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255A -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Google Patents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4255A KR20110034255A KR1020090091725A KR20090091725A KR20110034255A KR 20110034255 A KR20110034255 A KR 20110034255A KR 1020090091725 A KR1020090091725 A KR 1020090091725A KR 20090091725 A KR20090091725 A KR 20090091725A KR 20110034255 A KR20110034255 A KR 201100342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c pile
- retaining wall
- wall
- finish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35—Aluminiu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된 원형 PHC말뚝; PHC말뚝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형성되어 PHC말뚝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 PHC말뚝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 PHC말뚝에 형성된 강재밴드와 플레이트 사이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 각각의 인접한 PHC말뚝의 스토퍼 사이로 끼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벽체; 마감벽체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연장형성된 집수구; 스토퍼가 연결고정된 부위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마감벽체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PHC말뚝 상부를 마감하는 캡콘크리트가 포함된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having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lo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circular band-shaped steel band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to surround the PHC pile; Plate-shaped bar-shaped plate spaced to one side of the PHC pile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opp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eel band and the plate formed on the PHC pile; At least one finishing wall fitted between stoppers of each adjacent PHC stake; A catchment port formed vertically integrally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nishing wall; Fixing bolt for fixing the finishing wall to the plate through the plate of the stopper is connected and fixed portion; It relates to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including a cap concrete for fini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 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가리킨다. 즉, 배후의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며, 배후의 토압에 대하여 옹벽의 보유내력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구조물이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made so that the slopes formed by cutting the soil or stacking the soil do not collapse under the pressure of the soil. That is, it refers to a structure mad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soil behind, and it is a structure that maintains stability with the retain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against the soil pressure behind.
이러한, 옹벽의 종류는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중에 의해 안정을 유지하는 중력식 옹벽과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벽체, 뒤판, 앞판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각각 캔틸레버로 작용하는 캔틸레버 옹벽, 캔틸레버 옹벽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뒷부벽식 옹벽 및 캔틸레버 옹벽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앞부벽식 옹벽 등이 있다.This type of retaining wall is made of plain concrete, and it is made of gravity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concrete, which is stabilized by its own weight. Rear wall retaining wall reinforced with subwalls and front wall retaining wall reinforced with subwalls at regular intervals in front of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전술한, 종래 옹벽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캔틸레버 옹벽의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옹벽을 시공할 곳에 터파기를 하고 기초면을 정리한다. 기초면이 정리되면 기초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기초 콘크리트가 지내력이 부족할 경우 지반개량 또는 파일을 더 설치하여 보강한다.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바닥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에 벽체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캔틸레버 옹벽이 완성된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most widely used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described above, the trench and the foundation surface is arranged in the place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When the foundation surface is arranged, the foundation concrete is poured on the foundation surface. At this time, if the foundation concrete lacks bearing strength, reinforcement by installing more ground improvement or pile. After the foundation concrete is poured, reinforce the floor reinforcement and pour the concrete. The reinforcing wall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poured concrete and the concrete is poured to complete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이상의 캔틸레버 옹벽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옹벽의 설치공법은 터파기 철근의 조립, 거푸집 및 비계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공정을 거쳐 설치가 완료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을 설치하는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의 증가 및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complet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consisting of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installing the formwork and scaffolding, and placing the concrete.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period for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is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varies depending on the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skill of the site workers.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10-473375호를 살펴보면, 중심부에 중공 부를 갖는 PHC 말뚝과 PHC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설치된 옹벽은 토지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고, 공기를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oking at the registered Patent No. 10-473375, it comprises a PHC pile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center and the cap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HC pile.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in this way allows the effective use of land an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air.
이와 함께, 옹벽과 같은 지반의 안정 및 지하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H빔과 다수개의 토류벽으로 시공되는 기초흙막이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기초흙막이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10-583939호를 살펴보면, 다수개의 H빔에 각각 연속된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T"형 연결편과 "T" 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 및 시공하며, 그리고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 및 시공하여,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하여 기초흙막이 구조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선등록특허 제 10-583939호는 비하층의 굴착시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목적, 효과 및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배면의 우수로 인한 수압증가로 인해 옹벽으로서의 경제성 확보 및 기능 발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foundation mud structure constructed with a plurality of H beams and a plurality of earth walls so as to stabilize the ground such as the retaining wall and prevent the inflow of groundwat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general basic earthquake structure, look at the registered Patent No. 10-583939, attached to each of the continuous "T" type connecting pieces to a plurality of H-beams, buried in the edge of the trench construction, " After embedding and constructing the first earth wall between the T "type connecting piece and the" T "type connecting piece, and stacking and constructing a plurality of second earth walls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earth wall, and completing the first and second earth wall installation.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to install the foundation mud structure. Accordingly, the work can be unified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However, Patent No. 10-583939 has the purpose, effect, and structure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during excavation of the lower layer, and the problem of failing to secure the economy and function as a retaining wall due to the increase in water pressure due to the rainwater on the back surface. there wa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원형 PHC말뚝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매립하여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by embedding 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 in the grou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둘째, 본 발명은 마감벽체로 PC패널을 이용하고, 마감벽체의 연결부를 모르타르해서 마감처리 하여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C panel as a finishing wall, the mortar by finishing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finishing wall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셋째, 본 발명은 PHC말뚝들 사이에 적층 설치되는 마감벽체 PHC말뚝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옹벽의 높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바로 설치하여 옹벽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i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ce of retaining wall work by installing a stopper fixed to the finishing wall PHC pile stacked between PHC piles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넷째, 본 발명은 옹벽의 적층된 마감벽체의 내측을 따라 수직으로 집수구를 형성하여 마감벽체 배면의 우수를 배제시켜 옹벽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our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atch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laminated finishing wall of the retaining wall to exclude the excellent surface of the finishing wall so that water pressure does not occur in the retaining wal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된 원형 PHC말뚝; PHC말뚝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형성되어 PHC말뚝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 PHC말뚝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 PHC말뚝에 형성된 강 재밴드와 플레이트 사이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 각각의 인접한 PHC말뚝의 스토퍼 사이로 끼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벽체; 마감벽체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연장형성된 집수구; 스토퍼가 연결고정된 부위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마감벽체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PHC말뚝 상부를 마감하는 캡콘크리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circular band-shaped steel band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to surround the PHC pile; Plate-shaped bar-shaped plate spaced to one side of the PHC pile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opp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eel band and the plate formed on the PHC pile; At least one finishing wall fitted between stoppers of each adjacent PHC stake; A catchment port formed vertically integrally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nishing wall; Fixing bolt for fixing the finishing wall to the plate through the plate of the stopper is connected and fixed portion; Cap concrete that covers the upper PHC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스토퍼는 양면에 직각으로 플레이트와 평행한 판형태의 보조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ate-shaped auxiliary plate parallel to the plate at right angles on both sides.
마감벽체가 2개이상 적층될 경우 적층된 각각의 마감벽체는 상·하면에 요철면이 형성되고, 각각의 마감벽체에 형성된 적층된 요철면 사이에 수팽창 지수재(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wo or more finishing walls are stacked, each of the stacked finishing walls has an uneven surfac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thereof, and a water-
마감벽체는 PC패널,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ish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PC panels, high 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마감벽체는 양측단부를 감싸는 보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ish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both ends.
마감벽체가 PC패널일 경우 마감벽체의 두께는 마감벽체가 끼움설치되는 양측단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중앙부가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nishing wall is a PC panel,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finishing wall is fitted.
각각의 마감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공간을 마감하는 모르타르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tar layer for finishing the space formed vertically between each finish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집수구는 소정길이의 "U" 관로형태로 형성되고, 집수구의 바닥면에 복수의 집수공이 형성되며, 집수구의 양측벽 끝단 개구부는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그리고 개구부가 형성된 양측벽의 끝단이 마감벽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The catch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U" pi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ment, the end openings of both side walls of the catchment are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bottom surface, and the ends of the both side walls formed with the op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nishing wall.
집수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친환경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tch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of any on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집수구는 집수공이 형성된 바닥면 내면 또는 외면에 부직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tch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fabric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hole is formed.
옹벽은 각각의 PHC말뚝과 인접한 집수구의 양측벽 사이를 따라 수직으로 수팽창 지수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tain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vertically along each PHC pile and both side walls of the adjacent catchment.
수팽창 지수재는 벤토나이트 및 고무지수제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ture of bentonite and rubber index.
옹벽은 집수구의 바닥면 외측에 모래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in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nd lay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ment.
옹벽에 적층형성된 최하단의 마감벽체는 집수구와 연통된 하단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most finishing wall laminated on the retain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ain hol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tchment.
옹벽을 형성할 지중을 따라 PHC말뚝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형성되어 PHC말뚝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 PHC말뚝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매설하는 단계; 매설된 PHC말뚝 양면 중 옹벽의 외면이 형성되는 일면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된 PHC말뚝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와 강재밴드 사이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를 고정설치하는 단계; 각각의 스토퍼 사이에 소정길이의 "U" 관로형태로 형성되고, "U" 관로형태의 바닥면에 복수의 집수공이 형성되며, "U" 관로형태의 양측 벽 끝단 개구부는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집수공이 형성된 바닥면 내면 또는 외면에 부직포가 더 구비되며, 그리고 바닥면에 인접한 양측면 외측끝단을 따라 수팽장 지수재가 도포된 집수구가 일체로 형성된 판형태의 마감벽체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 스토퍼에 끼움 설치된 마감벽체의 양측단을 고정볼트로 체결하는 단계; 마감벽체의 집수구 외측과 굴착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모래를 매립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집수구가 설치완료된 옹벽의 PHC말뚝 상부를 캡콘크리트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urying 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ircular band-shaped steel bands integrally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along the ground to form the retaining wall integrally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Excavating one surface of which an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mbedded PHC pile; Fix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oppers having a plate-shaped bar-shaped plate formed on one side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and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necting the plate and the steel band to each other. step; Each stop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f "U" conduit,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 conduit, and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wall of the "U" conduit are relatively wider than the floor surface. Forming, the non-woven fabric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hole,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plate-shaped finishing wall integrally formed with a water collecting port coated with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along the outer edges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 Fastening both ends of the finishing wall fitted with the stopper with fixing bolts; Forming a sand layer by burying sand in a space formed between an outer side of a catchment wall of the finishing wall and an excavation surface;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HC pile of the retaining wall on which the catchment is installed, with cap concrete.
끼움 설치단계에서, 스토퍼에 끼움 설치되는 마감벽체의 양측단부보다 마감벽체 중앙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마감단계 이후 스토퍼 일면과 각각의 마감벽체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공간에 고강도 콘크리트의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옹벽의 외면을 마감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tting installation step, if the thickness of the center of the finishing wall is thicker than both ends of the finishing wall to be fitted to the stopper, after the finishing step, a mortar layer of high-strength concret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vertically between one surface of the stopper and each finishing wall. Forming and fini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HC말뚝 설치단계에서 지중에 PHC말뚝을 매설하는 공법은 매입공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HC pile installation step, the method of embedding the PHC pile in the grou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chase method.
고정볼트 체결단계와 모래층 형성단계 사이에, 마감벽체가 설치된 PHC말뚝 일면을 재굴착하는 단계; 굴착된 PHC말뚝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플레이트와 강재밴드 사이를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를 재고정설치하는 단계; 고정볼트 체결단계에서 체결된 고정볼트를 풀고 마감벽체를 굴착된 바닥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굴착된 바닥면에 이동된 마감벽체를 고정볼트로 재체결하는 단계;가 포함된 재굴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그리고 재굴착단계는 옹벽의 높 이에 따라 적어도 한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fixing bolt fastening step and the sand layer forming step, the step of re-excavating one surface of the PHC pile installed the finishing wall; To install a plate-shaped bar plate formed on one side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and re-installed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opp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plate and the steel band step; Loosening the fixed bolts fastened in the fixing bolt fastening step and moving the finishing wall to the excavated floor; And re-fastening the finished wall moved to the excavated bottom surface with a fixed bolt; and including a re-excavation step, and the re-excavation step is performed at least on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
재굴착단계에서 옹벽을 형성하는 마감벽체가 2개이상 적층될 경우에는, 적층된 마감벽체의 상·하부에 요철면을 형성되고, 적층된 요철면에 수팽창 지수재가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wo or more finishing walls forming the retaining wall are stacked in the re-excavation step, an uneven surface is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laminated finishing wall, and the water-expandable index member is further applied to the uneven surfaces. .
스토퍼 고정설치단계와 마감벽체 끼움 설치단계 사이에, 스토퍼 양면에 직각으로 플레이트와 평행한 판형태의 보조플레이트를 고정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stopper fixing installation step and the closing wall fitting install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plate-shaped auxiliary plate parallel to the plate at a right angle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스토퍼 고정설치단계와 마감벽체 끼움 설치단계 사이에, 각각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일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판체형태의 보조가이드편을 고정설치하는 단계; 및 각각의 보조가이드편 상부에 단면의 형상이 "ㄷ"현강, "L"현강 및 "H"현강 중 어느 하나인 가이드바를 고정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xing a plate-shaped auxiliary guide piece formed at right angles to one surface of an upper end portion of each plate between the stopper fixing installation step and the closing wall fitting installation step; And fixing a guide bar having a shape of a cross section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guide pieces, wherein the guide bar is any one of “d” string steel, “L” string steel, and “H” string steel.
고정볼트 체결단계 또는 모래층 형성단계 이후 보조가이드편 고정설치단계 및 가이드바 고정설치단계에서 설치된 보조가이드편 및 가이드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fixing bolt fastening step or the sand layer forming step, the auxiliary guide piece fixed installation step and the guide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guide guide and guide bar installed in the fixed installation ste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As mentioned above,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원형 PHC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by embedding 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 in the grou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둘째, 본 발명은 마감벽체로 PC패널을 이용하고, 마감벽체의 연결부를 모르타르로 마감처리 함으로써, 옹벽의 외관을 미려한 효과가 있다.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C panel as a finishing wall, and by finishing the connection of the finishing wall with a mortar, the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has a beautiful effect.
셋째, 본 발명은 마감벽체가 끼움 설치되는 규격화된 플레이트 및 스토퍼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작업 없이 PHC말뚝의 강재밴드에 설치함으로써, PHC말뚝들 사이에 설치되는 옹벽의 외벽인 마감벽체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tandardized plate and the stopper is installed on the steel band of the PHC pile without additional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finishing wall, which is the outer wall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between the PHC pile can be easi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of convenience of work and shortening of air.
넷째, 본 발명은 옹벽의 적층된 마감벽체의 내측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집수구를 구비함으로써,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ort formed vertically along the inner side of the laminated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reby reducing the water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excludes the water pressure.
다섯째, 본 발명은 집수구가 물이 유입되면 일정량만 배수하고 나머지는 물은 천천히 배수되도록 물이 집수구에 저류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수압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함은 물론 수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verload due to the temporarily increased water pressure by storing the water in the catchment so that the water drain is drained only a certain amount and the rest of the water is slowly drained.
여섯째, 본 발명은 집수구와 연통된 배출구를 적층된 마감벽체 하부에 하나 설치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Sixth,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one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collecting port on the bottom of the laminated finishing wall, the beauty of the retaining wall has a beautiful effect.
일곱째, 본 발명은 옹벽의 외벽을 형성하는 마감벽체의 양측단부에 보강판을 감쌈으로써, 마감벽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 및 스토퍼에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Seventh, the present invention by wrapping the reinforcing plate on both side ends of the finishing wall to form the outer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finishing wall and easy to install on the stopper has excellent workability.
여덟째, 본 발명은 집수구의 재질을 FRP로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옹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Eigh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 by making the material of the catchment to the FRP.
아홉째, 본 발명은 집수구와 인접한 PHC말뚝을 수팽창 지수재로 밀폐하고, 집수구의 바닥면에 형성된 집수공 내측 또는 외측에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여 집수구로 물이 유입되게 유도하는 효과 및 물에 포함된 토사와 같은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Ninth, the present invention seals the PHC pile adjacent to the catchment with the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by forming a non-woven fabric inside or outside the catchment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ment, to prevent water leakage to induce water to flow into the catch and It is effective to prevent entry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and sand contained in w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에Example 따른 구성> Configuration according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PHC말뚝(2)을 옹벽(1)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10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한다. 이때, PHC말뚝(2)은 원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매입공법으로 지중(100)으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입공법은 중굴압입공법, SIP공법, SDP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PHC말뚝(2)은 PHC말뚝(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형성되어 PHC말뚝(2)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21)를 더 구비한다, 이는, 아래에 설명할 플레이트(22)를 스토퍼로 고정하기 위해 강재밴드(21)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바로 플레이트(22)를 스토퍼(3)를 이용하여 강재밴드(21)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강재밴드(21)와 스토퍼의 고정설치방법은 통상의 용접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etaining
플레이트(22)는 판상형 바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플레이트(22)는 PHC말뚝(2)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2)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 된다. 이는 플레이트(22)와 PHC말뚝(2) 사이에 아래에 설명할 마감벽체(4)를 끼움 설치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플레이트(22)는 아래에 설명할 마감벽체(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가 설치되는 통공을 제작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스토퍼(3)는 소정길이를 갖는 판상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 스토퍼(3)는 PHC말뚝(2)에 형성된 강재밴드(21)와 플레이트(22)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밴드(21)에 스토퍼(3)를 설치하기 때문에 복수의 스토퍼(3)가 형성된다. 이때, 강재밴드(21)에 스토퍼(3)를 고정설치하기 위해 스토퍼(3)의 상·하 길이는 강재밴드(21)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3)는 플레이트(22)와 직각으로 결합된다. 즉 스토퍼(3)와 플레이트(22)가 결합된 부분을 단면은 "T"형상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는, 각각의 스토퍼(3) 사이에 마감벽체(4)를 끼움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하기 위함이다. .The
이와 함께, 스토퍼(3)는 양면에 직각으로 플레이트(22)와 평행한 판형태의 보조플레이트(23)가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보조플레이트(23)는 PHC말뚝(2)이 원통이기 때문에 마감벽체(4) 설치시 플레이트(22)가 PHC말뚝(2)의 외둘레의 유격에 의해 마감벽체(4)가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보조플레이트(23)의 길이는 스토퍼(3)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플레이트(22)의 길이와 같다. 그리고 스토퍼(3)에 형성된 플레이트(22)와 보조플레이트(23)가 형성된 단면은 "干(간)"형상으로 고성설치되어 플레이트(22)와 보조플레이트(23) 사이 및 각각의 스토퍼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마감벽체(4)를 끼움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조플레이트(23)는 도 12에 잘 나타나 있다.In addition, the
마감벽체(4)는 전술한 각각의 스토퍼(3)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이때, 마감벽체(4)는 각각의 인접한 PHC말뚝(2)의 스토퍼(3) 사이로 끼움 설치된다. 또한, 마감벽체(4)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연장형성된 집수구(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finishing
이와 함께, 마감벽체(4)는 다양한 재질을 갖는 패널과 같은 건축외장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제조의 편리성, 제작비용 및 옹벽의 견고성 등을 고려할 때 PC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옹벽(1)의 미관을 고려하면서 마감벽체(4)를 설치의 편리성, 제작의 용이성 및 설치 후 견고성 등을 고려할 때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Along with this, the finishing
전술한 마감벽체(4)는 양측 단부를 감싸는 보강판(41)이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마감벽체(4)를 스토퍼 사이에 끼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마감벽체(4)의 양측단부가 전단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above-described
집수구(6)는 소정길이의 "U" 관로형태로 형성되고, "U" 관로형태의 바닥면(61)에 복수의 집수공(611)이 형성되며, "U" 관로형태의 양측벽(62) 끝단 개구부(63)는 바닥면(61)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그리고 개구부(63)가 형성된 양측벽(62)의 끝단이 마감벽체(4)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집수구(6)는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마감벽체(4)와 동일한 재질일 경우 일체로 사출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집수구(6)는 물과 함께 집수구(6) 내 부로 진입하여 집수공(61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공(63)이 형성된 바닥면(61) 내면 또는 외면에 부직포(64)가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tching
고정볼트(5)는 스토퍼(3)가 연결고정된 부위의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마감벽체(4)를 플레이트(3)에 고정한다. 이때, 스토퍼(3)에 보조플레이트(23)가 형성될 경우 고정볼트(5)로 마감벽체(4)를 고정하는 것을 생략가능할 것이다.The fixing
캡콘크리트(7)는 PHC말뚝(2)에 형성된 중공을 밀폐하기 위해 PHC말뚝(2)의 상부에 설치되어 옹벽(1)의 마감을 한다. 이때, 캡콘크리트(7)는 옹벽(1)의 횡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캡콘크리트(7)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상부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PHC말뚝(2) 상부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캡콘크리트(7)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캡콘크리트(7)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할 수 있다.Cap concrete 7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수팽창 지수재(9)는 옹벽(1)은 각각의 PHC말뚝(2)과 인접한 집수구(6)의 양측벽(64) 사이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하여 PHC말뚝(2)와 집수구(6)의 양측벽(64) 사이를 밀폐한다. 이때, 수팽창 지수재(9)는 집수구(6)의 바닥면(61)에 인접한 양측벽(62) 끝단부를 따라 집수구(6)와 일체로 제작시 미리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는 작업지에서는 옹벽의 높이 및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현장에서 직접 작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굴착면(110)에서 배수되는 물은 옹벽(1)의 마감벽체(4)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수구(6)의 집수공(611)으로 수집된다. 이는, 옹벽(1)이 외면을 물이 배수되지 않아 옹벽(1)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수팽창 지수재(9)는 벤토나이트 50중량부 ~ 90중량부 및 고무지수제 10중량 부 ~ 5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수팽창 지수재(9)는 물과 접속하면 그 부피가 15배 증가하여 방수 및 실링 기능을 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밀폐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water-
이상의 수팽창 지수재(9)는 마감벽체(4)가 2개이상 적층될 경우 적층된 각각의 마감벽체(4)는 상·하면에 요철면(43)이 형성되고, 각각의 마감벽체(4)에 형성된 적층된 요철면(43) 사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옹벽(1)의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e above water-
모래층(10)은 집수구(6)의 바닥면(62) 외측 즉 굴착면(110)과 집수구(6)의 바닥면(62) 사이 공간에 모래를 매립하여 형성된다. 이는 지중(100)에서 집수구(6)로 물을 원활히 수집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모래층(10)은 수팽창 지수재(9)에 의해 밀폐된 PHC말뚝(2), 마감벽체(4) 및 집수구(6)에 의해 형성된 사이 공간에도 모래층(10)을 매립할 수 있다.The
배수공(42)은 옹벽(1)의 미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층된 마감벽체(4)의 최하단에 형성된 마감벽체(4)의 하단부에 하나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수공(42)은 마감벽체(4)를 관통하여 집수구(6)와 연통되게 형성된다.Since the
이상의 마감벽체(4)가 PC패널일 경우 마감벽체(4)의 두께는 마감벽체(4)가 끼움설치되는 양측단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중앙부가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마감벽체(4)의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이때, 각각의 마감벽체(4)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공간(s)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모르타르층(8)을 모르타르하여 옹벽(1)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nishing
이상에 의해 형성된 옹벽(1)은 주위환경에 따라 마감벽체(4)의 외면을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형태의 문장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taining
<< 실시예에Example 따른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에 따라 도시한 옹벽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3에 도시한 순서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6)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을 설명한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11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retaining wall shown along.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the collecting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HC말뚝 매설단계(S100)는 옹벽(1)을 형성할 지중(100)을 따라 PHC말뚝(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형성되어 PHC말뚝(2)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2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 PHC말뚝(2)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매설한다. 이때, 지중(100)에 PHC말뚝(2)을 매설하는 공법은 매입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입공법은 중굴압입공법 및 SIP공법, SDP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3 and 5, the PHC pile buried step (S100) is formed a plurality of PHC pile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HC말뚝 일면 굴착단계(S110)는 매설된 PHC말뚝(2) 양면 중 옹벽(1)의 외면이 형성되는 일면을 굴착한다. 이와 같이, PHC말뚝(2)이 매설된 상태에서 굴착을 하기 때문에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굴착면(110)은 PHC말뚝(2)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 삼아 굴착면(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집수구(6)의 설치를 위함이다.As shown in Figure 3 and Figure 6, the PHC pile one surface excavation step (S110) excavates one surface is formed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1) of both sides of the embedded PHC pile (2). As such, since the excavation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용접단계(S120)는 굴착된 PHC말뚝(2)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2)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22)와 플레이트(22)와 강재밴드(21) 사이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3)가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3)는 옹벽(1)의 강재밴드와 그 개수를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22)와 스토퍼(3)의 결합단면은 "T"형상이 되도록 플레이트(22) 일면에 직각되게 스토퍼(3)를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고정결합방법은 통상의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3 and 7, the stopper welding step (S120) is spaced apart to one side of the excavated PHC pile (2) one side plate-shaped bar-shaped plat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2) A plurality of plate-shaped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벽체를 끼움 설치단계(S130)는 각각의 스토퍼(3) 사이에 소정길이의 "U" 관로형태로 형성되고, "U" 관로형태의 바닥면(61)에 복수의 집수공(611)이 형성되며, "U" 관로형태의 양측벽(62) 끝단 개구부(63)는 바닥면(61)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집수공(63)이 형성된 바닥면(61) 내면 또는 외면에 부직포(64)가 더 구비되며, 그리고 바닥면(61)에 인접한 양측면(62) 외측끝단을 따라 수팽장 지수재(9)가 도포된 집수구(6)가 일체로 형성된 판형태의 마감벽체(4)를 끼움 설치한다. 이때, 마감벽체(4)는 양측단부에는 보강판(41)이 형성되어 스토퍼(3) 사이에 마감벽체(4)를 설치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마감벽체(4)의 보강판(41)은 토압에 의해 스토퍼(3)에 고정된 마감벽체(4)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고, 마감벽체(4) 끼움 설치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마감벽체(4)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3 and 8, the installation step (S130) of fitting the finishing wall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U" pipeline of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each stopper (3), the bottom surface of the "U" pipeline ( A plurality of catching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 체결단계(S140)는 스토퍼(3)에 끼움 설치된 마감벽체(4)의 양측단을 고정볼트(5)로 체결한다. 이때, 스토퍼(3)와 마감벽체(4)에 고정볼트(5)가 설치되는 설치공을 스토퍼(3)와 마감벽체(4) 제작시 미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현장 작업자는 용이하게 고정볼트(5)를 이용하여 마감벽체(4)를 스토퍼(3)에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and 9, the fixing bolt fastening step (S140)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inishing wall (4) is fitted to the stopper (3) with a fixing bolt (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e in which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의 재굴착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재굴착단계(S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1)의 높이가 마감벽체(4)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고정볼트 체결단계(S140)와 외면 마감처리단계(S150) 사이에 형성된다.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excavation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excavation step (S200)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bolt fastening step (S140) and the outer surface finishing step (S150) when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nishing wall (4).
PHC말뚝(2) 일면 재굴착단계(S210)는 마감벽체(4)가 설치된 PHC말뚝(2) 일면을 재굴착한다. 이렇게 재굴착에 의해 형성되는 굴착면(110)은 전술한 PHC말뚝(2) 일면 굴착단계(S110)와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excavation step S210 of one side of the
플레이트(22) 및 스토퍼(3) 재고정설치단계(S220)는 굴착된 PHC말뚝(2)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PHC말뚝(2)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22)를 설치하고, 플레이트(22)와 강재밴드(21) 사이를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를 재고정설치한다. 이때, 스토퍼(3)는 앞의 스토퍼(3) 고정설치단계(S120)에서 형성된 스토퍼(3)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벽체 이동단계(S230)는 고정볼트 체결단계(S150)에서 체결된 고정볼트(5)를 풀고 마감벽체(4)를 굴착면(110)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함께, 이동된 마감벽체(4)의 자리에는 다른 마감벽체(4)를 끼움 설치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Finishing wall moving step (S230) is to unfasten the fixing
고정볼트 재체결단계(S240)는 굴착면(110)에 이동된 마감벽체(4)를 고정볼 트(5)로 재체결한다. 이때, 마감벽체(4)가 적층된 최하위 마감벽체(4)일 경우에는 고정볼트(5)를 영구고정한다.Fixing bolt refastening step (S240) is to refasten the finishing wall (4) moved to the
이상의 재굴착단계(S200)는 옹벽(1)의 높이에 따라 적어도 한번 실행된다. 즉, 한 예로 마감벽체(4)의 높이에 대해 옹벽(1)의 높이가 3배 이상이면 재굴착단계(S200)를 2번 반복시행하고, 옹벽(1)의 높이가 5배 이상이면 재굴착단계(S200)를 4번 반복시행하는 것이다. 이때, 재굴착단계(S200)에서 옹벽을 형성하는 마감벽체가 2개이상 적층될 경우에는, 적층된 마감벽체(4)의 상·하부에 요철면(43)을 형성되고, 적층된 요철면(43)에 수팽창 지수재(9)가 더 도포할 수 있다.The re-excavation step (S200) is performed at least on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1). That is, as an example, if the height of the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래층 형성단계(S150)는 집수구(6)의 외측에 형성된 굴착면(110)에 모래를 매립하여 모래층(10)을 형성한다. 특히, 모래층(10)을 집수구(6) 외측에 형성하는 것은 지중(100)의 구성성분이 다양하여 물의 배수에 용이하지 않을 경우가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모래를 굴착면(110)과 집수구(6)의 바닥면(62) 외측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이 높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모래층(10)의 모래가 집수구(6)의 집수공(611)을 밀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수구(6)의 바닥면(61)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다공성 부직포(64)를 형성하여 이물질에 이해 집구공(611)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모래층(10)은 굴착된 PHC말뚝(2), 마감벽체(4) 및 집수구(6)의 양측벽(64)에 사이 공간도 설치할 수 있다.3 and 10, in the sand layer forming step S150, sand is embedded in the
캡콘크리트 마감단계(S160)는 앞서 설명한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캡콘크리트 마감단계(S180)는 집수구(6)가 설치완료된 옹벽(1)의 PHC말뚝(2) 상부를 캡콘크리트(7)로 마감한다. 이는 PHC말뚝(2)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마감처리하고 옹벽(1)의 상단부의 미관을 정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캡콘크리트(7)는 옹벽(1)의 횡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Cap concrete finishing step (S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described above, cap concrete finishing step (S180) is the top of the PHC pile (2) of the retaining wall (1) of the water collecting port (6) installed cap concrete ( 7) to finish. This is for the PHC pile (2) to form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inish this and to clean up the aesthetics of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wall (1). In addition, the cap concrete 7 is for securing the transverse resistance of the
도 3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 마감처리단계(S170)는 고정볼트(5)가 형성된 스토퍼(3) 일면과 각각의 마감벽체(4)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도 10에 도시한 소정공간(s)에 고강도 콘크리트의 모르타르층(8)을 형성하여 옹벽(1)의 외면을 마감처리 한다. 이는 고정볼트(5)가 형성된 스토퍼(3)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고정볼트(5) 및 스토퍼(3)가 부식이 쉽고 옹벽(1)의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르타르층(8)으로 옹벽(1)의 미관을 마감처리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3 and 11, the outer surface finishing step (S170) is shown in Figure 10 formed vertically between one surface of the stopper (3) formed with the fixing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옹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플레이트 고정설치단계(S121)는 스토퍼 고정설치단계(S120)와 마감벽체 끼움 설치단계(S130) 사이에, 스토퍼(3) 양면에 직각으로 플레이트(22)와 평행한 판형태의 보조플레이트(23)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는, 마감벽체를 스토퍼 사이에 끼움 설치시 PHC말뚝(2)이 원형이기 때문에 마감벽체(4)와 플레이트(22)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더욱 견고히 마감벽체(4)를 고정설치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조플레이트(23)가 설치될 경우 고정볼트(5)의 설치는 생략될 수 있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Figure 12, the secondary plate fixed installation step (S121) between the stopper fixing installation step (S120) and the closing wall fitting installation step (S130), the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고정설치단계(S120)와 마감벽체 끼움 설치단계(S130) 사이에, 보조가이드편(31) 고정설치단계(S122) 및 가이드바(32) 고정설치단계(S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가이드편(31) 고정설치단계(S122)는 각각의 플레이트(22)의 상단부 일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판체형태의 보조가이드편(31)을 고정설치한다. 또한, 가이드바(32) 고정설치단계(S123)는 각각의 보조가이드편(31) 상부에 단면의 형상이 "ㄷ"현강, "L"형강 및 "H"현강 중 어느 하나인 가이드바(32)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는 PHC말뚝(2)에 형성된 스토퍼(3) 및 플레이트(22)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감벽체(4)의 용이하게 끼움 설치하기 위함이다. 3 and 12, between the stopper fixing installation step (S120) and the closing wall fitting installation step (S130),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의 보조가이드편(31) 및 가이드바(32)는 모래층 형성단계(S150) 이후 보조가이드편 고정설치단계(S122) 및 가이드바 고정설치단계(S123)에서 설치된 보조가이드편(31) 및 가이드가(32)를 제거하는 단계(S151)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옹벽(1)의 완성전에 제거한다.As shown in FIG. 3, the
본 발명에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옹벽이 설치된 주위환경에 따라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옹벽(1)의 마감벽체(4) 외면에 석축형태와 같은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a stone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을 도시한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의 재굴착단계를 도시한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excavation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공법을 도시한 옹벽의 평면도.5 to 11 is a plan view of the retaining wall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옹벽의 분해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atchment using a circular PHC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옹벽 2: PHC말뚝 21: 강재밴드 22: 플레이트1: retaining wall 2: PHC pile 21: steel band 22: plate
23: 보조플레이트 3: 스토퍼 31: 보조가이드편 31: 가이드바 23: Auxiliary plate 3: Stopper 31: Auxiliary guide part 31: Guide bar
4: 마감벽체 41: 보강판 42: 배수공 43: 요철면4: Finished Wall 41: Reinforcement Plate 42: Drainage Hole 43: Uneven Surface
5: 고정볼트 6: 집수구 61: 바닥면 611: 집수공5: Fixing bolt 6: Water collecting hole 61: Bottom surface 611: Water collecting hole
62: 양측벽 63: 개구부 64: 부직포 7: 캡콘크리트62: side walls 63: opening 64: nonwoven fabric 7: cap concrete
8: 모르타르층 9: 수팽창 지수재 10: 모래층 100: 지중8: Mortar bed 9: Water-expandable index material 10: Sand bed 100: Underground
110: 굴착면 s: 소정공간110: excavation surface s: predetermined space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725A KR101112107B1 (en) | 2009-09-28 | 2009-09-28 |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725A KR101112107B1 (en) | 2009-09-28 | 2009-09-28 |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255A true KR20110034255A (en) | 2011-04-05 |
KR101112107B1 KR101112107B1 (en) | 2012-03-13 |
Family
ID=4404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725A KR101112107B1 (en) | 2009-09-28 | 2009-09-28 |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210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219B1 (en) * | 2013-01-31 | 2013-07-09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A soft ground use sectional breakwater |
KR101599931B1 (en) * | 2015-03-23 | 2016-03-04 | 이상현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
KR101632840B1 (en) * | 2015-07-13 | 2016-06-22 | 주식회사 홍지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 way having drain structure of temporary and permanent wall |
KR101676995B1 (en) * | 2016-06-17 | 2016-11-17 | 이현숙 | Pile modu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8589705A (en) * | 2018-04-25 | 2018-09-28 | 李相峰 | Casing cast-in-place concrete pile |
CN108894211A (en) * | 2018-06-15 | 2018-11-27 | 徐秉凯 | A kind of wall scheme processed of Y-piece mould |
CN113463661A (en) * | 2021-06-24 | 2021-10-01 |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 Slope fixing method for construction deep foundation pit suppor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7038B1 (en) * | 2014-01-13 | 2015-10-02 | 윤동현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
KR101734026B1 (en) | 2015-08-05 | 2017-05-10 | 김원근 | Retaining Wal1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 Pile |
KR102086207B1 (en) | 2017-11-29 | 2020-03-06 | 한요섭 | Cantilever Earth Retaining Wal1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 Pile And Key Block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3569B1 (en) | 2009-01-29 | 2009-08-26 | (주) 아이제이컨티넨탈엔지니어링 | Phc pile for retaining wall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725A patent/KR10111210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219B1 (en) * | 2013-01-31 | 2013-07-09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A soft ground use sectional breakwater |
KR101599931B1 (en) * | 2015-03-23 | 2016-03-04 | 이상현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
KR101632840B1 (en) * | 2015-07-13 | 2016-06-22 | 주식회사 홍지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 way having drain structure of temporary and permanent wall |
KR101676995B1 (en) * | 2016-06-17 | 2016-11-17 | 이현숙 | Pile modu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8589705A (en) * | 2018-04-25 | 2018-09-28 | 李相峰 | Casing cast-in-place concrete pile |
CN108894211A (en) * | 2018-06-15 | 2018-11-27 | 徐秉凯 | A kind of wall scheme processed of Y-piece mould |
CN113463661A (en) * | 2021-06-24 | 2021-10-01 |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 Slope fixing method for construction deep foundation pit support |
CN113463661B (en) * | 2021-06-24 | 2023-02-28 |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 Slope fixing method for construction deep foundation pit suppo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2107B1 (en) | 2012-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2107B1 (en) |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
KR101274974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015564B1 (en) |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31261B1 (en) |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216716B1 (en) | Diaphragm wall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 |
KR100910576B1 (en) | Embe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basement wall using the same | |
KR102131653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eco-friendly retaining wall panel | |
KR100485742B1 (en) | Water-storage tank | |
KR100722665B1 (en) | Steel guide wall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diaphragm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diaphragm wall using the same | |
EP1604072A2 (en) |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 |
KR100862977B1 (en) | Precast concrete f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KR20220012525A (en) |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wire mesh assembly | |
KR101119651B1 (en) | The pro-environmental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 |
KR101271290B1 (en) | Underground reclam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having a assembling structure | |
KR20150039409A (en) | The wall members and underground wall,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21556B1 (en) |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wall members | |
KR20170136420A (en) |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 |
KR100627403B1 (en) | Apartment house foundation work drainage member structure | |
KR101521558B1 (en) |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ll members | |
KR101676997B1 (en) | Cap modu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3072682U (en) | Concrete drain block | |
KR20020035216A (en) | Structure method for drainageway of weak stratum and the conduct pipe thereof | |
CN112609731A (en) | Flexible permeable cut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659728B1 (en) | Earth of building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 |
KR200369480Y1 (en) | Earth retaining that use engineering works fi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