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852A -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852A
KR20110035852A KR1020100080453A KR20100080453A KR20110035852A KR 20110035852 A KR20110035852 A KR 20110035852A KR 1020100080453 A KR1020100080453 A KR 1020100080453A KR 20100080453 A KR20100080453 A KR 20100080453A KR 20110035852 A KR20110035852 A KR 20110035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ct electrode
groove
conductor rod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 야마자키
겐지 츠치야
아유무 모리타
마사토 고바야시
슈이치 기쿠카와
시게루 기쿠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3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4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by bonding of a contact marking face to a contact body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4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by bonding of a contact marking face to a contact body portion
    • H01H11/04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by bonding of a contact marking face to a contact body portion with the help of an intermediat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3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having disc-shaped contacts subdivided in petal-like segments, e.g. by helical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전극과 도체봉(1)의 사이에 공극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극과 도체봉(1)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전기적 손실의 저감 및 전열성능의 향상을 실현한 진공 개폐기(7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용 전극은, 도체봉(1)과, 도체봉(1)에 삽입되는 접점 전극(2)과,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양자를 고정하는 연결판(3)을 구비함으로써 양자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ELECTRODE FOR SWITCH AND VACUUM SWITCH,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WITCH OR VACUUM SWITCH}
본 발명은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 개폐기는, 절연성능이 높은 진공 절연를 채용하고, 동시에 지구 온난화 계수가 높은 SF6 등의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와 더불어 환경부하의 저감을 아울러 실현한 개폐기이다.
진공 개폐기는,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전류의 차단 등을 행하나, 진공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고진공 중에서 진공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여기서, 진공용기의 제조공정에서의 납땜은,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부재 사이의 재질에 따라 납재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납땜은 적어도, 2개의 공정으로 나눌 필요가 있었다.
제 1 공정은, 전극과 도체봉의 접속이라는 금속끼리를 접속시키는 공정이고, 제 2 공정은 제 1 공정에 의해 접착시킨 부재를 내부에 포함하고, 절연통과 금속제 끝판을 접속시켜, 진공 봉지한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공정이다. 제 1 공정은 금속끼리를 접속시키는 것인 것에 대하여, 제 2 공정은 절연물과 금속을 접속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각각 다른 납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 1 공정에서 사용한 납재가, 제 2 공정에서 다시 용융될 가능성이 있고, 제 2 공정에서 납재가 용융되면 제 1 공정에서 전극과 도체봉의 접속에 사용한 납재가 변형되어, 전극과 도체봉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거나, 또는 전극과 도체봉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전극과 도체봉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끝부에 돌출부(6a, 7a)를 구비하는 전극봉과, 해당 전극봉의 끝부와 동일 형상의 삽입구멍을 가지고, 내부에 홈(4a, 5b)이 형성되는 전극에 대한 기재가 있고, 해당 전극봉 및 전극의 조립방법으로서, 전극봉과 전극의 접합부분에 납재를 세트하여 두고, 전극의 전극봉 삽입구에 전극봉을 각각 삽입하고, 전극봉 끝부의 돌출부(6a, 7a)를 전극 내부의 홈으로 안내하도록 약 90°회전시켜 걸어멈춤으로써 조립을 완료하는 전극봉 및 전극의 조립방법이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 명세서의 단락[0008]∼[0009]). 그리고, 발명의 과제로서, 부분 조립공정에서 행하는 납땜 온도와 최종 조립공정에서 진공 밀폐를 행하는 납땜 온도가 동일한 경우, 최종 조립공정에서의 전극의 탈락, 기울기 및 전극봉과 전극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공 밸브로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신뢰성이 높은 진공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 명세서의 단락[0005]).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5-298971호 공보
여기서, 전극과 도체봉의 사이에 공극이 생긴 경우, 공극부는 진공 등의 절연매체로 차지되게 되고, 해당 부는 높은 절연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류 도통 시에 있어서 고저항부가 되어, 전류의 도통 특성이 저하한다. 또한, 공극부(예를 들면 기중(氣中) 절연 개폐기의 경우에는 기체, 가스절연 개폐기의 경우에는 가스, 진공절연 개폐기의 경우에는 진공이 각각 채워진다)에서는, 금속재료인 전극과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낮고, 해당 공극부에서 열전도가 방해되기 때문에, 전류 차단 시에 있어서 고온이 되는 전극이 방열되기 어렵게 되어, 전극부재가 용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들은, 개폐기의 신뢰성의 저하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서는, 전극봉 끝부의 돌출부를 전극 내부의 홈으로 안내하도록 회전시켜 걸어멈추고 있으나, 이와 같은 조립방법을 실현하는 전제로서, 전극봉 끝부의 돌출부와 전극 내부의 홈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 간극이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간극이 없는 경우에는, 전극봉 끝부의 돌출부를 전극 내부의 홈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당 간극은 결국 상기한 공극부에 상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에 의해 전극봉과 전극을 고정하려고 하는 경우, 공극부가 어느 정도 존재하거나, 또는 커지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개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또는 개폐기, 또는,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용 전극은, 도체봉과, 해당 도체봉에 삽입되는 접점 전극과,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양자를 고정하는 연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용 전극 제조방법은, 삽입구멍을 가지는 전극에 도체봉을 삽입한 후, 해당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연결판을 끼우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개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또는 개폐기, 또는,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 중, 전극부분의 축방향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도체봉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접점 전극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연결판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도체봉을 접점 전극에 삽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연결판을 전극부분에 끼워 넣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연결판을 전극부분에 끼워 넣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전극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접점 전극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연결판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링핀을 나타내는 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도체봉을 접점 전극에 삽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연결판을 전극부분에 끼워 넣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연결판을 전극부분에 끼워 넣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링핀을 전극부분에 끼워 넣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극부분의 완성도,
도 17은 진공 스위치기어의 단면도,
도 18은 진공 스위치기어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진공 스위치 기어는, 진공 개폐기(70)와, 부하 측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71)과, 진공 개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72)과, 진공 개폐기(70)의 개방, 폐쇄, 단로(斷路)를 행하는 조작기(73)로 주요 구성된다. 그리고, 진공 개폐기(70)는 절연통(74) 및 금속제 끝판(75)으로 구성되고, 내부를 진공으로 하는 진공용기와, 진공용기에 내포되는 고정 측 및 가동 측의 도체봉(1) 및 접점 전극(2)으로 주요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리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도체봉(1)은, 접점 전극(2)의 안쪽에 설치한 도체봉(1)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사이에는 제 1 공정에서 사용하는 제 1 납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이 간극없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봉(1)에서는, 원통축의 접점 전극(2)에 삽입하고 있는 것보다 위쪽으로 축방향의 다른 영역의 외경(1c')보다 외경(1b')이 가는 영역[제 1 홈(1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접점 전극(2)에서는, 축방향의 다른 영역의 외경(2c')보다 외경(2b')이 가는 영역[제 2 홈(2b)]을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제 1 홈과 제 2 홈에, 예를 들면 SUS 등의 탄성부재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판(3, 4)을 끼워 넣음으로써,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을 연결하고 있다. 이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판(3, 4)에 대해서는, 원 형상으로 한 연결판의 내경을 도 1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봉(1)의 제 1 홈(1b)의 외경(1b') 이상으로 형성하고, 반원 형상의 연결판(3, 4)의 외경을 접점 전극(2)의 홈(2b) 이외의 영역의 외경(2c') 이상으로 형성한 후, 이 원 형상 연결판을 지름방향으로 2개 이상 분할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이들 연결판(3, 4)에 대해서는 끼워 넣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한다.
상기한 전극을 사용한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접촉면에 제 1 납재를 설치하여 두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봉(1)을 접점 전극(2)의 삽입구멍에 삽입한다. 삽입구멍으로의 삽입 후,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판(3, 4)의 안 둘레 끝부(3a, 4a)는 도체봉(1)의 제 1 홈(1b)에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끼워 넣고, 연결판(3, 4)의 바깥 둘레 끝부(3b, 4b)는 접점 전극(2)에 형성한 제 2 홈(2b)에 끼워 넣어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을 고정한다. 연결판(3, 4)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끼워 넣음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은 고정된다.
다음에, 고진공 중 또는 수소가스 중에서 상기 고정이 끝난 도체봉(1) 및 접점 전극(2)을 내포한 다음에, 절연통(74)과 금속제 끝판(75)을 납땜함으로써, 진공용기의 봉지는 완료된다. 이 납땜 공정에 의해,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던 제 1 납재도 용융하여, 동시에 납땜된다. 또한, 본 납땜 공정 전에, 절연통(74)과 금속제 끝판(75) 사이에 제 2 납재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을, 연결판(3, 4)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고, 고정을 위해 회전동작도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바, 전류가 도통하는 전극 및 도체의 중앙부분에 공극이 생기지 않게 양자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전극, 진공 개폐기를 포함하는 진공 스위치기어에 대한 실시예 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발명 자체는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 단독으로도 성립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매우 큰 우위점으로서, 납땜 공정을 절연통(74)과 금속제 끝판(75)의 납땜을 위한 1회의 공정만으로 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고정을 연결판(3, 4)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종래 행하고 있던 부분 조립 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작업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납땜을, 절연통(74)과 금속제 끝판(75)의 납땜 공정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 1 공정에서 납땜한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이 제 2 공정에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다는 것이 생기지 않게 된다. 전극의 위치 어긋남은 전극 사이의 접촉 불량을 초래하여, 접촉 불량이 된 경우, 전극 사이에서 비접촉 부분은 진공절연에 의한 고저항부가 되기 때문에, 개폐기의 기기로서의 성능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또한, 도통하여도 아크에 의한 접촉으로 전극부분의 용융을 초래하여, 기기의 수명 저하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전극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공극이 생긴 경우, 당해 공극 내는 역시 진공절연에 의한 고저항부가되기 때문에, 개폐기의 기기로서의 성능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또한, 개폐 시는 아크가 생김으로써 접점 전극(2)은 고온이 되고, 전극의 용융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일각이라도 빨리 방열되는 것이 요구되는 것에 대하여, 전극 내에 공극이 생기고, 금속에 대하여 열전도율이 현저하게 작은 진공부가 생김으로써, 방열 성능이 저하하여, 전극이 용융될 가능성이 있다. 전극이 용융된 경우에는, 전극면이 비평탄해지기 때문에, 다음번 이후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아크의 요인이 된다. 종래에서는, 개폐기 내에 25 kA의 전류를 3초 정도 통전한 경우, 전극부의 온도는 300 K에 도달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극 내의 도통부에서의 공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240K로 까지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약 20% 정도 열적 손실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극면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폐 시의 아크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연결판(3, 4)은 예를 들면 SUS 등,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체봉(1) 및 접점 전극(2)에 끼워 넣을 때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접촉 시의 끼워 넣음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판(3, 4)은 2개로 분할되어 있으나, 1개이어도, 또한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때, 지름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게 하면, 기울기 등이 생기지 않고, 고정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지름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란, 연결판이 복수 사용되는 경우로서, 둘레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점 전극(2)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의 상단부에 2개소의 오목부(홈)(52c)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52c)와 동일한 원주 상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볼록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2b)에는 바깥 둘레면 상에 홈(53)이 새겨져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연결판(3, 4)에는, 접점 전극(2)의 오목부(52c)에 대응하 도록, 끼워 넣음부(4c)가 설치되어 있고, 도체봉(1)에 끼워 넣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3, 4)에 설치한 끼워 넣음부(4c)에는, 접점 전극(2)에 끼워 넣었을 때에 접점 전극(2)의 볼록부(52b)에 새겨 있는 홈(53)과 동일 원주를 구성하는 홈(60)을 새기고 있다. 그리고, 홈(53)과 홈(60)에 링핀(5)을 끼워 넣음으로써 접점 전극(2)과 연결판(3, 4)을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링핀(5)은, 홈에 끼워 넣어지도록 링핀(5)의 중심으로부터 5°이상의 원주각만큼의 잘린 부분을 설치하고 있다. 5°이상으로 한 것은, 링핀(5)을 접점 전극 및 연결판에 끼워 넣을 때에 일단 넓힐 필요가 있어, 그 때에 5°이상이면 넓히는 것이 한층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물론, 5°미만의 것을 모두 배제한다는 취지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부분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전극을 사용한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중,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봉(1)을 접점 전극(2)에 삽입하고,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전극(2)에 연결판(3, 4)을 끼워 넣는다. 그 후, 접점 전극(2)에 설치한 홈(53)과 연결판(3, 4)에 설치한 홈(60)에 링핀(5)을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하여, 제 1 공정에서의 도체봉(1)과 접점 전극(2)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판(3, 4)과 접점 전극(2)을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로서 링핀(5)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물론 고정용 부재는 링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결판 및 접점 전극의 바깥 둘레에 동일 원주 형상으로 설치한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부재이면 대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링핀(5)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복수개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점 전극(2)에는 오목부를 2개소 설치하였으나, 3개소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링핀에 대해서도 2개 이상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접점 전극 및 연결판에 설치하는 홈의 개수도 그것에 대응하여 늘릴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접점 전극(2)에 대하여 전극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도 1에 나타낸 접점 측의 중앙부는 접점 전극 내경 이하의 구멍(2d)을 형성하고, 축방향에 대하여 전극 중앙부의 도체 외경(1c')과 겹치는 부분 이외의 부위에는 나선 형상의 홈(2e)을 2개소 이상 설치하는 스파이럴 전극으로 할 수 있다. 해당 나선 형상의 홈(2e)은 홈의 시점(2e')으로부터 절결부를 홈의 종점(2e")까지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나선 형상의 홈(2e)에의한 전극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홈의 종점(2e") 위치는 중앙부 접점 구멍(2d)의 지름 이상의 바깥 둘레의 위치에서 멈추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스파이럴 전극을 적용함으로써, 전극과 도체 사이에 공극부가 생기지 않고, 또 전극의 접점 근방까지 도체를 삽입함으로써, 스파이럴 전극의 중심으로부터 끝부에 걸친 전극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의 접촉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한층 효과적이다.
또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연결판(3, 4)은 도체봉 중, 축방향의 어느 위치에 고정을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개폐기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해당 진공 개폐기에는 접지를 목적으로 한 진공 접지 개폐기도 포함된다. 즉, 제 1, 제 2 실시형태는 진공 접지 개폐기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도체봉 1a : 도체봉(1)의 선단
1b : 제 1 홈 2 : 접점 전극
2a : 접점 전극(2)의 바닥부 2b : 제 2 홈
2c : 접점 전극 외경 2d : 접점 전극 중앙부 구멍
2e : 접점 전극 나선 형상의 홈
2e' : 접점 전극 나선 형상의 홈의 시점
2e" : 접점 전극 나선 형상의 홈의 종점
3, 4 : 연결판 3a, 4a : 연결판의 안 둘레 끝부
3b, 4b : 연결판의 바깥 둘레 끝부 5 : 링핀
52b : 볼록부 52c : 오목부
53, 60 : 홈 70 : 진공 개폐기
71 : 케이블 72 : 모선
73 : 조작기 74 : 절연통
75 : 끝판

Claims (17)

  1. 도체봉과, 해당 도체봉에 삽입되는 접점 전극과,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양자를 고정하는 연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봉은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점 전극은,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도체봉이 바깥 둘레부에 가지는 지름방향의 홈과 상기접점 전극이 바깥 둘레부에 가지는 지름방향의 홈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점 전극은, 바깥 둘레부 중, 상기 연결판이 끼워 넣어지는 바깥 둘레부 이외의 부위에, 상기 연결판이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으로 구비하는 홈과 동일 원주 형상으로 위치하는 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판이 바깥 둘레부에 구비하는 지름방향의 홈과, 상기 접점 전극이 바깥 둘레부에 구비하는 홈으로서, 상기 연결판이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으로 구비하는 홈과 동일 원주 형상으로 위치하는 홈에 끼워 넣어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 및/또는 상기 고정용 부재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전극은, 상기 도체봉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체봉과 겹치는 부분 이외의 부위에는 나선 형상의 홈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폐기용 전극과, 내부가 진공이 되는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절연통 및 끝판을 구비하는 진공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 및 상기 끝판의 사이는 납땜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용 전극은,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8. 축방향의 일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가지는 도체봉과,
    해당 도체봉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구비하고, 해당 삽입구멍에 상기 도체봉이 삽입되며, 또한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가지는 접점 전극과,
    상기 도체봉이 가지는 지름방향의 홈과 상기 접점 전극이 가지는 바깥 둘레부의 지름방향의 홈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을 고정하는 연결판과,
    절연통 및 금속성의 끝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체봉 및 상기 접점 전극을 내포하고, 또한 내부가 진공이 되는 진공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접촉면에는 제 1 납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통과 상기 금속제 끝판의 사이에는 제 2 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9. 축방향의 일부에 지름방향의 홈을 가지는 도체봉과,
    해당 도체봉의 삽입구멍을 구비하고, 해당 삽입구멍에 상기 도체봉이 삽입되고, 또한 바깥 둘레부에 2개소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바깥 둘레부 중 오목부 이외의 부분은 지름방향의 홈을 가지는 접점 전극과, 상기 도체봉이 가지는 홈과 상기 접점 전극이 가지는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고, 해당 접점 전극이 가지는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에는, 상기 접점 전극이 바깥 둘레부 중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 가지는 홈과 동일 원주를 구성하는 홈을 구비하는 연결판과,
    상기 접점 전극이 바깥 둘레부에 가지는 홈 및 상기 연결판이 구비하는 홈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접점 전극과 상기 연결판을 고정하는 링핀과,
    절연통 및 금속성의 끝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체봉 및 상기 접점 전극을 내포하고, 또한 내부가 진공이 되는 진공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접촉면에는 제 1 납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통과 상기 금속제 끝판의 사이에는 제 2 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전극은 상기 도체봉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체봉과 겹치는 부분 이외의 부위에는 2개소 이상의 나선 형상의 홈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공 개폐기와, 부하 측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상기 진공 개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과, 상기 진공 개폐기의 개폐를 행하는 조작기를 구비하는 진공 스위치 기어.
  14. 삽입구멍을 가지는 전극에 도체봉을 삽입한 후, 해당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연결판을 끼우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점 전극에는, 바깥 둘레부 중, 상기 연결판이 끼워 넣어지는 바깥 둘레부 이외의 부위에, 상기 연결판이 바깥 둘레부에 지름방향으로 구비하는 홈과 동일 원주 형상으로 위치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도체봉과 상기 접점 전극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결판을 끼운 후에, 상기 연결판에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접점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고정용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연결판, 상기 도체봉 및 상기 접점 전극을 고정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전극 제조방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기재된 공정 후에, 절연통 및 끝판을, 상기 개폐기용 전극을 내포한 다음에, 진공 중 또는 수소가스 중에서 납땜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기재된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납땜 공정은 상기 진공중 또는 수소가스 중에서의 납땜 공정의 1회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KR1020100080453A 2009-09-30 2010-08-19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KR20110035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5880 2009-09-30
JPJP-P-2009-225880 2009-09-30
JP2010115888A JP5350317B2 (ja) 2009-09-30 2010-05-20 真空開閉器、または開閉器用の電極もしくは真空開閉器の製造方法
JPJP-P-2010-115888 2010-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852A true KR20110035852A (ko) 2011-04-06

Family

ID=4330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453A KR20110035852A (ko) 2009-09-30 2010-08-19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4057B2 (ko)
EP (2) EP2306481B1 (ko)
JP (1) JP5350317B2 (ko)
KR (1) KR20110035852A (ko)
CN (1) CN102034643B (ko)
AT (1) ATE557409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4743B1 (en) * 2010-04-26 2013-07-23 Robert V. Albertson Motor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CN105448582B (zh) * 2015-12-03 2019-02-01 天津平高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灭弧室及其触头装置
CN105448587B (zh) * 2015-12-04 2018-07-20 天津平高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灭弧室及其纵磁触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4346A (en) * 1938-03-23 1941-03-11 Clifford E Ives Circuit breaker
GB1425641A (en) * 1972-07-19 1976-02-18 Siemens Ag Vacuum switches
JPS50116060U (ko) * 1974-03-07 1975-09-22
US4117288A (en) * 1976-06-25 1978-09-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a contact having integral axial magnetic field means
US4260864A (en) * 1978-11-30 1981-04-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an improved contact with axial magnetic field coil
US4530815A (en) * 1982-06-29 1985-07-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producing a contact device for a switch
JPS6148633U (ko) * 1984-09-03 1986-04-01
JPS61294737A (ja) * 1985-06-24 1986-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容器の封止方法
KR910005759B1 (ko) * 1987-03-24 1991-08-02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진공개폐기
JPH01105428A (ja) * 1987-10-19 1989-04-21 Toshiba Corp 真空バルブ
JP2778826B2 (ja) * 1990-11-28 1998-07-23 株式会社東芝 真空バルブ用接点材料
JPH0547274A (ja) * 1991-08-09 1993-02-26 Fuji Electric Co Ltd 真空バルブ
JPH05298971A (ja) * 1992-04-22 199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
JP2861757B2 (ja) * 1992-11-10 1999-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の電極装置
JP2874522B2 (ja) * 1993-07-14 1999-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遮断器及びそれに用いる真空バルブと真空バルブ用電極並びにその製造法
JP2941682B2 (ja) * 1994-05-12 1999-08-25 株式会社東芝 真空バル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3500A (ja) * 1995-03-31 1996-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
JPH09171746A (ja) * 1995-12-20 1997-06-30 Hitachi Ltd 真空遮断器及びそれに用いる真空バルブと電気接点並びに製造法
JPH10134712A (ja) * 1996-11-01 1998-05-22 Sony Corp 電子銃カソード構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銃カソード構体
US6437275B1 (en) * 1998-11-10 2002-08-20 Hitachi, Ltd. Vacuum circuit-breaker, vacuum bulb for use therein, and electrodes thereof
JP3840934B2 (ja) * 2001-09-12 2006-11-01 株式会社明電舎 真空インタラプタ用接触子及び真空インタラプタ
CN2733566Y (zh) * 2004-09-04 2005-10-12 王政 真空灭弧室电弧均布式电极
JP2008021590A (ja) * 2006-07-14 2008-01-31 Hitachi Ltd 真空バルブ用電気接点とその製法、真空バルブ用電極、真空バルブ及び真空遮断器
JP4686555B2 (ja) * 2008-01-09 2011-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96627A (ja) 2011-05-12
EP2306481B1 (en) 2012-06-06
EP2365504A1 (en) 2011-09-14
CN102034643A (zh) 2011-04-27
JP5350317B2 (ja) 2013-11-27
ATE557409T1 (de) 2012-05-15
US8294057B2 (en) 2012-10-23
EP2365504B1 (en) 2012-05-09
EP2306481A1 (en) 2011-04-06
US20110073567A1 (en) 2011-03-31
CN102034643B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639B1 (ko) 진공개폐기 및 진공 스위치 기어
JP5060328B2 (ja) 真空スイッチギヤ
EP2806510B1 (en) Gelatinous dielectric material for high voltage connector
JP4297549B2 (ja) スイッチギヤ
KR20110035852A (ko) 개폐기용 전극 및 진공 개폐기와, 개폐기용 전극 또는 진공 개폐기의 제조방법
JP6563160B1 (ja) 母線接続装置
US3713075A (en) Dielectric shield for plug-in contacts
KR100789443B1 (ko)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JP4400781B2 (ja) 単極ct管用の高電圧システム
CN113012975A (zh) 开关装置
EP2980820A1 (en) On-load tap-changer for dry transformers and dry transformer
JPWO2004051816A1 (ja) スイッチギヤの母線接続構造
WO2006088387A1 (fr) Ensemble de traversee electrique hermetique moyenne tension
RU235103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го герметичного кабельного ввода
JP4496402B2 (ja) ガス絶縁装置及びその絶縁スペーサ
JP2018137070A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超電導ケーブル用接続部材
JP2004282907A (ja) スイッチギヤ
CN101479902B (zh) 具有外壳的断路器
KR102417010B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용 도체
JP6899970B1 (ja) 母線接続装置
JPH0588045B2 (ko)
JP3144833U (ja) 電力用貫通端子
KR102560867B1 (ko) 진공 인터럽터용 실드장치
KR200496186Y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20090072577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