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851A - 손목 거치대 - Google Patents

손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851A
KR20110034851A KR1020090092313A KR20090092313A KR20110034851A KR 20110034851 A KR20110034851 A KR 20110034851A KR 1020090092313 A KR1020090092313 A KR 1020090092313A KR 20090092313 A KR20090092313 A KR 20090092313A KR 20110034851 A KR20110034851 A KR 2011003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mounting
wrist
portable termina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재우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이미경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102009009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851A/ko
Publication of KR2011003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기를 손목에 거치할 수 있는 손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휴대형 단말기가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장착부는 각각 서로 결합가능하게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블록을 구비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손목 거치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한 결합블록을 결합시켜 장착부와 거치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목 거치대의 부피 및 두께를 최소화하여 장착에 따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거해서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크기가 제각각인 갖가지 휴대형 단말기기를 단일 규격의 손목거치대에 통합,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손목거치대의 제조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손목 거치대, 휴대형 단말기기, 플렉시블, 회전가능

Description

손목 거치대{WRIST CRADLE}
본 발명은 손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중에 휴대형 단말기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손목에 거치하는 손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나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해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는 이동중이거나 차량운전시 경로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를 직접 손으로 들고 운전을 하는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해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를 차량 내부에 장작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는 전용 차량항법장치(Car Navigation System)에 비 해 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운전자가 화면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손목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02216호(2000년 08월 28일자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인 고정판(10), 고정판(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폰이 거치되는 회전판(20), 고정판(10)의 양측에 연결되어 고정판(10)을 휴대자의 손목에 고정시키는 손목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판(20)의 상단 양면에는 상단 좌우측, 하단 좌우측 및 중앙부 좌우측에 각각 휴대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스토퍼(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후단에는 거치된 휴대폰을 잡아주는 스토퍼(22)가 형성된다.
회전판(20)과 고정판(10)은 중앙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고정쇠(40)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운전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휴대폰 및 회전판(20)을 회전시켜 휴대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스프링 고정쇠(40)를 이용해서 고정판(10)과 회전판(20)을 결합시킴에 따라, 부피가 두꺼워져서 장착의 부담감으로 인해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고,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판(20) 및 스토퍼(21, 22)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폰의 형상이 다르면 호환해서 사용할 수 없어 각각의 휴대폰 규격별로 거치대 회전판을 일일이 대응시켜 제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설비 비용이 과중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 및 두께를 최소화하여 장착에 따른 부담감을 줄이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거해서 부품 수 및 작업공수를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단일 규격의 손목거치대에 통합,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나 저렴한 가격으로 편리하게 손목에 거치할 수 있는 손목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휴대형 단말기가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장착부는 각각 서로 결합가능하게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결합블록은 하면에 일정각도마다 요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결합블록은 상기 제 1결합블록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리브와 상기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와 휴대형 단말기기는 초음파 진동을 가해 압착시키는 초음파 접 착 방식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와 휴대형 단말기는 양면 테이프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거치하도록 일측 방향의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와 장착부 및 고정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와 결합판 각각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과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결합블록을 결합시켜 장착부와 거치부를 직접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목 거치대의 부피와 두께를 최소화하여 장착에 따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결합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에 휴대형 단말기기를 접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기의 형상에 제약받지 않고 크기가 제각각인 갖가지 휴대형 단말기기를 단일 규격의 손목거치대에 통합,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손목거치대의 제조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부 및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손목 거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기가 접착되는 거치부(50), 상기 거치부(5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착부(60) 및 상기 장착부(60)의 양측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치부(5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으로 형성되는 거치판(51)과 상기 거치판(51)의 하면에 장착부(60)와 결합시키기 위해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되는 제 1결합블록(5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결합블록(52)은 도 3a에서 보았을 때, 하방을 향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결합블록(52)의 하면에는 도 3b에도시된 장착부(60)의 제 2결합블록(62)에 형성되는 회전돌기(64)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회전홈(5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홈(53)은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거치부(50)를 용이하게 회전킬 수 있도록 일정각도마다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형성된다.
장착부(6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61)과 상기 장착판(61)의 상면에 상기 고정부(50)와 결합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되는 제 2결합블록(6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결합블록(62)은 도 3b에서 보았을 때,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 예컨대 4개의 고정리브(63)와 상기 장착판(6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홈(53)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돌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리브(63)는 상단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64)는 상기 회전홈(53)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블록(52, 62)은 손목 거치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60)의 양측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시키도록 손목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70)는 일단부에 고정걸쇠(71)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고정걸쇠(71)가 걸리도록 다수의 걸이공(72)이 관통되어 형성되거나,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와 같은 암수 접착 부재 또는 접착식 테이프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여 접착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제 1결합블록(52)과 제 2결합블록(62)가 서로 대응되도록 거치부(50)를 장착부(6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도 3b에서 보았을 때, 제 2결합블록(62)의 상하측에 형성된 고정리브(63)의 내측에 제 1결합블록(52)의 일측, 예컨대 우측 하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거치부(50)를 일측 방향,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 2결합블록(62)의 우측 고정리브(63)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1결합블록(52)의 좌측단을 우측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누르면, 제 2결합블록(62)의 좌측 고정리브(63)가 좌측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면서 제 1결합블록(52)이 제 2결합블록(62)에 완전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제 2결합블록(62)의 좌측 고정리브(63)가 탄성력에 의해 본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제 1결합블록(52)을 고정한다.
반면, 제 1 및 제 2결합블록(52,62)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 1결합블록(52)과 제 2결합블록(62)을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억지 끼워맞춤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50)와 장착부(6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거치부(50)의 거치판(51) 상면에 휴대 전화기나 개인휴대 정보단말기 등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접착한다. 이때, 거치판(51)과 휴대형 단말기기는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압착시키는 초음파 접착 방식을 이용해 접착되거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 접착된다.
그리고 장착부(60)의 양측에 고정부(70)를 결합시키고, 고정부(70)의 고정걸쇠(71)를 사용자의 손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이공(72)에 삽입하거나 암수 접착 부재 또는 접착식 테이프를 접착하여 거치부(50) 및 장착부(60)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손목 거치대는 거치부(50)와 장착부(60)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거치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목 거치대에 접착된 휴대형 단말기기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운전자는 손목 거치대를 왼쪽 손목에 고정한 상태에서 거치판(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 1결합블록(52)의 하면에 형성된 회전홈(53)과 제 2결합블록(62)에 형성된 회전돌기(63)가 결합/해제를 반복하면서 거치부(60)가 회전한다.
반면, 손목 거치대의 사용이 종료되면, 거치부(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본래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 운전시 손목에 고정된 휴대형 단말기기의 이동경로 안내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두 손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기를 손목에 거치한 후,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거치부를 회전시켜 휴대형 단말기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거치부(50)와 장착부(60) 및 고정부(7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거치대는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부(50) 및 장착부(60)를 고정하는 결합판(80)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60)는 결합판(8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65)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공(65)은 장착판(61)의 중앙과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80)은 복수, 예컨대 3개의 장착부(6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우 길이를 연장시켜 장착부(60)의 체결공(65)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81)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공(65)과 결합공(81)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장착판(61)의 체결공(65)과 결합판(80)의 결합공(81)에 볼트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너트에 체결한다.
그리고 둘 이상의 거치판(51)에 각각 휴대형 단말기기를 접착하고, 휴대형 단말기기가 접착된 거치부(50)의 제 1결합블록(52)과 장착부(60)의 제 2결합블록(62)을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동시에 손목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고정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기가 결합된 결합판(80)을 손목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판(80)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부 및 장착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목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거치부 51: 거치판
52: 제 1결합블록 53: 회전홈
60: 장착부 61: 장착판
62: 제 2결합블록 63: 고정리브
64: 회전돌기 65: 체결공
70: 고정부 71: 고정걸쇠
72: 걸이공 80: 결합판
81: 결합공

Claims (5)

  1. 상면에 휴대형 단말기가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장착부는 각각
    서로 결합가능하게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블록은 하면에 일정각도마다 요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결합블록은 상기 제 1결합블록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리브와 상기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거치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휴대형 단말기기는 초음파 진동을 가해 압착시키는 초음파 접 착 방식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거치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휴대형 단말기는 양면 테이프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형 단말기기를 거치하도록 일측 방향의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와 장착부 및 고정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기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와 결합판 각각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과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거치대.
KR1020090092313A 2009-09-29 2009-09-29 손목 거치대 KR20110034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13A KR20110034851A (ko) 2009-09-29 2009-09-29 손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13A KR20110034851A (ko) 2009-09-29 2009-09-29 손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851A true KR20110034851A (ko) 2011-04-06

Family

ID=4404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313A KR20110034851A (ko) 2009-09-29 2009-09-29 손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8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8135A2 (en) * 2011-06-24 2012-12-27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KR101461612B1 (ko) * 2013-10-16 2014-11-20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56931A1 (ko) * 2013-10-16 2015-04-23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8135A2 (en) * 2011-06-24 2012-12-27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WO2012178135A3 (en) * 2011-06-24 2013-02-28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61612B1 (ko) * 2013-10-16 2014-11-20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56931A1 (ko) * 2013-10-16 2015-04-23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378581A (zh) * 2013-10-16 2016-03-02 李英伊 腕表式柔性显示装置
CN105378581B (zh) * 2013-10-16 2018-08-24 李英伊 腕表式柔性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8064A1 (en) Holder
US7374142B2 (en) Magnetic mounting apparatus
JP4795233B2 (ja) 車載用表示装置
EP2856900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US20130148951A1 (en) Holding device for camera and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KR200476134Y1 (ko)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US200802980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10059279B2 (en) Support for attaching a portable device to a vehicle rear-view mirror
EP2927556A1 (en) Holder mechanism
KR20110034851A (ko) 손목 거치대
US7583499B2 (en)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EP3244594A1 (en) Mounting member
JPWO2011101913A1 (ja) 超音波センサ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装置および取り付け方法
JP2001520141A (ja) 携帯電話用のホルダ
CN204641581U (zh) 移动设备夹持器
CN110630874A (zh) 一种锁定装置
TWI557355B (zh) Can quickly disassemble the assembly
JP2011156996A (ja) 電子機器を車室内に固定するための支持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126135A (en) Rotatable cable attachment device for securing portable equipment
KR101391167B1 (ko) 스마트기기 탈부착지지물
TWM511187U (zh) 行動裝置之固定接合結構
KR101555235B1 (ko) 다양한 두께를 갖는 휴대기기용 마운트
JP3234502U (ja) ユーザの携帯端末支持具
JP3112426B2 (ja) クロックスプリングのロック装置
CN220130047U (zh) 行车记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