sv) 2000-04-04 2002-04-09 Nobel Biocare Ab Implantat som uppvisar anslutnings- och hålisättningsdelar samt förfarande vid dylikt implantat
US6626906B1 (en) * 2000-10-23 2003-09-30 Sdgi Holdings, Inc. Multi-planar adjustable connector
US6663631B2 (en) * 2000-12-01 2003-12-16 Charles A. Kuntz Method and device to correct instability of hinge joints
US6527554B2 (en) * 2001-06-04 2003-03-04 Nobel Biocare Ab Natural implant system
SE519531C2 (sv) 2001-07-04 2003-03-11 Nobel Biocare Ab Implantat innefattande porarrangemang belagt med kalciumfosfat
US6887077B2 (en) * 2001-08-17 2005-05-03 Implant Innovations, Inc. Immediate load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6695616B2 (en) * 2001-10-04 2004-02-24 Sterngold Apparatus and method for anchoring a dental appliance
DE10159683A1 (de) * 2001-11-30 2003-06-18 Michael Gahlert Dantalimplantat
US7207994B2 (en) * 2002-02-12 2007-04-24 Pioneer Laboratories, Inc. Cannulated bone screw
AU2003207893A1 (en) * 2002-03-06 2003-09-16 Andrew J. S. Dawood A fixture for orthodontic anchorage and osseo distraction of the alveolar process, and for the stabilization of temporary prostheses
AU2003236173A1 (en) * 2002-04-04 2003-10-20 Akira Kitamura Drill device for implanting
US6843653B2 (en) 2002-06-04 2005-01-18 Joseph Carlton Dental implant
DE10236125B4 (de) 2002-08-07 2006-07-13 Böttcher, Robert, Dr.med. Einschraubbares selbstschneidendes Dentalimplantat
SE524252C2 (sv) * 2002-11-28 2004-07-13 Nobel Biocare Ab Tandimplantat utformat i ett stycke
SE526745C2 (sv) * 2003-04-17 2005-11-01 Nobel Biocare Ab Fixtur för förankring i käkben
SE525787C2 (sv) 2003-09-24 2005-04-26 Nobel Biocar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dental installation
DK1529497T3 (da) * 2003-11-04 2009-12-14 Friadent Gmbh Tandimplantatkomponent
SE528324C2 (sv) * 2004-02-02 2006-10-17 Braanemark Integration Ab Fixtur samt tandfixeringselement och tandfästelement
WO2006031397A1 (en) * 2004-09-14 2006-03-23 Spineco, Inc. Implant device
JP2006187369A (ja) * 2004-12-29 2006-07-20 Shoichi Nose 歯科用金属冠及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
AU2007248943B2 (en) * 2006-05-04 2013-05-23 Nobel Biocare Services Ag A device for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a method for making a surgical template and a method of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DE102007009935A1 (de) * 2006-08-21 2008-03-06 Teichmann, Gernot, Dr. Dr. Kieferimplanta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raubenförmigen Ausnehmung im Kieferknochen zur Aufnahme eines schraubenförmigen Verankerungsteils eines Kieferimplantats
US20080118892A1 (en) * 2006-11-22 2008-05-22 Curtis Adams Dental implant
US9125708B2 (en) 2008-07-09 2015-09-08 Nobel Biocare Services Ag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IL230833A0 (en)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EP3389551B1 (en) 2016-03-30 2019-12-18 Southern Implants (Pty) Ltd. Angulated dental implant
AU2017286777C1 (en) 2016-06-14 2022-04-14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 having reverse-tapered main body for anterior post-extraction sockets
EP3398553A1 (en) 2017-05-02 2018-11-07 Ophir Fromovich Improved dental implant system
IL276785B1 (en) 2018-02-21 2024-03-01 Southern Implants Pty Ltd Asymmetric dental implant for the cheekbone with a partial micro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9927A1 (en) 2011-03-30
US20110183291A1 (en) 2011-07-28
WO2010003433A1 (en) 2010-01-14
ZA201007813B (en) 2012-02-29
KR101536227B1 (ko) 2015-07-14
CN102088926B (zh) 2016-01-13
EP2299927B1 (en) 2022-04-20
US11850114B2 (en) 2023-12-26
US20180263735A1 (en) 2018-09-20
US9125708B2 (en) 2015-09-08
AU2008359050B2 (en) 2015-01-29
BRPI0822920A2 (pt) 2015-06-23
US10820969B2 (en) 2020-11-03
JP5275460B2 (ja) 2013-08-28
AU2008359050A1 (en) 2010-01-14
US20150230890A1 (en) 2015-08-20
CN102088926A (zh) 2011-06-08
US20210137648A1 (en) 2021-05-13
BRPI0822920B1 (pt) 2024-02-15
JP2011527200A (ja)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114B2 (en)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11707345B2 (en) Dental implant
US11147654B2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EP2145600A1 (en) Improved fixture of two-piece dental implants
KR20160130838A (ko) 치과 임플란트
CA2731248A1 (en) Implant for insertion into the jawbone, prosthetics pillar and implant system
US20110070557A1 (en) Dental implant
AU679019B2 (en)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AU2012200657B2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AU2011203341A1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IL254999B1 (en) Improved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