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721A -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721A
KR20180006721A KR1020160087475A KR20160087475A KR20180006721A KR 20180006721 A KR20180006721 A KR 20180006721A KR 1020160087475 A KR1020160087475 A KR 1020160087475A KR 20160087475 A KR20160087475 A KR 20160087475A KR 20180006721 A KR20180006721 A KR 2018000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lexible display
attachment member
main body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준희
Original Assignee
명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준희 filed Critical 명준희
Priority to KR102016008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721A/ko
Publication of KR2018000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진 상태에서는 스마트폰 화면을 나타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에서는 스마트왓치 화면을 나타내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왓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 및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제1부분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휘거나 펴지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이나 주변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질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이 연동하여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곡 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가 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부분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부분의 양측이 모두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모두가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Watch-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진 상태에서는 스마트폰 화면을 나타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에서는 스마트왓치 화면을 나타내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왓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풀 터치스크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휴대기기이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손가락 터치를 위해 일정한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유지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손에 쥐고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최근에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인 스마트왓치(smart watch)가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왓치는 손목시계 형태로 디스플레이가 시계 줄을 따라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왓치는 손목에 착용하므로 휴대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으나, 터치스크린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손목아래 부분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왓치의 상품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스마트왓치에 기존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의 터치스크린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스마트왓치의 컴팩트한 크기도 유지되어야 한다.
등록특허 제10-14616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왓치의 화면과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의 화면을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기기를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도 사용하고 스마트왓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 및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제1부분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휘거나 펴지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이나 주변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질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이 연동하여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곡 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가 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부분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부분의 양측이 모두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모두가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진 상태에서는 넓은 화면이 되어 스마트폰처럼 사용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는 좁은 화면이 되어 스마트왓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본체에 부착되는 제1부분과 본체의 양측에서 휘거나 펴지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어, 제2부분이 모두 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면이 표시영역으로 사용되지만, 제2부분의 어느 하나라도 휘면 시야 확인이 용이한 부분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표시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방향 조절 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3)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굴곡 조정 부재(4), 회로 및 전자부품을 내장한 본체(3) 등으로 구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본체(3)에 연결되어 부착되는 제1부분(1)과 본체(3)의 양측에서 휘거나 펴지는 제2부분(2a, 2b)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본체(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본체(3)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a, 2b)에는 각각 굴곡 조정 부재(4a, 4b)가 설치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이 휘어질 때 굴곡 조정 부재(4)가 연동하여 휘면서 제2부분(2)이 일정시간 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부분(2)이 휘어진 상태에서 굴곡 조정 부재(4)가 펴지면서 제2부분(2)이 연동하여 펴지게 된다.
굴곡 조정 부재(4)는 제2부분(2)의 하면에 복수 개 배치되어 설치된 마디(42) 및 마디(42)와 마디(42) 사이를 연결하는 마디 연결부(44)를 포함한다. 마디 연결부(44)는 형상기억 합금 소재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마디(4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굴곡 조정 부재(4)의 마디(42)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의 하면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부분(2)의 하면의 양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굴곡 조정 부재(4)는 마디 없이 형상기억 합금 소재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굴곡 조정 부재(4)가 시트나 줄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2부분(2)의 하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나 제2부분(2)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형상기억 합금 소재는 원래의 기억된 형태로 복원하는 성질이 있는 소재를 말한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 합금 소재의 설정 온도가 -20도인 경우, -20도 이상의 온도에서 형상기억 합금 소재는 가열 상태이며 가열 상태의 형상기억 합금 소재는 원래의 기억된 형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이 있다. 탄성체 역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굴곡 조정 부재(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이 휘거나 펴질 때 그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거나 변화하는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을 구부리면 이에 연동하여 굴곡 조정 부재(4)도 휘어지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굴곡 조정 부재(4)가 펴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도 펴지게 된다.
본체(3)에는 각종 회로 및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다. 본체(3)에 내장된 각종 회로와 전자부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접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나 인식장치(미도시) 및 센서의 신호 또는 인식장치의 신호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표시 영역을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본체(3)에 내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체(3)에는 전원 공급용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전원 공급용 배터리는 본체(3)와 분리된 외장형으로 구성된다. 본체(3)와 분리된 외장형 배터리는 후술하는 손목 부착 부재에 내장되거나 손목 부착 부재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접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접힐 때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전류나 전압을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또한, 플렉서블 다스플레이(10)의 접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후술하는 손목 부착 부재의 탈부착구조상 상호 만나는 부분에 탈부착을 인식하는 스위치나 전기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손목 부착 부재에 붙었다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탈부착 인식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접혀 있는지 펴져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2부분(2a)가 휜 상태에서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b)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2부분(2b)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a)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2부분(2b)이 휜 상태에서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a)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2부분(2a)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b)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양측의 제2부분(2a, 2b)이 모두 휜 상태에서,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2부분(2a)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b)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왓치와 같이 사용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양측의 제2부분(2a, 2b)이 모두 펴진 상태에서, 제1부분(1)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부분(2a, 2b)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된다.
도 2는 제1 실시 예로서 도 1의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부착 부재(5a, 5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a, 2b)의 끝에 각각 연결되어, 손목 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손목 부착 부재(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목 부착 부재(5)를 구부려 자신의 손목에 감싸게 되면 손목 부착 부재(5)에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도 이에 따라 휘어지면서 스마트왓치로서 사용되며, 이후 손목 부착 부재(5)를 풀게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원래의 펴진 상태로 돌아가 스마트폰의 형태로 사용된다.
도 3은 제2 실시 예로서 도 1의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부착 부재(6)는 본체(3)의 하면에 부착되어 손목 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손목 부착 부재(6)는 본체(3)에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손목 부착 부재(6)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손목 부착 부재(6)을 손목에 차거나 풀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손목 부착 부재(6)와 연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부분(2)의 끝에 체결구(8)가 설치되고, 손목 부착 부재(6)에는 체결공(9)이 형성되어, 체결구(8)가 체결공(9)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손목 부착 부재(6)에 탈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목 부착 부재(6)를 구부려 자신의 손목에 감싼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구부려 체결구(8)를 체결공(9)에 삽입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손목 부착 부재(6)에 부착시키면 스마트왓치로 사용할 수 있고, 체결공(9)에서 체결구(8)를 빼내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손목 부착 부재(6)에서 분리시키면 스마트폰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손목 부착 부재 간 탈부착 구조는 매직 테이프 형태의 단순 구조에서부터 전기를 활용한 전자석 형태의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목 부착 부재의 손목부위 쪽이나 본체에는 주먹을 쥐거나 손목을 흔드는 것처럼 손목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관성 센서 등이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손목 부착 부재에 부착된 형태에서 손목 쪽의 특정한 움직임이 있으면 이를 관성 센서 등이 감지하여 탈부착 부재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손목 부착 부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손목 부착 부재 간 탈부착 부재는 전자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3 실시 예로서 도 3의 구조에서 손목 부착 부재(6)와 본체(3) 사이에 방향 조절 부재(7)가 설치된 것이다.
방향 조절 부재(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부착 부재(6)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 고정부(74)와 본체(3)에 부착되며 회전 고정부(74)에 삽입되는 걸림부(72)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74)의 내벽에는 복수의 걸림 구슬(76)이 설치되어 있는데, 걸림 구슬(76)은 내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내벽의 구멍 안에는 스프링(78)이 설치되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걸림 구슬(76)이 밖으로 밀려나가는 힘을 받는다.
걸림부(72)가 걸림 고정부(74) 안으로 들어가면, 걸림부(72)의 밑부분이 걸림 고정부(74)의 내벽에서 돌출된 걸림 구슬(76)과 만나고. 걸림부(72)가 밀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걸림 구슬(76)이 스프링(78)을 압축하면서 뒤로 밀린다. 걸림 구슬(76)이 뒤로 밀리면 걸림부(72)가 걸림 고정부(74)의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오고 그러면 걸림 구슬(76)이 스프링(7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돌출하여 걸림부(72)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본체(3)를 잡고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걸림부(72)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걸림 구슬(76)이 뒤로 밀리고 걸림부(72)가 걸림 고정부(74)에서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본체(3)와 손목 부착 부재(6)는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 제1부분 디스플레이 2: 제2부분 디스플레이
3: 본체 4: 굴곡 조정 부재
5, 6: 손목 부착 부재 7: 방향 조절 부재
8: 체결구 9: 체결공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laims (9)

  1. 회로 및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제1부분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휘거나 펴지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이나 주변에 설치되어 휘거나 펴질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이 연동하여 휘거나 펴지도록 하는 굴곡 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가 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부분의 일부분이 포함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부분의 양측이 모두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모두가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조정 부재는 복수의 마디가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마디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의 끝에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손목 부착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손목 부착 부재 사이에 상기 본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 조절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이 상기 손목 부착 부재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부착 부재가 상기 본체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원 공급용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부착 부재나 상기 본체에 손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의 인식에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과 상기 손목 부착 부재 간 탈부착 구조의 잠금이 자동으로 풀리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이 상기 손목 부착 부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87475A 2016-07-11 2016-07-11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6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75A KR20180006721A (ko) 2016-07-11 2016-07-11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75A KR20180006721A (ko) 2016-07-11 2016-07-11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721A true KR20180006721A (ko) 2018-01-19

Family

ID=6102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75A KR20180006721A (ko) 2016-07-11 2016-07-11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7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875A (zh) * 2019-02-22 2019-06-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CN110032057A (zh) * 2019-05-14 2019-07-1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
CN110164313A (zh) * 2019-05-31 2019-08-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10308791A (zh) * 2019-06-28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使用方法、装置、可穿戴设备和介质
WO2020224210A1 (zh) * 2019-05-08 2020-11-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可弯折的智能主机及穿戴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875A (zh) * 2019-02-22 2019-06-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WO2020224210A1 (zh) * 2019-05-08 2020-11-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可弯折的智能主机及穿戴设备
CN110032057A (zh) * 2019-05-14 2019-07-1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
US11971747B2 (en) 2019-05-14 2024-04-30 Guangdong Genius Technology Co., Ltd. Wearable device
CN110164313A (zh) * 2019-05-31 2019-08-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10308791A (zh) * 2019-06-28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使用方法、装置、可穿戴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6721A (ko)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623041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latch
US1063140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1441081B1 (ko)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TWI619448B (zh) 可穿戴裝置及其腕帶
US20120140396A1 (en) Tablet pc cover with integral keyboard
US20160124395A1 (en) Wrist-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8227753A1 (zh) 卷曲式柔性显示装置
WO2015100966A1 (zh) 便携式显示装置
EP339117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US20080164174A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a portable object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CN101647632A (zh) 挂包及使用该挂包的电子设备组件
US20150108313A1 (en) Mobile device stand
JP2011035810A (ja) 携帯端末のホルダー
US9524004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WO2020049453A1 (en) Suppor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the like
KR20170062864A (ko) 스마트 와치
US10684709B2 (en) Electronic bags
JP2017099807A (ja) 電子機器カバー
RU2401028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держ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руке
US9852663B2 (en) Personal signage assembly
KR101565918B1 (ko)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3206069U (ja) 電子デバイスサポ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