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12B1 -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12B1
KR101461612B1 KR20130123283A KR20130123283A KR101461612B1 KR 101461612 B1 KR101461612 B1 KR 101461612B1 KR 20130123283 A KR20130123283 A KR 20130123283A KR 20130123283 A KR20130123283 A KR 20130123283A KR 101461612 B1 KR101461612 B1 KR 10146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wrist band
bent
pres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이
임미정
Original Assignee
이영이
임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이, 임미정 filed Critical 이영이
Priority to KR2013012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612B1/ko
Priority to CN201480032069.0A priority patent/CN105378581B/zh
Priority to US14/897,168 priority patent/US20160124395A1/en
Priority to PCT/KR2014/009527 priority patent/WO20150569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면을 크기 볼 수 있도록 구부러진 상태에서 펴진 상태로 전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목 밴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지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동되어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절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면을 크게 볼 수 있도록 구부러진 상태에서 펴진 상태로 전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풀 터치스크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휴대기기이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손가락 터치를 위해 일정한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유지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손에 쥐고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최근에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인 스마트왓치(smart watch)가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왓치는 손목시계 형태로 디스플레이가 시계 줄을 따라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왓치는 손목에 착용하므로 휴대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으나, 터치스크린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손목아래 부분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왓치의 상품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스마트왓치에 기존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의 터치스크린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배터리나 회로소자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어려워 일부분만 휘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의 터치스크린 효과를 줄 수 있는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휘어져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화면을 볼 때 불편함이 없는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목 밴드를 풀지 않고도 휘거나 펴짐이 자유로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목 밴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지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동되어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절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목 밴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이 상기 손목 밴드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타단이 상기 손목 밴드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목 밴드와, 상기 손목 밴드 상에 위치하며 배터리 및 전자 소자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손목 밴드를 따라 감싸며 구부러진 형태에서 펴진 형태로 전환되고 다시 펴진 형태에서 구부러진 형태로 전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 밴드를 풀지 않고도 손목 밴드를 따라 구부러진 형태로 감싸져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진 상태로 전환되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손목 아래 부분까지 펼쳐져 보이기 때문에 화면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진 상태에서 팔과 손의 일직선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화면 폭이 넓은 가로 방향으로 화면을 보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느낌의 화면을 전달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화면을 크게 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기술적으로 플렉서블 구현이 어려운 배터리나 회로기판 등의 부품을 분리함으로써 곡면 형태의 제품을 뛰어넘어 부분적 플랙서블 구현만으로도 플렉서블 제품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 변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절 조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 조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 조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 변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목 밴드(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손목 밴드(10)를 감싸며 구부러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손목 밴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있어서 종래 스마트왓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목 아래 부분의 화면을 보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구부러져 있는 형태에서 손목 밴드를 풀지 않고도 펴진 형태로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손목 아래 부분의 화면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구부러진 형태로 손목 밴드(10)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또는 기계적이나 전기적인 방식으로 손목 밴드(10)에서 분리되어 펴진 상태로 바뀌고, 다시 회전하여 팔과 손의 직선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구부러진 형태에서 펴진 형태로 변경되는 구조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고 펴기 위한 굴절 조정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굴절 조정 부재는(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하면에 설치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굴절 조정 부재(30)의 양단에 걸림 구조가 설치되어 손목 밴드(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굴절 조정 부재(3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중심에만 배치되거나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굴곡 조정 부재(30)는 다수의 마디(32)로 구성되어 있고 각 마디(32)는 마디 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다. 마디와 마디 사이를 연결하는 마디 연결부는 축을 중심으로 마디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축(34) 및 구부러진 마디가 직선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36)을 포함한다.
마디(32)를 구부리거나 펴기 위해서 마디(32)에 굴곡 조정 선(38)이 구비되어 있으며, 굴곡 조정 선(38)은 굴곡 조정 제어부(39)에 의해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당겨지거나 풀리면서 굴곡 조정 부재(30)를 구부리거나 펴게 된다.
한편, 굴곡 조정 선(38)이나 조정 제어부(39) 없이 수작업에 의해 마디(32)를 구부리고 스프링에 의해 직선 형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굴곡 조정 부재(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하면에 설치되며, 선 형태의 마디(42)로 구성되어 있고 각 마디(42)는 마디 연결부(44)에 지지되어 있다. 마디 연결부는 스프링 구조로 되어 선 형태의 마디(42)가 휘어진 상태에서 직선 형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선 형태의 마디(42)를 휘거나 펴기 위해서 마디(42)에 굴곡 조정 선(46)이 설치되어 있으며, 굴곡 조정 선(46)은 굴곡 조정 제어부(39)에 의해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당겨지거나 풀리면서 굴곡 조정 부재(40)를 휘게 하거나 펴게 된다.
역시, 굴곡 조정 선(46)이나 조정 제어부(39) 없이 수작업에 의해 마디(42)를 구부리고 스프링에 의해 직선 형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굴곡 조정 부재(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하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마디(52)가 스프링 구조(5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마디(52)를 구부리거나 펴기 위해 마디와 마디 사이 공간에 굴곡 조정 핀(56)이 설치되어 있으며, 굴곡 조정 핀(56)은 굴곡 조정 제어부(39)에 의해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면서 굴곡 조정 부재(50)를 구부리거나 펴게 된다.
굴곡 조정 핀(56)은 장면(long surface)(56a)과 단면(short surface)(56b)를 가진 형태로서, 장면(56a)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마디와 마디가 벌어지면서 직선 형태를 유지하고 단면(56b)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 구조(54)의 복원력에 의해 마디와 마디가 좁혀지면서 구부러진 형태로 변경된다. 구부러짐의 정도는 마디(52)의 형태나 굴곡 조정 핀(56)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연결 부재(60)는 손목 밴드(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 연결 부재의 회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회전 연결 부재(60)는 손목 밴드(10)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62), 회전 지지부(6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회전 이동부(6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선이 통과하는 통로(66) 등을 포함한다.
회전 지지부(62)는 손목 밴드(10)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 이동부(6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부(64)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지지부(62)에는 90도마다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회전 이동부(64)가 90도 단위로 회전한 뒤 스토퍼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이동부(64) 상에 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도 90도 단위로 회전 이동하면서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회전 연결 부재(60)는 상술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두 상대물의 결합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굴절 조정 부재(30, 40, 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하면에 설치되어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휘어지거나 펴지면서 이와 연동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휘어지거나 펴지게 된다.
또한 굴절 조정 부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에는 걸림 구조(미도시)가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즉, 먼저 굴절 조정 부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에 설치된 걸림 구조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에 부착되어 휘어진 상태에 있다가 걸림 구조가 풀리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이 손목 밴드에서 분리된 후 굴절 조정 부재에 의해 펴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에서 펴진 상태로 변경된 후 다시 굴절 조정 부재가 휘어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도 휘어져 손목 밴드를 감싸게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휘어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걸림 구조에 의해 손목 밴드에 최종 부착된다.
한편 배터리 및 전자 소자를 구비한 회로기판 조합이 손목 밴드(10) 상에 위치하며, 회로기판 조합(미도시)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굴절 조정 부재에 의해 휘어지고 펴지는 경우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굴절 조정 부재는 자체 복원력이 있는 재질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굴절 조정 부재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휘어지고 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양단에는 손목 밴드(10)와 착탈 가능한 걸림 구조가 설치되어 걸림 구조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10)를 따라 감싸며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걸림 구조를 해제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양단이 손목 밴드(10)에서 분리되면서 펴진 상태로 변경된다. 펴진 상태에서 다시 휘어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양단을 잡고 구부려 걸림 구조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손목 밴드(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손목 밴드 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0, 40, 50: 굴곡 조정 부재 32, 42, 52: 마디
34: 연결 축 36: 스프링
38, 46: 굴곡 조정 선 39: 굴곡 조정 제어부
44: 마디 연결부 54: 스프링 구조
56: 굴곡 조정 핀

Claims (8)

  1. 손목 밴드와,
    상기 손목 밴드 상에 위치하며 배터리 및 전자 소자를 구비한 회로기판 조합과,
    상기 손목 밴드를 따라 감싸며 구부러진 형태에서 펴진 형태로 전환되고 다시 펴진 형태에서 구부러진 형태로 전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지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동되어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절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펴진 형태로 전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회로기판 조합과 위치적으로 분리되고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손목 밴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지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동되어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절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조정 부재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이 상기 손목 밴드와 착탈 가능하며 상기 회전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굴절 조정 부재가 휘거나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손목 밴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목 밴드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이 상기 손목 밴드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타단이 상기 손목 밴드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분리 동작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이 상기 손목 밴드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진 형태에서 펴지고,
    상기 회전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KR20130123283A 2013-10-16 2013-10-16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283A KR101461612B1 (ko) 2013-10-16 2013-10-16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1480032069.0A CN105378581B (zh) 2013-10-16 2014-10-10 腕表式柔性显示装置
US14/897,168 US20160124395A1 (en) 2013-10-16 2014-10-10 Wrist-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PCT/KR2014/009527 WO2015056931A1 (ko) 2013-10-16 2014-10-10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283A KR101461612B1 (ko) 2013-10-16 2013-10-16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612B1 true KR101461612B1 (ko) 2014-11-20

Family

ID=5229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283A KR101461612B1 (ko) 2013-10-16 2013-10-16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892A (ko) 2015-03-19 2016-09-28 이영이 디스플레이의 온/오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811A (ja) 1998-10-28 2002-09-03 ヴィー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柔軟−剛性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及び方法
JP2004295716A (ja) 2003-03-28 2004-10-21 I'm Co Ltd 表示機能付電子機器
KR20110034851A (ko) * 2009-09-29 2011-04-06 이재우 손목 거치대
KR20120111094A (ko) * 2011-03-31 2012-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착용식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811A (ja) 1998-10-28 2002-09-03 ヴィー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柔軟−剛性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及び方法
JP2004295716A (ja) 2003-03-28 2004-10-21 I'm Co Ltd 表示機能付電子機器
KR20110034851A (ko) * 2009-09-29 2011-04-06 이재우 손목 거치대
KR20120111094A (ko) * 2011-03-31 2012-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착용식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892A (ko) 2015-03-19 2016-09-28 이영이 디스플레이의 온/오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4395A1 (en) Wrist-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US9408316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train mitigation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P3404467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60135286A1 (en) Bendable electronic device
KR101441081B1 (ko)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WO2017188244A1 (ja) ネックバンド型コンピュータ
WO2016090581A1 (zh) 可穿戴电子装置
JP2014517584A (ja) 携帯用端末機の取っ手構造
CN207937964U (zh) 一种用于动作捕捉的手套
CN109061882B (zh) 一种头戴设备
CN210672321U (zh) 表带、具有扬声器的表带、智能手表
CN107272823B (zh) 一种电子设备
CN104157214B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KR101461612B1 (ko)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6721A (ko)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34302B1 (ko) 스마트 와치
KR101565918B1 (ko)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8597071U (zh) 一种穿戴式电子装置
JP6428312B2 (ja) 構造体および電子機器
US10712776B2 (en) Display terminals and wearable devices
JP6178815B2 (ja) 携帯情報端末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CN202376108U (zh) 一种血氧检测仪
CN110045787A (zh) 便携式电子装置的屏幕扩展结构
US11762429B1 (en) Hinge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CN204573531U (zh) 一种头戴式移动电子设备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