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504A -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504A
KR20110035504A KR1020090093255A KR20090093255A KR20110035504A KR 20110035504 A KR20110035504 A KR 20110035504A KR 1020090093255 A KR1020090093255 A KR 1020090093255A KR 20090093255 A KR20090093255 A KR 20090093255A KR 20110035504 A KR20110035504 A KR 2011003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ctagonal
weight
antiseptic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연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켐
Priority to KR102009009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5504A/ko
Publication of KR201100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과, 계면활성제와, 알콜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박물관이나 도서관, 사찰 등에서 사용하여 서지류, 복장류, 피혁류, 목재 소품류, 유물 등의 항균, 살충효과를 통해 문화재의 보존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여 가정 내에 서식하거나 공기중에 떠다니는 곰팡이, 세균 등을 항균 및 살충하여 쾌적한 주거공간이 되도록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부방충제, 정향, 팔각회향, 알콜, 계면활성제

Description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Preservative and insecticide composition using Illicium verum Hook.f.}
본 발명은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지류, 목재류 등의 각종 문화재나 일반 가정에 사용되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을 살충 및 항균함에 따라 문화재를 보존하는 것은 물론,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 방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화재는 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로, 문화재 보호법이 보호의 대상으로 정한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 문화재,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지 등을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문화재 중에서도 박물관 등에 전시되는 서지류, 복장류, 피혁류, 목재 소품류 등이나, 도서관 등에 보관되는 고문서, 고서적 등이나, 사찰내부, 법당 유물 수장고 및 소장공간 내의 고문서, 복장류, 목판류 등과 같은 문화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균류와 충 등으로 인한 변형으로 문화재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생물적인 요인에 의한 문화재 손상은 원형회복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미연에 이와 같은 균류나 충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 래에는 균류나 충을 살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살균제인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살충제인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의 혼합가스를 사용한 가스 훈증법이 있으며, 이는 균, 충에 의해 손상이 진행되고 있는 문화재의 대표적인 살멸법으로 세계적으로 문화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균, 충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훈증제는 안정성과 속효성으로 효과가 우수하기는 하나,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오존층 파괴효과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강력한 환경오염 규제 대상물질로서 그 사용을 중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소형유물인 경우에는 저독성이면서 잔류성이 있는 방충제나 방균제를 설치하여 충균의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이에 방충제나 방균제로서는 파라디클로로벤젠이나 파라포름알데히드, 티몰 등을 사용하였으나, 실제 이들은 화학물질로써 문화재에 대량 적용하기에는 환경에 나쁜영향을 줄 수 있고, 문화재가 있는 주변환경의 조건에 따라 화학물질의 반응으로 변색이나 가수분해 등이 발생하여 열화를 가속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화재 등에 서식하는 균류나 충은 문화재 뿐만 아니라, 가정의 가구나 공기 중에서도 서식한다. 특히 집먼지 진드기나 공기중에 떠돌아다니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은 면역력이 약한 유아나, 노약자들의 아토피, 천식,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내에서도 상기와 같은 균류나 충을 살충 및 항균하기 위하여 청소를 통해 청결을 유지하고자 했으나, 균이나 충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각종 살충,항균 제품을 사용하여 가정의 청결을 유지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살충,항균제품은 통상 화학제나 독성이 높은 살충제이기 때문에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성이 없으면서 균이나 충을 효과적으로 항균, 살충할 수 있고, 화학반응으로 인한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항균, 살충효과가 오래 지속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화재나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과, 계면활성제와, 알콜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휘발성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 1~12중량%, 계면활성제가 5~25중량%, 알콜이 20~70중량%, 잔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향료 1~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질소가스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추진제와 혼합되어 분무용 제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고서적, 목재로된 소품 등과 같이 균이나 충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화재 등에 사용되어 우수한 항균 및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문화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정 내에서 사용되어 가정 내의 곰팡이나 세균을 살충, 항균함에 따라 청결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천식, 알러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천연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독성이 없어 환경오염의 유발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화학반응 등으로 인한 변색 등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이 적정한 비율로 포함되어 무색 투명한 액체상태를 갖고, 사용시 끈적임이 유발되지 않으며, 항균 및 살충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향료의 첨가로 문화재나 가정 내 특유의 냄새를 향료를 통해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문화재나 가정 내의 가구나 공기중에 분사되어 균이나 충을 항균, 살충하 는 조성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과, 계면활성제와, 알콜과, 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된 오일상태의 물질로, 문화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균이나 충을 항균 및 살충하여 상기 균이나 충으로 인한 문화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정향은 유제니아 카리오필라타(Eugenia caryophyllata) 또는 시지기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으로, 정향과(Myrt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정향나무의 개화되지 않은 꽃봉오리를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고, 팔각회향(Illicium verum Hook.f.)은 목련과(Magnoliaceae)과에 속하는 상록수의 열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추출물은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휘발성 추출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휘발성 추출물이 비휘발성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균 및 살충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용매-증류 추출(solvent-distilled extraction)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휘발성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1~12중량%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추출물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포함량이 극히 미미하여 추출물에 의한 항균 및 살충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추출물이 12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추출물로 인한 이로운 효과의 상승없이 사용량만 증대되어 효율적이지 않다.
계면활성제는 오일상태인 추출물과 물의 혼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통상의 계면활성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에 5~25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계면활성제가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추출물과 물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 발명의 방부방충 조성물 사용시 각 성분이 분리되어 효율적인 항균 및 살충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우며, 각 성분의 혼합이 안됨에 따라 백탁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계면활성제가 2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추출물과 물의 혼합이 원활하게 되기는 하나, 문화재나 가정 내에서 분사시 끈적임을 유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먼지 등이 쉽게 부착됨에 따라 오히려 오염이 가속화될 수 있다.
알콜은 계면활성제와 함께 추출물과 물의 혼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알콜로서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알콜은 전체 조성물에 20~70중량%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알콜이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혼합량이 미미하여 추출물과 물의 혼합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며, 상기 알콜이 7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그 혼합력은 매우 향상될 수 있으나, 휘발성이 강하게 되어 항균 및 살충효과의 지속력 이 떨어진다.
아울러 상기 알콜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적을 수록 많은 양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물과 추출물의 혼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알콜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백탁 현상 없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물은 본 발명에 따른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문화재의 균,충 방제에 사용할 때에 분무 등의 방식으로 용이하게 분사가능하도록 점성이 낮은 액화상태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물은 전체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과, 알콜,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킨 뒤, 그 잔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고서적, 목재로된 소품 등과 같이 균이나 충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화재 등에 사용되어 우수한 항균 및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문화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정 내에서 사용되어 가정 내의 가구나 공기중에 서식하는 각종 곰팡이나 세균을 살충 및 항균함에 따라 청결한 주거환경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천식, 알러지 등의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조성물이 천연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독성이 없어 환경오염의 유발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화학반응 등으로 인한 변색 등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이 적정한 비율로 포함되어 무색 투명한 액체상태를 갖고, 사용시 끈적임이 유발되지 않으며, 항균 및 살충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향료 1~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향료는 박물관이나 도서관 등에 있는 문화재나 가정 내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티트리, 레몬, 캐모마일 등과 같은 허브의 추출물이나 블루베리향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향료가 만약 1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그 혼합량이 미미하여 초기에 가정이나 문화재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0중량%가 초과되어 혼합되면 냄새의 감소효과의 상승없이 그 함량만 증가되어 효율적이지 않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질소가스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추진제와 혼합되어 분무용 제형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무용 제형으로 된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일정시간마다 분무가 되는 통상의 분무용기를 담겨 사용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문화재나 가정 내의 공기중에 항균 및 살충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항균 및 살충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 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향과 팔각회향에서 추출된 추출물 10중량%(정향:팔각회향=1:1), 계면활성제 20중량%, 에탄올 50중량%, 물 20중량%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탄올 35중량%, 물 35중량%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계면활성제 10중량%, 에탄올 70중량%, 물 10중량%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계면활성제 10중량%, 에탄올 50중량%, 물 30중량%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탁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각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탁도를 육안으로 살펴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무색 투명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나, 실시예 4의 경우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4의 경우 함유된 계면활성제가 10중량%이고, 에탄올의 양이 50중량%가 포함됨에 따라 추출물과 물이 충분히 혼합될 수 있을 만큼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백탁이 발생한 것이다.
반면, 실시예 4와 동일한 양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실시예 3의 경우 백탁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에탄올의 양을 충분히 증가시켜 줌에 따라 추출물과 물의 혼합력을 보완하여 주었기 때문으로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은 경우 에탄올의 양을 충분히 증대시켜 혼합하여야 백탁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사용기간 평가-
무색 투명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각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휘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빈 용기에 담은 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된 조성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부피단위로 변환하여 사용기간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평가는 2set로 나뉘어 한 set는 25±2℃, 다른 set는 17±2℃에 설치되어 실시되었고, 21일간 24±0.5시간마다 조성물이 담겨있는 용기의 무게를 측정한 뒤, 빈 용기의 무게를 빼는 방식으로 조성물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조성물의 무게와 각 실시예 1의 조성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모든 측정값을 부피단위로 변환한 후 엑셀을 통해 지수 회귀곡선을 유도하여 사용기간을 추정하였다.
여기서 온도는 대부분의 국, 공립박물관의 수장고 및 전시실의 내부온도가 22~25℃이고, 일부 박물관의 온도가 17℃ 내외로 유지되는 점을 고려하여 측정실험 시 온도를 25±2℃, 17±2℃로 설정한 것이다.
도 1은 25±2℃에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을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점 그래프는 21일간 측정한 결과이고, 선그래프는 상기 21일간의 측정결과를 토대로 100일까지의 제품 휘발정도를 추정한 것으로, 결정계수(R2) 값이 0.976이상으로 고도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과 2의 경우 60~70일 경과 후의 잔량이 각각 42~36% 및 47~42%로 매우 많은 양이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 3의 경우 60~70일 경과 후 잔량이 8~6%로 극히 적은 양이 남은 것을 알 수 있따.
도 2는 17±2℃에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을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점그래프와 선그래프가 나타내는 것을 도 1과 동일하며, 도 2 또한 결정계수(R2) 값이 0.998이상으로 고도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 범위 내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60~70일 경과후의 잔량이 각각 61~58%, 61~56%로 매우 많은 량이 남아있는 것을 추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성분 범위 내에서 벗어난 실시예 3의 경우 60~70일 경과 후 잔량이 26~21%로 적은량이 남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1과 도2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2의 경우가 많은 양의 에탄올이 들어간 실시예 3의 경우보다 휘발도가 낮아 조성물이 오랜기간 잔류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 지속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각 조성물 별로 2개의 용기에 나눠 담아 2set(A set, B set)의 샘플을 준비한 뒤, 47±2℃에 설치하였다. 그 후, 무게가 변화할 때마다 A set의 샘플에서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실시예 별로 각각 1.5㎖씩 채취하여 항균력 검정을 하였으며, A set에서 채취된 양을 B set의 샘플에서 덜어내어 A set의 용기에 각각 보충하였다.
항균력 검정은 14×28㎜로 자른 여과지를 실에 매단 후 멸균하고, 고체배지에 넣어 굳힌 뒤, 이를 여과지 크기로 잘라 15㎖의 시험병의 뚜껑에 매달아 배지를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이 배지를 미생물 배양액에 담궜다 꺼내어 건조시키고, 2㎖의 vial에 상기 A set에서 채취한 각 조성물을 200㎕씩 넣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증류수 200㎕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배지는 VP-MR agar media를 사용하고, 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DH5α)을 사용하였으며, 1일간 배양한 후 methyl red 시약을 5방울 떨어뜨려 배지의 색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즉, 도 3은 무게 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각 도면의 숫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잔량을 표시한 것이며, 붉은 색은 균이 활발히 증식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주황색은 균의 억제 효능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기임 을 의미하며, 노란색은 균의 생육이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와 실시예 2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30㎖이하, 실시예 3은 15㎖이하로 잔량이 떨어짐에 따라 항균력을 잃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도 3에서 나타난 결과와 실험예 2를 종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에 따른 항균력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성분 비율 내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60일 경과한 후에도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잔량이 40%이상으로 많고, 우수한 항균력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성분 비율에서 벗어난 실시예 3은 60일이 경과하면 잔량이 8%이하로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14일경부터 항균력을 잃기 시작하여 28일 정도에는 항균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에탄올의 양이 많이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가 60일 경과 후 잔량은 실시예 2에 비해 약 5%정도 적으나, 항균력의 지속은 4~5일 가량 더 오래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살균력 평가-
실시예 1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을 시험군으로 하고, 멸균생리식염수를 대조구로 하여 상기 시험군과 대조구를 각각 멸균 용기에 넣고 전배양한 시험균액을 각각 접종하여 접종 10분, 20분, 30분, 40분 후의 시험군과 대조구에서 일정량을 취하여 재생된 세균수를 확인하는 고정농도시험법(TI-10-001)을 이용하여 살균력 시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시험균액으로는 Escherichia coli(ATCC 8739),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e(ATCC 2690), Pseudomonas aeruginosa(KCTC 1636)를 사용하였고, 시험군:시험균액의 비율과 대조구:시험균액의 비율은 각각 10:1의 비율로 접종하였다.
Figure 112009060376353-PAT00001
A: 일정 접촉시간 후 대조구로부터의 생균수
B: 일정 접촉시간 후 시험군으로부터의 생균수
구분 대조구(CFU/㎖) 시험군(CFU/㎖) 살균력(%)
시험균주 시간

Escherichia coli
(ATCC 8739)
초기 2.0×106 - -
10분 2.0×106 <10 99.9
20분 2.0×106 <10 99.9
30분 2.2×106 <10 99.9
40분 2.2×106 <10 99.9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초기 4.5×105 - -
10분 4.5×105 <10 99.9
20분 4.5×105 <10 99.9
30분 4.5×105 <10 99.9
40분 4.6×105 <10 99.9
Klebsiella pneumonia
(ATCC 2690)
초기 1.1×105 - -
10분 1.1×105 <10 99.9
20분 1.1×105 <10 99.9
30분 1.2×105 <10 99.9
40분 1.3×105 <10 99.9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6)
초기 2.6×105 - -
10분 2.6×105 <10 99.9
20분 2.6×105 <10 99.9
30분 2.7×105 <10 99.9
40분 2.7×105 <10 99.9
상기 표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살균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은 살균 및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비율로 이루어지면, 오랜시간 잔류하면서도 그 항균력이 오래 지속될 수 있어 고서나 목재 등의 각종 문화재나 가정 내에서 사용시 한번의 사용으로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그 항균, 살충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25±2℃에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을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17±2℃에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을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무게변화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난 결과와 실험예 2를 종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부방충제 조성물의 사용기간에 따른 항균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5)

  1.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과, 계면활성제와, 알콜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휘발성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1~12중량%, 계면활성제가 5~25중량%, 알콜이 20~70중량%, 잔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향료 1~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질소가스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추진제와 혼합되어 분무용 제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 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KR1020090093255A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KR20110035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55A KR20110035504A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55A KR20110035504A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504A true KR20110035504A (ko) 2011-04-06

Family

ID=4404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255A KR20110035504A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55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47B1 (ko) * 2012-05-31 2014-05-27 주식회사 한켐 흰개미 방제 유화성 목재 유지관리용 보존제
KR20180130300A (ko) * 2017-05-29 2018-12-07 김민준 천연 가습기 살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47B1 (ko) * 2012-05-31 2014-05-27 주식회사 한켐 흰개미 방제 유화성 목재 유지관리용 보존제
KR20180130300A (ko) * 2017-05-29 2018-12-07 김민준 천연 가습기 살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0103B2 (en) Synergistic preparations based on mixtures of glycerol ether with aromatic alcohol for controlling mycobacteria
US6846498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mulated with essential oils
US5405602A (en) Nonaqueous cold sterilant
US10576180B2 (en) Disinfection of a contaminated environment
BRPI0911317B1 (pt) Formulação de solução desinfetante aquosa, seu método de preparação e método de desinfetar uma superfície
CN111685134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除螨抑菌功效组合物及应用
Bueno Models of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in vapour phase: a promising use in healthcare decontamination
JP2011236136A (ja) 衣料害虫の食害防止剤
Sengun et al. Potential of essential oil combinations for surface and air disinfection
KR20110035504A (ko)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
KR100947580B1 (ko) 시트랄, 피레트린,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록물 및 문화재 소독용 조성물
KR101161415B1 (ko) 천연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항생물성 조성물
US20110256196A1 (en) Insecticide for Bed Bugs
KR20110035501A (ko)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성 섬유 탈취제 조성물
WO2022034606A1 (en) Clea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20080305071A1 (en) Surface Cleaning Method and Composition
RU2679603C1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KR100421538B1 (ko) 생약재의 휘발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문화재 보존용 살생물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방법
KR20120140383A (ko) 타임 정유를 포함하는 공간 살균용 조성물
CN110583686A (zh) 耐超低温储存消毒杀虫复配制剂
JPH0469308A (ja) ムカデ用忌避剤
US20220378046A1 (en) EFFECTS OF NF-kB SIGNALING INHIBITORS ON BED BUG RESISTANCE TO ORALLY PROVISIONED ENTOMOPATHOGENIC BACTERIA
TW200924788A (en) A plant essential oil composition with bacteria-killing function
US20050013882A1 (en) Phyto fluid
JP2006028147A (ja) 空間噴霧殺菌剤及びこの薬剤を用いた空間噴霧殺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