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483A -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483A
KR20110036483A KR1020100024751A KR20100024751A KR20110036483A KR 20110036483 A KR20110036483 A KR 20110036483A KR 1020100024751 A KR1020100024751 A KR 1020100024751A KR 20100024751 A KR20100024751 A KR 20100024751A KR 20110036483 A KR20110036483 A KR 2011003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loor
information
microproc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식
유명한
Original Assignee
(주)위너테크
유명한
김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너테크, 유명한, 김향식 filed Critical (주)위너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6483A/ko
Publication of KR2011003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층별로 설치되어 탑승 대기중인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승강기의 운행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승하강(Up-Down) 선택부(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며,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진행 및 정차 상태를 음성 및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정보표시부(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어, 통신 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통신부(50)와; 상기 내부통신부(50)와 교신하며, 승객의 인원정보와 층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승강기통신부(60)와, 가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를 구비한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80);를 포함하며, 특히 승강기의 정지 버튼이 눌러져 있음에도 승객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정차를 하거나, 승강기 탑승객이 만원 상태 일 때도 정차하는 경우, 또한 비상탑승이 필요한 경우에도 만원 표시가 있을 경우에는 정차하지 않아 겪게 되는 곤란함을 제거하기 위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Elevator Non-Stop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정지 버튼이 눌러져 있음에도 승객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 정차를 하거나, 승강기 탑승객이 만원 상태 일 때도 정차하는 경우, 또는 비상 상황에서 신속한 탑승이 필요한 때 승객만원 표시가 있을 경우에는 정차하지 않아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백화점 및 공공시설이 대형화되고 다층구조를 갖게 되면서 승강기(An Elevator)는 건물에 있어 필수적 장비로 그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를 이용하면서 본원의 발명자는 정차 또는 승객만원 탑승시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승강기를 탑승하였을 때 누구나 한번쯤은 겪는 일로 승강기의 문이 열렸는데 타는 사람(승객)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누군가 해당층의 정지 스위치를 눌러놓은 후에 계단을 이용하거나, 다른 사유로 승강기 타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이다.
또, 아이들이 탑승하여 장난으로 승강기를 매층 정차하도록 눌러 놓아 각 층마다 승강기가 서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급한 용무가 있거나 응급한 조치가 필요한 비상상황에서는 승객들에게 짜증을 일으킬 수 있고 때로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층에서 승강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정차하였으나 승차인원이 초과하여 더 이상 탑승하지 못하고 포기해야 하거나, 탈 것인가 말 것인가 고민하다 겨우 비집고 탔는데 경보장치가 울려서 무안했던 경험이 누구나 한번쯤은 겪는 일이다. 만원으로 혼잡한 승강기가 층마다 서는 것도 탑승자에게는 짜증나는 일일 뿐 아니라, 정차 및 운행에 따른 전력비용의 낭비가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다.
더욱이 승강기는 급증하는 아파트 단지, 백화점, 아파트형 공장 등에 필수적인 장비이므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정차 작동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큰 것으로 신속한 대비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해 정차(Stop) 스위치만 눌러 놓고 다른 승강기를 이용하거나, 탑승을 포기하고 자리를 이탈 한 경우 이동 중인 승강기에 각층의 정보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탑승객이 만원일 경우 각층에 만원상태라는 탑승인원의 정보를 알려주고 무정차하여 통과함으로써 대기하는 사람과 탑승한 인원 모두에게 시간 낭비를 해소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은,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층별로 설치되어 탑승 대기중인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승강기의 운행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승하강(Up-Down) 선택부(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며,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진행 및 정차 상태를 음성 및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정보표시부(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어, 통신 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통신부(50)와; 상기 내부통신부(50)와 교신하며, 승객의 인원정보와 층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승강기통신부(60)와, 가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를 구비한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해 정지(Stop) 스위치를 눌러 놓고 다른 승강기를 이용하거나, 탑승을 포기하고 자리를 이탈 한 경우 이동 중인 승강기에 각층의 정보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탑승객이 만원일 경우 각층에 만원상태인 탑승인원의 정보를 알려주고 무정차 통과함으로써 대기하는 사람과 탑승한 인원 모두에게 시간 낭비를 해소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의하면, 승객의 탑승 가능여부를 미리 감지하여 통보함으로써 정차와 무정차를 결정할 수 있고, 승객만원인 경우에도 비상사태시에는 정차시켜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시간적인 낭비를 제거하고 효율적인 승강기 운용으로 승강기 유지보수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어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용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flow chart),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인원이 만원일 경우에 무정차 통과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탑승 중량에 따른 제어방법과 긴급상황시 정차시키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량정보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탑승을 위해 정차 버튼을 누른 후 위치를 이탈했을 때 무정차 진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인원정보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은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층별로 설치되어 탑승 대기중인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승강기의 운행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승하강(Up-Down) 선택부(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며,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진행 및 정차 상태를 음성 및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정보표시부(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어, 통신 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통신부(50)와; 상기 내부통신부(50)와 교신하며, 승객의 인원정보와 층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승강기통신부(60)와, 가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를 구비한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을 작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과 그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는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이다.
상기 감지센서부(20)는 승강기가 운행되는 층마다 구비되어, 소정의 인식영역(Recognition Area) 범위 내에 인체 및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통지한다.
상기 승하강 선택부(30)는 승강기의 승하강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 승강기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승버튼(32)과 하강버튼(34)을 구비하여, 탑승자의 승하강 선택 명령을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통지한다. 이는 통상의 승강기에 설치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40)는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층 위치정보표시기(42)와, 탑승 인원 및 중량을 표시하기 위한 인원정보표시기(44)와, 해당층에 정차 또는 진행 상태를 점멸하여 표시하기 위한 램프표시기(46)와, 만원시 경보음과 안내방송 등을 음성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용 스피커(4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통신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를 제어하는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포터(세부 구성은 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인원정보, 위치(층)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 등을 교신한다.
상기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80)에는 승강기를 통제하기 위한 통신명령을 송수신 하는 승강기 통신부(60)와 전원부(70)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기 통신부(60)는 내부통신부(50)와의 교신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70)는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운행 및 가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정보표시부(40)에 구비되는 층위치 정보표시기(42)와 인원정보표시기(44) 및 램프(46)는 청색 및 적색의 발광다이오드(LED)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내용은 현재 층위치 정보는 29층이며, 인원정보는 100% 중량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어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용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flow chart)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a)에 도시한 3층에 승객 또는 물체를 휴대한 사용자가 승하강 선택부(30)의 하강버튼(34)를 누른 상태이고,위치정보표시기(42)는 3층을 지시하고, 하강버튼(34)이 눌려진 상태임.
(b)에서는 사용자가 인식영역(recognition area) 범위를 이탈 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감지센서부(20)의 감지 결과 승차대기 인원이 없음을 통지 받아 무정차 통과한다.
(c)에서는 하강버튼(34)이 점등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인식영역 내에 있는 경우로,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서는 사용자가 탑승대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정차한다. 이후, 상승버튼(32)가 눌려져 있음으로 상승출발한다.
(d)는 지하 1층(B1)의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은 인체 및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부(20)는 내부 타이머(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일정시간(운행중이므로 대략 1~3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과하여 자리를 비울 경우 사람 또는 물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 시간은 사용자의 통제에 의해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 감지센서부(20)에 연동되도록 램프(46) 및 음성출력용 스피커(48)를 내장하여 인체(또는 물체)의 감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해당층의 승하강 버튼(32, 34)(층마다 설치되어 있는 올라감, 내려감 스위치)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아무것도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 센서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에 의한 감지센서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 되어 내부통신부(50)의 통신포트(도시 생략)를 통해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에 위치(층)정보와 인원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에서 보내온 위치정보와 인원정보 등을 각층에 표시하여 층에 대기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탑승가능여부와 승강기 내부 정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0: 승강기선택부(30)의 승하강 버튼(32, 34)이 눌려졌는가를 판단하고, 예(Yes)이면 진행하고, 아니오(No)이면 되돌리는 단계;
S12: 상기 S10에서 승하강버튼이 눌려졌으면 해당 층으로 승강기가 운행하는 단계;
S13: 센서감지부(20)의 작동을 통해 대기중인 인체 또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S14: 승강기가 이동 운행 중에 업/다운 버튼이 눌린 해당층을 감지하여, 해당층에 대기중인 인원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5: 상기 S14에서 대기중인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No), 각 층에 인원 또는 물체가 없다는 정보를 통지하여 정보표시부에 표출하는 단계;
S16: 상기 S14에서 대기중인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Yes), 인원 또는 물체가 검출되거나 또는 승하강버튼이 계속 눌려져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S18: 상기 S16에서 인원 또는 물체가 검출되거나 또는 승하강버튼이 계속 눌려져 있다면, 해당 층에서 정지한 후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S19: 상기 S16에서 인원 또는 물체가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승하강버튼이 더이상 눌려져 있지 있다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그 제어방법이다.
다음으로 도 5내지 7을 참조하면서, 탑승자가 만원일 경우에 무정차 통과하는 단계와, 탑승자가 만원일 경우라도 비상사태시에는 정차하는 단계, 및 그 것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인원이 만원일 경우에 무정차 통과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용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탑승 중량에 따른 제어방법과 긴급상황시 정차시키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량정보처리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탑승을 위해 정차 버튼을 누른 후 위치를 이탈했을 때 무정차 진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인원정보처리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층위치정보표시기(42)가 3층, 인원정보표시기(44)가 현재 80%의 중량에 해당하는 인원이 탑승한 것을 나타내며, 인식영역 내에 탑승대기중인 승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승하강 선택부(30)는 하강버튼(34)이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승강기는 3층에서 정차한다.
(b)는 층위치정보표시기(42)가 2층, 인원정보표시기(44)가 현재 100%의 중량에 해당하는 인원이 탑승한 것을 나타내며, 인식영역 내에 탑승대기중인 승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승하강 선택부(30)는 하강버튼(34)이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를 센서감지부(20)가 인식하여 승강기는 2층에서 무정차 통과한다.
(c)는 층위치정보표시기(42)가 1층, 인원정보표시기(44)가 현재 100%의 중량에 해당하는 인원이 탑승한 것을 나타내며, 인식영역 내에 탑승대기중인 승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1층에서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이 비상사태임을 알리기 위해 상승버튼(32)또는 하강버튼(34) 중 어느 하나를 일정시간(본 발명에서는 5초이상 계속하여 누르는 경우에 비상사태로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연속하여 눌렀음을 판단하여, 승강기는 1층에서 비상정지하여 비상탑승자가 탑승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미 탑승하여 있는 승객이 탑승을 양보하는 등으로 비상정차에 대응할 수 있다.
(d)는 층위치정보표시기(42)가 B1층, 인원정보표시기(44)가 현재 100%의 중량에 해당하는 인원이 탑승한 것을 나타내며, 인식영역 내에 탑승대기중인 승객이 없는 상태임으로 승강기의 운행 작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0: 센서감지부의 작동을 통하여 승강기 내부의 중량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S22: 승강기 내부가 포화상태(탑승정원을 만족함)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No)라면 복귀하고, 예(Yes)라면 진행하는 단계;
S24: 승강기 중량정보가 만원 상태이면, 램프(46)를 점멸하고, 인원정보표시기(44)를 100(%)로 표시하며, 스피커(48)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경고하는 단계;
S26: S24 단계에서 경고가 발생된 경우라도 승/하강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S27: S26 단계에서 승/하강버튼을 계속누르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면(Yes),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S29: 상기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는 비상사태 발생으로 인식하고 이를 승강기통신부(60)와 교신하는 내부통신부(50)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정차 명령을 제공하고 정차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의하면, 승강기 앞에 탑승객(또는 물체)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각 층마다 승강기 상부나 인근에 설치된 센서감지부에 의해서 검출하며, 검출된 센서의 정보를 승강기 메인컨트롤러에 통신포트를 통해 전달한다.
또, 승강기에서는 해당층의 버튼(층마다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 버튼)이 눌러져 있는지 검출하게 된다. 이때, 해당층의 스위치가 눌러져 있으면, 해당층에 인체(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영역을 설정하여 두고 센서 신호를 한번 더 검출하여, 신호가 없으면 무시하고 다음 층으로 이동하게하고, 센서신호가 있으면 정차하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다.
만약, 해당층의 사람(물체)이 없어 무정차로 통과한 경우에는 눌러진 버튼은 미실행된 예약 버튼으로 인식하고 그 설정은 자동취소 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해당 층에서는 인체가 감지가 안 될 경우 주간에는 음성(부저)이나 램프로 인체(물체)의 감지가 안된다는 신호를 인지하도록 하고, 야간에는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램프 등으로 인체(물체) 감지 여부를 알려서 자리를 떠나지 않도록 경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은, 승강기의 인원정보(포화상태 정보)를 각 층의 표시장치에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각 층에서 대기하고 있던 승객들에게 승강기를 기다려도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각 층에서 대기하던 승객은 이러한 정보를 판단하여 상승버튼(△)(32) 또는 하강버튼(▽)(34)을 누르거나 포기하여 불필요한 운용을 제한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비상사태 등의 요건이 발생하여 승강기를 반드시 정지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계속 누르고 있으면 승강기 메인컨트롤러에서는 비상사태로 인식하고 정차명령을 발행하여 해당층에 탑승하고 있는 인원수(중량)에 관계없이 강제 정차하도록 지시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인원정보에 따른 승강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30: 승하강 선택부(30)에 승하강 버튼(32,34)를 눌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복귀하여 계속감시하는 단계;
S32: S30에서 승하강 버튼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면(Yes), 인식영역내에 탑승자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33: S32에서 탑승자 또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No), 램프(46)를 점등하거나 스피커(48)를 울려 경보하는 단계;
S34: S32에서 탑승자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Yes), 승강기 메인컨트롤러(80)에 탑승자가 있다는 것을 통지하고 정차하는 단계;
S35: S33에서 램프(46)가 점등되거나 스피커(48) 경보가 울린 후, 승하강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Yes) 비상탑승 사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S34로 진행하는 단계;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의하면 승강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탑승자의 중량을 수치로 환산하여 몇kg 또는 %로 각 층에 동시에 통지함으로써 각층에 대기하는 탑승객에게 승강기를 탑승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탑승가능정보(포화상태 여부)와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에 의하면 승강기가 만원 상태로 인하여 더 이상 탑승이 곤란할 경우 각층마다 정보를 알려주고 무정차 통과하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비상시에는 상승버튼(32)(△) 또는 하강(34)(▽) 버튼 중 어느 하나를 계속 누르고 있거나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다면, 이를 비상사태로 인식하여 정차할 수 있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중에 발생하는 비상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눌렀을 때 상승표시(△) 또는 하강표시(▽)를 점멸시켜 깜박이거나 다른 램프색으로 표시하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들어 그 구성과 제어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과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한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과 제어방법을 안출할 수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20: 감지센서부
30: 승하강(Up-Down) 선택부 32: 상승버튼
34: 하강버튼 40: 정보표시부
42: 위치정보표시기 44: 인원정보표시기
46: 램프표시기 48: 스피커
50: 내부통신부 60: 승강기통신부
70: 전원부
80: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
100: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Claims (3)

  1. 승강기의 운행을 제어하는 승강기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층별로 설치되어 탑승 대기중인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고, 승강기의 운행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승하강(Up-Down) 선택부(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며,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진행 및 정차 상태를 음성 및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정보표시부(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되어, 통신 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통신부(50)와;
    상기 내부통신부(50)와 교신하며, 승객의 인원정보와 층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승강기통신부(60)와, 가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를 구비한 승강기 메인컨트롤러(Main Controller)(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10)는 승강기의 운행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이고, 상기 감지센서부(20)는 승강기가 운행되는 층마다 구비되어, 소정의 인식영역(Recognition Area) 범위 내에 인체 및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통지하며, 상기 승하강 선택부(30)는 승강기의 승하강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 승강기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승버튼(32)과 하강버튼(34)을 구비하여, 탑승자의 승하강 선택 명령을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통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부(40)는 탑승인원에 대한 정보와 층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층 위치정보표시기(42)와, 탑승 인원 및 중량을 표시하기 위한 인원정보표시기(44)와, 해당층에 정차 또는 진행 상태를 점멸하여 표시하기 위한 램프표시기(46) 및, 탑승인원 만원시 경보음과 안내방송을 음성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용 스피커(4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100).
KR1020100024751A 2010-03-19 2010-03-19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KR2011003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51A KR20110036483A (ko) 2010-03-19 2010-03-19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51A KR20110036483A (ko) 2010-03-19 2010-03-19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037A Division KR100959337B1 (ko) 2009-10-01 2009-10-01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83A true KR20110036483A (ko) 2011-04-07

Family

ID=4404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751A KR20110036483A (ko) 2010-03-19 2010-03-19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6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180A (zh) * 2017-12-01 2019-06-11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电梯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180A (zh) * 2017-12-01 2019-06-11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电梯系统
CN109867180B (zh) * 2017-12-01 2020-11-13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电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91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572018B2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JP5951834B1 (ja) エレベータ
JP2002540043A (ja) エレベータ救助システム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56272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010264A (ja) 車椅子兼用エレベータ乗降支援装置
CN103648951B (zh) 电梯装置
JP552279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087949A (ja) エレベータの音声案内装置
KR20110036483A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
JP2014069965A (ja) エスカレータのアナウンス付き安全装置
JP2000351545A (ja) エレベータ保守安全装置
KR20170125302A (ko)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장치
JP73782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JP2010047402A (ja) エレベータ
JP7377472B1 (ja) エレベータの乗降案内装置
JP5010500B2 (ja) エレベータ音声行き先階登録装置
JP4737812B2 (ja) エスカレータ運転制御装置
JP736709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避難運転方法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530062B1 (ko)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CN102381603B (zh) 电梯的避难运行系统
JP7161464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