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742A - 가동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동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742A
KR20110038742A KR1020117007067A KR20117007067A KR20110038742A KR 20110038742 A KR20110038742 A KR 20110038742A KR 1020117007067 A KR1020117007067 A KR 1020117007067A KR 20117007067 A KR20117007067 A KR 20117007067A KR 20110038742 A KR20110038742 A KR 20110038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otrusion
stopper
fixing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고가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3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20)가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고정을 도모하는 커넥터이며,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이동 가능한 상기 돌출부(20)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20)는 콘택트부(30)를 거쳐서 하우징의 고정부(10)에 지지되고, 커넥터를 삽입할 때 상기 돌출부(20)는 콘택트부(30)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2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40)와, 커넥터를 발출할 때 상기 콘택트부(30)는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2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50)를 갖고 있는 커넥터이다.

Description

가동 커넥터{MOV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가동 부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갖는 것이다.
통상 전기 커넥터는 수형 및 암형의 커넥터가 끼워 맞춤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행한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서의 커넥터의 끼워 맞춤에서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영상 기기 등의 하우징 내에서의 접속 등에서는 충분한 작업 공간을 유지할 수 없어 접속에 곤란함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커넥터를 삽입 또는 발출할 때, 수형 및 암형 커넥터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여 삽입 발출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켜야만 하지만,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좁은 공간의 경우, 정확한 위치 결정 및 평행 이동에 어려움을 수반하는 것이 원인이다.
이와 같은 경우, 통상 커넥터에 가동 부분을 마련하여 커넥터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행해진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는 하우징에 돌출부(2) 및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3)을 갖고 있고, 이 돌출부(2)가 가동 부분이 되어 상기 기재한 위치 결정 등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커넥터 삽입 발출시에 돌출부(2)가 안정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부재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커넥터 제조에 관하여 부품 개수의 증가에 의한 제품 수명에의 영향이나 제조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상의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돌출부에 규제 부재로서 스토퍼를 설치한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가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고정을 도모하는 커넥터이며,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동 가능한 상기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를 거쳐서 하우징의 고정부에 지지되고, 커넥터를 삽입할 때,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 삽입시에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켜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우징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가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고정을 도모하는 커넥터이며,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동 가능한 상기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를 거쳐서 하우징의 고정부에 지지되고, 커넥터를 발출할 때, 상기 콘택트부는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발출시에 돌출부(20) 또는 커넥터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스토퍼를 갖는 커넥터에 관하여, 콘택트부는 돌출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콘택트의 배치로서는, 콘택트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콘택트를 갖는 가동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한 양 스토퍼가 동일한 하우징에 형성되어, 커넥터의 삽입 발출 양방향에서 돌출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 양방향에 대해 유효한 가동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가동 커넥터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커넥터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고정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함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에 고정되는 하우징(10)(이하 고정부라 칭함)과,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돌출부(20)를 갖고 있다. 상기 돌출부(20)는 콘택트(30)를 거쳐서 고정부(10)에 지지되어 있지만, 고정부(10)에 대한 돌출부(20)가 상대적인 위치와 각도는 약간 변화할 수 있다. 즉, 돌출부(20)는 콘택트(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부에 대해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0)는 고정 부재(90)에 의해 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20)는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소위 라이트 앵글 타입의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돌출부(20)와 고정부(10)와의 관계를 도3에 나타냈다. 도3은 도1의 커넥터의 고정 부재(90) 부근의 사시도이고,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90)는 고정부(10) 내에 수용되어 있고, 돌출부(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도면에서는 한쪽만 기재되어 있음). 이에 의해 고정부(10)는 기판에 고정되고, 또한 돌출부(20)에 간섭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커넥터의 돌출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토퍼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는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고, 도4는 본 발명의 스토퍼의 삽입 발출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를 포함하는 사시도이고, 도5는 단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화살표 A, B는 각각 커넥터 접속시에 돌출부가 암형 커넥터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 및 커넥터 발출시에 돌출부가 암형 커넥터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택트(3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한쪽 면에 노출되는 콘택트와, 다른 쪽 면에 노출되는 콘택트를 가지므로, 스토퍼의 배치도 돌출부(20)의 양면에서 다르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단면에 표시된 콘택트(30)는 기판측에 노출되는 콘택트의 예로, 도5에 도시된 단면도에는 기판과 반대측 면에 노출되는 콘택트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의 하나인 커넥터를 삽입할 때에 돌출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는 도4 및 도5에 있어서 참조 부호 (40)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토퍼를 이후 돌출부 스토퍼(40)라 칭한다. 또한 콘택트(30)의 일부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에 수용되고, 특히「U」자 형상으로 만곡된 탄력 부분(70)에 의해 탄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0)는 콘택트(30)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결합 부분은 참조 부호 (60)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결합 부분(60)은 콘택트 및 돌출부가 결합하는 부분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고, 이 요철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돌출부(20)와 콘택트(3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30)는 고정부(10)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갖고 있다. 이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참조 번호 (120)로 지시되어 있는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에 커넥터 삽입 발출시의 돌출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있어서 커넥터를 삽입할 때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커넥터를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돌출부(20) 또는 콘택트(30)는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와의 마찰에 의해 압박되고,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하우징 내부에「압입되는」것이 된다.
한편, 커넥터 발출시에는, 상기 커넥터는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인발출되고, 이 때 돌출부(20) 또는 콘택트(30)는 상기 암형 커넥터와의 마찰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 즉 콘택트(30)는 고정부(10)에「인장되는」것이 된다.
이와 같은 삽입 발출시의 동작에 있어서, 우선 커넥터 삽입시에는 상기 돌출부(20)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압입되어」일정한 거리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 스토퍼(40)가 배후에 있는 콘택트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돌출부(20)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없어 정지한다. 그 후 다시 커넥터를 삽입하면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돌출부(2O)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고정부(10) 및 콘택트(30)와 함께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에 끼워 맞춤한다.
다음에 커넥터 발출시에는 콘택트(30)가 고정부(10)에「인장되는」것이 된다. 이 때 돌출부(20)는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에 수용되어 있지만,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콘택트(30)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마찰력이다. 고정부(10)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돌출부(20)는 암형 커넥터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 즉 고정부(10)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발출시에는 고정부(10)에 의한「인장」에 대해 탄력 부분(70)이 이러한「인장력」을 흡수하므로, 돌출 부분(20)을 암형 커넥터에 남겨 둔 상태에서 인발하게 된다.
그 후 고정부(10)가 일정 거리 이동하면, 콘택트부의 스토퍼(50)[이후 콘택트부 스토퍼(50)라 칭함]가 고정부(10)에 접촉한다. 따라서 돌출부(20) 또는 콘택트(30)는 콘택트부 스토퍼(50)에 의해 커넥터의 발출력에 저항할 수 있고, 따라서 돌출부(20) 또는 콘택트(30)가 고정부(10)와 함께 암형 커넥터로부터 발출된다.
이상, 커넥터 삽입 발출시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동작 및 각 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냈다. 여기서 당업자에게는 이해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돌출부(20)는 콘택트(30)를 거쳐서 고정부(10)에 지지되어 있고, 이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콘택트 및 돌출부에 마련된 결합 부분(60)에서 결합하고 있다.
돌출부의 양면에 콘택트를 노출시킨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는 커넥터의 경우에는, 도4의 참조 번호 (80)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콘택트의 형상은 2 종류 필요하게 된다. 즉, 돌출부 양면에 노출되는 콘택트 중, 돌출부의 기판측 면에 암형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접점을 노출하고 있는 콘택트는 도4에 도시한 단면에 도시되어 있는 콘택트(도면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도시된 콘택트)이고, 도면 중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암형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분, 결합 부분(60), 탄력 부분(70), 돌출부 스토퍼(40)에 접촉하는 부분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한쪽 돌출부의 기판과 반대측 면에 암형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접점을 노출하고 있는 콘택트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고, 콘택트의 기판측으로부터 보아(즉 도면 중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부의 스토퍼(40)와 접촉하는 부분, 탄력 부분(70), 결합 부분(60), 암형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분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스토퍼(40)와 접촉하는 부분은 콘택트의 일부이지만, 고정 부분(10)이 연장되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하는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은 돌출부 스토퍼(40)만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 삽입시에 상기 스토퍼(40)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택트부 스토퍼만 갖는 실시예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 및 콘택트부의 양 스토퍼를 갖는 쪽이 보다 효과적인 것은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로 콘택트의 형상에 착안하여, 이 형상으로 고안을 더함으로써 하우징부와 접촉시키는 상태로 하여 스토퍼 기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동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내에 삽입 발출 양방향에 대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별도로 스토퍼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가동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이동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를 거쳐서 하우징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와 접촉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콘택트부는, 고정부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를 향해 이동하여 고정부와 접촉함으로써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발출될 때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제2 스토퍼와 고정부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들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돌출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토퍼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커넥터의 삽입 방향 및 발출 방향 모두로의 돌출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커넥터.
  5.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이동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에 의해 하우징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는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에 삽입될 때 돌출부를 정지시키도록 콘택트부와 접촉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부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제2 스토퍼는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에 삽입될 때 고정부의 섹션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스토퍼는 고정부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의 섹션과 접촉하여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발출될 때 돌출부를 정지시키고, 커넥터는, 제2 스토퍼와 고정부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들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돌출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되는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스토퍼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커넥터의 삽입 방향 및 발출 방향 모두로의 돌출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커넥터.
  9. 하우징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가 대응하는 커넥터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고정을 도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이동 가능하고, 고정부와 돌출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를 거쳐서 하우징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는 콘택트부와 접촉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콘택트부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콘택트부는 제2 스토퍼에서 고정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제2 스토퍼는 고정부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와 접촉함으로써 커넥터가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발출될 때 상기 돌출부를 정지시키고, 커넥터는, 제2 스토퍼와 고정부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들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돌출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콘택트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스토퍼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커넥터의 삽입 방향 및 발출 방향 모두로의 돌출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7007067A 2002-12-26 2003-12-26 가동 커넥터 KR20110038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467A JP2004213903A (ja) 2002-12-26 2002-12-26 可動コネクタ
JPJP-P-2002-378467 2002-12-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932A Division KR20050088140A (ko) 2002-12-26 2003-12-26 가동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42A true KR20110038742A (ko) 2011-04-14

Family

ID=32677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932A KR20050088140A (ko) 2002-12-26 2003-12-26 가동 커넥터
KR1020117007067A KR20110038742A (ko) 2002-12-26 2003-12-26 가동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932A KR20050088140A (ko) 2002-12-26 2003-12-26 가동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34123B2 (ko)
EP (1) EP1617527A4 (ko)
JP (1) JP2004213903A (ko)
KR (2) KR20050088140A (ko)
CN (1) CN100401593C (ko)
WO (1) WO2004059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5606588B1 (ja) * 2013-05-20 2014-10-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839832S1 (en) * 2016-08-02 2019-02-05 Sm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7321878B2 (ja) * 2019-10-15 2023-08-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2568142B2 (ja) * 1991-12-30 1996-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2552225B2 (ja) * 1992-07-16 1996-11-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JP2527144Y2 (ja) * 1992-11-19 1997-0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527144B2 (ja) 1995-06-13 1996-08-21 鉄一 釘崎 海苔網の消毒方法
US5873742A (en) * 1996-06-18 1999-0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2002093502A (ja) 2000-09-14 2002-03-29 Fujitsu Ten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02289298A (ja) * 2001-03-28 2002-10-04 Tyco Electronics Amp Kk 可動型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7527A1 (en) 2006-01-18
KR20050088140A (ko) 2005-09-01
CN1732601A (zh) 2006-02-08
US7534123B2 (en) 2009-05-19
EP1617527A4 (en) 2007-10-17
JP2004213903A (ja) 2004-07-29
CN100401593C (zh) 2008-07-09
US20060128198A1 (en) 2006-06-15
WO2004059802A1 (ja)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437558A (en) Connector having skirt with holes to receive plug pins and alignment pin
US6419509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card insertion/ejection operation
JP200624490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532422A (ja) 基板対基板タイプのコネクタ
US5823815A (en) Structure of interconnecting units with respective connectors
JP2003031301A (ja) 電気コネクタ
JPH04209479A (ja) 電気コネクタ
CN112312715A (zh) 可限制不同模块安装顺序的电子装置及其机壳模块
EP0855763B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KR20130055653A (ko) 커넥터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US7654850B2 (en) Shielde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JPH0782888B2 (ja) 電気コネクタ
US7070429B2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US5980328A (en) Connector for use with substrates
EP3136515B1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KR20110038742A (ko) 가동 커넥터
KR101502477B1 (ko) 커넥터 장치
JP7470289B2 (ja) コネクタ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8098062A (ja) 端子金具およ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8098064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20302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