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269A -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 Google Patents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269A
KR20110035269A KR1020090092906A KR20090092906A KR20110035269A KR 20110035269 A KR20110035269 A KR 20110035269A KR 1020090092906 A KR1020090092906 A KR 1020090092906A KR 20090092906 A KR20090092906 A KR 20090092906A KR 20110035269 A KR20110035269 A KR 2011003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ight
protrusion
ro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995B1 (ko
Inventor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정 filed Critical 이희정
Priority to KR102009009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하측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배수홀 주변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 길이방향 양측에 봉삽입부가 형성되어 걸이봉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에 관한 것이다.
묘종, 포트, 식물, 병충해

Description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High institution cultivation pot for damages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prevention by blight}
본 발명은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하측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배수홀 주변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 길이방향 양측에 봉삽입부가 형성되어 걸이봉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딸기나 잎사귀 채소등의 식물을 재배할 경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한 이랑을 따라 묘를 심어 생육시키는 소위 토경재배라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는, 묘기르기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린 자세에서의 작업이 많고, 특히, 정식(定植)시는 묘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므로,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매우 큰 것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것으로 재배포트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재배 포트가 접촉되는 지면에서 고설 재배 포트로 병충해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배포트의 식물에 물을 주면 고르게 흡수되지 않아 많은양의 물을 주게되므로 물의 소요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봉삽입부르 형성하여 걸이봉을 삽입하여 지지부에 걸쳐 본체부를 지면과 이격시키고, 본체부의 배수홀간을 격리시키는 돌출부와 가이드 돌출부를 통해 옆의 구획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의 하측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배수홀 주변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본체부 길이방향 양측에 봉삽입부가 형성되어 걸이봉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봉삽입부를 형성하여 걸이봉을 삽입하여 지지부에 걸쳐 본체부를 지면과 이격시키므로 병충해로 인한 식물의 피해를 방지하며, 본체부의 배수홀 간을 격리시키는 돌출부와 가이드 돌출부를 통해 옆의 구획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물이 유입되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지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지면에서 유입되는 각종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람이 식물을 심거나 수확할 때 몸을 펴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지고, 성장과정에서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익기 때문에 재배포트 전 체에 공기 소통이 원활하여 기영 상태를 방지하고, 햇볕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식물의 과실이 많이 열리고 상태 및 당도가 원활하여 수확시기때 편하게 과실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에 채워지는 토양을 수시로 교체 가능하므로 식물의 수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양을 수시로 교체 가능하므로 지력이 저하되어지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을 생장시키는 고설(高設) 재배 포트에 있어서, 역방향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측면이 개방되어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홀(30)과; 상기 배수홀(30) 간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30)측으로 물이 모이도록 형성된 돌출부(60)와; 상기 돌출부(60)와 연결되어 본체부(10)의 측면벽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묘종을 구획으로 나누는 가이드 돌출부(40)와;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본체부(10)를 지탱하는 걸이봉(50)이 삽입되어지는 봉삽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봉삽입부(20)에 걸이봉(50)을 삽입하고, 상기 걸이봉(50)을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설치하여 본체부(10)를 지면과 이격시켜 설치한다.
즉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밀착되어지는 고설(高設) 재배 포트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을 통해 고 설 재배 포트 내부로 병균과 벌레들이 침투하게 되어 묘종에 병충해를 입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부(10)를 지면과 이격시켜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본체부(10)의 상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 다수의 배수홀(30)이 형성되어지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봉삽입부(20)가 형성되어 걸이봉(50)이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본체부(10)에는 하측면에 다수의 배수홀(3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홀(30) 간을 격리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60)가 형성되어 각각의 배수홀(30)을 격리시켜 물이 다른 배수홀(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벽면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부(60)와 연결되는 가이드 돌출부(40)가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게 되며, 가이드 돌출부(40)로 인하여 물이 다른 구획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봉삽입부(20)는 본체부(10)를 지탱하여 본체부(10)를 지면에서 이격 시키도록 걸이봉(50)이 삽입되어 지면에 설치되어지는 지지부에 걸쳐지게 된다.
이러한 고설 재배 포트(1)를 이용하여 식물을 생장시키는 방법은 본체부(10)의 봉삽입부(20)에 걸이봉(50)을 삽입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걸이봉(50)을 걸어 고정시키고, 본체부(10)에 토양을 채운뒤 식물을 구분되어진 구획에 심은뒤 물을 주어 식물을 생장시키게 된다.
식물에 물을 줄때 본체부(10)의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40)로 인하여 옆으로 물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되므로 전체 식물에 고르게 물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지면과 이격되어 본체부(10)가 설치되므로 지면에서 유입되는 병해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의 걸이봉이 삽입된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가 설치되어진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20 : 봉삽입부
30 : 배수홀 40 : 가이드 돌출부
50 : 걸이봉 60 : 돌출부

Claims (2)

  1. 식물을 생장시키는 고설(高設) 재배 포트에 있어서,
    역방향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측면이 개방되어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홀(30)과;
    상기 배수홀(30) 간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30)측으로 물이 모이도록 형성된 돌출부(60)와;
    상기 돌출부(60)와 연결되어 본체부(10)의 측면벽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묘종을 구획으로 나누는 가이드 돌출부(40)와;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어 본체부(10)를 지탱하는 걸이봉(50)이 삽입되어지는 봉삽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삽입부(20)에 걸이봉(50)을 삽입하고, 상기 걸이봉(50)을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설치하여 본체부(10)를 지면과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KR1020090092906A 2009-09-30 2009-09-30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KR10116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06A KR101168995B1 (ko) 2009-09-30 2009-09-30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06A KR101168995B1 (ko) 2009-09-30 2009-09-30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269A true KR20110035269A (ko) 2011-04-06
KR101168995B1 KR101168995B1 (ko) 2012-07-27

Family

ID=4404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906A KR101168995B1 (ko) 2009-09-30 2009-09-30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9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6249A (zh) * 2012-06-29 2012-10-17 北京市农林科学院 草莓育苗穴盘
KR200486830Y1 (ko) *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식물 재배용기
CN109429969A (zh) * 2018-10-30 2019-03-08 林芝 可快速收获的花生种植方法
KR20200000384A (ko) * 2019-11-22 2020-01-02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뿌리 식물의 다수확 재배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뿌리 식물의 다수확 재배방법
KR20220128782A (ko) * 2021-03-15 2022-09-22 오현민 식물 재배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579B2 (ja) 1999-06-01 2002-03-18 山口県 イチゴ栽培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6249A (zh) * 2012-06-29 2012-10-17 北京市农林科学院 草莓育苗穴盘
CN102726249B (zh) * 2012-06-29 2014-10-15 北京市农林科学院 草莓育苗穴盘
KR200486830Y1 (ko) *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식물 재배용기
CN109429969A (zh) * 2018-10-30 2019-03-08 林芝 可快速收获的花生种植方法
CN109429969B (zh) * 2018-10-30 2020-09-22 林芝 可快速收获的花生种植方法
KR20200000384A (ko) * 2019-11-22 2020-01-02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뿌리 식물의 다수확 재배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뿌리 식물의 다수확 재배방법
KR20220128782A (ko) * 2021-03-15 2022-09-22 오현민 식물 재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995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ponic growth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KR101168995B1 (ko)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KR101299354B1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200432507Y1 (ko) 작물의 공중재배용 포트
KR101382834B1 (ko) 관수와 이식이 용이한 육묘용 포트
TWM494487U (zh) 直立式栽培器及直立式栽培裝置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CA2567198C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GB2527150A (en) A propagator
KR101396922B1 (ko) 수경재배판
RU200449U1 (ru) Гидроп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024968B1 (ko) 재배관을 이용한 입상식 농작물 재배장치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KR20140001745U (ko) 딸기 육묘포트 조립체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KR101691143B1 (ko) 공중재배포트용 배수로설치식 받침지지수단
JP7081866B2 (ja) 水耕栽培槽および排水部品
TWM558526U (zh) 農作物種植改良裝置
RU2746805C1 (ru) Гидроп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система выращивания, использующая это устройство
KR102047839B1 (ko) 뿌리 식물 재배용 베드 장치
JP2833499B2 (ja) プランター
JP2004329011A (ja) 植物栽培方法とその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