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922B1 - 수경재배판 - Google Patents

수경재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922B1
KR101396922B1 KR1020120103073A KR20120103073A KR101396922B1 KR 101396922 B1 KR101396922 B1 KR 101396922B1 KR 1020120103073 A KR1020120103073 A KR 1020120103073A KR 20120103073 A KR20120103073 A KR 20120103073A KR 101396922 B1 KR101396922 B1 KR 10139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iddle plate
cultivation
hol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922B9 (ko
KR20140036679A (ko
Inventor
김창배
이상우
안범섭
최재선
Original Assignee
솔트웨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트웨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트웨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22B1/ko
Publication of KR1013969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재배판에 관한 것으로써, 수경재배판은 재배포트; 상기 재배포트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재배홀들이 배열된 상판부; 상기 상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 재배홀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중판 재배홀들이 배열되고, 상기 중판 재배홀 상방으로 상기 중판 재배홀을 감싸며 형성된 재배포트 물막이가 마련되고, 일측에 배양액 공급관이 형성된 중판부; 상기 중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배양액 배수관이 형성된 하판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을 파종하여 수확까지 하나의 재배판에서 재배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키고, 조립식 구조로 용이하게 분리가능하여 청소가 쉽고, 송풍수단에 의해 배양액의 온도를 낮추고, 배양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배양액의 산소용존률을 높인다.

Description

수경재배판{Hydroponic Trays}
본 발명은 수경재배판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을 말한다.
수경재배는 뿌리의 성장과정과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수경재배판은 상부에는 작물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있고 하부에는 배양액이 흐르는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923호가 있었다.
종래 수경재배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작물을 파종했을 경우 배양액이 배지에 닿지 않아 작물의 뿌리가 내린 후에 수경재배판에 옮길 수 있다.
둘째, 불순물이 쌓여도 청소하기가 어려웠다.
셋째, 수경재배판의 내부 공기 순환이 이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물을 파종하여 수확까지 하나의 재배판에서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판은 재배포트; 상기 재배포트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재배홀들이 배열된 상판부;상기 상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 재배홀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중판 재배홀들이 배열되고, 상기 중판 재배홀 상방으로 상기 중판 재배홀을 감싸며 형성된 재배포트 물막이가 마련되고, 일측에 배양액 공급관이 형성된 중판부; 상기 중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배양액 배수관이 형성된 하판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판부의 재배포트 물막이 일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배양액이 중판부의 일정수위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배양액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재배포트의 하부로 흘러들어 가서 상기 재배포트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하부판으로 배출된다.
또한, 중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재배포트들을 통과한 배양액의 흐름을 막는 배수막과 상기 배수막 옆에 하판부로 배양액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홀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판부 일측에는, 소정의 개수의 공기순환홀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 타측에는, 상기 공기순환홀로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송풍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물을 파종하여 수확까지 하나의 재배판에서 재배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킨다.
둘째, 조립식 구조로 용이하게 분리가능하여 청소가 쉽다.
셋째, 송풍수단에 의해 배양액의 온도를 낮추고, 배양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배양액의 산소용존률을 높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조립 전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조립 후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판부에서 배양액의 흐름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판부의 배수막과 배수홀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판부에 송풍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 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조립 전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의 조립 후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판부에서 배양액의 흐름을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판부의 배수막과 배수홀을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판부에 송풍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판은, 도1을 참조하면 재배포트(100), 상판부(200), 중판부(300), 하판부(400)를 포함한다.
재배포트(100)는 식물의 씨앗 파종시에는 스폰지로 만든 인공배지를 넣고, 뿌리가 일정량 자랐을 경우에는 상토나 토양을 넣어, 식물을 실제 재배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재배포트(100)의 하부는 상판 재배홀(250), 중판 재배홀(350)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포트(100)의 상부는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며, 재배포트(100)의 하부는 상판 재배홀(250), 중판 재배홀(350)에 삽입되어 수경재배기판과 결합 된다.
여기서, 재배포트(100)의 하부는 배양액이 흡수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게 형성된다.
또한, 재배포트(100)는 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할 수 있도록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VC(Ploybinylchloride), PP(Polypropylene) 수지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판부(200)는 재배포트(100)가 삽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판 재배홀(250)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상판 재배홀(250)을 도시하였지만, 상판 재배홀(25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 재배홀(250)의 크기와 모양도 재배포트(100)의 하부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중판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중판부(300)는 상판부(200) 저면과 결합되게 형성되며, 공급관(320), 재배포트 물막이(330), 개방부(340), 중판 재배홀(350)을 포함한다.
중판부(300)는 측면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며, 배양액을 공급관(320)을 통해 공급받아 재배포트(100)에 배양액을 직접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급관(320)은 중판부(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도4를 참조하면 일측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급관(320)은 재배포트(100)의 작물에 배양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배양액은 공급관(320)을 통해서 중판부(300)의 중판 재배홀(350)이 배열된 방향으로 흐른다.
재배포트 물막이(330)는, 중판 재배홀(350) 상방으로 중판 재배홀(350)을 감싸며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재배포트 물막이(33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일측면의 소정 부분이 개방된 구조인 개방부(340)가 형성된다.
개방부(340)는 공급관(320)으로부터 공급된 배양액이 중판부(300) 일정높이 이상이 되면, 개방부(34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재배포트 물막이(330)로 배양액이 흘러들어간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액은 공급관(320)에서 중판부(300)의 중판 재배홀(350)이 배열된 방향으로 흐르다가 개방부(340)의 개방된 부분의 높이이상으로 배양액이 공급되면, 개방부(34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재배포트 물막이(330)로 배양액이 흘러들어간다.
이때, 배양액이 재배포트 물막이(330)로 점차 모이면 최대 재배포트 물막이(330)의 높이 만큼 배양액이 고일수 있고, 고인 배양액은 상기 재배포트(100)로 서서히 공급된다.
여기서, 재배포트(100)에 의해 흡수되고 남은 배양액은 상기 재배포트(100)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하부판(400)을 향해 배출된다.
도5를 참조하면, 중판부의 일측에는, 재배포트(100)들을 통과한 배양액의 흐름을 막는 배수막(360)과 상기 배수막(360) 옆에 하판부(400)로 배양액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홀(370)이 마련된다.
중판부(300)에서 배양액의 일부는 다수의 재배포트(100)의 개방부(340)를 통해 재배포트 물막이(330)로 흘러들어가고, 남은 배양액은 중판부의 일측에 마련된 배수막(360)이 위치한 지점으로 흘러오게 된다.
이때, 배수막(360)은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며, 다수의 재배포트(100)를 통과해온 남은 배양액을 배수막(360)이 가둬놓는 역활을 수행한다.
배수막(360)에 흐름이 막힌 배양액은, 다시 재배포트(100)의 개방부(340)를 통해 재배포트 물막이(330)로 흘러들어가서 재배포트(100)의 작물이 배양액을 흡수하게 한다.
배양액의 수위가 배수막(360)의 높이를 초과하면, 중판부(300)내부에서 배양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막(360) 옆에 배수홀(370)이 마련되고, 배수막(360)을 통과한 배양액은 배수홀(370)을 통해 하판부로 흐른다.
배수홀(370)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홀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6를 참조하여 하판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하부판(400)은, 배수관(420), 공기순환홀(430), 송풍수단(450)을 포함한다.
배수관(420)은 중판부(300)에서 하판부(400)로 떨어지는 배양액을 배수시키는 역활을 한다.
또한, 배수관(420)은 하판부(4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도4를 참조하면 일측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기순환홀(430)은 하판부(400) 일측에 소정의 개수로 마련되어, 하판부(400)의 공기가 순환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공기순환홀(430)을 도시하였지만, 공기순환홀(4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송풍수단(450)은 공기순환홀(430)과 함께 하판부(400)의 공기 순환 및 배출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송풍수단(45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400) 타측에 설치되며, 송풍수단(450)은 모터(미도시), 모터와 일체로 연결된 회전팬(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또한, 송풍수단(450)은 전술한 형태 이외에 공지된 다른 형태로 구성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송풍수단(450)은 중판부(300)에서 하판부(400)로 떨어지는 배양액에 강제송풍으로 배양액의 온도를 낮추고, 배양액에 공기 접촉을 높여 배양액의 산소용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갖게 한다.
본 발명인 수경재배기판은 상판부(200), 중판부(300), 하판부(4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조립식 구조로 되어있어, 상판부(200), 중판부(300), 하판부(400)의 분리가 쉽다.
100 : 재배포트
200 : 상판부
250 : 상판 재배홀
300 : 중판부
320 : 공급관
330 : 재배포트 물막이
340 : 개방부
350 : 중판 재배홀
360 : 배수막
370 : 배수홀
400 : 하판부
420 : 배수관
430 : 공기순환홀
450 : 송풍수단

Claims (6)

  1. 재배포트;
    상기 재배포트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재배홀들이 배열된 상판부;
    상기 상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 재배홀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중판 재배홀들이 배열되고, 상기 중판 재배홀 상방으로 상기 중판 재배홀을 감싸며 형성된 재배포트 물막이가 마련되고, 일측에 배양액 공급관이 형성된 중판부;
    상기 중판부 저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배양액 배수관이 형성된 하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중판부의 재배포트 물막이 일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배양액이 중판부 높이의 일정수위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배양액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재배포트의 하부로 흘러들어 가서 상기 재배포트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하부판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재배포트들을 통과한 배양액의 흐름을 막는 배수막과 상기 배수막 옆에 하판부로 배양액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 일측에는, 소정의 개수의 공기순환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 타측에는, 상기 공기순환홀로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송풍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판.
KR1020120103073A 2012-09-18 2012-09-18 수경재배판 KR10139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73A KR101396922B1 (ko) 2012-09-18 2012-09-18 수경재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73A KR101396922B1 (ko) 2012-09-18 2012-09-18 수경재배판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79A KR20140036679A (ko) 2014-03-26
KR101396922B1 true KR101396922B1 (ko) 2014-05-19
KR101396922B9 KR101396922B9 (ko) 2021-11-19

Family

ID=5064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73A KR101396922B1 (ko) 2012-09-18 2012-09-18 수경재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06B1 (ko) * 2014-04-28 2015-01-16 영 성 왕 식물재배관리기에서 식용식물의 수확기간을 확장하여 수확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35075B1 (ko) * 2018-07-04 2021-04-02 주식회사 시스비젼 수경용 포트
KR102303773B1 (ko) * 2021-06-01 2021-09-16 김하은 스마트 팜 방식의 수경재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251U (ko) * 1989-02-24 1990-09-05
JPH0479382B2 (ko) * 1984-05-22 1992-12-15 Daicel Chem
KR20100136184A (ko) * 2009-06-18 2010-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채소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382B2 (ko) * 1984-05-22 1992-12-15 Daicel Chem
JPH02111251U (ko) * 1989-02-24 1990-09-05
KR20100136184A (ko) * 2009-06-18 2010-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채소 생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922B9 (ko) 2021-11-19
KR20140036679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436B2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JP6006719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101396922B1 (ko) 수경재배판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JP4415132B2 (ja) 種苗の育苗装置
KR101168995B1 (ko)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CN203675801U (zh) 一种无土栽培盆钵
TWM606075U (zh) 盆栽植物栽培端盤底部灌溉系統
US11304389B2 (en) Sub-irrigation bed and cultivation apparatus
JP2023054743A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200469008Y1 (ko)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JP4313616B2 (ja) 養液栽培装置
JP7126294B1 (ja) イチゴ苗の生育方法
KR20200088730A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KR200369220Y1 (ko) 콩나물 재배기의 재배상자 재치장치
CN220556979U (zh) 一种用于高产韭菜种子培育装置
CN210610458U (zh) 一种藤本植物耐盐碱筛选实验装置
WO2023058257A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20220002213U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KR20230174623A (ko) 수위조절기구를 구비한 수경식물 재배기
KR20220151516A (ko) 육묘포트용 저면관수시스템
KR200188632Y1 (ko) 콩나물 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