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575A -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575A
KR20110037575A KR1020090095077A KR20090095077A KR20110037575A KR 20110037575 A KR20110037575 A KR 20110037575A KR 1020090095077 A KR1020090095077 A KR 1020090095077A KR 20090095077 A KR20090095077 A KR 20090095077A KR 20110037575 A KR20110037575 A KR 20110037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adapter
nut
protrusio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843B1 (ko
Inventor
신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8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6Bracket or knuckle for rigid axles, e.g. for clamping
    • B60G2204/43065U-shaped bolt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 체결된 너트(4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여 상기 너트(40)가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로부터 풀리지 않게 되고, 상기 유볼트(50)의 절곡부(53)가 수평부(51)와 함께 어퍼플레이트(30)의 가이드홈(33)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절곡부(53)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유볼트(50) 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리프스프링(2)의 내구성 감소를 방지 및 상기 리프스프링(2)의 파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현가장치, 유볼트, 축력

Description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xis force reducing of U-bolt}
본 발명은 상용차용 현가장치에서 유볼트의 축력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차에 적용되는 현가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수의 겹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스프링(2)과, 상기 리프스프링(2)과 리프스프링(2)의 밑에 위치한 액슬(3)을 체결하는 한 쌍의 유볼트(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볼트(4)는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서 상기 리프스프링(2)의 윗면에는 어퍼플레이트(5)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서 상기 리프스프링(2)의 아래면과 상기 액슬(3) 사이에는 쇽업소버브라켓(6)이 설치되는 바, 상기 유볼트(4)는 상단의 수평부(4a)가 상기 어퍼플레이트(5)를 감싸고, 상기 수평부(4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양단의 수직부(4b)가 상기 쇽업소버브라켓(6)과 상기 액슬(3)을 관통한 후 너트(7)와 체결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5)의 위쪽에는 범퍼스토퍼(8)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쇽업소버브라켓(6)에는 쇽업소버(9)의 하단이 설치되고, 상기 쇽업소버(9)의 상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겹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리프스프링(2)은 도 2와 같이 센터부에 형성된 수직한 볼트구멍(10)으로 센터볼트(11)가 체결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센터볼트(1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5)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 형성된 볼트구멍(10)은 상기 리프스프링(2)의 반복 작동시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너트(7)와 체결된 유볼트(4)가 적정한 축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유볼트(4)의 축력이 감소하거나 또는 파손됨으로 인해 상기 유볼트(4)가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 형성된 볼트구멍(10)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응력집중 현상으로 인해 상기 리프스프링(2)은 볼트구멍(10)이 있는 센터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볼트(4)의 축력이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상기 유볼트(4)에 체결된 너트(7)의 풀림 현상, 내구 감소로 인한 상기 유볼트(4)의 파단 현상 등이 있다.
종래에는 액슬(3)을 관통한 유볼트(4)의 끝에 너트(7)가 단순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리프스프링(2)의 반복 작용시 상기 유볼트(4)에 체결된 너트(7)가 쉽게 풀릴 수 있는 구조인 바, 이에 따라 유볼트(4) 축력 감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 3과 같이 유볼트(4)의 수평부(4a)가 어퍼플레이트(5)의 가이드홈(5a)에 안착되어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유볼트(4)의 수직부(4b)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틈새(C1)가 존재하는 구조였다.
이로 인해, 리프스프링(2)의 반복 작용시 상기 유볼트(4)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유볼트(4)의 유동으로 상기 유볼트(4)의 절곡부(4c)가 상기 어퍼플레이트(5)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유볼트(4)는 절곡부(4c)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유볼트(4)의 절곡부(4c)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면 상기 유볼트(4)는 내구성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유볼트(4)는 절곡부(4c)에서 파단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유볼트(4)의 축력 감소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유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및 상기 유볼트와 어퍼플레이트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유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 감소로 인한 상기 유볼트의 파단 현상도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볼트의 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는, 어댑터구멍이 형성된 액슬과; 상기 어댑터구멍으로 끼워져서 회전 불가능하도록 상기 액슬에 설치되고 유볼트의 수직부가 관통하며 하면에 톱니모양의 어댑터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를 관통한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어댑터돌기와 체결되도록 한쪽 면에 톱니모양의 너트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너트와; 상기 유볼트의 수평부 및 상기 유볼트의 절곡부가 함께 삽입되도록 윗면과 양쪽의 측면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볼트의 수직부에 체결된 너트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로부터 풀리지 않게 되고, 상기 유볼트의 절곡부가 수평부와 함께 어퍼플레이트의 가이드홈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절곡부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유볼트 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리프스프링의 내구성 감소를 방지 및 상기 리프스프링의 파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용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를 방지하여 리프스프링의 내구성 감소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리프스프링의 파손 현상을 예 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볼트의 축력이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상기 유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 현상 및, 내구 감소로 인한 상기 유볼트의 파단 현상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유볼트의 축력을 감소시키는 상기의 두 가지 원인을 없앨 수 있는 구성으로,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너트의 풀림 방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차의 현가장치는, 다수의 겹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 도 1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스프링(2)과,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 밑에 위치하고 쇽업소버(9; 도 1참조)의 하단이 결합되는 쇽업소버브라켓(6)과, 상기 쇽업소버브라켓(6)의 밑에 위치하는 액슬(20)과,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 위에 위치하는 어퍼플레이트(30)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0)를 감싼 형식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쇽업소버브라켓(6) 및 상기 액슬(20)을 관통한 후 너트(40)와 체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유볼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 번호 11은 센터볼트(11)로서 어퍼플레이트(30)를 관통한 후 상기 리프스프링(2)의 센터부에 형성된 볼트구멍(10)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유볼트(50)는 도 6과 같이 한 개의 수평부(51)와 두 개의 수직부(52) 및 상기 수평부(51)와 상기 수직부(52)를 연결하는 절곡부(53)로 이루어진 형상이며, 상기 수직부(52)에 상기 너트(40)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홈이 형성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액슬(20)에는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보다 직경이 큰 어댑터구멍(21)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구멍(21)은, 상기 액슬(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통구멍(21a)과, 상기 원통구멍(21a)의 한쪽 끝에서 상기 원통구멍(21a)의 반경방향을 따라 사각 단면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방지홈(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구멍(21)에는 밑에서 위쪽으로 어댑터(60)가 끼워져 설치되는데, 상기 액슬(20)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설치된다.
즉,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어댑터구멍(21)의 원통구멍(21a)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가 관통하는 원통돌기부(61)와, 상기 원통돌기부(61)의 한쪽 끝에서 상기 원통돌기부(6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원판머리부(62)와, 상기 원판머리부(62)에서 상기 원통돌기부(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어댑터구멍(21)의 회전방지홈(21b)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지돌기(6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돌기(63)가 상기 회전방지홈(21b)으로 삽입되면, 상기 어댑터구멍(21)으로 끼워진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액슬(20)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원판머리부(62)의 밑면에는 상기 원판머리부(62)의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이 톱니모양으로 된 어댑터돌기(64)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어댑터돌기(64)는 경사면(64a)과 수직면(64b)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60)를 관통한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는 상기 너트(40)가 나사 체결되어 조립되는 바, 상기 어댑터돌기(64)를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어댑터돌기(64)와 체결되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돌기(41)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너트돌기(41)도 상기 어댑터돌기(64)와 형상이 동일한 톱니모양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경사면(41a)과 수직면(41b)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어댑터돌기(64)의 경사면(64a)과 상기 너트돌기(41)의 경사면(41a)은 상기 너트(40)가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서로 접촉하여 상기 너트(4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어댑터돌기(64)의 수직면(64b)과 상기 너트돌기(41)의 수직면(41b)은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 체결된 상기 너트(4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서로 접촉하여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댑터(60)가 액슬(20)의 어댑터구멍(21)으로 끼워져서 설치될 때 상기 어댑터(60)의 회전방지돌기(63)가 상기 액슬(20)의 회전방지홈(21b)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어댑터구멍(21)으로 끼워진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액슬(20)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60)를 관통한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 너트(40)가 체결되어 조립될 때, 어댑터돌기(64)의 수직면(64b)과 너트돌기(41)의 수직면(41b)이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에 체결된 상기 너트(40)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너트(40)는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로부터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리프스프링(2)이 반복 작용하더라도 유볼트(50)에 체결 된 너트(40)가 풀리지 않게 됨으로써, 유볼트(50) 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리프스프링(2)의 내구성 감소를 방지 및 상기 리프스프링(2)의 파손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는 유볼트(50)의 내구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볼트(50)의 파단 현상을 방지 구성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볼트(50)는 수평부(51)와 수직부(52) 및 상기 수평부(51)와 상기 수직부(52)를 연결하는 절곡부(53)로 이루어진 형상이며, 상기 수평부(51)와 상기 절곡부(53)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0)의 윗면(31)과 양쪽의 측면(32)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3)에 함께 삽입되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홈(33)은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볼트(50)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0)의 가이드홈(33)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유볼트(50)의 수직부(5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0)의 가이드홈(33)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리프스프링(2)이 반복 작용하더라도 상기 유볼트(50)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유볼트(50)의 절곡부(53)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0)에 의해 가압을 받는 상황도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유볼트(50)의 절곡부(53)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리프스프링(2)이 반복 작용하더라도 유볼트(50)는 절곡부(53)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유볼트(50) 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 를 통해 리프스프링(2)의 내구성 감소를 방지 및 상기 리프스프링(2)의 파손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유볼트의 축력 감소 현상이 발생하는 종래의 사용차용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유볼트의 축력 감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용차용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액슬 21 - 어댑터구멍
30 - 어퍼플레이트 31 - 윗면
32- 측면 33 - 가이드홈
40 - 너트 41 - 너트돌기
50 - 유볼트 51 - 수평부
52 - 수직부 53 - 절곡부
60 - 어댑터 64 - 어댑터돌기

Claims (5)

  1. 어댑터구멍이 형성된 액슬과;
    상기 어댑터구멍으로 끼워져서 회전 불가능하도록 상기 액슬에 설치되고 유볼트의 수직부가 관통하며 하면에 톱니모양의 어댑터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를 관통한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어댑터돌기와 체결되도록 한쪽 면에 톱니모양의 너트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너트와;
    상기 유볼트의 수평부 및 상기 유볼트의 절곡부가 함께 삽입되도록 윗면과 양쪽의 측면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어퍼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구멍은,
    상기 액슬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통구멍과;
    상기 원통구멍의 한쪽 끝에서 상기 원통구멍의 반경방향을 따라 사각 단면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방지홈;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원통구멍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가 관통하는 원통돌기부와;
    상기 원통돌기부의 한쪽 끝에서 상기 원통돌기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밑면에 상기 어댑터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원판머리부와;
    상기 원판머리부에서 상기 원통돌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방지홈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지돌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돌기와 상기 너트돌기는 각각 경사면과 수직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어댑터돌기의 경사면과 상기 너트돌기의 경사면은 상기 너트가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서로 접촉하여 상기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어댑터돌기의 수직면과 상기 너트돌기의 수직면은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에 체결된 상기 너트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서로 접촉하여 상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볼트가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가이드홈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유볼트의 수직부와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가이드홈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KR1020090095077A 2009-10-07 2009-10-07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KR10143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77A KR101438843B1 (ko) 2009-10-07 2009-10-07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77A KR101438843B1 (ko) 2009-10-07 2009-10-07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75A true KR20110037575A (ko) 2011-04-13
KR101438843B1 KR101438843B1 (ko) 2014-09-05

Family

ID=4404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077A KR101438843B1 (ko) 2009-10-07 2009-10-07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8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86B1 (ko) * 2015-12-01 2016-08-26 임국건 미끄럼방지 기구
KR20180137316A (ko) * 2017-06-16 2018-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볼트 체결용 너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2101A (ja) * 2015-05-29 2016-12-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のクランプ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924A (ja) 1999-04-21 2000-10-31 Hino Motors Ltd アクスルサスペンション
WO2000077410A1 (fr) 1999-06-14 2000-12-21 Masaki Yamazaki Dispositif de visserie
KR200241791Y1 (ko) 2001-04-30 2001-10-12 이재향 안전 조임 너트를 가진 볼트
KR100506657B1 (ko) * 2003-05-12 2005-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축식 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86B1 (ko) * 2015-12-01 2016-08-26 임국건 미끄럼방지 기구
KR20180137316A (ko) * 2017-06-16 2018-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볼트 체결용 너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843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6802B (zh) 车轮悬挂装置的引导车轮的导杆与法兰之间的连接系统
US20130071203A1 (en) Fastener retention system
JP4861398B2 (ja)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及び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設置補助装置
US20050146109A1 (en) Golf car suspension
CN105764770A (zh) 铁道车辆用轴箱支持装置
KR20110037575A (ko)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AU2014328202B2 (en) Anti-fall air cylinder suspension seat for railway freight train and railway freight train
US20190039413A1 (en) Axle unit
KR101083512B1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EP2554452B1 (en) Link device suitable for linking a first chassis and a second chassis of a rail - mounted vehicle
EP1970225B1 (en) Strut arrangement for wheel axle suspension
CN106553695B (zh) 自卸车及其主副车架联接装置
EP1819536B1 (en) A mounting system for a v-stay in a large vehicle
KR10206287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CN111065566A (zh) 用于将第二部分安装在轨道车辆的车体端部之间的主结构上的保持器
KR20110059326A (ko) 상용차의 현가장치
CN205478827U (zh) 一种长螺母结构
KR20100045797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CN111601748A (zh) 轨道车转向架承梁
JP4337566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リフトシリンダの固定装置
KR20150057417A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CN218177804U (zh) 一种低噪音汽车钢板弹簧
CN204161036U (zh) 稳定杆安装结构及车辆
CN216888332U (zh) 可移动式储罐及罐车
CN212827744U (zh) 一种后钢板弹簧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