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420A -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 Google Patents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420A
KR20170136420A KR1020170031158A KR20170031158A KR20170136420A KR 20170136420 A KR20170136420 A KR 20170136420A KR 1020170031158 A KR1020170031158 A KR 1020170031158A KR 20170031158 A KR20170031158 A KR 20170031158A KR 20170136420 A KR20170136420 A KR 2017013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ncrete
piles
pip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숙
정지승
Original Assignee
이현숙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숙,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현숙
Publication of KR2017013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4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provides a self-standing retaining wall by burying multiple piles under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water pressure and excluding water pressure from a rear surface of a retaining wall by installing a drainage unit for discharging rainwater in the ground to the outside.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has a firm fixing method of a drainage unit.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is not restricted to a construction section of a retaining wall by installing a drainage unit which is composed in various embodiments.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using a pile comprises: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groun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retaining wall;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rainwater under the ground to the outside. The drainage unit comprises: a cylindrical-shaped perforated drainpipe which is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piles and has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holes passing therethrough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for blocking the water collecting holes; a filling member buried in a space between an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erforated drainpipe; concrete buried in a sp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erforated drainpipe; a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perforated drain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rebar member filling the inside of the concrete, and welded to the stopper.

Description

말뚝을 이용한 옹벽{The retaining wall using pile}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본 발명은 말뚝을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 시공 구간에 제약 없이 시공 가능하며, 배수부의 고정 방식이 견고한 말뚝을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restriction in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zone and uses a pile firmly fixed to a drainage part.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가리킨다. 즉, 배후의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며, 배후의 토압에 대하여 옹벽의 보유내력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구조물이다.Generally speaking,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made from cutting the ground or building up the soil so that the slope does not collapse under the pressure of the soil. In other words, it is a structure mad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oil behind, and it is a structure that maintains stability by the holding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against the earth pressure behind.

이러한, 옹벽의 종류는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중에 의해 안정을 유지하는 중력식 옹벽과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벽체, 뒤판, 앞판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각각 캔틸레버로 작용하는 캔틸레버 옹벽, 캔틸레버 옹벽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뒷부벽식 옹벽 및 캔틸레버 옹벽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앞부벽식 옹벽 등이 있다.These types of retaining walls are made of plain concrete and are composed of gravity retaining walls and reinforced concrete that maintain their stability by their own weight. They are composed of cantilever retaining walls, which act as cantilevers respectively, And a front wall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providing a constant spacing wall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전술한, 종래 옹벽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캔틸레버 옹벽의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옹벽을 시공할 곳에 터파기를 하고 기초면을 정리한다. 기초면이 정리되면 기초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기초 콘크리트가 지내력이 부족할 경우 지반개량 또는 파일을 더 설치하여 보강한다.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바닥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에 벽체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캔틸레버 옹벽이 완성된다.The construction of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which is most widely used among the retaining wall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ce the foundation is laid, the foundation concrete is laid on the foundation. At this time, if foundation concrete is insufficient, reinforcement of ground improvement or pile is installed. After the foundation concrete is laid, the bottom reinforcement is laid and the concrete is laid.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is completed when the reinforced concrete is placed in the concrete thus poured and the concrete is laid.

이상의 캔틸레버 옹벽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옹벽의 설치공법은 터파기 철근의 조립, 거푸집 및 비계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공정을 거쳐 설치가 완료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을 설치하는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의 증가 및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the above cantilever retaining wall, it can be seen tha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s completed through the complicated process including the assembly of the tearing bar,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nd scaffold, and the pouring of the concret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for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becomes long, the qual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skill of the field work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10-473375호를 살펴보면, 중심부에 중공부를 갖는 PHC 말뚝과 PHC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설치된 옹벽은 토지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고, 공기를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art 10-473375 includes a PHC pile having a hollow portion at the center and a cap concre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HC pile. The retaining wall thus installe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land can be effectively used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이와 함께, 옹벽과 같은 지반의 안정 및 지하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H빔과 다수개의 토류벽으로 시공되는 기초흙막이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기초흙막이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10-583939호를 살펴보면, 다수개의 H빔에 각각 연속된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T"형 연결편과 "T" 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 및 시공하며, 그리고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 및 시공하여,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하여 기초흙막이 구조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a number of H beams and a bas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ed with a large number of earth walls to prevent the ground stability and the inflow of groundwater such as a retaining wa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general foundation retention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No. 10-583939, a series of "T" type connecting pieces respectively attached to a plurality of H beams are buried in the rim of the ter- mination construction, The first toe wall is buried and constructed between the T "type connecting piece and the" T "type connecting piece, and a plurality of second toe walls are stacked and constructed on the first toe wall,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work can be unifie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그러나 선등록특허 제 10-583939호는 비하층의 굴착 시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목적, 효과 및 구조를 갖는 임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배면의 우수로 인한 수압증가로 인해 영구 구조물로서의 경제성 확보 및 기능 발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temporary structure having a purpose, effect and structure for preventing infiltration of rainwater during excavation of a subgrade,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function as a permanent structure due to an increase in hydraulic pressure due to the backsi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do.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10-1112107호를 살펴보면, 이웃하는 PHC말뚝에 연결된 배수 패널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 연장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목적, 효과 및 구조를 갖는 것이나, 집수구가 배수 패널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웃하는 PHC말뚝이 오차 없이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시공 구간에 곡선 구간이 있으면 이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112107,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rpose of eliminating the water pressure and reducing the water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collecting port formed integrally vertically and integrally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panel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PHC pile, The PHC piles adjacent to each other must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out any erro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HC pile if there is a curved section in the construction section.

본 발명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for providing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by burying a plurality of piles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한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capable of reducing the water pressure and eliminating the water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y providing a drain portion for discharging the storm surge to the outside.

또한, 배수부의 고정방식이 견고한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is rigidly fixed in the drainage part.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시공 구간에 제약 받지 않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which is not restricted by a construction section of a retaining wall, by providing a drain portion formed of various embodiment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 상기 지중의 굴착면과 상기 유공관 배면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는 매립 부재, 상기 유공관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스토퍼에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한다.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a mounting position of a retaining wall and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part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from the ground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ainage part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iles and has a cylindrical pip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hol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for passing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holes, A concrete pipe embedded in a space in front of the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pipe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pipe embedded in the concrete, wherein the stopper is welded to the stopper, Reinforced steel member.

또한,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지중의 굴착면 사이에 배치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와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스토퍼에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non-woven fabric,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wherein the drainage section is formed of a concrete embed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nd a reinforcing member welded to the stopper.

또한, 상기 복수의 말뚝은 PHC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PHC 말뚝의 외주면을 감싸는 강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강재밴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les further comprises a PHC pile and a steel b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C pile. The stopp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band and has an "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복수의 말뚝은 강관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 말뚝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중의 반대측으로 연장된 스토퍼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고정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piles may be steel pipe piles,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ixing par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round, wherein the stopp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opper fixing part, Quot; L "shap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쇄석 골재, 이웃하는 스토퍼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쇄석 골재의 전면 막는 배수패널 및 상기 쇄석 골재에서 상기 배수패널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Wherein the drainage section is installed in a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and is sandwiched between neighboring stoppers, and the front cover of the crushed stone aggregate has a drainage panel and a draina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rainage panel from the crushed stone aggregate .

또한,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서 상기 쇄석 골재 사이에 삽입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pipe-shaped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holes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piles and sandwiched between the crushed stone aggregat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water collecting holes.

또한,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 상기 지중의 굴착면과 상기 유공관 배면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는 매립 부재, 상기 유공관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말뚝에 직접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drain portion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from the ground to the outside, A hollow cylindrical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hol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water collecting holes, a landing member embedded in a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oil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connected to the pipe, and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directly welded to the pile.

또한,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지중의 굴착면 사이에 배치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와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말뚝에 직접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a plurality of piles and retaining wall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draining the rainwater from the ground to the outside,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non-woven fabric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drain pipe embedded in the concrete, A reinforcing memb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by burying a plurality of piles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portion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from the ground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wate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시공 구간에 제약 받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restricted b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retaining wall by providing the drainage part composed of various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배수부의 고정방식이 견고할 수 있다.Further,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drainage par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5B.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FIG. 9C.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D in 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lso,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nfiguration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any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제 1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PHC말뚝(2)을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100)에 소정거리 이격 되어 복수 설치한다. 이때, PHC말뚝(2)은 원통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매입공법으로 지중(100)으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입공법은 중굴압입공법,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PHC말뚝(2)은 PHC말뚝(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PHC말뚝(2)을 감싸는 소정 폭의 원형 띠 형태 강재밴드(21)를 더 구비한다, 이는, 아래에 설명할 스토퍼(3)를 고정하기 위해 강재밴드(21)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바로 스토퍼(3)를 강재밴드(2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retaining wall using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HC piles 2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100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HC pile (2) is formed as a cylindrical column and embedded in the ground (100) by a buried technique. Here, as for the purchase method, a medium-sized indentation method, an SIP method, an SDA method, a PRD method,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PHC pile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ng-shaped steel bands 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surround the PHC pile 2 such that a plurality of PHC piles 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2, In order to fix the stopper 3 to be described below, the steel band 2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ccordingly, the stopper 3 can be fixed to the steel band 21 immediately at the construction site.

여기서, 강재밴드(21)의 외주면에 일측에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1a)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는 연장부(21a)에 결합된다.An extension portion 21a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band 21, and the stopper 3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21a.

스토퍼(3)는 일단이 절곡된 "L"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스토퍼(3a, 3b)로 구성되며, 한 쌍의 스토퍼(3a, 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스토퍼(3) 사이에 강재밴드(21)의 연장부(21a)가 배치된다.The stopper 3 is composed of a pair of stoppers 3a and 3b having an L-shaped bent end.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are disposed so as to oppos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he extension portion 21a of the steel band 21 is disposed between the stoppers 3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여기서, 한 쌍의 스토퍼(3a, 3b)는 연장부(21a)에 볼트/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Here,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are fixed to the extended portion 21a through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 nuts.

배수부는 유공관(5), 매립 부재(6), 콘크리트(10), 철근 부재(11, 12)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 The drainage section includes a pipe 5, a filling member 6, concrete 10,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nd a drain pipe 15.

유공관(5)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5)은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tube 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 as the eco-friendly material.

유공관(5)은 외주 둘레로 다수의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함께 매립 부재(6)가 내부로 진입하여 집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5)의 내주면에는 다공성의 부직포가 형성된다.A porous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tube 5 to prevent the embedding member 6 from entering the inside and blocking the collecting holes. do.

또한, 유공관(5)의 전면에 형성된 집수공은 콘크리트(10) 외부로 연통된 배수 파이프(15)에 연통된다.The collect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tube 5 communicates with the drain pipe 15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pe 10.

매립 부재(6)는 유공관(5)과 지중(100)의 굴착면(110)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공극이 존재하는 모래 또는 쇄석 골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매립 부재(6)를 유공관(5)과 굴착면(110)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ried member 6 is buried in a space between the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ground 100 and is made of sand or crushed stone And may be formed of aggregate. That is, the embedding member 6 can b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l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to enhanc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콘크리트(10)는 유공관(5)의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며, PHC말뚝(2) 및 유공관(5)에 견고성을 제공한다. 물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내부에 철근 부재(11, 12)가 배근된다.The concrete 10 is buried in the sp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oil pipe 5 and provides rigidity to the PHC pile 2 and the oil pipe 5. Of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the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re disposed in the concrete 10.

상기 철근 부재(11, 12)는 고정 철근(11)과 보강 철근(12)으로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re composed of a fixed reinforcing bar 11 and a reinforcing reinforcing bar 12.

상기 고정 철근(11)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3a, 3b) 각각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fixed reinforcing bar 11 is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through weld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콘크리트(10) 내에서 격자 형식으로 배근 되어 콘크리트(10)에 내구성을 제공하며, 상기 고정 철근(11)과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reinforcing bars 12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concrete 10 to provide durability to the concrete 10 and are fixedly coupled with the fixed reinforcing bar 11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즉, 상기 보강 철근(12)은 고정 철근(11)의 통해 상기 스토퍼(3)에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12 can be physically fastened to the stopper 3 through the fixing bar 11 and fixed.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유공관(5)을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매립 부재(6), 유공관(5)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drain pipe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crete 10 with the oil pipe 5.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mbedding member 6, the pipe tube 5, and the drain pipe 15.

또한, PHC말뚝(2)의 상부에는 캡 콘크리트(7)가 형성되며, 캡 콘크리트(7)는 PHC말뚝(2)에 형성된 중공을 밀폐하기 위해 PHC말뚝(2)의 상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마감을 한다. 이때, 캡 콘크리트(7)는 옹벽의 횡 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캡 콘크리트(7)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상부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PHC말뚝(2) 상부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캡 콘크리트(7)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캡 콘크리트(7)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할 수 있다.The cap concrete 7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HC pile 2. The cap concrete 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HC pile 2 to seal the hollow formed in the PHC pile 2, . At this time, the cap concrete 7 secures the lateral resistance of the retaining wall to secure the retaining wall. The cap concrete 7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PHC pile 2 us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cap concrete 7 from the outside and installing it from the top. The cap concrete (7) can be reinforced in the cap concrete (7) to increase durability to prevent breakage.

또한, 옹벽의 전면에는 콘크리트(10)에 연결되어, 옹벽의 전면을 마감하는 마감 패널(50)이 설치된다. 여기서, 마감 패널(50)은 고정 철물(51)을 통해, 콘크리트(10)의 전면과 소정 간격 이격 될 수 있다.Fur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 finishing panel 50 connected to the concrete 10 to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Here,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10 through the fixed hardware 51.

여기서, 이웃하는 마감 패널(50)의 사이에는 실리콘(54)이 배치되어 마감 패널(5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Silicone 54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nish panels 50 to seal between finish panels 50.

여기서,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 철물(51)은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에 함께 고정되어, 옹벽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fixed hardware 51 installed at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gether with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urther improved.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도 1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콘크리트(10), 부직포(8) 및 배수 파이프(15)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configuration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1, so that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The drainag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4 is composed of the concrete 10, the nonwoven fabric 8 and the drainage pipe 15.

콘크리트(10)는 지중(100) 전면의 공간에 모두 매립되며, PHC말뚝(2)의 설치 구조에 견고성을 제공한다. 물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내부에 철근 부재(11, 12)가 배근된다.The concrete 10 is completely buried in the space of the ground 100 and provides rigidity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HC pile 2. [ Of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the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re disposed in the concrete 10.

상기 철근 부재(11, 12)는 고정 철근(11)과 보강 철근(12)으로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re composed of a fixed reinforcing bar 11 and a reinforcing reinforcing bar 12.

상기 고정 철근(11)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3a, 3b) 각각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fixed reinforcing bar 11 is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through weld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콘크리트(10) 내에서 격자 형식으로 배근 되어 콘크리트(10)에 내구성을 제공하며, 상기 고정 철근(11)과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reinforcing bars 12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concrete 10 to provide durability to the concrete 10 and are fixedly coupled with the fixed reinforcing bar 11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즉, 상기 보강 철근(12)은 고정 철근(11)의 통해 상기 스토퍼(3)에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12 can be physically fastened to the stopper 3 through the fixing bar 11 and fixed.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지중(100)을 직접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directly communicates the underground 100 with the drainage path of the finish panel-based concrete 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10.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15. [

여기서, 지중(100)의 굴착면(110)과 콘크리트(10) 사이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의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drain pipe 15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underground 100 and the concrete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inserted.

<제 3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5B,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도 1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유공관(5), 쇄석 골재(13), 배수패널(4)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5 to 7,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construction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1, so that a different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he drainag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s. 5 to 7 includes a pipe 5, a crushed stone aggregate 13, a drainage panel 4, and a drainage pipe 15.

유공관(5)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5)은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tube 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 as the eco-friendly material.

유공관(5)은 외주 둘레로 다수의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함께 매립 부재(6)가 내부로 진입하여 집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5)의 내주면에는 다공성의 부직포가 형성된다.A porous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tube 5 to prevent the embedding member 6 from entering into the inside and blocking the collecting hole, 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are formed around the perforated pipe 5 do.

또한, 유공관(5)의 전면에 형성된 집수공은 배수패널(4) 외부로 연통된 배수 파이프(15)에 연통된다.The water collect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il pipe 5 communicates with a drain pipe 15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rain panel 4. [

쇄석 골재(13)는 유공관(5)과 지중(100)의 굴착면(110)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다수의 공극이 존재한다. 즉, 쇄석 골재(13)를 유공관(5)과 굴착면(110)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쇄석 골재(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의 전면에는 스토퍼(3) 사이에 끼워진 배수 패널(4)이 설치된다.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is buried in a space between the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underground 100 and there exist a plurality of voids between the burials in order to pass the incoming stormwater from the underground 100. That i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can b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porous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to enhance th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coming off, a drain panel (4)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배수 패널(4)은 PVC 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3)의 절곡된 영역과 쇄석 골재(13)의 사이 영역에 끼움 설치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쇄석 골재(1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ain panel 4 may be formed of a PVC plate or the like and is fitted in a region between the bent region of the stopper 3 and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스토퍼(3)의 전면에는 별도의 사각 파이프(14)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마감 패널(50)을 연결하는 고정 철물(51)은 사각 파이프(14)에 체결될 수 있다.A separate square pipe 14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3 and a fixed metal piece 51 connecting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fastened to the square pipe 14.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배수 패널(4)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쇄석 골재(13)를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유공관(5), 쇄석 골재(13)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slag aggregate 13 with the drainage duct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anel 4. [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5, the aggregate aggregate 13, and the drain pipe 15. therefore,

여기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 또는 쇄석 골재(13)에서 분리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drain pipe 15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15 from the ground 100 or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have.

<제 4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쇄석 골재(13), 배수패널(4)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5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drainag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8 include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the drainage panel 4, and the drainage pipe 15.

쇄석 골재(13)는 지중(100) 전면의 공간에 모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다수의 공극이 존재한다. 즉, 쇄석 골재(13)를 굴착면(110) 전면의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쇄석 골재(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의 전면에는 스토퍼(3) 사이에 끼워진 배수 패널(4)이 설치된다.The crushed stone aggregates 13 are all buried in the space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100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voids between the buried layers to allow the storm that flows in the ground 100 to pass. That i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can be buried in the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110,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coming off, a drain panel (4)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배수 패널(4)은 PVC 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3)의 절곡된 영역과 쇄석 골재(13)의 사이 영역에 끼움 설치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쇄석 골재(1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ain panel 4 may be formed of a PVC plate or the like and is fitted in a region between the bent region of the stopper 3 and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스토퍼(3)의 전면에는 별도의 사각 파이프(14)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마감 패널(50)을 연결하는 고정 철물(51)은 사각 파이프(14)에 체결될 수 있다.A separate square pipe 14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3 and a fixed metal piece 51 connecting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fastened to the square pipe 14.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배수 패널(4)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쇄석 골재(13)를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쇄석 골재(13)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slag aggregate 13 with the drainage duct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anel 4. [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and the drain pipe 15. [

여기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 또는 쇄석 골재(13)에서 분리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drain pipe 15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15 from the ground 100 or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have.

<제 5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C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FIG. 9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FIG. 9C,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도 1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옹벽의 말뚝은 강관 말뚝(20)을 구성되며, 배수부는 유공관(5), 매립 부재(6), 콘크리트(10), 철근 부재(11, 12)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9 to 11,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construction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1, so that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The piles of the retaining walls shown in Figs. 9 to 11 constitute a steel pipe pile 20 and the drainage portion is formed of a porous pipe 5, a buried member 6, a concrete 10, a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15).

이때, 강관 말뚝(20)은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강관 내부에 철근 등이 배근 된 속채움 콘크리트가 채워져 형성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teel pipe pile (20), a filled concrete filled with reinforcing steel or the like is filled in the steel pipe.

강관 말뚝(20)은 원통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매입공법으로 지중(100)으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입공법은 중굴압입공법,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pipe pile 20 is formed as a cylindrical column and buried in the ground 100 by a buried technique. Here, as for the purchase method, a medium-sized indentation method, an SIP method, an SDA method, a PRD method,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유공관(5)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5)은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erforated pipe 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pen upper end.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 as the eco-friendly material.

유공관(5)은 외주 둘레로 다수의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함께 매립 부재(6)가 내부로 진입하여 집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5)의 내주면에는 다공성의 부직포가 형성된다.A porous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tube 5 to prevent the embedding member 6 from entering into the inside and blocking the collecting hole, 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are formed around the perforated pipe 5 do.

또한, 유공관(5)의 전면에 형성된 집수공은 콘크리트(10) 외부로 연통된 배수 파이프(15)에 연통된다.The collect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tube 5 communicates with the drain pipe 15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pe 10.

매립 부재(6)는 유공관(5)과 지중(100)의 굴착면(110)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공극이 존재하는 모래 또는 쇄석 골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매립 부재(6)를 유공관(5)과 굴착면(110)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ried member 6 is buried in a space between the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ground 100 and is made of sand or crushed stone And may be formed of aggregate. That is, the embedding member 6 can b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l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to enhanc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콘크리트(10)는 유공관(5)의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며, 강관 말뚝(20) 및 유공관(5)에 견고성을 제공한다. 물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내부에 철근 부재(11, 12)가 배근된다.The concrete 10 is buried in the sp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tube 5 and provides rigidity to the steel pipe pile 20 and the pipe tube 5. Of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the reinforcing members 11 and 12 are disposed in the concrete 10.

상기 철근 부재(12)는 보강 철근(12)으로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ember 12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bar 12.

또한,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콘크리트(10) 내에서 격자 형식으로 배근 되어 콘크리트(10)에 내구성을 제공하며, 상기 강관 말뚝(20)의 강관에 직접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reinforced reinforcing bars 12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concrete 10 to provide durability to the concrete 10 and are fixedly coupled to the steel pipe of the steel pipe pile 2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즉,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강관 말뚝(20)에 직접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12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steel pipe pile 20 by being physically fastened thereto.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유공관(5)을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매립 부재(6), 유공관(5)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drain pipe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crete 10 with the oil pipe 5.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mbedding member 6, the pipe tube 5, and the drain pipe 15.

또한, 강관 말뚝(20)의 상부에는 캡 콘크리트(7)가 형성되며, 캡 콘크리트(7)는 강관 말뚝(20)에 형성된 중공을 밀폐하기 위해 강관 말뚝(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마감을 한다. 이때, 캡 콘크리트(7)는 옹벽의 횡 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캡 콘크리트(7)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상부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강관 말뚝(20) 상부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캡 콘크리트(7)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캡 콘크리트(7)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할 수 있다.The cap concrete 7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ipe pile 20 and the cap concrete 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ipe pile 20 to seal the hollow formed in the steel pipe pile 20, . At this time, the cap concrete 7 secures the lateral resistance of the retaining wall to secure the retaining wall. The cap concrete 7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ipe pile 20 us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cap concrete 7 from the outside and installing it from the upper part. The cap concrete (7) can be reinforced in the cap concrete (7) to increase durability to prevent breakage.

또한, 옹벽의 전면에는 콘크리트(10)에 연결되어, 옹벽의 전면을 마감하는 마감 패널(50)이 설치된다. 여기서, 마감 패널(50)은 고정 철물(51)을 통해, 콘크리트(10)의 전면과 소정 간격 이격 될 수 있다.Fur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 finishing panel 50 connected to the concrete 10 to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Here,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10 through the fixed hardware 51.

여기서,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 철물(51)은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에 함께 고정되어, 옹벽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fixed hardware 51 installed at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gether with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urther improved.

<제 6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도 9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콘크리트(10), 부직포(8) 및 배수 파이프(15)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2, since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9, a differen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here. The drainag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12 is composed of concrete 10, nonwoven fabric 8 and drainage pipe 15.

콘크리트(10)는 지중(100) 전면의 공간에 모두 매립되며, 강관 말뚝(20)의 설치 구조에 견고성을 제공한다. 물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내부에 철근 부재(12)가 배근된다.The concrete (10) is embedded in the entire space of the ground (100) and provides rigidity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eel pipe pile (20). Of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the reinforcing member 12 is laid inside the concrete 10.

상기 철근 부재(12)는 보강 철근(12)으로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ember 12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bar 12.

또한,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콘크리트(10) 내에서 격자 형식으로 배근 되어 콘크리트(10)에 내구성을 제공하며, 상기 강관 말뚝(20)의 강관에 직접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reinforced reinforcing bars 12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concrete 10 to provide durability to the concrete 10 and are fixedly coupled to the steel pipe of the steel pipe pile 2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즉, 상기 보강 철근(12)은 상기 강관 말뚝(20)에 직접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12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steel pipe pile 20 by being physically fastened thereto.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콘크리트(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지중(100)을 직접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directly communicates the underground 100 with the drainage path of the finish panel-based concrete 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10.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15. [

여기서, 지중(100)의 굴착면(110)과 콘크리트(10) 사이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의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drain pipe 15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underground 100 and the concrete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inserted.

<제 7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D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D in FIG. 13, and 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in FIG.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도 9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유공관(5), 쇄석 골재(13), 배수패널(4)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 또한, 강관 말뚝(20)에 고정되는 스토퍼(3)를 포함한다.13 to 15,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taining wall of FIG. 9, so that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The drainage portions of the retaining walls shown in Figs. 13 to 15 include a pipe tube 5, a crushed stone aggregate 13, a drainage panel 4, and a drainage pipe 15. And includes a stopper (3) fixed to the steel pipe pile (20).

상기 스토퍼(3)는 일단이 절곡된 "L"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스토퍼(3a, 3b)로 구성되며, 한 쌍의 스토퍼(3a, 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스토퍼(3) 사이에 강관 말뚝(20)의 강관에 용접 등으로 체결된 스토퍼 고정판(20a)이 배치된다.The stopper 3 is constituted by a pair of stoppers 3a and 3b having an L shape bent at one end and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pair of stoppers 3, a stopper fixing plate 20a fastened by welding or the like to the steel pipe of the steel pipe pile 20 is disposed.

여기서, 한 쌍의 스토퍼(3a, 3b)는 스토퍼 고정판(20a)에 볼트/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Here, the pair of stoppers 3a and 3b are fixed to the stopper fixing plate 20a through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 nuts.

유공관(5)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5)은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tube 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aluminum, and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 as the eco-friendly material.

유공관(5)은 외주 둘레로 다수의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함께 매립 부재(6)가 내부로 진입하여 집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5)의 내주면에는 다공성의 부직포가 형성된다.A porous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tube 5 to prevent the embedding member 6 from entering into the inside and blocking the collecting hole, 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are formed around the perforated pipe 5 do.

또한, 유공관(5)의 전면에 형성된 집수공은 배수패널(4) 외부로 연통된 배수 파이프(15)에 연통된다.The water collect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il pipe 5 communicates with a drain pipe 15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rain panel 4. [

쇄석 골재(13)는 유공관(5)과 지중(100)의 굴착면(110)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다수의 공극이 존재한다. 즉, 쇄석 골재(13)를 유공관(5)과 굴착면(110)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쇄석 골재(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의 전면에는 스토퍼(3) 사이에 끼워진 배수 패널(4)이 설치된다.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is buried in a space between the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of the underground 100 and there exist a plurality of voids between the burials in order to pass the incoming stormwater from the underground 100. That i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can b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porous pipe 5 and the excavation surface 110 to enhance th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coming off, a drain panel (4)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배수 패널(4)은 PVC 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3)의 절곡된 영역과 쇄석 골재(13)의 사이 영역에 끼움 설치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쇄석 골재(1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ain panel 4 may be formed of a PVC plate or the like and is fitted in a region between the bent region of the stopper 3 and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스토퍼(3)의 전면에는 별도의 사각 파이프(14)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마감 패널(50)을 연결하는 고정 철물(51)은 사각 파이프(14)에 체결될 수 있다.A separate square pipe 14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3 and a fixed metal piece 51 connecting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fastened to the square pipe 14.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배수 패널(4)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쇄석 골재(13)를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유공관(5), 쇄석 골재(13)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slag aggregate 13 with the drainage duct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anel 4. [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5, the aggregate aggregate 13, and the drain pipe 15. therefore,

여기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 또는 쇄석 골재(13)에서 분리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drain pipe 15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15 from the ground 100 or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have.

<제 8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Lt; Retaining wall using pil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옹벽과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기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옹벽의 배수부는 쇄석 골재(13), 배수패널(4) 및 배수 파이프(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retaining wall of FIG. 13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nd therefore, a differen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here. The drainag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16 include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the drainage panel 4, and the drainage pipe 15.

쇄석 골재(13)는 지중(100) 전면의 공간에 모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다수의 공극이 존재한다. 즉, 쇄석 골재(13)를 굴착면(110) 전면의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쇄석 골재(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의 전면에는 스토퍼(3) 사이에 끼워진 배수 패널(4)이 설치된다.The crushed stone aggregates 13 are all buried in the space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100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voids between the buried layers to allow the storm that flows in the ground 100 to pass. That is,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can be buried in the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110,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nd prevent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00 from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coming off, a drain panel (4)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배수 패널(4)은 PVC 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3)의 절곡된 영역과 쇄석 골재(13)의 사이 영역에 끼움 설치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쇄석 골재(1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ain panel 4 may be formed of a PVC plate or the like and is fitted in a region between the bent region of the stopper 3 and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스토퍼(3)의 전면에는 별도의 사각 파이프(14)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마감 패널(50)을 연결하는 고정 철물(51)은 사각 파이프(14)에 체결될 수 있다.A separate square pipe 14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3 and a fixed metal piece 51 connecting the finishing panel 50 may be fastened to the square pipe 14.

상기 배수 파이프(15)는 배수 패널(4)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감 패널 기초 콘크리트(30)의 배수로와 쇄석 골재(13)를 연통한다. 즉, 지중(100)의 우수는 쇄석 골재(13) 및 배수 파이프(15)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5 communicates the slag aggregate 13 with the drainage duct of the finishing panel-based concrete 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anel 4. [ That is, the rainwater of the ground 1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and the drain pipe 15. [

여기서, 상기 배수 파이프(15)의 선단에는 부직포(8)가 배치되어, 배수 파이프(15) 내부로 지중(100) 또는 쇄석 골재(13)에서 분리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nonwoven fabric 8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drain pipe 15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15 from the ground 100 or the crushed stone aggregate 13. [ hav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을 이용한 옹벽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practiced in various other forms, such as those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2: PHC말뚝 20: 강관 말뚝
3: 스토퍼 4: 배수 패널
5: 유공관 6, 10, 13: 매립 부재
7: 캡 콘크리트
100: 지중 110: 굴착면
2: PHC pile 20: Steel pipe pile
3: Stopper 4: Drain panel
5: Pore tube 6, 10, 13: Embedding member
7: cap concrete
100: ground 110: excavation surface

Claims (10)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
상기 지중의 굴착면과 상기 유공관 배면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는 매립 부재,
상기 유공관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스토퍼에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Lt; / RTI &gt;
The drainage section
A cylindrical pillar formed between adjacent piles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pore holes,
A buried member embedded in a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ipe,
A concrete embedded in a space in the front of the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pe,
And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welded to the stopper.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지중의 굴착면 사이에 배치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와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스토퍼에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Lt; / RTI &gt;
The drainage section
The concrete embed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nonwoven fabric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welded to the stopp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PHC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PHC 말뚝의 외주면을 감싸는 강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강재밴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piles are comprised of PHC piles,
Further comprising a steel band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C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of a pair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band and has an "L" shap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강관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 말뚝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중의 반대측으로 연장된 스토퍼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고정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piles are composed of steel pipe piles,
And a stopper fixing par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round,
Wherein the stopp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opper fixing part and is formed of a pair having an "L" shap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각각에 결합되는 스토퍼;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쇄석 골재,
이웃하는 스토퍼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쇄석 골재의 전면 막는 배수패널, 및
상기 쇄석 골재에서 상기 배수패널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opper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Lt; / RTI &gt;
The drainage section
A crushed stone aggregate embed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Wherein the front cover of the crushed stone aggregate is provided with a drain panel,
And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rain panel in the crushed stone aggrega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서 상기 쇄석 골재 사이에 삽입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ainage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cylindrical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holes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piles and sandwiched between the crushed stone aggregat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water collecting holes.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PHC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PHC 말뚝의 외주면을 감싸는 강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강재밴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plurality of piles are comprised of PHC piles,
Further comprising a steel band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C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of a pair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band and has an "L" shap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강관 말뚝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 말뚝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중의 반대측으로 연장된 스토퍼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고정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L"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plurality of piles are composed of steel pipe piles,
And a stopper fixing par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round,
Wherein the stopp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opper fixing part and is formed of a pair having an "L" shap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이웃한 상기 말뚝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하는 다수의 집수공 및 상기 집수공을 막는 다공성 부직포를 갖는 원통 형태의 유공관,
상기 지중의 굴착면과 상기 유공관 배면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는 매립 부재,
상기 유공관 전면의 공간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말뚝에 직접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Lt; / RTI &gt;
The drainage section
A cylindrical pillar formed between adjacent piles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orous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pore holes,
A buried member embedded in a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ipe,
A concrete embedded in a space in the front of the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pe,
And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directly welded to the pile.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말뚝; 및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지중의 굴착면의 전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지중의 굴착면 사이에 배치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와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말뚝에 직접 용접된 철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을 이용한 옹벽.
A plurality of piles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rainage unit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draining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Lt; / RTI &gt;
The drainage section
The concrete embed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ground,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nonwoven fabric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a reinforc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directly welded to the pile.
KR1020170031158A 2016-05-30 2017-03-13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KR201701364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6489 2016-05-30
KR1020160066489 2016-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20A true KR20170136420A (en) 2017-12-11

Family

ID=6094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58A KR20170136420A (en) 2016-05-30 2017-03-13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42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564B1 (en) * 2019-07-10 2019-08-28 조영현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66495B1 (en) * 2019-03-18 2020-01-15 (주)태극기초 Underground composite construction of waterproof combination
KR20220019386A (en) * 2020-08-10 2022-02-17 씨엔피씨 주식회사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95B1 (en) * 2019-03-18 2020-01-15 (주)태극기초 Underground composite construction of waterproof combination
KR102015564B1 (en) * 2019-07-10 2019-08-28 조영현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019386A (en) * 2020-08-10 2022-02-17 씨엔피씨 주식회사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974B1 (e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44063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concrete underpass
KR101112107B1 (en) The retaining wall using circular PHC pile with catch pit which is h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KR10094978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39;s construnction method
KR20170136420A (en) The retaining wall using pile
KR10163284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 way having drain structure of temporary and permanent wall
KR101734026B1 (en) Retaining Wal1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 Pile
KR102173079B1 (en)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20090105254A (en) Integrated type infiltration sump
JP6854479B2 (en) Liquefaction countermeasure structure for underground structures
KR20100001516A (en)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1230275B1 (en) Geotextile Tube Structure
KR100903508B1 (en) &#39;?&#39; Shape Waling Method Separated from the Basement Wall
KR20210055980A (en) Underground roadway by top-down method using steel continuous wall in the earth without traffic control and temporary roa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787366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88870B1 (en)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20120122024A (en) Uni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wall with basement exterior Wall using Couplers and Bolts.
KR101676997B1 (en) Cap modu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832101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embankment and reinforcement method of embankment
KR101377017B1 (en) Supporting means for hume pipe and forming means for waterwa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KR101545713B1 (en)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CN112609731A (en) Flexible permeable cut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72571B1 (en)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53783B1 (en) Underground road using self-supporting pile wall with temporary wall
KR101653722B1 (en) A structure for drainage and this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