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850A - 바인더식 연결 수첩 - Google Patents

바인더식 연결 수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850A
KR20110037850A KR1020100091915A KR20100091915A KR20110037850A KR 20110037850 A KR20110037850 A KR 20110037850A KR 1020100091915 A KR1020100091915 A KR 1020100091915A KR 20100091915 A KR20100091915 A KR 20100091915A KR 20110037850 A KR20110037850 A KR 2011003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book
binder
cover
r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11B1 (ko
Inventor
타케오 타카하기
Original Assignee
타케오 타카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케오 타카하기 filed Critical 타케오 타카하기
Publication of KR2011003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8Perforations or slots that can cooperate with filing means as claws, r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4Means for connecting adjacent devic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각각의 바인더마다 철해진 용지를 완전히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할 수 있고, 수첩을 닫았을 때는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측의 표지(5, 5)와 그 사이에 설치된 배표지(6)를 각각의 경계선(7)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수첩 본체(8)의 배표지(6)의 내측에 링식 바인더(9)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수첩(4)을 적어도 2권 설치하고, 각각의 수첩(4a, 4b)을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좌우로 배열함과 아울러,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세로변(10a)과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세로변(10b)을 서로 접한 상태로 하고, 좌우의 수첩(4a, 4b)이 서로 접하는 변을 대접변(10)으로 하여,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10)으로부터 타방의 수첩의 표지(4a)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2)을 대접변(10)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편(2)과 이 연결편(2)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중심을 걸음 축(3)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한다.

Description

바인더식 연결 수첩{BINDER TYPE CONNECTING NOTEBOOK}
본 발명은 바인더식 수첩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바인더식 수첩의 기본적인 구성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권의 수첩의 배표지의 내측에 1개의 링식 바인더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바인더식 수첩은 바인더의 링을 여는 것에 의해, 링에 철해져 있는 용지를 뺄 수 있고, 또 바인더의 링을 닫는 것에 의해 용지를 링에 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바인더 편철용 노트」라고 칭하는 발명은, 수첩의 바인더에 철해진 대지의 외측변에 나선형상의 편철구가 설치되고, 이 편철구를 통하여 편철용 노트의 지편이 부착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첩을 펴는 것과 아울러 편철용 노트를 펴면, 바인더의 양 좌우로 펼쳐진 2페이지와 편철용 노트의 1페이지에 의해 연속 3페이지의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바인더 편철용 노트는 바인더에 철해진 대지에 대해서 지편이 나선형상의 편철구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편철용 노트의 각 지편을 빼기 위해서는 각각의 지편을 편철구로부터 찢어내는 수밖에 없으며, 편철용 노트의 지편을 교체하거나, 지편의 편철 위치를 바꾸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 특허문헌 2의 「수첩용 바인더」라고 칭하는 발명은, 표지 커버를 구성하는 긴 베이스 시트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소의 되접음부가 설치되어, 각각의 되접음부에 파일링 도구(바인더)가 고정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의 3개소에 파일링 도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파일링 도구에 용지를 부착하여 마주보는 면을 펼치면, 전부 연속 4페이지의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수첩용 바인더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4페이지의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기 위해 3개의 파일링 도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이 수첩용 바인더에 3개의 파일링 도구를 부착한 경우, 전부 닫아서 겹쳐지면, 3권의 바인더식 수첩을 겹친 것 같은 두께가 된다. 따라서, 컴팩트성이 결여되는 것이 되어, 이것을 포켓이나 가방에 넣거나 할 때, 부피가 커져 수납성의 면에서 문제가 생긴다.
또, 특허문헌 2의 수첩용 바인더는 각 파일링 도구의 좌우에 용지 폭 1장분의 간격을 비우고 각각의 파일링 도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파일링 도구 중, 중앙의 파일링 도구에 철해져 펼쳐진 페이지와 좌우의 파일링 도구에 철해져 펼쳐진 페이지가 겹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모든 파일링 도구에 철한 용지를 연속적으로 완전히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971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225580호 공보
본 발명은 적어도 2권의 바인더식 수첩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각각의 바인더마다 철해진 용지를 완전히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할 수 있고, 수첩을 닫았을 때는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종래의 바인더식 수첩은 각 용지의 편측에만 소정 수의 편철 구멍이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에 철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서,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에 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오른손에 펜 등을 쥐고 있는 사람이 바인더의 좌측의 페이지에 오른손을 두고 글을 쓸 때, 바인더의 링의 높이가 방해가 되어 글을 쓰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바인더의 링의 높이가 방해되지 않도록 펜 등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양측의 표지와 그 사이에 설치된 배표지를 각각의 경계선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수첩 본체의 배표지의 내측에 링식 바인더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수첩을 적어도 2권 설치하고, 각각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좌우로 배열함과 아울러, 왼쪽의 수첩의 우측 세로변과 오른쪽의 수첩의 좌측 세로변을 서로 접한 상태로 하고, 왼쪽의 수첩이 서로 접하는 변을 대접변으로 하여,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타방의 수첩의 표지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단체의 연결편 또는 일방의 수첩의 표지를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결편을 대접변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의 대략 중심을 걸음 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편은 일방의 수첩과는 별체를 이루는 단체의 박판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 연결편의 편측에 소폭의 접합부를 취하여 일방의 수첩의 단부에 접합함과 아울러,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을 따라 연결편을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편은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이 수첩의 표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이 연결편을 대접변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타방의 수첩의 표지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단체의 연결편 또는 일방의 수첩의 표지를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와의 각 대접면에, 걸음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좌우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켰을 때,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하기 위한 소정 수의 편철 구멍이, 각 용지의 좌우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의 링에 편철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를 넘기는데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긴 탄성 선재를 가는 폭의 평행형상으로 되접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형상의 단부에 링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다른 링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이 선형상의 단부와 그 내측의 링 걸어맞춤부의 각각을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각 링에 여유있는 상태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고, 이 선형상의 도중을 절곡 형성함과 아울러, 이 선형상에 있어서의 링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링형상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를 넘기는데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을 둘러싸는 환형상부와, 이 환형상부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도중에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긴 본체부를 가지고, 이 본체부의 단부에 집기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의 깔개로서 사용함으로써 용지와 링의 단차를 적게 하도록 한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링 단차 방지용 깔개는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하기 위한 편철 구멍을 편측을 따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의 편철 구멍의 반대측에 설치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을 통하여 소폭의 2개의 조각을 그 중간의 절곡선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높이 조정편과, 이 높이 조정편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안내편을 구비하고, 기판의 하부에 지지판을 되접은 상태에서, 높이 조정편을 단면 산형상으로 형성한 정부의 절곡선을 기판의 하면에 맞닿도록 절곡하고, 안내편에 대해서 걸음 축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조작편을 기판에 뚫린 안내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과 아울러, 걸음 축을 지지판에 형성된 안내 구멍을 따라 이동하도록 걸어맞추고, 조작편의 측부에 형성한 걸음 홈과 기판의 안내 구멍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걸음 홈이 조작편의 압입량에 따라 서로 맞물리고, 기판의 편철 구멍을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함으로써, 이 기판으로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고, 조작편의 압입량에 따라 높이 조정편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지지판에 대한 기판의 경사각을 바꾸어, 용지와 링의 단차를 적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일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해야 할 표지 접합편과, 타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해야 할 접합부와 이 접합부에 대해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표지 접합편과 연결편의 연결부를 중첩시킨 상태로 표지 접합편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과 연결편의 연결부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을 걸음 축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표지 접합편을 일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함과 아울러 연결편의 접합부를 한 쪽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함으로써, 양쪽의 바인더식 수첩을 연속되게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전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양쪽의 바인더식 수첩을 걸음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청구항 9에 있어서, 표지 연결편과 연결편의 연결부와의 각 대접면에, 표지 연결편에 있어서의 축구멍과 연결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양쪽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했을 때,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수첩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면, 왼쪽의 수첩의 우측 세로변과 오른쪽의 수첩의 좌측 세로변이 서로 접한 상태로 전개되게 된다. 따라서, 각 수첩 바인더에 복수매의 용지를 철하여, 이들 용지를 좌우로 펼친 상태로 하면, 전부 4페이지분을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의 대략 중심을 걸음 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좌우의 수첩을 펼친 상태에서,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을 걸음 축 둘레로 90도 회전시키면, 일방의 수첩의 페이지를 세로방향으로 봄과 동시에 타방의 수첩의 페이지를 가로방향으로 보게 되는 것 처럼, 표시하는 페이지의 각도를 적당히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와의 각 대접면에, 걸음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좌우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켰을 때,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맞춤 상태가 되어 위치 결정되고, 또한 회동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진 상태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좌우의 수첩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부터, 연결편을 대접변에서 절곡함과 아울러 좌우의 수첩의 표지를 닫는 것에 의해, 좌우의 수첩은 배표지를 나란히 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책장 등에 수납할 때에는 좌우의 수첩의 배표지가 나란한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을 닫은 상태로 하여,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을 걸음 축의 둘레로 회동시키면, 일방의 수첩의 배표지와 타방의 수첩의 배표지가 앞뒤로 교대로 배치되어, 앞뒤의 합계 두께가 대략 균등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연결 수첩의 전체가 컴팩트한 것이 되어, 포켓이나 가방 등에 수납할 때에 편리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하기 위한 소정 수의 편철 구멍이, 각 용지의 좌우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의 링에 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 수첩의 4페이지분을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져진 상태에서, 특정의 페이지의 이면을 표측으로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각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하여 바인더의 링에 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에 의하면, 바인더의 각 링을 열고, 인접 설치된 2개의 링에 선형상의 단부와 그 내측에 형성된 각 링 걸어맞춤부를 삽입 통과시켜 걸어맞춘 후에 바인더의 링을 닫으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의 커버를 용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하여, 책갈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선형상의 단부와 그 내측에 형성된 각 링 걸어맞춤부가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각 링에 여유를 가지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첩을 닫은 상태로 했을 때, 용지로부터 노출된 커버를 손끝으로 집고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가 끼워진 개소의 페이지를 한 번에 펼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인접 설치된 2개의 링에 부착한 상태로 수동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수첩내의 용지의 안쪽에 수납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수첩을 닫은 상태로 하여 포켓 등에 넣으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의 커버의 단부가 포켓의 바닥부 등에 눌려 회동하여 수첩내의 안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커버가 수첩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그 구조로서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을 둘러싸는 환형상부와, 이 환형상부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도중에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긴 본체부를 가지고, 이 본체부의 단부에 집기편을 설치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구조에 있어서, 부재끼리 겹치는 개소가 생기지 않아,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인더의 링에 부착한 상태에서 부피가 커지지 않아, 그 만큼 많은 용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링 단차 방지용 깔개는 조작편의 압입량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도록 한 높이 조정편을 가지고, 이 높이 조정편의 높이 변화에 따라 지지판에 대한 기판의 경사각을 바꿈으로써, 용지와 링과의 단차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오른손에 펜 등을 쥔 사람이 바인더의 좌측의 페이지에 오른손을 두고 글을 쓸 때, 이 좌측 페이지의 용지의 하부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깔아 두는 것에 의해, 바인더의 링의 높이가 방해되지 않아, 좌측 페이지의 용지에 글을 쓰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하도록 한 단품의 연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단품의 연결구를 사용하고, 시판 등에 의한 기존의 바인더식 수첩을 이용하여,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을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방의 수첩의 배표지와 타방의 수첩의 배표지를 앞뒤로 교대로 배치하여, 앞뒤의 합계 두께를 대략 균등하게 하여, 포켓이나 가방 등에 컴팩트하게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구성하는 좌우의 수첩의 내측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한 평면도이며, (b)는 (a)의 좌우를 역방향으로 반전하여 표지의 외측이 보이도록 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분해 평면도이며, (a)는 좌측의 수첩의 내측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한 평면도, (b)는 수첩과는 별체로 설치한 경우의 단체의 연결편의 평면도, (c)는 우측의 수첩의 내측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한 도면, (d)는 내측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한 우측의 수첩에 연결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평면도이며, 좌우의 수첩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바인더의 링에 용지를 철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아래쪽 단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b)는 좌측의 수첩의 표지와 연결편을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걸음 축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c)는 좌측의 수첩의 표지와 연결편을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걸음 축의 주변의 부분 단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평면도이며, 도 1과 같이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왼쪽의 수첩을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a)는 용지를 뺀 상태, (b)는 용지를 각 바인더의 링에 철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상면도이며, (a)는 2권의 수첩의 배표지를 나란히 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편측의 수첩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수첩의 배표지를 앞뒤로 교대로 배치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의 각종 태양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a)는 상단의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바퀴형의 링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이며, (b)는 상단의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바퀴형의 링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이며, (c)는 상단의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이며, (d)는 상단의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아래쪽에 긴 및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부착한 부분 평면도이며, (b)는 긴 및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회동시켜 페이지의 내부에 수납한 상황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며, (c)는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수첩의 위쪽에 부착한 상황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링 단차 방지용 깔개의 측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왼쪽의 페이지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오른쪽의 페이지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링 단차 방지용 깔개의 전개도이며, (b)는 (a)의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조작편을 조작하도록 한 평면도이며, (c)는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조작편을 회동시켜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2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한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연결구의 분해 평면도, (b)는 조립 평면도, (c)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a), (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2에 따른 연결구를 사용하여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작성한 구체예를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의 다른 실시예이며, 바인더의 링에 부착한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d)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의 다른 실시예의 각종 태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전개한 평면도이며, (b)는 그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하는 용지의 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에 서술하는 본 실시예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은 도 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과 걸음 축(3)을 통하여 2권의 바인더식 수첩(이하, 간단히 「수첩」이라고 함)(4a, 4b)을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2권의 수첩(4a, 4b)의 연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3권 이상의 수첩을 연결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바인더식 수첩의 양측의 표지의 어느 쪽을 「표지」라고 하고, 어느 쪽을 「뒤표지」라고 할지는 특정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지」와 「뒤표지」의 구별을 하지 않고 모두 「표지」라고 하며, 그 위치에 의해 「우측 표지」또는 「좌측 표지」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에 있어서, 각각의 수첩(4a, 4b)의 형상 또는 크기는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좌우의 수첩(4a, 4b)의 형상 또는 크기를 좌우 대칭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완성후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의 전체 형상이 깔끔하게 정리된 것이 된다. 또,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을 닫은 상태로 하여, 일방의 수첩(4a)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4b)을 회전했을 때의 전체 형상이 깔끔하게 정리된 것이 된다.
각 수첩(4a 또는 4b)의 구성은 도 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표지(5, 5)와 그 사이에 설치된 배표지(6)를 각각의 경계선(7)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수첩 본체(8)를 구성하고, 이 수첩 본체(8)의 배표지(6)의 내측에 링식 바인더(9)를 주지의 고정구로 고정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권의 수첩(4a, 4b)을 연결편(2)을 통하여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다. 단, 도 1(b)는 도 1(a)의 좌우를 역방향으로 반전하여 표지의 외측이 보이도록 한 평면도이며, 도 1(a)에 있어서의 좌우의 숫자가 도 1(b)에서는 반대의 기재가 된다. 따라서,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에 기재하는 설명의 좌우의 관계는 도 1(a)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은 각각의 수첩(4a, 4b)의 내측을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좌우로 배열함과 아울러,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세로변(10a)과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세로변(10b)을 서로 접한 상태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세로변(10a)과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세로변(10b)이 서로 접하는 변을 대접변(10)으로 한다. 그리고, 오른쪽의 수첩(4b)의 대접변(10)으로부터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2)을 대접변(10)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다. 또한, 연결편(2)의 대접변(10)을 따르는 절곡선을 2a로 한다. 또, 연결편(2)과 이 연결편(2)에 겹쳐지는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대략 중심을 걸음 축(3)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각각의 대접변(10)을 가지는 측의 표지(5a, 5b)의 폭(L2)을 대접변(10)을 가지지 않는 측의 표지(5, 5)의 폭(L1)보다 수cm정도 짧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1>L2의 관계가 되어, 좌우의 수첩(4a, 4b)을 닫았을 때, 좌우의 수첩(4a, 4b)의 내측에서 겹쳐지는 표지(5a, 5b)가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의 표지(5, 5)보다 짧아진다.
상기한 구성은 도 3 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의 바인더(9)의 링(9a)에 용지(12)를 철한 상태에서 좌우의 수첩(4a, 4b)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했을 때,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페이지의 용지(12b)와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페이지의 용지(12c)의 간극(c)이 미소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간극(c)이 미소하게 된 인접 설치된 용지(12b, 12c)를 볼 때, 이들 용지(12b, 12c)가 접근하기 때문에, 비교하며 보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이 단체인 경우, 오른쪽의 수첩(4b)의 수첩 본체(8)와는 별체가 되는 단체의 합성 수지 등의 박판부재로 형성되고, 이 단체의 연결편(2)의 편측에 소폭의 접합부(2b)를 취하여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표지(5b)의 단부(5c)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반대로 연결편(2)을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단부에 접합하여, 이 연결편(2)을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표지(5b)에 연장시켜, 이 좌측 표지(5b)에 연결편(2)을 걸음 축(3)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편(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첩(4)의 표지(5)와는 별체의 박판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 연결편(2)의 편측에 소폭의 접합부(2b)를 취하여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표지(5b)의 단부(5c)에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d)에 도시한 연결편(2)을 단품으로 형성하여, 이 연결편(2)의 접합부(2b)를 다른 수첩의 표지의 단부에 접합시키고, 또 연결편(2)의 구멍(11b)에 걸음 축(3)(도 4(b) 참조)을 사용하여 다른 수첩의 표지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수첩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d)에 다른 구조의 오른쪽의 수첩(4c)을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을 오른쪽의 수첩(4c)의 대접변(10)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한 구성으로 하고, 이 연결편(2)을 대접변(10)을 따라 형성한 절곡선(2a)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구성하며, 이 연결편(2)을 도 2(a)에 도시한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구멍(11a)에 지지축(3)(도 4(b) 참조)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결편(2)을 수첩(4)의 표지(5)와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체로 구성한 경우의 접합부(2b)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되어,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을 절첩했을 때의 두께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어쨌든,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세로변(10a)과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세로변(10b)이 서로 접하는 변을 대접변(10)이라고 하고, 이 대접변(10)의 위치에서 연결편(2)에 절곡선(2a)을 형성함으로써 연결편(2)을 대접변(10)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에 기재한 2점쇄선으로 도시한 대각선(T, T)은 걸음 축(3)을 삽입 장착시키기 위한 구멍(11a)이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는 그 좌측의 표지(5)의 폭(L1)을 짧게 한 폭(L2)으로 되어 있지만, 걸음 축(3)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구멍(11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측 표지(5a)를 단축시키지 않은 폭(L1)을 가지는 표지의 중심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의 대각선(T, T)은 이러한 본래 가지는 표지의 폭(L1)에 의한 우측 표지(5a)의 중심을 취하여 구멍(11a)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의 수첩(4b)을 회전시켰을 때, 좌우의 수첩(4a, 4b)의 겹침 상태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 깔끔하게 겹쳐진 컴팩트한 상태로 의복 포켓 등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에 형성하는 구멍(11a)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엄밀한 위치를 취하지 않아도, 그 표지의 대략 중심에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편(2)과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중심을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한 걸음 축(3)은 소형의 볼트와 너트를 조합시킨 구성으로 해도 되고, 리벳과 같이 머리부를 가지는 금구 등을 사용해도 된다.
어쨌든, 도 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음 축(3)은 그 축부(3a)를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대략 중심에 형성한 구멍(11a)과 연결편(2)에 형성한 구멍(11b)에 삽입하여, 걸음 축(3)의 양단의 머리부(3b, 3b)에서 걸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을 전개한 상태로 하면,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세로변(10a)과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측 세로변(10b)이 서로 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가 되어, 4페이지분을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의 각각의 바인더(9)의 링(9a)에 용지(12)를 철하면, 4페이지의 각 용지(12a, 12b, 12c, 12d)를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은 도 5(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첩(4a, 4b)을 펼친 상태에서, 일방의 수첩(예를 들어 오른쪽의 수첩(4b))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예를 들어 왼쪽의 수첩(4a))을 걸음 축(3) 둘레로 90도 회전시키면, 예를 들어 일방의 수첩(오른쪽의 수첩(4b))의 각 페이지를 세로로 보고, 타방의 수첩(왼쪽의 수첩(4a))의 각 페이지를 가로로 보는 것과 같이, 페이지의 표시하는 각도를 자유롭게 바꾸어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의 링(9a)에 철하기 위한 소정 수의 편철 구멍(13)이 각 용지(12)의 좌우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용지(12)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9)의 링(9a)에 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의 4페이지분을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소정의 페이지의 이면을 표측으로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각 용지(12)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하여 바인더(9)의 링(9a)에 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한 용지(12)의 사용 방법은 유저의 연구에 따라 다양하게 생각된다. 구체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4페이지의 용지(12a, 12b, 12c, 12d)를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하여, 왼쪽의 페이지로부터 오른쪽의 페이지로 날짜 순서대로 「9/1, 9/2, 9/3, 9/4」라고 적음으로써 연속적으로 4일분의 예정 등을 기입하는 페이지를 일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매일 좌우의 수첩(4a, 4b)의 각 페이지의 용지(12a, 12b, 12c, 12d)를 좌측으로 바꾸어 이동시킴으로써, 미래의 4일간의 시간 관리를 항상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용지(12)의 날짜를 적는 페이지의 이면을 「비고란」의 페이지로 해 두면, 용지(12)를 반전하는 것만으로 이면의 「비고란」을 표면으로 나오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지(12)는 양측에 편철 구멍(1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인더(9)의 링(9a)으로부터 빼낸 용지(12)를 그 위치에서 반전한 상태로 링(9a)에 철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도 3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8/31의 용지를 반전함으로써 그 이면의 「비고란」을 표면으로 나오게 하고, 도 3의 왼쪽으로부터 제2 페이지째의 용지(12b)(9/2일자)를 왼쪽으로부터 제3 페이지째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도 3의 왼쪽으로부터 제3 페이지째의 용지(12c)(9/3일자)를 왼쪽으로부터 제4 페이지째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한 「비고란」의 용지를 도 3의 왼쪽으로부터 제2 페이지째에 철함으로써, 왼쪽의 페이지로부터 오른쪽의 페이지로 순서대로 「9/1, 비고란, 9/2, 9/3」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왼쪽의 수첩(4a)에서는 「9/1」에 관한 내용을 「비고란」에 기입할 수 있고, 또 동일한 날의 예정과 비고를 인접 설치된 상태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른쪽의 수첩(4b)의 좌우의 페이지에 「9/2, 9/3」을 적어, 전부 3일분의 예정 등을 일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용지(12)는 1페이지에 1일분의 내용을 기입하도록 한 것이지만, 다른 구체예로서, 도 15(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페이지의 용지(12)에 1주일분의 스케줄 등을 기입하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5(b)에 1장의 용지(12)를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1페이지내에 바둑판형상의 가는 선(47) 이외에, 각 가는 선(47)보다 굵은 선(48)으로 최상란의 가로 방향으로 1주일분의 일수에 대응하는 7개의 셀의 란(W1~W7)을 설치하고, 각 란(W1∼W7)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순차 대응하는 날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5(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짜에 더해서 요일을 기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1페이지의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른 가는 선(47)보다 굵은 가로선(L1, L2…)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 가로선(L1, L2…)으로 구분된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인 구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1페이지에 1주일치 표시를 한 용지(12)를 각 주마다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페이지를 예를 들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여 새로운 날짜가 되도록 배열하면,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4페이지분, 즉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4주일분의 내용을 일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각 용지(12)는 좌우로 소정 수의 편철 구멍(13, 1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바인더(9)을 펼치고, 예를 들어 도 15(a)의 왼쪽으로부터 제2 페이지째의 용지(12b)를 제1 페이지째의 용지(12a)의 위치로 바꾸고, 이렇게 하여 각 페이지를 오른쪽의 페이지로부터 왼쪽의 페이지로 순차 바꿈으로써 원하는 연속 4주분을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일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로방향의 임의의 구분, 예를 들어 가로선(L1)과 가로선(L2) 사이의 구분, 가로선(L2)과 가로선(L3) 사이의 구분 등에, 어떠한 사항 예를 들어 업무상의 수주에 관한 사항, 방문에 관한 사항, 또는 취미에 관한 사항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여 그 사항을 날짜마다 기재하면, 어떠한 특정의 사항에 관한 과거, 현재, 미래의 내용을 일람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링식 바인더(9)는 통상 시판되고 있는 주지의 구조에 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각 도면에 도시한 바인더(9)는 용지(12)의 측부에 형성된 편철 구멍(13)이 8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8구멍 타입의 용지(12)에 대응하는 것이며, 전부 8개의 개폐 구조의 링(9a)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링식 바인더(9)의 링(9a)을 6개인 것으로 하고, 용지를 6구멍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각의 링(9a)은 바인더(9)의 조작편(9b)을 누름으로써 펼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바인더(9)의 조작편(9b)의 다른 구조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교차하는 2조각의 조작편을 회동시킴으로써 링(9a)을 개폐하도록 한 것도 주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링식 바인더(9)의 링(9a)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에 의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의 외측 세로변(10a)을 따라 연결편(2)을 절곡선(2a)에서 절곡함과 아울러, 좌우의 수첩(4a, 4b)을 닫는 것에 의해, 좌우의 수첩(4a, 4b)은 각각의 배표지(6a, 6b)를 나란히 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의 각각의 배표지(6a, 6b)를 나란히 한 상태로 하여 책장 등에 수납해 둘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수첩(1)의 좌우의 수첩(4a, 4b)의 배표지(6a, 6b)를 가로로 나란히 한 상태로 하면, 배표지(6a, 6b)를 가로로 나란히 한 측의 합계 두께(D1)가 배표지(6a, 6b)가 없는 후방의 합계 두께보다 큰 폭이 되어, 앞뒤의 두께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전체적인 컴팩트성의 면에서는 불리해진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수첩(예를 들어 왼쪽의 수첩(4a))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예를 들어 오른쪽의 수첩(4b))을 걸음 축(3)의 둘레로 180도 회전시키면, 일방의 수첩(4a)의 배표지(6a)와 타방의 수첩(4b)의 배표지(6b)가 앞뒤로 교대로 배치된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앞뒤의 두께(D2)가 대략 균등해지고, 도 6(a)에 도시한 배표지(6a, 6b)를 나란히 한 측의 합계 두께(D1)에 비해 축소되어(D1>D2), 연결 수첩(1)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것이 되어, 포켓이나 가방 등에 수납할 때에 편리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의 수첩(4b)의 대접변(10)으로부터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2)과, 이 연결편(2)에 겹쳐지는 왼쪽의 수첩(4b)의 우측 표지(5a)와의 각 대접면에, 걸음 축(3)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도 1 또는 도 2 참조)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도 3(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좌우의 수첩(4a, 4b)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켰을 때, 각각의 오목부(14a)와 볼록부(14b)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와 연결편(2)의 어느 쪽의 대접면에 오목부(14a) 또는 볼록부(14b)를 형성할지는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과 같이, 오목부(14a) 및 볼록부(14b)를 합성수지제 등의 수첩(4)의 표지(5)의 표면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연결편(2)의 표면에 형성한 경우,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오목부(14a) 및 볼록부(14b) 등이 마모되어, 각 오목부(14a)와 볼록부(14b)가 확실히 걸어맞춰질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4(c)에 도시한 구조로 해도 된다. 즉,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와 연결편(2)의 각 대접면에 상하의 금속판(31a, 31b)을 고정구(32, 32…)로 고정하고, 상하의 금속판(31a, 31b)의 각각에 걸음 축(3)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기간의 사용에도 마모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좌우의 수첩(4a, 4b)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켰을 때, 각각의 오목부(14a)와 볼록부(14b)가 끼워맞춤 상태가 되어 위치 결정되고, 또한 회동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진 상태의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a) 내지 (d)는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에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15A~15D))의 각종 태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중, 도 7(a), (b)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 15B)는 철사와 같은 긴 금속 선재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한 탄성 선재를 사용하고, 이 선재를 가는 폭의 평행 형상으로 되접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형상의 단부에, 되접음 형상에 의한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16a)가 형성되고, 그 내측의 이간 위치에 바퀴형의 링 걸어맞춤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선형상의 도중에 절곡 형상(15b)을 형성하고, 이 선형상에 있어서의 링 걸어맞춤부(16a, 16b)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 커버(17)를 장착하는 커버 장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a)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는 커버 장착부(15a)를 짧게 형성하고, 도 7(b)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B)는 커버 장착부(15a)를 길게 형성한 것이다. 또, 어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 15B)에 있어서도, 절곡부(15b)로부터 아래쪽의 커버 장착부(15a)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도 7(c), (d)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C, 15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철사와 같은 긴 금속 선재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한 탄성 선재를 사용하고, 이 선재를 가는 폭의 평행 형상으로 되접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형상의 상단에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16a)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이간 위치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원호형상의 링 형상부(16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선형상의 도중에 절곡 형상(15b)을 형성하고, 그 아래쪽에 커버(17)를 장착하는 커버 장착부(15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7(c)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C)는 커버 장착부(15a)를 짧게 형성하고, 도 7(d)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D)는 커버 장착부(15a)를 길게 형성하고 있다. 또, 이들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C, 15D)에 있어서도 절곡부(15b)로부터 아래쪽의 커버 장착부(15a)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도 7(c), (d)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C, 15D)는 상기한 도 7(a), (b)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 15B)와 상이하며, 단부에 상하로 이간하여 형성된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16a, 16c)는 각각의 U자형을 이루는 되접음편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또는 이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C, 15D)의 전체 형상을 유연하게 변형시키거나, 또는 그 형상을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15A~15D))에 의하면, 도 8(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각 링(9a, 9a)에 여유를 가지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고, 각각의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커버(17)를 바인더(9)에 철한 용지(12)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의 최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링(9a, 9a)에 대해서, 도 7(a) 또는 도 7(c)에 도시한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 15C)를 사용하고, 바인더(9)의 안쪽에 설치된 인접 설치되는 링(9a, 9a)에 도 7(b) 또는 도 7(d)에 도시한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B, 15D)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15A~15D))의 각각의 전체 길이는 바인더(9)의 링(9a)의 사용수, 간격, 크기 등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를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링(9a, 9a)에 부착한 상태에서,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15D)의 커버(17)가 바인더(9)에 철해진 용지(12)의 단부로부터 적당히 노출되도록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15D)의 전체 길이를 설계하면 된다.
또,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15A~15D))에 있어서, 커버 장착부(15a)에 신축이 가능한 비닐 수지 등에 의한 커버(17)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해 두면, 커버 장착부(15a)에 대한 커버(17)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커버(17)의 장착 위치에 따라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15D)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에 있어서,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B, 15D)의 절곡 형상(15b)을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 15C)의 절곡 형상(15b)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된 짧은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A)에 대해서 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D)가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첩된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이 부피가 커지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도중에 절곡 형상(15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걸어맞춤부(16a, 16b)를 바인더(9)의 링(9a, 9a)에 부착했을 때,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커버(17)가 다른 링(9a)이나 바인더의 조작편(9b)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첩을 닫은 상태로 했을 때(도 8(b)는 설명의 편의상, 수첩을 펼친 상태로 하고 있음), 용지(12)로부터 노출된 커버(17)를 손끝으로 집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를 들어 올림으로써,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가 끼워진 개소의 페이지를 한번에 펼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링 걸어맞춤부(16a, 16b)가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각 링(9a, 9a)을 여유를 가지는 상태로 걸어맞추기 때문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를 나란히 설치한 2개의 링(9a, 9a)에 부착한 상태에서, 여유의 범위내에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각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를 수첩내의 용지(12)의 안쪽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절곡부(15b)로부터 아래쪽의 커버 장착부(15a)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의 수첩(4a, 4b)을 닫은 상태로 하여 의복 포켓 등에 넣었을 때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의 커버(17)의 단부가 포켓의 바닥부 등에 눌려서 회동하여(도 8(b) 참조), 수첩내의 용지(12)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커버(17)가 수첩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다른 형태에 의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에 대해서 도 13 또는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는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9a, 9a)의 외주를 일괄하여 둘러싸는 환형상부(42)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이러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는 도 1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직경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한 선재를 절곡 형성하거나, 또는 도 14(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구조는 어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에 있어서도,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9a, 9a)(도 13 참조)을 둘러싸는 환형상부(42)와, 이 환형상부(42)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도중에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긴 본체부(43)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 예로서, 가는 직경의 선재를 사용한 경우는, 도 1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링(9a, 9a)(도 13 참조)을 둘러싸는 세로로 긴 형상의 환형상부(42)를 형성하고, 그 환형상부(42)의 측부로부터 선재를 대략 평행하게 연장시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함과 아울러, 경사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43)를 형성한다. 또, 본체부(43)의 하단에서 선재의 단부(44a, 44b)의 일방 또는 양쪽을 되접고, 이 선재의 단부(44a, 44b)를 은폐하도록 커버(45)를 씌움으로써 집기편(46)으로 하고 있다. 또,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3)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또는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9a, 9a)의 위치에 따라서 부착할 수 있다. 어느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에 있어서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기편(46)을 페이지의 단부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소정 페이지의 표식으로 하고, 또는 이 집기편(46)을 손끝으로 집음으로써 소정의 페이지를 넘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4(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를 합성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경우, 일체 성형에 의해 집기편(46)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버(17)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합성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도 또 도 14(c) 또는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3)의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형성함으로써, 바인더(9)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9a, 9a)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3 또는 도 14(a) 내지 (d)에 도시한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41)는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그 구조에 있어서 부재 끼리가 겹쳐지는 개소가 생기지 않아,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바인더(9)의 링(9a, 9a)에 부착한 상태에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페이지의 사이에 끼워져, 그 만큼 많은 용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식 바인더(9)의 링(9a)에 철한 용지(12)의 깔개로서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가 구성되어 있다. 이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는 도 9(a), (b), 또는 도 10(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식 바인더(9)의 링(9a)에 철하기 위한 편철 구멍(19)을 편측을 따라 설치한 기판(20)과, 이 기판(20)의 편철 구멍(19)의 반대측에 설치된 절곡선(21)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지지판(22)과, 이 지지판(22)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23)을 통하여 소폭의 2조각(24a, 24b)을 그 중간의 절곡선(25)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높이 조정편(26)과, 이 높이 조정편(26)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27)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안내편(28)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이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도 10(c)의 전개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0)의 하부에 지지판(22)을 절곡선(21)에서 되접은 상태에서, 2조각(24a, 24b)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정편(26)을 단면 산형상으로 형성한 정부의 절곡선(25)을 기판(20)의 하면에 맞닿도록 절곡한다. 다음에, 안내편(28)에 대해서 걸음 축(29)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L자형의 조작편(30)을 기판(20)에 뚫린 안내 구멍(20a)에 삽입 통과시킴과 아울러, 걸음 축(29)을 지지판(22)에 형성된 안내 구멍(2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또, 조작편(30)의 측부에 형성한 걸음 홈(30a)과 기판(20)의 안내 구멍(20a)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걸음 홈(20b, 20b)이 조작편(30)의 압입량에 따라서 서로 맞물리고, 도면 중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의 압입량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높이 조정편(26)에 의해 지지판(22)에 대한 기판(20)의 경사각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판(20)의 편철 구멍(19)을 바인더(9)의 링(9a)에 철함으로써, 이 기판(20)으로 바인더(9)의 링(9a)에 철한 용지(12)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고, 조작편(30)의 압입량에 따라 높이 조정편(26)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지지판(22)에 대한 기판(20)의 경사각을 바꾸어, 용지(12)와 링(9a)의 단차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형성된 조작편(30)을 외측으로 끌어내어, 2조각(24a, 24b)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정편(26)을 평탄하게 찌그러뜨린 상태로 하고, 조작편(30)을 회동시킴으로써 조작편(30)을 걸음 축(29) 둘레로 회동시키면, 이 조작편(30)을 기판(20)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바인더(9)의 링(9a)으로부터 분리하여, 컴팩트하게 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도 9(b)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9)의 링(9a)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의 편철 구멍(19)을 철함과 아울러,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오른쪽의 페이지의 용지(12b)의 하부에 깔았을 경우, 바인더(9)의 링(9a)의 높이와 용지(12b)의 최상면과의 단차(h)는 미소하게 된다. 이 단차(h)와,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깔지 않은 왼쪽의 페이지의 단차(H)를 비교하면, 단차(H) 쪽이 단차(h)보다 한눈에 봐도 큰 것은 명료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에 관한 효과를 왼손에 펜 등을 쥔 경우와 오른손에 펜 등을 쥔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의 좌측 페이지의 용지(12a)의 하부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깔면, 오른손에 펜 등을 쥔 사람이 좌측 페이지의 용지(12a)상에서 글을 쓰는 경우, 바인더(9)와 용지(12a)와의 단차에 거의 방해받지 않고 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반대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9)의 우측 페이지의 용지(12b)의 하부에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깔면, 왼손에 펜 등을 쥔 사람이 좌측 페이지의 용지(12b)상에서 글을 쓰는 경우, 바인더(9)와 용지(12b)의 단차에 거의 방해받지 않고 쓰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4a, 4b)의 표지(5a, 5b)에 접합시키는 단품의 연결구(33)를 구성함으로써, 이 단품의 연결구(33)를 사용하고, 시판 등의 기존의 바인더식 수첩을 이용하여, 좌우의 수첩(4a, 4b)을 연속되게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좌우의 바인더식 수첩(4a, 4b)을 서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의 연결구(33)의 구성은 도 11(a) 내지 (c), 도 12(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바인더식 수첩(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에 접합해야 하는 표지 접합편(34)과, 타방의 바인더식 수첩(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에 접합해야 하는 접합부(35a)와 이 접합부(35a)에 대해서 절곡선(35c)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연결부(35b)를 가지는 연결편(35)을 구비한다. 그리고, 표지 접합편(34)과 연결편(35)의 연결부(35b)를 포갠 상태로 하여, 표지 접합편(34)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36a)과, 연결부(35b)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36b)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걸음 축(37)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함으로써 연결구(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구(33)에 의해, 도 12(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지 접합편(34)을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에 접합함과 아울러 연결편(35)의 접합부(35a)를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에 접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12(a)의 형태는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와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의 각각의 폭을 원래 상태인채로 사용하거나, 다소 짧게 절단하여,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에 표지 접합편(34)을 호치키스(38) 등으로 접합함과 아울러,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와 연결편(35)의 접합부(35a)를 호치키스(38) 등으로 접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판 등에 의한 기존의 바인더식 수첩을 거의 미가공 상태로 이용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2(b)의 형태는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와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의 각각의 폭을 짧게 절단하여,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에 표지 접합편(34)을 접착제(39) 등으로 접합함과 아울러,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와 연결편(35)의 접합부(35a)를 접착제(39) 등으로 접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표지(5a, 5b)와 연결구(33)의 겹쳐지는 부분이 삭감되어, 그 만큼 연결된 좌우의 수첩(4a, 4b)의 전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1)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왼쪽의 수첩(4a)의 표지(5a)와 표지 접합편(34)의 접합 방법, 및 오른쪽의 수첩(4b)의 표지(5b)와 연결편(35)의 접합부(35a)의 접합 방법에 호치키스(38)나 접착제(39)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 12(a)에 있어서 접착제(39)를 사용하고, 도 12(b)에 있어서 호치키스(38)를 사용해도 되고, 다른 접합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단품의 연결구(33)를 사용하여, 도 3과 마찬가지로, 좌우의 수첩(4a, 4b)을 연속되게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전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5(a), (b)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좌우의 수첩(4a, 4b)을 걸음 축(37)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의 표시하는 각도를 자유롭게 바꾸어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지 연결편(34)과 연결편(35)의 연결부(35b)의 각 대접면에, 표지 연결편(34)에 있어서의 축구멍(36a)과 연결편(35)의 연결부(35b)에 있어서의 축구멍(36b)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40a)와 볼록부(40b)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양쪽의 수첩(4a, 4b)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도 5(a), (b)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방의 수첩(예를 들어 오른쪽의 수첩(4b))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예를 들어 왼쪽의 수첩(4a))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각각의 오목부(40a)와 볼록부(40b)를 착탈이 자유롭게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6(a), (b)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방의 수첩(예를 들어 왼쪽의 수첩(4a))에 대해서 타방의 수첩(예를 들어 오른쪽의 수첩(4b))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을 포켓 속에 수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오목부(40a)와 볼록부(40b)를 가지는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예 1에서 채용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수첩(4a)의 우측 표지(5a)와 연결편(2)과의 각 대접면에 상하의 금속판(31a, 31b)을 고정구(32, 32…)로 고정한 구성으로 하고, 이들 상하의 금속판(31a, 31b)의 각각에, 상기한 바와 같이 걸음 축(3)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4a)(본 실시예의 오목부(40a)에 상당함)와 볼록부(14b)(본 실시예의 볼록부(40b)에 상당함)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기간의 사용에서도 오목부(14a)와 볼록부(14b)가 마모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결구(33)를 사용하여 좌우의 수첩(4a, 4b)을 연결한 후의 형태는 실시예 1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각종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15),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링 단차 방지용 깔개(18)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인더식 연결 수첩은 적어도 2권의 바인더식 수첩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각각의 바인더마다 철해진 용지를 완전히 연속적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지게 할 수 있고, 수첩을 닫았을 때는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1 : 바인더식 연결 수첩
2 : 연결편
2a : 절곡선
2b : 접합부
3 : 걸음 축
3a : 축부
3b : 머리부
4 : 바인더식 수첩(수첩)
4a : 왼쪽의 수첩
4b : 오른쪽의 수첩
4c : 다른 구조의 오른쪽의 수첩
5 : 표지
5a : 우측 표지
5b : 좌측 표지
5c : 표지의 단부
6 : 배표지
6a : 왼쪽의 수첩의 배표지
6b : 오른쪽의 수첩의 배표지
7 : 경계선
8 : 수첩 본체
9 : 링식 바인더
9a : 바인더의 링
9b : 바인더의 조작편
10 : 대접변
10a : 우측 세로변
10b : 좌측 세로변
11a : 표지의 구멍
11b : 연결편의 구멍
12 : 용지
12a, 12b, 12c, 12d : 4페이지의 각 용지
13 : 편철 구멍
14a : 오목부
14b : 볼록부
15(15A~15D) :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
15a : 커버 장착부
15b : 절곡 형상
16a :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
16b : 바퀴형의 링 걸어맞춤부
16c : 원호형의 링 걸어맞춤부
17 : 커버
18 : 링 단차 방지용 깔개
19 : 편철 구멍
20 : 기판
20a : 안내 구멍
20b : 걸음 홈
21 : 기판의 편철 구멍의 반대측의 절곡선
22 : 지지판
22a : 안내 구멍
23 : 지지판의 자유단측의 절곡선
24a, 24b : 소폭의 2조각
25 : 절곡선
26 : 높이 조정편
27 : 높이 조정편의 자유단측의 절곡선
28 : 안내편
29 : 걸음 축
30 : 조작편
30a : 걸음 홈
31a, 31b : 금속판
32 : 고정구
33 : 연결구
34 : 표지 접합편
35 : 연결편
35a : 접합부
35c : 절곡선
35b : 연결부
35 : 연결편
36a : 축구멍
36b : 축구멍
37 : 걸음 축
38 : 호치키스
39 :접착제
40a : 오목부
40b : 볼록부
41 :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
42 : 환형상부
43 : 본체부
44a, 44b : 선재의 단부
45 : 커버
46 : 집기편
47 : 바둑판형상의 가는 선
48 : 가는 선보다 굵은 선
D1, D2 : 바인더식 연결 수첩의 합계 두께
H, h : 링의 높이와 용지의 높이의 단차
L1, L2… : 가는 선보다 굵은 가로선
T : 대각선
W1~W7 : 1주일분의 7개의 셀에 관한 란

Claims (10)

  1. 양측의 표지와 그 사이에 설치된 배표지를 각각의 경계선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수첩 본체의 배표지의 내측에 링식 바인더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바인더식 수첩을 적어도 2권 설치하고,
    각각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좌우로 배열함과 아울러, 왼쪽의 수첩의 우측 세로변과 오른쪽의 수첩의 좌측 세로변을 서로 접한 상태로 하고,
    왼쪽의 수첩이 서로 접하는 변을 대접변으로 하여,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타방의 수첩의 표지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단체의 연결편 또는 일방의 수첩의 표지를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결편을 대접변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의 대략 중심을 걸음 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편은 일방의 수첩과는 별체를 이루는 단체의 박판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 연결편의 편측에 소폭의 접합부를 취하여 일방의 수첩의 단부에 접합함과 아울러,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을 따라 연결편을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편은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이 수첩의 표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이 연결편을 대접변을 따라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일방의 수첩의 대접변으로부터 타방의 수첩의 표지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단체의 연결편 또는 일방의 수첩의 표지를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이 연결편에 겹쳐지는 타방의 수첩의 표지와의 각 대접면에, 걸음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좌우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켰을 때,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하기 위한 소정 수의 편철 구멍이, 각 용지의 좌우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 용지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로 바인더의 링에 편철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를 넘기는데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긴 탄성 선재를 가는 폭의 평행형상으로 되접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선형상의 단부에 링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링 걸어맞춤부의 내측에 다른 링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이 선형상의 단부와 그 내측의 링 걸어맞춤부의 각각을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각 링에 여유있는 상태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고, 이 선형상의 도중을 절곡 형성함과 아울러, 이 선형상에 있어서의 링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링형상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를 넘기는데 사용하는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페이지 넘김용 책갈피는 바인더에 인접 설치된 2개의 링을 둘러싸는 환형상부와, 이 환형상부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도중에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긴 본체부를 가지고, 이 본체부의 단부에 집기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의 깔개로서 사용함으로써 용지와 링의 단차를 적게 하도록 한 링 단차 방지용 깔개를 구비한 바인더식 연결 수첩으로서,
    이 링 단차 방지용 깔개는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하기 위한 편철 구멍을 편측을 따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의 편철 구멍의 반대측에 설치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을 통하여 소폭의 2개의 조각을 그 중간의 절곡선에서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높이 조정편과, 이 높이 조정편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한 안내편을 구비하고,
    기판의 하부에 지지판을 되접은 상태에서, 높이 조정편을 단면 산형상으로 형성한 정부의 절곡선을 기판의 하면에 맞닿도록 절곡하고,
    안내편에 대해서 걸음 축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조작편을 기판에 뚫린 안내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과 아울러, 걸음 축을 지지판에 형성된 안내 구멍을 따라 이동하도록 걸어맞추고,
    조작편의 측부에 형성한 걸음 홈과 기판의 안내 구멍에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걸음 홈이 조작편의 압입량에 따라 서로 맞물리고,
    기판의 편철 구멍을 링식 바인더의 링에 철함으로써, 이 기판으로 바인더의 링에 철한 용지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하고,
    조작편의 압입량에 따라 높이 조정편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지지판에 대한 기판의 경사각을 바꾸어, 용지와 링의 단차를 적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9. 일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해야 할 표지 접합편과, 타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해야 할 접합부와 이 접합부에 대해서 절곡선을 통하여 절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표지 접합편과 연결편의 연결부를 중첩시킨 상태로 표지 접합편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과 연결편의 연결부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축구멍을 걸음 축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표지 접합편을 일방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함과 아울러 연결편의 접합부를 한 쪽의 바인더식 수첩의 표지에 접합함으로써, 양쪽의 바인더식 수첩을 연속되게 마주보는 면이 펼쳐진 상태로 전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양쪽의 바인더식 수첩을 걸음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10. 제 9 항에 있어서, 표지 연결편과 연결편의 연결부와의 각 대접면에, 표지 연결편에 있어서의 축구멍과 연결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으로 십자방향의 4개소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양쪽의 수첩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하거나, 일방의 수첩에 대해서 한 쪽의 수첩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했을 때,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식 연결 수첩.
KR1020100091915A 2009-10-05 2010-09-17 바인더식 연결 수첩 KR101224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1471 2009-10-05
JP2009231471 2009-10-05
JPJP-P-2010-057948 2010-03-15
JP2010057948A JP4623438B1 (ja) 2009-10-05 2010-03-15 バインダー式連結手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850A true KR20110037850A (ko) 2011-04-13
KR101224211B1 KR101224211B1 (ko) 2013-01-17

Family

ID=4363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15A KR101224211B1 (ko) 2009-10-05 2010-09-17 바인더식 연결 수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23438B1 (ko)
KR (1) KR101224211B1 (ko)
CN (1) CN1020298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164A1 (en) * 2018-09-17 2020-03-18 Marks, Victor L. Notebook with replaceable paper se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155A (zh) * 2013-12-16 2014-03-12 钱海荣 一种灵活装订的活页纸及使用该活页纸的活页本
JP7426189B2 (ja) * 2017-03-08 2024-02-01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システム手帳バインダー
JP7308511B2 (ja) * 2019-04-18 2023-07-14 株式会社シロクマ ファイル
JP7365826B2 (ja) * 2019-09-02 2023-10-20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リング式綴じ具および綴じ具付きバイン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8774U (ko) * 1979-02-15 1980-08-22
JPS63154280U (ko) * 1987-03-30 1988-10-11
JPS63161775U (ko) * 1987-04-06 1988-10-21
CN2093093U (zh) * 1991-01-09 1992-01-15 潘小平 多功能学生作业夹
AT399475B (de) * 1994-06-23 1995-05-26 Kasper Guenther Mappe, buch od. dgl. mit lupe
KR19990004996U (ko) * 1997-07-10 1999-02-05 이종규 책갈피용 클립
JP2001225580A (ja) * 2000-02-16 2001-08-21 Kyubunkan:Kk 手帳用バインダー
JP2006281754A (ja) * 2005-03-31 2006-10-19 Yoshiyuki Goto バンド付きリングファイル
JP2007176182A (ja) * 2007-02-13 2007-07-12 Koji Uno ファイル
JP2009160824A (ja) * 2008-01-08 2009-07-23 Nippon Boeki Insatsu Kk 情報記録手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164A1 (en) * 2018-09-17 2020-03-18 Marks, Victor L. Notebook with replaceable paper s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9827B (zh) 2013-10-16
KR101224211B1 (ko) 2013-01-17
JP2011098559A (ja) 2011-05-19
CN102029827A (zh) 2011-04-27
JP4623438B1 (ja) 201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211B1 (ko) 바인더식 연결 수첩
US6371678B1 (en) Loose-leaf binder
US8277140B2 (en) Loose-leaf binder
JP2009507676A (ja) 携帯性および使用性を向上させた多用途カバー支持台
US5405169A (en) Book cover and binding with respositionable loose leaves
JP2014008780A (ja) 書類用バインダー
US6702501B2 (en) Loose-leaf binder
KR20210000344U (ko) 일정 계획 및 업무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다이어리
US20100187804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KR20110003514U (ko) 탁상 겸용 휴대용 다이어리
JP3158651U (ja) ブックカバー
US11484115B2 (en) Deployable stand assemblies with folding hinges and related methods
US1979814A (en) Combined loose leaf binder and reading stand
TW201144092A (en) Note cover
US20180043721A1 (en) Dual binding system
KR100891749B1 (ko) 스프링 바인더용 파일
KR20110118531A (ko) 캘린더 겸용 다이어리
MXPA06013293A (es) Componente empastado con dispositivo elastico ajustable.
US8591135B2 (en) File binder and document organizer
JP3182254U (ja) 記録帳
KR20190002763U (ko)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US6499903B1 (en) Morphing leaf
JP7426222B2 (ja) システム手帳バインダー
US2301422A (en) Bookbinding
US20120057925A1 (en) File binder and document org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