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542A -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542A
KR20110037542A KR1020090095033A KR20090095033A KR20110037542A KR 20110037542 A KR20110037542 A KR 20110037542A KR 1020090095033 A KR1020090095033 A KR 1020090095033A KR 20090095033 A KR20090095033 A KR 20090095033A KR 20110037542 A KR20110037542 A KR 2011003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implant
guide bushing
res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2905B1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09009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90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PURPOSE: A stent for an impla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cisely and securely guide a perforation drill. CONSTITUTION: A stent for an implant comprises: a supporting part covering narrow region, tongue region, and occlusion region of teeth; a main body(115) which is extended from the supporting part, is arranged in a site where an implant is planted, and is equipped with a surgical operation part having a penetration hole; guide bushings(150,150') which are inserted in the penetration hole and guide the alveolar bone perforation drill; and a resin frame(145) covering the side of the guide bushing.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레진으로 형성된 레진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부싱이 본체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천공용 드릴을 정확하면서도 견고하게 가이드 할 수 있고,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치아에 삽탈할 때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주거나 또는 치아 표면이나 스텐트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치아의 최대풍륭부 아래의 언더컷 부분과 스텐트의 내면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동시에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임플란트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lant s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guide bushing is fixed to the body by a resin frame formed of a resin can be accurately and firmly guided drill drill, when inserting the implant stent into the tooth It effectively absorbs vibrations caused by the drill for drilling the implant while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undercut of the toot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without causing pain to the patient or causing damage to the tooth surface or the stent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implantable s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임플란트(implant)란 심하게 손상된 치아를 대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철물로서, 치아가 빠진 부분에 특수금속(주로 티타늄이나 티타늄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이식하여 치조골 조직과 엉겨붙게 하여 고정시킨 후, 이것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형성함으로써 본래 자신의 치아와 거의 같은 감각을 가지고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적인 시술방법 또는 이와 같이 시술된 인공치아 자체를 통칭하는 것이다.Implant is a prosthesis used to replace a badly damaged tooth. An artificial root made of a special metal (usually titanium or titanium alloy)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entangled with the alveolar bone tissue. By using the artificial teeth to form a dental treatment method that allows you to live a daily life with a sense almost the same as the original one of their own teeth or the artificial teeth that have been treated in this way.

이러한 임플란트는 틀니, 브릿지 등을 이용한 시술 방법과 비교할 때, 시술이 필요한 치아를 제외한 주변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수명이 길며, 자연치아에 매우 유사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서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다.These implants have recently gained much attention as they have advantages such as long life and very similar to natural teeth,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teeth except for the teeth that need to be treated, compared to the methods using dentures and bridges. .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면, 먼저 임플란트를 시술할 환자의 치은(잇몸)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노출된 치조골 중 임플란트를 삽입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에 드릴과 같은 천공 도구를 사용하여 치조골의 일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식립할 구멍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형성된 구멍에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치은을 덮음으로써 임플란트 설치가 완료된다.If the implant method described above is briefly described, first, the gingival (gum) of the patient to be implanted is cut to expose the alveolar bone. Nex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to be inserted among the exposed alveolar bone is determined, and a hole for implantation is formed by deleting a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at the position using a drilling tool such as a drill. Next, the implant including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s placed in the formed hole, and the implant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covering the gingiva.

한편,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시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 후 그 위에 직접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을 하는 경우,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통상적으로 스텐트(stent)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mplanting the gingival bone by exposing the gingival bone during implantation, and using a direct drill or the like on it, it is usually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and direction to perform the drilling operation. I use an assistive device called.

이러한 스텐트의 경우, 임플란트 시술 전에 고무재질 등의 인상 재료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악(上顎) 및/또는 하악(下顎)의 음형을 획득한 후 상기 음형에 석고를 부어 피시술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형상을 본뜬 석고모형을 제작한다.In the case of such a stent, the upper and / or lower jaw of the subject is obtained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such as a rubber material before the implant procedure, and then plaster is poured on the sound to the upper and / or lower jaw of the subject. Make a plaster model that mimics the shape.

이어서 석고모형을 인공 교합기에 결합시키고, 피시술자의 것과 거의 유사한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다.The gypsum model is then coupled to an articulator and the jaw and upper and lower teeth, almost similar to those of the subject, are reproduced outside the mouth.

그리고, 치아가 상실된 공동부와 몇 개의 치아를 감싸도록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치아가 상실된 공동부에 채워진 수지 부분에는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형성한다.Then, after curing by applying a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over the cavity and the teeth missing teeth, the resin portion filled in the cavity missing teeth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for drilling the implant can pass.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투명한 수지 제품을 스텐트라 하는데, 제작시 투명한 수지가 감쌌던 치아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들어진 공동부는 실제 치아에 끼워짐으로써 스텐트 전체를 지탱하는 지지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transparent resin product made through this process is a stent, and the cavity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tooth that the transparent resin is wrapp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s inserted into the actual tooth to serve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entire stent.

한편 최근에는 3차원 영상기술의 발달에 따라, 석고모형을 대신하여,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쾌속조형(Rapid Prototyping, RP)으로 피시술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을 제작하기도 하는데, 모형의 제조과정만 다를 뿐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만드는 과정은 동일하다.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3D imaging technology, instead of the plaster model, a rapid prototyping (RP) based on 3D image data is used to produce a model that simulates the maxillary and / or mandible of the subject. On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el is different, but the process of making the implant stent is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스텐트를 이용하여 유치악 또는 무치악 피시술자에 대해 천공 작업을 할 때, 스텐트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는 상당히 개선되었기는 하나, 스텐트 자체가 본래 의도하였던 위치를 계속 유지하지 못하고 흔들려 시술자가 한 손으로는 스텐트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천공 기구를 조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However, when using this stent to drill perforated dental or edentulous subjects, it was consider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stent. However, the stent itself was shaken to maintain the position originally intended.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holding the stent and manipulating the drilling tool with the other hand.

치아에 고정된 스텐트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우선적으로 스텐트의 구조에서 기인하는 바가 큰데, 이는 치아의 최대풍륭부에 의하여 스텐트의 외면과 스텐트의 내면 사이의 밀착이 제한받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stent fixed to the teeth does not maintain the initial position is largel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tent, because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n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is limited by the maximum abundance of the teeth.

도 1은 종래의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가 끼워지는 피시술자의 치아를,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스텐트가 치아와 결합한 상태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데,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치아의 최대풍륭부(H) 아래의 언더컷(U)(undercut) 부분과 스텐트의 내면과의 밀착이 부족하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stent and the teeth of the operator to which the stent is inserted, an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nt of FIG. As can be seen, there is a lack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undercut portion (U) below the maximum abundance (H) of the toot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이는 스텐트를 치아에 삽입할 때 스텐트가 상기 최대풍륭부를 유연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스텐트의 개구부가 실제 치아의 언더컷 사이즈보다 다소 크도록 여유를 두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유를 두지 않고 스텐트를 만들면, 스텐트를 치아에 삽탈할 때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주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치아 표면 또는 스텐트 자체에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tooth, the opening of the stent is allowed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actual undercut size of the tooth so that the stent can pass flexibly through the maximum ridge. If the stent is made without such a margin, it will cause pain to the operator when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tooth, and in severe cases, damage to the tooth surface or the stent itself.

이러한 스텐트의 밀착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스텐트를 상당히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수지 재료로 만드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히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수지 재료로 스텐트를 제조하면 스텐트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작 초기의 기본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통 10,000RPM 정도의 고속과 높은 토크로 회전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상태에서도 스텐트가 그 초기 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강성을 가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는 채용하기가 어려운 해결방안이다.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adhesion of the stent, it is possible to consider making the stent into a resin material having a considerably large elastic modulus. However, if the stent is manufactured from a resin material having a fairly large modulus of elasticity, the stent itself is less durable and difficult to maintain the basic shape of the initial stage. In addition, the alveolar bone is usually drilled using a drill rotating at high speed and high torque of about 10,000 RPM. This is a difficult solution to employ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nt does not have rigidity enough to keep its initial position even in the punctured state.

따라서 종래에는 임플란트용 스텐트라면, 치아의 최대풍륭부(H) 아래의 언더 컷(U) 부분과 스텐트의 내면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존재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라 인식되어 왔다.Therefore, it has conventionally been recognized that there is an unavoidable existence of a certain gap between the implant stent surface, the undercut U portion below the maximum abundance H of the toot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레진으로 형성된 레진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부싱이 본체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천공용 드릴을 정확하면서도 견고하게 가이드 할 수 있고,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치아에 삽탈할 때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주거나 또는 치아 표면이나 스텐트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치아의 최대풍륭부 아래의 언더컷 부분과 스텐트의 내면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동시에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임플란트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uide bushing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a resin frame formed of a resin can accurately and firmly guide the drill for drilling, inserting the implant stent into the tooth Vibration caused by the drill for drilling an implant while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undercut portion below the maximum abutment of the toot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without causing pain to the subject or damage to the tooth surface or the stent itself.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nt for implants having a novel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effectively absorb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는, 치아의 협측과 설측 및 교합측을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임플란트가 시술될 부위에 배치되며 관통구멍을 가진 시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치조골 천공용 드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싱; 및 상기 시술부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 부싱을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싱의 측부를 감싸는 레진 프레임;을 포함한다.Implant s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ortion surrounding the buccal and lingual and occlusal side of the tooth,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te where the implant is to be treated and the through hole A main body having an excised surgical part; A guide bush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guide the drill for drilling the alveolar bone; And a resin fram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cedure part and surrounding a side of the guide bushing to fix the guide bushing.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가 옴니백에 의해 가열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in body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s heated by the omni bag.

이때, 상기 지지부는 협측과 설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대풍륭부를 넘어 상기 치아의 언더컷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협측과 설측의 내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undercut of the tooth beyond the maximum wind bulge of at least one of the buccal and lingual,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support.

이때, 상기 탄성체의 탄성계수는 상기 지지부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아울러,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a silicon material.

또한, 상기 지지부의 협측 및 설측의 각 하단부에는 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epped step is further formed at each lower end of the buccal side and the lingual side of the support part.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협측 및 설측 각각에는 상기 탄성체가 충진되는 이탈방지용 관통홀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buccal side and the lingu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the separation preventing the elastic body is filled.

한편, 상기 지지부의 교합측에는 여분의 상기 탄성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cclus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extra elastic body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지지부 및 시술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rgical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or carbon fiber.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싱의 외형이 원통기둥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hape of the said guide bushing is cylindrical cylinder shape.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싱의 외형이 타원기둥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shape of the guide bushing is preferably an ellipsoidal cylinder shape.

나아가, 상기 지지부 또는 시술부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스크류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두원추형의 고정베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truncated cone-shaped fixing bases are formed in the supporting part or the surgical part through which a 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screw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pass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or the surgical part.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하악구조인 석고모형에서 치조골이 천공될 위치에 가이드 부싱을 레진으로 고정하는 가이드 부싱고정단계; 옴니백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넣어 가열하는 수지가열단계; 상기 옴니백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가이드 부싱이 고정된 상기 석고모형 및 상기 석고모형 상의 상기 레진에 씌우는 수지씌움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석고모형 및 상기 레진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옴니백에 의해 하측에서 진공흡입하는 진공흡입단계; 및 상기 가이드 부싱의 중공이 개방되도록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위치된 부분을 제거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guide bushing fixing step of fixing the guide bushing with a resin in the position to be perforated alveolar bone in the plaster model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structure of the subject; Resin heating step for heating by putt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n the omni bag; A resin covering step of covering the thermoplastic resin heated by the omni bag on the gypsum model to which the guide bushing is fixed and the resin on the gypsum model; A vacuum suction step of vacuum suction from the lower side by the omni bag so that the thermoplastic resin contacts the gypsum model and the resin outer surface; And a finish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in which the guide bushing is locat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to open the hollow of the guide bushing.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고정단계는, 상기 석고모형 상에 가이드 부싱을 배치한 후, 상기 가이드 부싱을 고정하도록 상기 레진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빌트업(built up)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bushing fixing step, after placing the guide bushing on the gypsum model, it is preferable to build up (built up) surrounding the side of the guide bushing with the resin to fix the guide bushing.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은, 레진으로 형성된 레진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부싱이 본체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천공용 드릴을 정확하면서도 견고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In the implant stent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ushing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a resin frame formed of a resin, so that the drilling drill can be accurately and firmly guided.

한편, 치아의 협측과 설측 및 교합측을 감싸는 지지부가 협측과 설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대풍륭부를 넘어 상기 치아의 언더컷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협측과 설측의 내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가 부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치아에 스텐트를 삽탈하는 과정이 부드럽게 진행되고, 또한 치아의 최대풍륭부를 지날 때 수축된 탄성체는 언더컷 부분에서 탄성복원되기 때문에 최대풍륭부 아래의 언더컷 부분과 스텐트의 내면이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상호 밀착되어 스텐트의 고정성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surrounding the buccal and lingual and occlusal side of the tooth is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undercut of the tooth over the maximum abundance of at least one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the elastic deformation 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suppor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elastic bodies are attach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into the teeth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proceeds smoothly, and the elastic body that is contracted when passing through the maximum bulge of the tooth is elastically restored at the undercut bulge, The inn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via the elastic body to improve the fixing of the stent.

아울러, 상기 탄성체가 가진 고유의 탄성은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천공작업 중에도 스텐트의 고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has an effect of absorbing vibration caused by the drill for drilling the implant, the stent of the stent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에서 본체와 레진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가 끼워지는 피시술자의 치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 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and a resin frame in the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eeth of the implant to the implant stent and the st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the state in which the implant stent and the tooth is coupl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스텐트는 본체(115), 상기 본체(115)에 장착된 가이드 부싱(150)(150'), 및 상기 본체(115)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싱(150)(150')을 고정하는 레진 프레임(14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mplant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5, the guide bushings 150, 150 'mounted on the main body 115, and the main body 115, the guide bushing 150 And a resin frame 145 fixing 150 '.

상기 본체(115)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치아(100')의 협측(B)(buccal)과 설측(L)(lingual) 및 교합측(O)(occlusal)을 감싸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 부싱(150)(150')이 장착된 관통구멍(142)이 형성된 시술부(140)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115 includes a support part 120 surrounding the buccal B, buccal, lingual, and occlusal sides of at least one tooth 100 ', and the support part. And a surgical part 140 extending from 120 and having a through hole 142 on which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mounted.

이때, 상기 지지부(120)는 협측(B)과 설측(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대풍륭부(H)를 넘어 치아(100')의 언더컷(U)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2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ndercut (U) of the tooth (100 ') beyond the maximum wind bulge (H) of at least one of the buccal (B) and lingual (L).

여기에서, 지지부(120)의 협측(B)과 설측(L)의 내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130)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body 130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s attached to inner surfaces of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art 120.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임플란트용 스텐트(100) 전체를 치아(100')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20 serves to support and hold the entire implant stent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oth (100 ').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는, 피시술자의 치형을 본뜬 모형을 대상으로 하여, 치아가 상실된 치은(110)과 적절한 갯수의 치아(100')를 감싸도록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지부(120)는 수지가 도포되었던 치아(10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공동부(122)를 가진다.Implant stent 100 is to be made by applying a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cover the gingival model of the patient's teeth, the tooth loss 110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teeth (100 ') and harden it Thus, the support 120 has a cavity 122 of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tooth 100 'to which the resin has been applied.

따라서, 상기 공동부(122)가 대응되는 형상의 치아(100')에 끼워졌을 때, 지지부(120)는 치아(100')의 협측(B)과 설측(L) 및 교합측(O)을 감싸는 모양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avity 122 is fitted to the tooth 100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the support part 120 contacts the buccal side B, the lingual side L, and the occlusal side O of the tooth 100'. The wrapping is done.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를 만들 때 몇 개의 치아(100')를 감싸도록 할지, 즉 임플란트용 스텐트(100)에 몇 개의 공동부(122)를 만들지는 스텐트(100)의 고정성을 고려하여 선정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How many teeth (100 ') to wrap when making the implant stent 100, that is, how many cavities 122 to be made in the implant stent 100 in consideration of the fixing of the stent 100 is selected It cannot be decided uniformly.

일례로서,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 치열을 감싸는 형상 외에도 중절치(앞니)를 제외하고 대구치나 소구치만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mplant stent 100, as shown in Figure 4, may have a shape to wrap only the molar or premolars except for the central incisor (front teeth) in addition to the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dentition.

그리고, 상기 시술부(140)는 지지부(120)로부터 연장되며, 치조골 천공용 드릴(200)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싱(150)(15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42)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urgical part 140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120 and has a through hole 142 into which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guide the drill 200 for alveolar bone drilling.

상기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를 만드는 과정에서 치아가 상실된 치은(110) 부분에 도포된 수지가 경화된 부분이기 때문에, 지지부(120)에 형성된 공동부(122)와 같은 구조는 없다.Since the resin applied to the gingival 110 portion where the tooth is lost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implant stent 100 is a hardened portion, there is no structure such as the cavity 122 formed in the support 120.

이러한 시술부(140)는 피시술자의 치열 중 어디에 치아가 없는지에 종속되어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스텐트(100)의 중간이나 단부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procedure 140 is made dependent on where there is no tooth in the teeth of the subject, it may be disposed anywhere in the middle or end of the stent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15) 즉 지지부(120) 및 시술부(140)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가 옴니백에 의해 가열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1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surgical part 14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heat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by an omni bag.

물론, 지지부(120) 및 시술부(140)는 투명한 재질의 수지 뿐만 아니라,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f course, the support unit 120 and the surgical unit 140 may be made of not only a transparent resin, but also fiber reinforced plastics or carbon fibers.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의 보강재로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또는 케블라(kevlar) 등이 사용될 수 있다.Glass fiber, carbon fiber or kevlar may be us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of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한편, 상기 가이드 부싱(150)(150')은 본체(115)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치조골 천공용 드릴(200)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main body 115 to serve to guide the alveolar bone drilling drill 200.

여기에서, 본체(115) 시술부(140)의 관통구멍(142)은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200)이 출입하는 구멍으로서, 드릴(200)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은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드릴(200)의 출입통로로서의 역할을 하였을 뿐, 드릴(200)의 천공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했다.Here, the through-hole 142 of the main body 115 surgical section 140 is a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200 for drilling the alveolar bone enters and exits, a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200. The through hole conventionally served only as an access passage of the drill 200 as described above, and did not play a role of guiding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상기와 같은 드릴 천공방향의 가이드를 위해 본 발명은, 시술부(140)의 관통구멍(142)에 가이드 부싱(150)(150')이 끼워져서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142 of the surgical part 140 to guide the drill in the drill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가이드 부싱(150)(150')은 중공형 실린더 형상을 지니면서 치조골 천공용 드릴(200)의 생크부(210)의 외면과 접촉하여 이를 정확한 천공방향으로 유도하는 원형단면의 유도면(15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ank portion 210 of the alveolar bone drilling drill 200 and guide the same in a precise drilling direction. ) Is penetrating.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싱의 다른 일례는 도 11에 도시된다.And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bushing i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부싱(150')은 외형이 타원기둥체 형상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uide bushing 150 ′ is ellipsoidal in shape.

이러한 타원기둥체 형상을 갖는 가이드 부싱(150')의 장점은, 드릴(200)이 유도면(15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스텐트(10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싱(150')은 드릴(200)의 천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드릴(20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부싱(150')이 같이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An advantage of the guide bushing 150 ′ having an elliptic cylinder shape is that the guide bushing 150 ′ fixed to the stent 100 is rotated at high speed while the drill 200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152 ′. ) Is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is elliptica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uide bushing 15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ll 200.

상기 가이드 부싱(150)(150')은 기본적으로 드릴(200)의 천공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드릴 생크부(210)의 적절한 위치에 드릴(20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유도부(220)를 형성하고,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의 하단 또는 상기 유도부(220)의 상면에 스토퍼를 구성한다면 천공깊이 역시 제어할 수 있다.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are basically for guiding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and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200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drill shank 210. If the induction part 220 is formed and a stopper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induction surfaces 152 and 152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the drilling depth may also be controlled.

즉, 상기 드릴(200)의 유도부(220)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하고, 상기 유도부(220)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막는 스토퍼를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 하단 또는 유도부(220)의 상면에 구성하면, 상기 유도부(220)의 하면이 가이드 부싱(150)(150')의 스토퍼에 접촉할 때까지만 또는 상기 유도부(220)의 스토퍼가 가이드 부싱(150)(150')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만 드릴(200)의 전진이 허용됨으로써 천공깊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bushings 150, 150 ′ of the guide bushings 150, 150 ′ is appropriately selected and the stopper prevents the guide portion 220 from moving forward. 152 ') the lower end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until the contact with the stopper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or the stopper of the induction part 220 is guide bushing The drilling depth can be limited by advancing the drill 200 only until i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150 and 150 '.

이러한 스토퍼로서 사용가능한 형상의 예로는,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 하단에 단턱을 두는 것과, 드릴(200)의 유도부(220)의 상면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디스크 형상의 턱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hape that can be used as the stopper include placing the stepped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urfaces 152 and 152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nd the diameter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20 of the drill 200. And forming a disk-shaped jaw protruding along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레진 프레임(145)은 시술부(140) 내면에 부착되며, 가이드 부싱(150)(150')을 고정하기 위해 가이드 부싱(150)(150')의 측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sin frame 14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rgical part 140,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side portions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to fix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가이드 부싱(150)(150')이 레진 프레임(145) 없이 시술부(140)의 관통구멍(142)에 끼워지면 시술부(140)의 유연함으로 인해 외력에 대한 가이드 부싱(150)(150')의 위치고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드릴(200)로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부싱(150)(150')은 움직일 수 있다.When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fitted into the through-holes 142 of the surgical part 140 without the resin frame 145,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for external force may be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surgical part 140. Since the position fixing is not well made,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may be moved in the process of drilling the alveolar bone with the drill 200.

이와 같은 점을 방지하기 위해, 레진 프레임(145)은 본체(115)의 시술부(140) 내면, 도 4에서와 같이 하악구조의 본체(115)에서는 시술부(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관통구멍(142)에 끼워진 가이드 부싱(150)(150')의 측부를 감싸서 가이드 부싱(150)(1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oint, the resin frame 14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tment unit 140 of the main body 115, the lower surface of the surgical unit 140 in the lower body main body 115 as shown in FIG. 4,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fitted in the through holes 142 are wrapped to fix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plant sten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하악구조인 석고모형에서 치조골이 천공될 위치에 가이드 부싱(150)(150')을 레진으로 고정한다(S100). 여기에서 레진은 경화되어 레진 프레임(145)이 된다.First, in the gypsum model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structure of the subject,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fix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alveolar bone is to be punctured (S100). Here, the resin is cured to form the resin frame 14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부싱 고정단계(S100)는, 석고모형 상에 가이드 부싱(150)(150')을 배치한 후, 가이드 부싱(150)(150')을 고정하도록 레진으로 가이드 부싱(150)(150')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석고모형 상에 빌트업(built up)하여 레진 프레임(145)이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guide bushing fixing step (S100), after placing the guide bushings 150, 150 'on the gypsum model, guide bushings 150 with resin to fix the guide bushings 150, 150' The resin frame 145 is built up on the gypsum model by enclosing the sides of the cavities 150 '.

그런 다음, 옴니백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넣어 가열한다(S110).Then, the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s put into the omni bag (S110).

이때, 옴니백에 열가소성 수지의 테두리를 고정한 다음 가열하여 상기 수지가 유연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d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fixed to the omni bag and then heated to make the resin flexible.

이어서, 옴니백에 의해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를 가이드 부싱(150)(150')이 고정된 석고모형 및 상기 석고모형 상의 상기 레진 프레임(145)에 씌운다(S120).Subsequently, the thermoplastic resin heated by the omnibag is covered with the gypsum model to which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fixed and the resin frame 145 on the gypsum model (S120).

다음으로, 열가소성 수지가 석고모형 및 레진 프레임(145)의 외면에 접하도록, 옴니백에 의해 하측에서 진공흡입한다(S130).Next, the thermoplastic resin is sucked under vacuum by the omnibag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laster model and the resin frame 145 (S130).

마지막으로, 가이드 부싱(150)(150')의 중공이 개방되도록, 열가소성 수지에서 가이드 부싱(150)(150')이 위치된 부분을 제거한다(S140).Finally, the portion in which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positioned is removed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so that the hollows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re opened (S14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oth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지부(120)에서, 교합측(O)을 제외한, 협측(B)과 설측(L)의 내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130)가 부착된다.In the support part 120, except for the occlusal side (O), the elastic body 130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도 6은 도 4의 스텐트(100)와 치아(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인데, 상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아(100')의 최대풍륭부(H) 아래의 언더컷(U) 부분과 스텐트(100)의 내면이 탄성체(130)를 매개로 하여 상호 밀착되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nt 100 and the tooth 100 'of FIG. 4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H) the undercut U portion belo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via the elastic body 130.

상기 탄성체(130)는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탄성체(130)의 탄성계수는 상기 지지부(120)의 탄성계수 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body 130 is made of a material free of elastic deformation, for example, silicon material,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body 130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portion 120.

따라서 스텐트(100)를 치아(100')에 삽탈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지지부(120)가 탄성변형되기 이전에 탄성체(130)가 먼저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120)의 탄성변형은 최소화되면서 스텐트(100)는 치아(100')에 부드럽게 삽탈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100 into the tooth 100 ′, since the elastic body 130 first causes elastic deformation before the support 120 is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rt 120 is minimized. While the stent 100 is able to be gently inserted into the tooth (100 ').

또한, 스텐트(100)가 치아(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지지부(120)의 교합측(O)이 치아(100')의 교합면에 접촉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탄성체(130)는 탄성복원되어 치아(100')의 최대풍륭부(H) 아래의 언더컷(U) 부분과 스텐트(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에 충만됨으로써 스텐트(100)의 밀착성을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ent 1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ooth 100 ′, that is, when the occlusal side O of the support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ooth 100 ′, the elastic body 130 The elasticity is restored so a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undercut U portion below the maximum wind portion H of the tooth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nt 100 to maintain the adhesion of the stent 100.

상기 탄성체(130)의 역할은 정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동적인 상태에서도 스텐트(100)의 고정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데, 이는 상기 탄성체(130)가 가진 고유의 탄성이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200)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The role of the elastic body 130 contributes to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stent 100 not only in the static state but also in the dynamic state, which inherent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130 to the drill for drilling the implant (200) This is because it has an effect of absorbing the vibration caused b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는, 반복적인 스텐트의 삽탈로 인하여 탄성체(130)가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lant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elastic body 130 from being detached due to reinsertion of the stent repeatedly.

상기 탄성체(130)가 지지부(120)의 협측(B)과 설측(L)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힘은, 탄성체(130) 자체가 가지는 점착력이다. 상기 탄성체(130)의 바람직한 재질로서 실리콘을 선택한 것에는, 탄성복원력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점착력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The basic force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body 130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art 120 is the adhe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130 itself. The reason why silicon is selected as the preferred material of the elastic body 130 is that not only elastic restoring force but also such adhesive forc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그러나 탄성체(130)의 점착력만으로는 반복적인 스텐트의 사용에 의하여 탄성체(130)가 처음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두 가지의 추가적인 구성을 제공한다.However, the adhe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130 alone may not be sufficient to prevent the elastic body 130 from deviating from or leaving the initial position by the use of a repetitive s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astic body 130.

첫번째 구성은 상기 지지부(120)의 협측(B) 및 설측(L)의 각 하단부에 단턱(124)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7은 지지부의 협측(B)과 설측(L)의 각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인데, 상기 단턱(124)의 구성이 잘 나타나 있다.The first configuration is to form step 124 at each lower end of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art 120.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a state where the implant stent and the tooth of FIG. 4 are coupled when the jaws are formed at each lower end of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The configuration of 124 is shown well.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상기 단턱(124)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130)는 교합측(O)의 끝부분과 상기 단턱(124) 사이에 끼워진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130)가 제 위치에서 밀려나거나 또는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 으로 억제된다.As can be seen intuitivel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ep 124, the elastic body 130 has a form sandwiched between the end of the occlusal side (O) and the step 124, accordingly the elastic body 130 It is effectively suppressed to be pushed out or released out of position.

두번째 구성은 상기 지지부(120)의 협측(B) 및 설측(L)에 이탈방지용 관통홀(126)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8은 도 4의 스텐트(100)와 치아(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C-C 선을 따라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인데, 상기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내부까지 탄성체(130)가 충진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한다.The second configuration is to form a through-hole for preventing separation 126 in the buccal side (B) and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ortion 120.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stent 100 and the tooth 100 ′ of FIG. 4 are cut along the CC line, and the elastic body 130 is filled to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through hole 126. Note the facts.

상기 탄성체(130)를, 경화되기 전에는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만든다면, 탄성체(130)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리콘 재질을 지지부(120)의 협측(B) 및 설측(L) 내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내부까지 실리콘을 충진시킬 수 있으며, 실리콘의 유동성이 사라진 후에는 탄성체(130)는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내부로 연장된 팔(126')(arm)을 가지게 된다.If the elastic body 130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fluidity before curing, the silicone material is applied to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art 120 to form the elastic body 130. In this process, the silicon can be filled to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through hole 126. After the fluidity of the silicon disappears, the elastic body 130 extends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through hole 126. Have).

이에 따라, 완성된 탄성체(130)는 상기 팔(126')과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내면과의 점착력에 의하여 보다 견고히 부착되고, 아울러 상기 팔(126')은 탄성체(130)가 상하로 움직이려 할 때 발생되는 전단력에도 대항할 수 있으므로, 탄성체(130)의 고정성은 더욱 확실히 보장된다.Accordingly, the completed elastic body 130 is more firmly attached b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rm 126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6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the arm 126 ′ has the elastic body 130 up and down. Since it can counter the shear force generated when trying to move, the fixing of the elastic body 130 is more surely guaranteed.

한편, 상기 지지부(120)의 교합측(O)에는 탄성체(130)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교합측(O)에 탄력적으로 거동하는 탄성체(130)가 있게 되면 스텐트(100)의 상하 방향의 고정에 유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occlusal side (O) of the support portion 120 does not include an elastic body 130, which is when the elastic body 130 is elastically behaving on the occlusal side (O)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ent 100 This is because play occurs in fixation.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지지부(120)의 교합측(O)에는 탄성체(130)가 있어 서는 안된다. 그러나 탄성체(130)를 구성하기 위하여 수지를 지지부(120)의 협측(B) 및 설측(L)에 도포할 때에는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더 도포하게 되므로, 여분의 수지가 밀려 올라가서 교합측(O)에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Therefore, in no case should the elastic body 130 on the occlusal side (O) of the support portion 120. However, when the resin is applied to the buccal side B and the lingual side L of the support part 120 in order to form the elastic body 130, the resin is applied with a little margin, so that the extra resin is pushed up to the occlusal side O. There is a possibility of entering.

도 9는 도 4의 스텐트(100)와 치아(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D-D 선을 따라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인데, 상기 지지부(120)의 교합측(O)에 여분의 탄성체(13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28)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28)은 치아 교합면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stent 100 and the tooth 100 ′ of FIG. 4 are cut along the DD line, and an extra elastic body 130 is provided on the occlusal side O of the support 120.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hole 128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is formed. The discharge hole 128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tooth occlusal surface.

여기에서, 상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00)의 기본적인 실시예는 물론 각 변형례, 즉 단턱(124)과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및 배출공(128)의 구성을 한번에 보여주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는 것을 감안하여야 한다. 즉 단턱(124)과 이탈방지용 관통홀(126) 및 배출공(128)의 구성이 각각 별개로 존재하여야 할 필요나 제한은 전혀 없으며, 상기 세 가지 추가적인 구성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상호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을 주의하여야 한다.Here, Figure 4 is a basic embodiment of the implant st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of each modification, that is, step 124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through-hole 126 and the discharge hole 128 at once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o show. That is, there is no need or limitation that the step 124, the separation prevention through-hole 126, and the discharge hole 128 have to be separately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three additional configuratio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s needed. Care should be taken.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00)의 지지부(120)의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는데, 상기 지지부(120)의 독특한 구성 외에도, 본 발명은 몇 가지 다른 기술적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of the implant st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niqu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ome other technical features. .

먼저 언급할 부분은 시술부(140)의 관통구멍(142)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관통구멍(142)은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200)이 출입하는 구멍인데, 상기 드릴(200)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관통구멍(142)은 단순히 드릴(200)의 출입구로서만 기능하였지 드릴(200)의 천공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은 전혀 수행하지 못했다.The part to be mentioned first relates to the through hole 142 of the surgical part 140. The through hole 142 is a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200 bores the alveolar bone, and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200.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through hole 142 merely functions a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drill 200, but did not play a role of guiding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프란트용 스텐트(100)는 상기 시술부(140)의 관통구멍(142)에 치조골 천공용 드릴(200)의 천공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기둥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가이드 부싱(150)을 매립하여 고정하였다(도 4 참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mplant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10, for guiding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alveolar bone drilling drill 200 in the through-hole 142 of the surgical section 140 A guide bushing 150 having a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4 was embedded and fixed (see FIG. 4).

상기 가이드 부싱(150)은 치조골 천공용 드릴(200)의 생크부(210)의 외면과 접촉하여 이를 정확한 천공방향으로 유도하는 원형단면의 유도면(15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The guide bushing 150 is formed through the induction surface 152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ank 210 of the alveolar bone drilling drill 200 to guide it in the correct drilling direction.

또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또 다른 일례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1의 가이드 부싱(150')의 특징은 그 외형이 타원기둥체 형상이라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bushing is shown in FIG. 11. The characteristic of the guide bushing 150 ′ of FIG. 11 is that the outer shape is an ellipsoidal cylinder shape.

이러한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이드 부싱(150')의 장점은, 드릴(200)이 유도면(15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스텐트(10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싱(150')은 드릴(200)의 천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드릴(20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부싱(150')이 같이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An advantage of the guide bushing 150 'in the shape of the elliptic cylinder is that the guide bushing 150' fixed to the stent 100 is rotated at high speed while the drill 200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152 '.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is elliptica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uide bushing 150 'from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ll 200.

상기 가이드 부싱(150)(150')은 기본적으로 드릴(200)의 천공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드릴 생크부(210)의 적절한 위치에 드릴(20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유도부(220)를 형성하고,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의 하단 또는 상기 유도부(220)의 상면에 스토퍼를 구성한다면 천공깊이 역시 제어할 수 있다.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 are basically for guiding the drilling direction of the drill 200, and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200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drill shank 210. If the induction part 220 is formed and a stopper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induction surfaces 152 and 152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the drilling depth may also be controlled.

즉, 상기 드릴(200)의 유도부(220)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하고, 상기 유도부(220)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막는 스토퍼를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 하단 또는 유도부(220)의 상면에 구성하면, 상기 유도부(220)의 하면이 가이드 부싱(150)(150')의 스토퍼에 접촉할 때까지만 또는 상기 유도부(220)의 스토퍼가 가이드 부싱(150)(150')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만 드릴(200)의 전진이 허용됨으로써 천공깊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bushings 150, 150 ′ of the guide bushings 150, 150 ′ is appropriately selected and the stopper prevents the guide portion 220 from moving forward. 152 ') the lower end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20 until the contact with the stopper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or the stopper of the induction part 220 is guide bushing The drilling depth can be limited by advancing the drill 200 only until i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150 and 150 '.

이러한 스토퍼로서 사용가능한 형상의 예로는, 가이드 부싱(150)(150')의 유도면(152)(152') 하단에 단턱을 두는 것과, 드릴(200)의 유도부(220)의 상면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디스크 형상의 턱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hape that can be used as the stopper include placing the stepped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urfaces 152 and 152 'of the guide bushings 150 and 150', and the diameter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20 of the drill 200. And forming a disk-shaped jaw protruding along the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스텐트(100)가 가지는, 상기 지지부(120)의 독특한 구성 외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절두원추형의 고정베이스(160)를 상기 지지부(120) 및/또는 시술부(1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립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mplant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uniqu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the support base 120 is a truncated cone-shaped fixed base 160 as shown in FIG. And / or at least one embedded in the surgical unit 140.

상기 고정베이스(16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있는데, 임플란트용 스텐트(100)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300)가 상기 관통홀(162)을 통과하여 치조골과 나사결합된다(도 4 참조).The fixing base 16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62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screw 300 for fixing the implant stent 100 more firmly in the mouth of the operator is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 162. ) And screwed into the alveolar bone (see FIG. 4).

상기 고정스크류(300)는 피시술자의 치아 상태가 현저히 나쁘거나 스텐트(100)를 지탱할 치아의 숫자가 현저히 부족한 경우에, 스텐트(100)의 고정력을 치조골로부터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fixing screw 300 is used to obtain the fixing force of the stent 100 from the alveolar bone when the tooth state of the subject is significantly bad or the number of teeth to support the stent 100 is significantly short.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00)에 매립된 고정베이스(160)는 치은(110)과 고정스크류의 머리부(310) 사이에서 압박되는데, 절두원추 형상의 상하면 중 넓은 저면이 치은(11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고정스크류(300)의 압박에 의하여 고정베이스(160)가 스텐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xed base 160 embedded in the implant st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between the gingiva 110 and the head 310 of the fixing screw, a wid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ustoconical gingiva (110) It is arranged to contact with. This arrangement prevents the fixing base 1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ent 100 by the pressing of the fixing screw 3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가 끼워지는 피시술자의 치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eeth of the implant and the stent for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치아와 결합한 상태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stent of FIG. 1 is coupled to a tooth.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에서 본체와 레진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and the resin frame in the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가 끼워지는 피시술자의 치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eeth of the implant and the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nt.

도 5는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제조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plant stent of FIG. 4.

도 6은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stent and tooth of FIG.

도 7은 지지부의 협측과 설측의 각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a state where the implant stent and the tooth of FIG. 4 are coupled when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each of the lower side of the buccal side and the lingual side of the support.

도 8은 상기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stent and tooth of FIG.

도 9는 상기 도 4의 임플란트용 스텐트와 치아가 결합된 상태에서 D-D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stent and tooth of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관통구멍에 매립 고정되는 원 통기둥체 형상의 가이드 부싱에 대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cylindrical bushing that is buried in the through-hole of the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관통구멍에 매립 고정되는 타원기둥체 형상의 가이드 부싱에 대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liptic cylinder-shaped guide bushing embedded in a through-hole of an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지지부 및/또는 시술부에 매립되는 절두원추형의 고정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base of a truncated cone-shaped embedded in the support and / or treatment of the implant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임플란트용 스텐트 100': 치아100: implant stent 100 ': teeth

110 : 치은 115 : 본체110: gingiva 115: body

120 : 지지부 122 : 공동부120: support part 122: cavity part

124 : 단턱 126 : 이탈방지용 관통홀124: step 126: through hole for separation prevention

126' : 팔 128 : 배출공126 ': arm 128: discharge hole

130 : 탄성체 140 : 시술부130: elastic body 140: the surgical part

142 : 관통구멍 145 : 레진 프레임142: through hole 145: resin frame

150, 150' : 가이드 부싱 152,152': 유도면150, 150 ': guide bushing 152,152': guide face

160: 고정베이스 162: 관통홀160: fixed base 162: through hole

200: 천공용 드릴 210: 드릴의 섕크부200: drilling drill 210: shank portion of the drill

220: 드릴의 유도부 300: 고정스크류220: guide portion of the drill 300: fixed screw

310: 고정스크류의 머리부 B: 협측(Buccal)310: head of the fixing screw B: buccal

L: 설측(Lingual) O: 교합측(Occlusal)L: Lingual O: Occlusal

H: 최대풍륭부(Height of contour) U: 언더컷(Undercut)H: Height of contour U: Undercut

Claims (14)

치아의 협측과 설측 및 교합측을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임플란트가 시술될 부위에 배치되며 관통구멍을 가진 시술부를 구비하는 본체; A main body including a support portion surrounding the buccal and lingual and occlusal sides of the tooth, and a treatm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disposed at a portion to be implanted and having a through-hole;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치조골 천공용 드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싱; 및A guide bush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guide the drill for drilling the alveolar bone; And 상기 시술부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 부싱을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싱의 측부를 감싸는 레진 프레임;A resin fram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cedure part and surrounding a side of the guide bushing to fix the guide bush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s comprising a. 제1항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가 옴니백에 의해 가열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The main body is an 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s heated by the omni bag. 제1항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 협측과 설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대풍륭부를 넘어 상기 치아의 언더컷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ndercut of the tooth beyond the maximum bulge of at least one of the buccal and lingual, 상기 지지부의 협측과 설측의 내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ody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suppor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탄성체의 탄성계수는 상기 지지부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The stent for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body is great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The stent for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erial is a silicon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의 협측 및 설측의 각 하단부에는 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urther formed on each lower end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support.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상기 지지부의 협측 및 설측 각각에는 상기 탄성체가 충진되는 이탈방지용 관통홀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through hole filled with the elastic body.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상기 지지부의 교합측에는 여분의 상기 탄성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lusal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extra elastic body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 및 시술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The support and the implant portion is a stent for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or carbon fi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부싱의 외형이 원통기둥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ape of the guide bushing is cylindrical cylinder sha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부싱의 외형이 타원기둥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용 스텐트.Implant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ape of the guide bushing is an ellipsoidal cylinder sha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 또는 시술부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스크류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두원추형의 고정베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The support or the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mplant is embedded in the truncated cone-shaped fixing bas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screw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o fix the implant stent For stents.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하악구조인 석고모형에서 치조골이 천공될 위치에 가이드 부싱을 레진으로 고정하는 가이드 부싱고정단계;A guide bushing fixing step of fixing the guide bushing with a resin at a position where the alveolar bone is to be perforated in a plaster model having a maxillary or mandibular structure of the subject; 옴니백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넣어 가열하는 수지가열단계;Resin heating step for heating by putt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n the omni bag; 상기 옴니백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가이드 부싱이 고정된 상기 석고모형 및 상기 석고모형 상의 상기 레진에 씌우는 수지씌움단계;A resin covering step of covering the thermoplastic resin heated by the omni bag on the gypsum model to which the guide bushing is fixed and the resin on the gypsum model;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석고모형 및 상기 레진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옴니백에 의해 하측에서 진공흡입하는 진공흡입단계; 및A vacuum suction step of vacuum suction from the lower side by the omni bag so that the thermoplastic resin contacts the gypsum model and the resin outer surface; And 상기 가이드 부싱의 중공이 개방되도록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위치된 부분을 제거하는 마무리단계;A finish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where the guide bushing is locat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so that the hollow of the guide bushing is open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조방법.Implant sten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가이드 부싱고정단계는,The guide bushing fixing step, 상기 석고모형 상에 가이드 부싱을 배치한 후, 상기 가이드 부싱을 고정하도록 상기 레진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빌트업(built u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조방법.After placing the guide bushing on the gypsum model, the implant sten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up (built up) surrounding the side of the guide bushing with the resin to fix the guide bushing.
KR1020090095033A 2009-10-07 2009-10-07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92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33A KR101092905B1 (en) 2009-10-07 2009-10-07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33A KR101092905B1 (en) 2009-10-07 2009-10-07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42A true KR20110037542A (en) 2011-04-13
KR101092905B1 KR101092905B1 (en) 2011-12-12

Family

ID=4404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033A KR101092905B1 (en) 2009-10-07 2009-10-07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9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289A1 (en) * 2016-06-21 2017-12-28 이태경 Device for manufacturing guide template for dental implant surgery
WO2019078675A1 (en) * 2017-10-19 2019-04-25 이태경 Mouth model for manufacturing guide template for precise dental implant surgery
WO2019213354A1 (en) * 2018-05-03 2019-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ntal ridge augmentation matrix with integrated dental implant surgical drill guid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81B1 (en) 2016-07-14 2017-03-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Guide apparatus for implant procedure
KR101963696B1 (en) 2017-07-24 2019-03-29 (주) 예스바이오테크 Guide ring for dental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477A1 (en) 2003-05-02 2004-11-04 Harter Robert J. Spherical drill bushing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US7044735B2 (en) 2003-05-02 2006-05-16 Leo J. Malin Method of installing a dental implant
US6971877B2 (en) 2003-05-02 2005-12-06 Leo J. Malin Dental implant tool with attachment featu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289A1 (en) * 2016-06-21 2017-12-28 이태경 Device for manufacturing guide template for dental implant surgery
WO2019078675A1 (en) * 2017-10-19 2019-04-25 이태경 Mouth model for manufacturing guide template for precise dental implant surgery
KR20190043682A (en) * 2017-10-19 2019-04-29 이태경 Oral cavity model for fabricating a guide template of precise dental implant surgery
WO2019213354A1 (en) * 2018-05-03 2019-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ntal ridge augmentation matrix with integrated dental implant surgical drill guide system
US11540900B2 (en) 2018-05-03 2023-0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ntal ridge augmentation matrix with integrated dental implant surgical drill gu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905B1 (en)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287B1 (en) Stent including elastic part using for surgical operation of implant
KR101152851B1 (en) Intraoral appliance for merging image of impression model and patient ct
KR100920727B1 (en) Stent structure for an implant with an elastic materials for accurate guidanc-insertion
US55802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dental impressions
KR19990087401A (en) Single tooth recovery system
TWI650107B (en) Implant surgery guiding device
KR101092905B1 (en) Stent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3763B1 (en)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 position
KR100744838B1 (en) Microimplant fix guide
JP2013138752A (en) Artificial tooth having keeping mechanism
KR102226949B1 (en) Impression tray set and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KR101240357B1 (en) Rapid prototype of oral model assembly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KR101360953B1 (en) Dental drill guide apparatus
KR100977908B1 (en) Fixture inserted into an implant stent using for accurate guide
JP2022516982A (en) Anatomical self-grasping dental barrier device
BR112021013166A2 (en) 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JP4116783B2 (en) Denture with denture
KR20200078782A (en) digital bridge apparatus for jawbone regeneration
RU2401082C2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at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of
CN11402801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guide plate and guide plate manufactured by method
KR101528032B1 (en) Transmucosal implant guide for flapless implant surgery
KR101034370B1 (en) Stent fixture for an implant for accurate guidance-insertion
KR101455067B1 (en) Processing member for implant surgical guiding hole
KR101699498B1 (en) Saddle type implant assembly and producting method thereof
CN219963113U (en) dental dril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