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467A -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467A
KR20110039467A KR1020117003936A KR20117003936A KR20110039467A KR 20110039467 A KR20110039467 A KR 20110039467A KR 1020117003936 A KR1020117003936 A KR 1020117003936A KR 20117003936 A KR20117003936 A KR 20117003936A KR 20110039467 A KR20110039467 A KR 20110039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uspended particles
liquid
flot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뽈 장메르
삘리뻬 마르테일
삘리뻬 브랑뜨
Original Assignee
베오리아 워터 솔류션즈 앤드 테크놀로지즈 서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오리아 워터 솔류션즈 앤드 테크놀로지즈 서포트 filed Critical 베오리아 워터 솔류션즈 앤드 테크놀로지즈 서포트
Publication of KR2011003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6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of flat, stacke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1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부유 입자가 액체에 첨가되는 혼합 단계, 부유 입자가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오는 부상 단계 및 이에 따라 처리된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온 상기 부유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부유 입자가 이들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응집 폴리머 물질을 가지며, 그리고 가스를 첨가하는 어느 단계나 상기 입자에 부착되지 않은 유리 응집 물질을 첨가하는 어느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PROCESS FOR TREATING A LIQUID BY FLOTATION INDUCED BY FLOATING PARTICLES}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물을 처리하거나 음용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용존 물질 및/또는 서스펜션내의 물질을 함유하는 물의 부상 처리에 관한 것이다.
오염된 액체 또는 물은 부유 물질(입자, 조류, 박테리아 등) 및 용존 물질(유기물, 미세오염물질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부유 물질을 처리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디켄팅 및 부상법을 포함한다.
디켄팅은 함유된 액체의 밀도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 입자에 적용하는 분리법이며, 부상법은 함유된 액체의 밀도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는 입자에 적용하는 분리법이다.
부상법에 의한 수처리는 디켄팅에 의한 처리에 비해 많은 잇점을 갖는다.
첫번째 잇점은 부상에 의한 수처리의 속도가 고전적인 디켄팅에 의한 처리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이다.
다른 잇점은 부상에 의한 처리는 처리하고자 하는 보다 많은 물 흐름에 대해 디켄팅에 의해 수행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조류를 제거하는 것이다.
부상에 의해 처리되는 물의 세균학적 품질은 디켄팅에 의해 획득되는 것보다 우수하다. 세균학적 품질은 부분적으로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의 존재와 관련된다. 따라서, 부상에 의한 처리는 디켄팅에 의해 처리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미생물(크립토스포리디아, 편모충)을 제거한다.
또한, 부상에 의한 처리의 또 다른 잇점은 생성되어지는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키는 점과 관련된다.
부상법을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자연 부상법, 서스펜션내 물질과 이를 함유하는 물 간의 밀도차가 이들의 분리가 가능하기에 자연적으로 충분한 경우(용존 물질은 물의 표면에 부상한다);
- 지원 부상법, 자연적으로 부상가능한 입자의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 버블을 다수의 액체내로 불어넣음;
- 유도 부상법, 처음에는 서스펜션내 물질의 밀도가 이를 함유하는 물의 밀도보다 높고, 인공적으로 가스 버블을 통해 밀도를 감소시킴. 실제로, 특정 고형물 또는 액체 입자들은 가스 버블과 합쳐져 이를 함유하는 물보다 낮은 밀도인 "입자-버블"을 형성할 수 있다.
용해 공기 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DAF))은 40-7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아주 미세한 버블 또는 마이크로 버블을 사용하는 유도 부상법중 하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들의 결합을 포함한다:
- 콜로이드의 표면 전하를 중화하기 위한 응집 및 용해 물질의 흡수;
- 입자들의 응집을 가능케 하는 응집 폴리머 물질을 이용한 응집;
- 마이크로 버블과 응집된 물이 접촉되도록 하는 가압수의 주입;
- 플록과 정화 액체의 분리를 가능케 하는 분리;
- 정화 액체의 수집;
- 부상된 "슬러지"의 수집.
DAF 기술은 통상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약하게 광물화된 물, 부유물로 약하게 하전된 냉수 및 특히 조류가 풍부한 저수에 적용된다. 이는 오랜 사용으로 보증이 된 기술이며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많은 개선들 중에 본 발명자들은 특히 아래와 같이 인용한다:
- DAF 기술과 과립물질상의 여과가 결합된 DAFF(용해된 공기 부상법/여과법);
- 오조플로테이션, 오존화 공기 버블을 이용하는 베올리아 그룹에 의해 개발된 기술. 오존은 살균(즉, 미생물의 파괴), 처리하고자 하는 물에 존재하는 냄새, 화학물질 및 다른 오염물질의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됨;
- 안정한 수압 체제를 확보하기 위한 부상 영역에 기초한 흐름 조절 및 분포 엘리먼트를 이용하는 터뷸런트 부상법(미국 특허 5,516,433).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개선에도 불구하고, 부상 처리 기술은 일정 수의 결점을 계속 가지고 있다.
DAFF, 오조플루테이션 및 터뷸런트 플로테이션 방법은 공통적으로 6가지의 결점을 갖는다:
- 부상 속도는 버블의 미세한 크기에 의해 제한되며;
- 입자 및 응집물이 제거되는 효율은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되는데 요구되는 물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며;
- 공정이 복잡하여 다량의 기계적 투입 장치(에어 세튜레이터, 재순환 펌프, 스크래퍼 등)를 필요로 하며;
- 재순환 반환 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가압 비용이 작동 비용의 40%로 추정되며;
- 우수한 품질의 약하게 광물화된 수자원, 부유물로 약하게 하전된 냉수 및 특히 조류가 풍부한 저수에 적용되는 이들의 제한된 적용성;
- 물에 주입되는 부상 폴리머 물질의 상당한 부분의 폴리머는 플록 형성에 참여하지 않으며, 물에 용해된 상태로 잔류하여 필터가 놓여진 하류의 막힘의 촉진을 유발한다.
또한, 공기의 도입은 DAFF 타입 필터와 결합된 구조에서 여과 속도를 제한하는 주요 결점이다. 실제로, 과도한 속도는 곧 결합된 필터에 가스 도관막힘을 유발하며, 심지어 여과가 제 2 수 전처리 단계에서 부상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가스 도관막힘이 우려된다.
이러한 결점중 일부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 기술의 사용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은 부상법에서 고형 부유 입자의 사용 및 세척 후 부상 시스템에서 상기 입자의 재순환에 대해 제공하는 미국 특허 문헌 6,890,431B1에 기술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미국 특허 6,890,431 B1에는
- 유체와 응집제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
- 응집제 및 부상 매체가 혼합 챔버에서 얻어진 유체-응집제 혼합물과 혼합되는 혼합 챔버와 접촉하는 응집 챔버;
- 제거하고자 하는 부유 물질의 일부와 결합된 부상 매체를 포함하는 슬러지가 정화액으로부터 분리되는 응집 챔버와 접촉하는 부상 챔버;
- 부상 챔버 및 응집 챔버와 접촉하며, 내부에 부상 매체는 이와 결합된 부유 물질을 세척 제거하는 부상 매체를 복귀시키는 유니트;
- 세척된 부상 매체를 응집 챔버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라인
을 포함하는 유체의 정화, 이의 설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기술의 한 결점은 응집 물질의 일부가 물에 용해되어 잔류하고 하류에 위치한 여과 구조물을 막히게 하기 쉬운 점에 있다. 또한, 이러한 소실된 폴리머의 비율은 이러한 기술을 수행하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 입자를 사용하는 부상에 의해 수처리하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 및 방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보다 우수한 처리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수처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필요에 따라 방지하고자 하는 오염물을 보다 쉽게 방지하도록 표적하는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양한 목적은 부유 입자가 액체에 첨가되는 혼합 단계, 부유 입자가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오는 부상 단계 및 이에 따라 처리된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온 상기 부유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일정한 상기 부유 입자가 이들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응집 폴리머 물질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방법은 가스를 첨가하는 어느 단계나 상기 입자에 부착되지 않은 유리 응집 물질을 첨가하는 어느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점으로 특성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수처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부상은 에어 버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나 고형 부유 입자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부유 입자"는 1미만의 참비중(real specific gravity)을 갖는 입자를 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 입자는 또한 응집 폴리머 물질에 대한 지지체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응집 폴리머 물질로 코팅된 입자는 미리 제조될 것이다.
이는 유익하게도 처리하고자 하거나 처리되는 액체에 분산된 어느 유리 응집제를 사용해야하는 필요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응집제의 양을 줄이고, 이에 따라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잇점은 상기 방법이 하나 이상의 여과 구조물상의 과립 여과 또는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단계가 후속하는 경우, 이러한 구조물에 들어가는 액체내 잔류 유리 응집제의 부재는 이러한 구조물이 막히게 되는 속도를 약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은 이온성 폴리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질은 약 양이온 또는 음이온 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또한 상기 부유 입자에 부착된다. 이는 특히 활성탄 분말과 같은 흡착제 물질 및/또는 처리하고자 하는 상기 액체의 특정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제공되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그룹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대해 가능한 예상되는 다른 구현으로, 상기 폴리머 물질과 다른 물질은 또한 유리 형태로, 즉, 부유 입자에 부착되지 않은 형태로 액체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물질은 경우에 따라 재순환될 수 있다.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또한 상기 부유 입자에 부착하는 구현에서, 상기 화학 그룹 및 생물학적 분자는 처리하고자 하는 액체의 특성 및 표적된 오염 또는 액체에서 감소시키고자 하는 오염의 특성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학 그룹은 바람직하게 히드록실, 알데히드, 카르비닐, 카르복실, 아미노, 아미도, 설피드릴, 에스테르, 포스포, 메틸 및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생물학적 분자는 이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 폴리펩타이드 및 핵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부유 입자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 입자는 100-1500㎛의 직경을 갖는 폴리스티렌 비드로 구성된다.
이들은 또한 1이상의 상대 비중을 갖는 비-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유리, 세라믹 및 금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나, 이들의 상대 비중이 1이하가 되는 식으로 공기를 함유하는 폐쇄 용량을 규정짓는 홀로우 형태로 제조된다.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이 소수성인 경우, 응집제는 소수성이며, 응집 폴리머 물질은 바람직하게 친수성이고 이에 따라 부유 입자 자체는 친수성을 형성한다.
일 구현에 따르면, 상기 응집 폴리머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은 상기 부유 입자 둘레에 코팅 형태를 취한다. 용어 "코팅"은 응집 폴리머 물질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 한편으로는 상기 응집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 사이의 어느 공유 결합을 하지 않는 코퍼레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입자가 합성 물질로 구성될 경우 획득될 수 있는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은 상기 부유 입자를 구성하는 합성 물질상에 그라프트된다. 이러한 경우에, 화학 반응은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머와 응집 폴리머 물질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 사이에 공유 결합이 형성되도록 부유 입자 제조 도중에 수행된다.
유리하게, 상기 방법은 부유 입자를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방법은 유리하게 상기 재순환 단계 전에 수행되는 부유 입자 세척 단계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싸이클로닝에 의한 것과 같이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자에 부착되는 응집 폴리머 물질을 통해 이들 주위에 응집된 슬러지의 입자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응집 물질은 대부분의 경우에 입자에 부착되어 잔류할 것이며, 심지어 단순 코팅의 경우에도 입자에 부착되어 잔류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을 통해, 응집 물질의 표면에 대한 부착에 의해 기능화되는 부유 입자 및 경우에 따라 특정 오염에 대해 흡착되거나 그리고/또는 제공되는 다른 물질은 오염물의 최적 응고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자 하는 액체와 접촉되어진다. 획득된 혼합물은 부유 입자들이 서로 만나게 되는 부상/분리 영역으로 이송되어, 그 표면에서 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를 취하고, 처리된 물은 바닥에서 수집된다.
본 발명 및 다양한 잇점은 도면을 참조로 주어진 하기 비제한적 구현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 예를 들어 교반기 또는 고정 믹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교반 또는 터뷸런트 조건(11)하의 응고 영역;
- 교반되는 혼합 영역(12);
- 복류에 의해 혼합 영역과 통하며, 그리고 처리수(15) 및 부유물(20)을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유/분리 영역(13/14);
- 예를 들어 고 교반 반응기 또는 물-주입 세척 장치(하이드로시클론, 진동 스크린, 유공벽을 가진 원심분리기, 고 교반 반응기 또는 슬러지의 희석을 제한하기 위해 저 흐름 속도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이 장착된 다른 분리 장치)일 수 있는 세척 영역(17);
- 세척된 기능화 부유 입자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기 위한 영역(18)
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활성탄 분말, 수지 또는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마도 상기 입자내로 혼합될 수 있는 다른 유사 성분과 같은 다양한 다른 첨가제(23)와 함께 응집제(22)가 미리 주입된 교반 응집 영역(11)내로 원수(10)를 도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다음, 응집된 물은 오염물의 최적 고정을 확보하도록 응집 폴리머 물질로 이의 표면상에 코팅된 부유 입자가 처리하고자 하는 액체와 접촉하도록 놓여진, 예를 들어, 특허 출원 FR2863908에 기재된 장치, Turbomix®을 수용할 수 있는 혼합 영역으로 이송된다. 유리 응집제, 즉, 부유 입자에 결합되지 않은 제제는 상기 장치내로 도입되지 않는다.
그 다음, 이러한 혼합 영역으로부터 비롯된 혼합물은 복류에 의해 부유/분리 영역(13/14)내로 도입되고, 여기서 물에 초기에 함유된 오염물의 일부와 함께 이를 운반하는 부유/분리 영역(13/14)내의 표면으로 올리는 기능화 부유 입자들과 부유 영역(13)의 바닥부에서 처리된 물 사이의 분리가 자발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물은 하부(15)에서 추출되며, 부유 입자 및 그 표면상에 잔류하는 이러한 부유 입자상에 집합된 응집 슬러지로 구성된 부유물은 상부에서 추출된다.
부유 입자(20)는 세척 영역(17)내로 이송되고, 여기서 이들은 이의 표면상에 부착된 슬러지가 제거된다. 부유 입자의 세척은 이들을 고 교반 반응기 또는 물-주입 세척 장치에 배치시키는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하이드로시클론, 진동 스크린, 유공벽을 가진 원심분리기, 고 교반 반응기 또는 슬러지의 희석을 제한하기 위해 낮은 흐름 속도의 물 주입이 갖춰진 다른 분리 장치).
슬러지(16)는 세척 영역(17)로부터 추출되며, 부유 입자는 혼합 영역(12)내로 재순환(21)된다. 이러한 입자들 중 일부는 이들의 본래 특성을 회복하도록 재생(18)된다.
첨가제가 처리효율을 향상시키지 않고 첨가된다면, 상기 첨가제는 또한 리트리브되고 재순환된다.
다른 친수성 응집 폴리머로 코팅된 500-800㎛ 범위의 직경을 갖는 폴리스티렌 비드의 형태를 취하는 입자를 이용한 시도가 세인 워터(Seine water)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입자는 폴리스티렌 비드와 0.1-1g/L의 농도로 제조된 친수성 응집 폴리머의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획득되었다.
처리하고자 하는 물(이의 탁도가 측정된 세인 워터)은 플로우 가이드 및 교반기가 구비된 작은(2.5L) Turbomix 반응기에서 교반하에 전형적인 응집제(WAC HB)의 15-60ppm으로 다양한 투여량의 첨가에 의해 응집되며;
- 1분 내지 2분의 쉐이킹 후, 폴리머-코팅된 부유 입자를 상기 Turbomix의 내부 용적의 10%이하의 비율로 상기 Turbomix에 첨가하고, 어느 유리 응집제의 어떠한 첨가없이 적어도 1분간 재순환 스트림에 놓아두었으며;
- 상기 쉐이킹이 정지된 후 약 10분에 물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첫번째 일련의 시험이 흡착 물질 또는 유리 형태로 제공되는 오염물 타입의 처리에 바쳐지는 물질의 어떠한 첨가없이 수행되었다.
시험된 여러 타입의 폴리머들로 획득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WAC HB 폴리머 탁도
수준(ppm) 상품명 이온성 분자량 수준(ppm) 원수 처리수 감소율(%)
15 FA920 비이온 높음 0.6
Figure pct00001

25
40 4 90
50 AN905SEP 매우 약한 이온 높음 3 70 1.8 97
30 AN910VHM 약이온 매우 높음 2 26 1.3 95
30 AN934SEP 높음 2 26 3.5 87
60 AN956SEP 높음 2 85 32 62
30 FO4190VHM 매우 높음 1 31 0.64 98
30 FO4190 높음 2 31 0.7 98
30 FO4490 높음 2 31 2 94
30 FO4650 높음 2 31 2.9 91
사용된 각 폴리머는 SNF Floerger에 의해 제조되었다.
상기 표에 나타낸 탁도의 감소 결과는 오염의 감소를 나타내며, 이는 특히 응집 폴리머가 약 양이온 또는 음이온 폴리머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효과를 입증한다.
그 다음, 두 번째 일련의 시험은 응집제로서 이를 동시에 도입하는데 부가적으로 활성탄이 사용되고, 상기 나타낸 바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동일한 장치로 수행되었다.
수처리(10ppm 및 20ppm)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AP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WAC HB CAP FO4190 탁도
수준(ppm) 수준(ppm) 수준(ppm) 원수(NTU) 처리수(NTU) 감소율(%)
30 10 2 19 0.54 97
30 20 2 19 0.57 97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획득된 탁도값(약 0.5 NTU) 및 탁도 감소율(97%)은 응집 폴리머에 의해 기능화된 부유 입자와 흡착제(CAP)의 다양한 결합 부상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효과를 입증한다.

Claims (14)

  1. 부유 입자가 액체에 첨가되는 혼합 단계, 부유 입자가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오는 부상 단계 및 이에 따라 처리된 액체의 표면으로 올라온 상기 부유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부유 입자가 이들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응집 폴리머 물질을 가지며, 그리고 가스를 첨가하는 어느 단계나 상기 입자에 부착되지 않은 유리 응집 물질을 첨가하는 어느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은 약 양이온 또는 음이온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또한 상기 부유 입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물질은 흡착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물질은 처리하고자 하는 상기 액체로부터 어떤 특정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의도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그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그룹은 히드록실, 알데히드, 카르비닐, 카르복실, 아미노, 아미도, 설피드릴, 에스테르, 포스포, 메틸 및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분자는 폴리펩타이드 및 핵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입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입자는 100-1500㎛의 직경을 갖는 폴리스티렌 비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입자는 홀로우 형태이며 유리,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폴리머 물질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은 상기 부유 입자 둘레에 코팅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폴리머 및/또는 상기 다른 물질은 상기 부유 입자를 구성하는 합성 물질상에 그라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부유 입자를 재순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재순환 단계 전에 수행되는 부유 입자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03936A 2008-07-29 2009-07-27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 KR20110039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5224 2008-07-29
FR0855224A FR2934582B1 (fr) 2008-07-29 2008-07-29 Procede de traitement d'un liquide par flottation induite par des particules flottan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67A true KR20110039467A (ko) 2011-04-18

Family

ID=4041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936A KR20110039467A (ko) 2008-07-29 2009-07-27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110192801A1 (ko)
EP (1) EP2307318B1 (ko)
JP (1) JP2011529390A (ko)
KR (1) KR20110039467A (ko)
CN (1) CN102105402B (ko)
AU (1) AU2009275992B2 (ko)
BR (1) BRPI0916316A2 (ko)
CA (1) CA2730539A1 (ko)
DK (1) DK2307318T3 (ko)
ES (1) ES2394564T3 (ko)
FR (1) FR2934582B1 (ko)
MA (1) MA32583B1 (ko)
MX (1) MX2011000697A (ko)
MY (1) MY155243A (ko)
NZ (1) NZ590574A (ko)
PL (1) PL2307318T3 (ko)
RU (1) RU2502678C2 (ko)
UA (1) UA103037C2 (ko)
WO (1) WO2010012694A1 (ko)
ZA (1) ZA201100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6206B1 (ja) * 2012-10-03 2013-08-28 日清紡ブレーキ株式会社 浮上分離方法
US9884295B2 (en) 2012-10-08 2018-02-06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Membrane bioreactor system using reciprocating membrane
US9422168B2 (en) 2013-04-24 2016-08-23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Dissolved air flotation device for liquid clarification
KR101690510B1 (ko) * 2015-05-04 2016-12-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기포 주입 방식의 용존공기부상 수처리 장치
CN106890603A (zh) * 2017-03-29 2017-06-27 天津西敦津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轻颗粒悬浮系统
WO2020089506A1 (en) * 2018-10-29 2020-05-07 Outotec (Finland)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 water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831B2 (ko) * 1973-05-04 1980-11-08
CH590179A5 (ko) * 1973-11-08 1977-07-29 Ciba Geigy Ag
DE2748652C2 (de) * 1977-10-29 1979-08-30 Davy Bamag Gmbh, 6308 Butzbach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Inhaltsstoffen aus Flüssigkeiten, insbesondere Abwässern
JP2524111B2 (ja) * 1986-04-08 1996-08-14 日本ソリツド株式会社 流体の汚濁物質分離剤
DE3644579A1 (de) * 1986-12-27 1988-07-07 Henkel Kgaa Neue flockungs- und filtrierhilfsmittel und ihre anwendung
FI97128C (fi) * 1993-12-20 1996-10-25 Oiva Suutarinen Vedenpuhdistuslaitos
JP3125023B2 (ja) * 1996-01-23 2001-01-15 工業技術院長 表面に親水基を有する親水性固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凝集剤
US6890431B1 (en) * 2000-02-18 2005-05-10 The F. B. Leopold Co., Inc. Buoyant media flotation
US7255793B2 (en) * 2001-05-30 2007-08-14 Cort Steven L Methods for removing heavy metals from water using chemical precipitation and field separation methods
JP4202924B2 (ja) * 2001-11-14 2008-12-2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原水の浮上分離処理方法及び浮上分離処理システム
FR2837197B1 (fr) * 2002-03-12 2005-01-28 Ondeo Degremont Procede et dispositif de clarification de liquides, notamment d'eaux, charges de matieres en suspension
JP4142508B2 (ja) * 2003-06-26 2008-09-0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高速浮上分離方法及び装置
FR2863908B1 (fr) * 2003-12-22 2006-05-19 Otv Sa Procede et reacteur de traitement par floculation
US7913852B2 (en) * 2004-12-23 2011-03-29 Georgia-Pacific Chemicals Llc Modified amine-aldehyde resins and uses thereof in separation processes
US20070210017A1 (en) * 2006-03-08 2007-09-13 Mackay Donald J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il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2678C2 (ru) 2013-12-27
MY155243A (en) 2015-09-30
CN102105402A (zh) 2011-06-22
WO2010012694A1 (fr) 2010-02-04
UA103037C2 (uk) 2013-09-10
FR2934582A1 (fr) 2010-02-05
MA32583B1 (fr) 2011-08-01
DK2307318T3 (da) 2012-12-10
AU2009275992B2 (en) 2015-04-02
MX2011000697A (es) 2011-05-03
EP2307318B1 (fr) 2012-09-19
AU2009275992A1 (en) 2010-02-04
JP2011529390A (ja) 2011-12-08
RU2011105327A (ru) 2012-09-10
EP2307318A1 (fr) 2011-04-13
FR2934582B1 (fr) 2010-09-10
CN102105402B (zh) 2013-08-07
US20110192801A1 (en) 2011-08-11
CA2730539A1 (en) 2010-02-04
ZA201100232B (en) 2011-09-28
NZ590574A (en) 2012-03-30
BRPI0916316A2 (pt) 2018-05-29
PL2307318T3 (pl) 2013-03-29
ES2394564T3 (es)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1369C (zh) 用于水和废水的处理方法和装置
KR100386908B1 (ko) 수처리방법
CN105934410B (zh) 整合有吸附性粉末状材料上的吸附的膜上水处理设备和方法以及用于限制膜磨损的装置
AU2015261726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comprising a step of adsorption on ion-exchanging resin and a step of ballasted coagulation/flocculation and of separation, and corresponding plant
US20170297940A1 (en) Method for a treatment of water by adsorption on active carbon and clarification, and corresponding plant
JPH04108518A (ja) タンジェント濾過ループを有した水処理装置
KR20110039467A (ko) 부유 입자에 의해 유도되는 부상에 의한 액체 처리방법
JP2011230038A (ja) 水処理装置
US20070187334A1 (en) Method of clarifying industrial wastewater for the reduction of organic waste content using cationic dispersion polymers combined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anionic flocculent polymers
KR100985707B1 (ko) 현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액상 유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7303914B2 (ja) マイクロプラスチックの分離
JP4043710B2 (ja) 水処理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る水処理装置
JPH06507573A (ja) 液体処理
JPH04166280A (ja) 浮上分離サイクロン装置
JP2020525274A (ja) バラスト混入フロキュレーション及び沈降が統合された水処理プラント及び対応する方法
RU2016141877A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коммунальных стоков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568729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647011B1 (ko) 분코크스를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 방법
KR20010055004A (ko) 침전조내에서 슬러지 부상분리에 의한 슬러지 제거장치
KR970006189A (ko) 고정식 조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2024502580A (ja) オゾンの添加と組み合わせた活性炭への吸着による水の処理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設備
JPH10202269A (ja) 廃液処理方法
JPH06226265A (ja) 着色排水の脱色処理方法
RU2008267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20170119520A (ko) 수처리 공정의 배출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