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90A -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 Google Patents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90A
KR20110034990A KR1020090092514A KR20090092514A KR20110034990A KR 20110034990 A KR20110034990 A KR 20110034990A KR 1020090092514 A KR1020090092514 A KR 1020090092514A KR 20090092514 A KR20090092514 A KR 20090092514A KR 20110034990 A KR20110034990 A KR 2011003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screen
bar
emergenc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해근
Original Assignee
강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해근 filed Critical 강해근
Priority to KR102009009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990A/ko
Publication of KR2011003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06B5/14Gas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 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피난자가 화재 발생지역을 신속하게 피난 할 수 있도록 한 방화 스크린이 개시된다. 방화 스크린은 비상구가 형성되는 스크린;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타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비상문;상기 비상문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중량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비상문개폐바;및 상기 비상구의 폐쇄에 따라 상기 비상문을 상기 스크린에 결속시키는 비상문결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Firestop screen with built in exit door}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며, 피난자의 피난을 위한 비상구가 형성되는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통로를 차단하여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방화셔터가 사용되고 있다.
방화셔터는 다수의 폭이 좁고 긴 금속판을 서로 물려 문틀 상부의 셔터박스에 마련된 구동장치로 감아 올려 여닫는 철제문으로, 소정부에 비상구를 만들고, 개방된 후에도 자동으로 닫혀지는 비상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상문은 방화셔터가 내려진 후에도 인명의 긴급구조 내지는 비상탈출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토해양부에서는 자동방화셔터 및 비상문의 기준; 국통해양부 고시 제2009-274호(2009.06.01)를 고시함으로서, 자동방화셔터 및 비상문이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 시험과 차연성 시험 등을 통해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시켜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직물소재의 방화 스크린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방화 스크린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동방화셔터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며, 유지, 관리,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국토해양부 고시의 기준을 충족시키며, 화재지역에 발생되는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 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피난자가 화재 발생지역을 신속하게 피난 할 수 있도록 한 방화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방화 스크린은 비상구가 형성되는 스크린;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타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비상문;상기 비상문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중량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비상문개폐바;및 상기 비상구의 폐쇄에 따라 상기 비상문을 상기 스크린에 결속시키는 비상문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구 및 상기 비상문은 상단이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단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하향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상기 비상문의 상단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하향 배치되어 상기 비상문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및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통과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결속하며, 상기 비상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결속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결속링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링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비상문의 주변을 따라 상기 스크린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복수의 도르레;복수의 상기 도르레에 감기고 상기 중량바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결합되는 와이어;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및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결속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은 하단 및 일측이 개방되고 상단 및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상단과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는 결속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은 상기 비상문개폐바를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시키는 비 상문회동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은 비상구가 형성되는 스크린;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비상문;상기 비상문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중량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비상문개폐바;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고 타측이 상기 비상문에 중첩되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차단막;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는 차단막개폐바;및 상기 비상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회동시키는 차단막단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막단속부는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의해 회동되는 제1 단속바;상기 제1 단속바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 기어;및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회동시키는 제2 단속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속바는 일단부가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제1 링크바;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바의 타단부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차단막개폐바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단속부는 상기 중량바로부터 상기 제1 단속바로부터 밀어내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제1 탄성체;및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상기 중량바로 당기는 압축력 을 발휘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은 상기 비상문개폐바를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시키는 비상문회동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피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상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은 비상구(111)가 형성되는 스크린(110), 스크린(110)에 접합되어 비상구(111)를 개폐시키는 비상문(120), 스크린(110)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130) 및 비상문(120)의 하단에 결속되는 비상문개폐바(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방화 스크린(100)은 스크린(110)의 상단에 결속되어 스크린(110)을 지지하는 지지축(151), 지지축(151)을 회전시켜 스크린(110)을 승강시키는 승강모터(152) 및 스크린(110)이 설치되는 통로의 측벽에 배치되어 스크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53)을 포함한다.
스크린(110)은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직물소재로 이루어진다.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린(110)은 철재로 이루어지는 방화셔터에 비해 크기, 부피,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관리,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
스크린(110)에 형성되는 비상구(111)는 너비 0.9m 이상, 유효높이 2m 이상으로 형성된다. 비상구(111)는 피난자가 화재지역을 탈출 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비상구(111)의 상단은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비상문(120)은 스크린(110)과 동일한 직물소재로 이루어진다. 비상문(120)은 일측이 스크린(110)에 중첩되며, 타측이 스크린(110)에 접합되어 일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비상문(120)의 상단은 비상구(111)의 상단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비상문(120)은 연기,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부 및 회동단부가 스크린(110)에 중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상문(120)은 비상구(111)를 폐쇄시켜 화재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비상구(111)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량바(130)는 화재시 스크린(110)이 자중에 의해 통로에 원활하게 낙하되도록 하며, 화재시 스크린(110)을 지지하여 화재지역의 압력에 상승에 따른 스크린(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비상문개폐바(140)는 일측이 중량바(130)에 접촉되며, 타측에 비상문회동축(141)이 배치되어 중량바(130)에 힌지 결합된다.
중량바(130) 및 비상문개폐바(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기부재(131)가 배치되며, 자기부재(131)는 비상문개폐바(140)를 중량바(130)에 흡착 지지하여 비상문(120)에 의해 비상구(111)가 폐쇄 유지되도록 한다. 비상문회동축(141)은 상단이 회동단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난자에 의해 회동된 비상문(120)이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비상구(111)가 원활하게 폐쇄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상문회동축(141)에는 피난방향으로 회동된 비상문개폐바(140)가 피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며, 탄발력의 조절이 가능한 토션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바(130) 및 비상문개폐바(140)는 내화성, 내충격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화 스크린(100)은 비상구(111)의 폐쇄에 따라 비상문(120)의 상단을 스크린(110)에 결속시키는 비상문결속부(160)를 포함한다. 비상문결속부(160)는 비상구(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크린(110)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161), 비상문(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162) 및 제1 와이어(161)와 제2 와이어(162)를 결속하는 결속링(163)을 포함한다.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는 비상구(111) 및 비상문(120)의 상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결속링(163)은 내부에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가 통과되도록 설치된다. 비상문결속부(160)는 비상문(120)이 회동되어 비상구(111)가 개방됨에 따라 결속링(163)이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를 따라 상향 이송되어 비상구(111)가 원활하게 개방되도록 하며, 비상문(120)이 회동 되어 비상구(111)가 폐쇄됨에 따라 제1 와이어(161) 및 제2 와이어(162)를 따라 하향 이송되어 비상문(120)을 스크린(110)에 결속시킨다. 따라서 결속링(163)은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하향 이송되도록 하며, 스크린(110)과 비상문(1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무게추(1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와이어(161), 제2 와이어(162) 및 결속링(163)은 내화성, 내충격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화 스크린(100)은 비상문(120)의 상단부와 스크린(110)에 중첩되는 결속막(165)을 포함한다. 결속막(165)은 스크린(110)과 동일한 직물소재로 이루어진다. 결속막(165)은 비상구(111)의 개폐시 비상문(120)의 회동에 간섭을 끼치지 않도록 하단 및 일측이 개방되며, 상단 및 타측이 스크린(110)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문(120)의 상단부는 스크린(110)에 중첩되고, 결속막(165)에 의해 한 번 더 스크린(110)에 중첩되므로, 비상구(111)의 상단부는 비상문(120) 및 결속막(165)에 의해 2중으로 스크린(110)에 중첩된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100)은 비상구(111)의 상단부와 비상문(120)의 상단부의 사이로 새어나갈 수 있는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방화 스크린(100)은 비상문(120)의 회동단부와 스크린(110)에 중첩되는 차단막(170)을 포함한다. 차단막(170)은 스크린(110)과 동일한 직물소재로 이루어진다. 차단막(170)은 일측이 스크린(110)에 접합되며, 타측이 비상문(120)에 중첩된다. 이러한 차단막(170)은 비상구(111)와 비상문(120)의 회동단부의 사이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중량바, 차단막개폐바 및 단속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은 차단막(170)의 하단에 결속되는 차단막개폐바(180), 차단막(170)의 개폐를 단속하는 차단막단속부(190)를 포함한다. 차단막개폐바(180)는 일측에 차단막회동축(181)이 배치되어 중량바(130)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이 비상문개폐바(140)에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차단막단속부(190)는 중량바(130)에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제1, 2 기어(191, 192), 제1, 2 기어(191, 192)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2 단속바(193, 194), 제1 단속바(193)를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체(195) 및 차단막개폐바(180)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체(196)를 포함한다. 제1 기어(191)는 회전축이 차단막개폐바(180)의 회동단부를 향한 측에 배치되며, 제2 기어(192)는 회전축이 차단막회동축(181)을 향한 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기어(191)와 제2 기어(192)의 기어비는 제1 기어: 제2 기어=1:1ㅧn (n≤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속바(193)는 비상구(111)의 폐쇄시 선단부가 비상문개폐바(1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2 단속바(194)는 비상구(111)의 개방시 선단부가 차단막개폐바(19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탄성체(195)로는 비상구(111)가 개방됨에 따라 제1 단속바(193)를 중량바(130)로부터 밀어내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압축 스프링이 사용된다. 제2 탄성체(196)로는 비상구(111)가 페쇄됨에 따라 제2 단속바(194)를 중량바(130)로 당기 는 압축력 작용하도록 인장 스프링이 사용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제2 단속바(194)는 하나의 절곡된 막대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속바(194)는 제1, 2 링크바(194a, 19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속바(194)가 제1, 2 링크바(194a, 194b)로 이루어 질 경우, 제1 링크바(194a)의 일단부는 제2 기어(192)의 회전에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제2 기어(192)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링크바(194a)의 타단부와 제2 링크바(194b)의 일단부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링크바(194b)의 타단부는 차단막개폐바(19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제1 기어(191)에 의해 제2 기어(192)가 회전되면, 제1 링크바(194a)가 함께 회동되고, 제1 링크바(194a)의 회동에 따라 제2 링크바(194b)가 회동된다. 이때 제2 링크바(194b)의 타단부에 결합된 차단막개폐바(180)는 제2 링크바(194b)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고, 차단막(170)을 회동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통로 차단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축(151)을 제동하고 있는 승강모터(152)는 화재감지기(미도시)에 의해 화재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지지축(151)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지지축(151)의 제동력이 해제됨에 따라 스크린(110)은 중량바(130)의 자중에 의해 낙 하한다. 스크린(110)은 화재지역을 차단하여 화재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화재지역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비상문(120)은 비상구(111)를 페쇄하며, 비상문(120)의 회동단부는 스크린(110)에 밀착된다. 그리고 결속막(165) 및 차단막(170)은 비상문(120) 및 스크린(110)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결속링(163)이 자중에 의해 하향 이송되어 제1, 2 와이어(161, 162)를 결속하며, 자기부재(131)에 의해 비상문개폐바(140)와 중량바(130)가 서로 흡착 지지되고 있으므로, 비상문(120)과 스크린(110)은 결속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스크린(110)과 비상문(120)은 비상문결속부(160)에 의해 견고히 결속되며, 결속막(165) 및 차단막(170)에 의해 이중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100)은 화재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화재지역의 외부로부터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개방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재시 피난자는 비상문(120)을 피난방향으로 가압한다. 비상문(120)이 피난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는 피난방향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때 제1 와이어(161)와 제2 와이어(162)는 간격이 점차 벌어지고, 결속링(163)은 제제1 와이어(161)와 제2 와이어(162)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제1 와이어(161)와 제2 와이어(162)를 따라 상향 이송된다. 따라서 비상문(120)은 원활하게 회동되며 비상구(111)가 개방된다.
그리고 비상문(120)이 개방됨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는 피난방향으로 회동된다. 비상문개폐바(140)의 회동단부는 제1 단속바(193)에 접촉된다. 비상문개폐바(140)의 회동 및 제1 탄성체(195)의 인장력에 의해 제1 단속바(193)는 피난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단속바(193)가 회동됨에 따라 제1 기어(191)는 피난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기어(192)는 제1 기어에 맞물려 회전된다. 제2 단속바(194)는 제2 기어(192)에 의해 피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차단막개폐바(180)에 접촉되며 차단막개폐바(180)를 피난방향으로 가압한다. 차단막개폐바(180)가 피난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차단막(170)은 피난방향으로 회동된다. 제2 단속바(194)는 차단막개폐바(180)의 가압력을 유지하여 차단막개폐바(180)가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피난자에 의해 비상문(120)이 피난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가 회동되며, 차단막단속부(190)는 비상구(111)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차단막개폐바(180)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비상구(111)는 피난자에 의해 피난방향으로 개방되며, 피난자는 개방된 비상구(111)를 통해 화재지역을 탈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의 폐쇄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상문회동축(141)은 상단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비상구(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상문(120)은 비상문(120) 및 비상문개폐바(140)의 자중에 의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2 단속바(194)는 차단막개폐바(180)를 가압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차단막(170)은 피난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이다.
비상문(120)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는 제1 단속바(193)에 접촉된다. 제1 단속바(193)는 비상문개폐바(140)에 의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단속바(193)가 회동됨에 따라 제1 기어(191)는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기어(192)는 제1 기어(191)에 맞물려 회전된다.
제2 단속바(194)는 제2 기어(192)의 회전에 의해 피난방향으로 회동된다. 제2 단속바(194)가 피난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차단막개폐바(180)의 지지상태가 해제되며, 차단막개폐바(180)는 제2 탄성체(196)의 압축력에 의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비상문(120)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결속링(163)은 자중에 의해 하향 이송되어 제1 와이어(161)와 제2 와이어(162)를 결속한다.
이와 같이 비상문(120)은 비상문(120) 및 비상문개폐바(140)의 자중에 의해 피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스크린(110)에 중첩되고, 차단막개폐바(180)는 차단막단속부(190)에 의해 회동되어 차단막(170)이 비상문(120)에 중첩되도록 한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100)은 개방된 비상구(111)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여 화재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화재지역의 외부로부터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설명에서 비상문결속부(160)는 제1, 2 와이어(161, 162), 결속링(163) 및 무게추(1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200)은 복수의 도르레(261), 와이어(262), 무게추(263) 및 결속고리(264)로 이루어지는 비상문결속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결속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비상문결속부(260)는 회전축이 비상문(120)의 주변을 따라 스크린(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도르레(261), 일단부가 중량바(130)를 관통하여 비상문개폐바(140)에 결합되는 와이어(262) 및 복수의 도르레(261)에 감긴 와이어(26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무게추(263)를 포함한다. 무게추(263)는 피난자가 비상문(120)을 가압함에 따라 상승 가능하며, 화재지역의 압력상승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가 회동되지 않는 정도의 무게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비상문결속부(260)는 비상문(120)의 회동단부 상단에 결합되어 와이어(263)의 경로를 형성하며, 비상구(111)의 폐쇄시 비상문(120)을 스크린(110)에 결속시키는 결속고리(264)를 포함한다.
이에, 피난자가 피난방향으로 비상문(120)을 가압하면 비상문개폐바(140)는 비상문(120)과 함께 피난방향으로 회동된다. 와이어(262)는 결속고리(264)를 통과하며, 일단부가 피난방향으로 인출된다. 와이어(262)의 타단부에 결합된 무게추(263)는 와이어(262)가 인출되는 길이만큼 상승한다.
피난자의 피난 이후, 무게추(263)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인출된 와이 어(262)는 회수된다. 이에 따라 비상문개폐바(140)는 무게추(263)의 자중에 의해 피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비상문(120)은 비상문개폐바(140)에 의해 회동되어 비상구(111)를 폐쇄시킨다. 이때 결속고리(264)는 와이어(262)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와이어(262)의 장력에 의해 비상문(12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상문(120)을 스크린(110)에 결속시킨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상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중량바, 차단막개폐바 및 단속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통로 차단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의 개방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의 폐쇄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결속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방화 스크린 110 : 스크린
111 : 비상구 120 : 비상문
130 : 중량바 140 : 비상문개폐바
160 : 비상문결속부 170 : 차단막
180 : 차단막개폐바 190 : 차단막단속부

Claims (11)

  1. 비상구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타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비상문;
    상기 비상문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중량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비상문개폐바;및
    상기 비상구의 폐쇄에 따라 상기 비상문을 상기 스크린에 결속시키는 비상문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및 상기 비상문은 상단이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단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하향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상기 비상문의 상단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하향 배치되어 상기 비상문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및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통과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결속하며, 상기 비상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결속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결속링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링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결속부는
    상기 비상문의 주변을 따라 상기 스크린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복수의 도르레;
    복수의 상기 도르레에 감기고 상기 중량바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및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결속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5.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하단 및 일측이 개방되고 상단 및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상단과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는 결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개폐바를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시키는 비상문회동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7. 비상구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속되는 중량바;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중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어 타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비상문;
    상기 비상문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중량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비상문개폐바;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접합되고 타측이 상기 비상문에 중첩되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회동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결속되며, 일측이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되는 차단막개폐바;및
    상기 비상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회동시키는 차단막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단속부는
    상기 비상문의 회동에 따라 상기 비상문개폐바에 의해 회동되는 제1 단속바;
    상기 제1 단속바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 기어;및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회동시키는 제2 단속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속바는
    일단부가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제1 링크바;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바의 타단부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차단막개폐바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단속부는
    상기 중량바로부터 상기 제1 단속바로부터 밀어내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제1 탄성체;및
    상기 차단막개폐바를 상기 중량바로 당기는 압축력을 발휘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개폐바를 상기 중량바에 힌지 결합시키는 비상문회동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회동축은 상단이 상기 비상문의 회동단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KR1020090092514A 2009-09-29 2009-09-29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KR20110034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14A KR20110034990A (ko) 2009-09-29 2009-09-29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14A KR20110034990A (ko) 2009-09-29 2009-09-29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90A true KR20110034990A (ko) 2011-04-06

Family

ID=4404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514A KR20110034990A (ko) 2009-09-29 2009-09-29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6092A (zh) * 2021-06-09 2021-08-10 中国人民解放军63653部队 一种具有高密封性的拉链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6092A (zh) * 2021-06-09 2021-08-10 中国人民解放军63653部队 一种具有高密封性的拉链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JP3104011B2 (ja) 防火又は防煙防火シャッター
KR20110034990A (ko) 비상구 일체형 방화 스크린
KR20070109037A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0980382B1 (ko)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7897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JPH11313901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15151816A (ja) 自動ドアシステム及び自動ドア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10013735A (ko) 비상구 일체형 방화셔터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20080007917A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013794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101524199B1 (ko) 방화블라인드장치
RU23513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занавес
KR20200018924A (ko) 방화 스크린 셔터
CN1762511B (zh) 通风式幕墙防火装置
KR20080111782A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RU2330699C2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открытых проем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