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085A -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085A
KR20110034085A KR1020090091459A KR20090091459A KR20110034085A KR 20110034085 A KR20110034085 A KR 20110034085A KR 1020090091459 A KR1020090091459 A KR 1020090091459A KR 20090091459 A KR20090091459 A KR 20090091459A KR 20110034085 A KR20110034085 A KR 2011003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dyeing
dye
lacqu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877B1 (ko
Inventor
조봉주
Original Assignee
조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주 filed Critical 조봉주
Priority to KR102009009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8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mordant dyes ; using metallisabl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3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leather sk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광물질 염료와 옻나무 진액을 이용하여 피혁을 염색하는 염색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특정 나무 혹은 식물의 열매나 잎 혹은 뿌리 중 어느 하나의 염색원료를 물에 용해시킨 뒤 특정 매염제를 첨가하여 특정 피혁을 염색하는 제1 염색공정(100)과; (b)제1 염색공정을 거친 피혁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200)과; (c) 특정 색을 띤 광물질 분말에 투명하게 제조한 유동나무 명유와 투명하게 가공한 옻나무 수액을 혼합하여 광물질 분말을 점탄성 천연염료를 제조한 뒤 이를 소나무 혹은 장수나무의 수액을 증류하여 제조한 희석용제에 용해시킨 염액에 건조공정에서 건조한 피혁이 충분히 잠기도록 침지시킨 뒤 상기 염액을 30℃∼70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피혁을 염착시키는 제2 염색공정(300)과; (d) 염액에 침지된 피혁을 꺼내어 대기중에서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400) 및; (e) 건조된 피혁의 견뢰도 및 내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건조된 피혁을 고르게 펴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가공한 뒤 피혁 표면에 붓 혹은 분무기로 투명 옷액을 분무하여 옻액 도막을 형성(500)하고 이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천연가죽, 천연염료, 광물질, 석채안료, 무기염료, 석채, 진채

Description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LEATHER DYEING METHOD AND PRODUCTS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광물질 염료와 투명하게 제조한 옻나무 진액을 혼합한 점탄성 석채물감을 장내유 혹은 송절유로 제조한 희석용제에 용해시킨 염액에 피혁을 침지시켜 피혁을 염색함과 동시에 피혁에 옻도막을 형성하는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염색은 물에 용해된 염료가 섬유 속으로 침투해서 전혀 다른 색상의 섬유로 염착하는 것으로, 염료는 크게 식물성 염료, 동물성 염료, 광물성 염료로 구분된다.
식물염료는, 식물의 잎과 꽃, 열매, 수피. 심재와 뿌리 등으로 한 종류의 염료로 한색만을 염색할 수 있는 단색성 염료와 한 종류의 염료를 각종 매염제를 사용 다양한 색체를 내는 다색성염료로 구분하며, 단색성 염료는 염색방법에 따라 직접 건염, 염기성, 화염재 염료로 구분할 수 있다.
식물성 염료는 색깔을 가진 식물의 꽃잎이나 열매, 줄기, 뿌리, 잎 등에서 채취한 것을 예를 들어 붉은색은 홍화(紅花:잇꽃)라는 꽃잎에서, 황색은 치자(梔 子)나무 열매나 초자황(草雌黃)의 수액에서, 남색은 여귀과에 속하는 쪽풀의 줄기와 잎에서, 울금색(鬱金色)은 생강과에 속하는 울금의 뿌리와 줄기에서 채취하여 염료로 사용하거나 잇꽃, 소방목의 붉은색, 치자, 황백, 울금 조개풀의 노란색 염색로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염료의 원료에 따라 홍화염, 소방염, 천염, 오미자염, 황백염, 치자염, 울금염, 황련염, 괴화염, 신초염, 두리염, 자초염, 감염, 쪽염, 홍염 등 다양한 염색방법이 있다.
전술한 염색방법들은 염색에 따른 색상별로 구분한 염색방법으로 예시적으로 종래의 몇몇 염색기법을 설명한다.
소방염은 소방 또는 소목, 소방목, 소방, 단목, 목홍, 다목이라는 나무 속의 붉은 살을 깎아 달인 액을 사용하여 염색한다. 진분홍색을 원할 때는 명반으로 매염하고, 감청색을 원할 때는 초산철로 매염한다.
천염은 일명 꼭두서니 또는 가삼사리 염색법이라고도 하는데, 붉은색 물감으로 쓰이는 또 하나의 염료 식물의 염색법이다. 이 꼭두서니 덩굴의 황적색 나는 수염뿌리는 옛부터 약재와 염료로 사용되어 왔다. 염색법이 까다롭고 용해가 어려워 매염제(백반)를 꼭 사용해야 하는 대표적인 매염염료이다. 무명(흰천) 염색시에는 잿물로 매염을 한 후 명반으로 처리한다.
잿물에 의한 매염법은 찬 잿물에 먼저 담가놓는다. 50-60℃정도의 물에 꼭두서니를 우려낸 후 다시 담가 얼마간 놓아두면 선명하고 황색이 도는 붉은 색으로 곱게 물든다. 잿물 매염 대신 철매염으로 하면 갈색이 된다.
홍색염은 홍염 또는 적색염이라고도 하는데, 홍화(잇꽃), 소방, 천(꼭두서니)등을 사용하여 홍색을 염색할 때 사용된다. 잇꽃에 의한 홍염 염색법 즉 홍화염은 꽃잎을 그대로 또는 삭혀서 체로 걸른 용액에 끓는 물을 부어 황즙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잿물을 넣어 첫물은 빼버리고 다시 끓는 물을 부어 우러난 물을 받는다. 이 용액이 홍색이 되면 오미자즙을 넣어서 염욕을 만들고, 천을 담가 50-60。C 온도에서 원하는 농도가 될 때까지 염색을 행한다. 더욱 진한 붉은 색을 염색하고자 할 때에는 잇꽃과 오미자액의 침전물을 가라 앉혀 말려 가루로 만들어 염색한다.
오미자염은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성 관목으로 그 열매가 신맛, 쓴맛, 매운맛, 찬맛, 단맛의 5가지 맛을 가진 오미자를 원료로 한 염색방법으로, 염색 방법으로는 먼저 오미자를 삶아서 우려낸 액을 물로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염액을 만든 후 염액에 천을 넣고 끓여 염색한다. 오미자는 홍색을 염색할 때 사용되는 염료이다.
황색계열의 염색 원료로는 울금 황련, 괴화, 황백. 치자, 신초, 두리 등의 식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황색염색을 하는데, 황백염은 황백나무의 껍질을 햇볕에 말려서 찬물에 우려낸 용액에 하룻밤 담가 염색을 행하고 잿물을 내린다. 쪽염을 행한 후에 황백염을 행하면 녹색의 피혁을 얻을 수 있다.
치자염은 매염제 없이도 염색되는 염료로서,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치자의 열매를 말려서 물에 담가 우려내고 이 용액을 달여서 산을 첨가하여 염색한다. 수의(壽衣)와 같은 마직물 염색에 주로 사용된다.
울금염은 인도 전통음식 "카레"의 원료로서, 울금 또는 심황이라고도 불리우 는 직접 염료이다. 생강과 다년생 식물인 울금의 뿌리를 찢거나 물에 우려낸 용액으로 염색한다.
동물성 염료는 동물계에서 얻을 수 있는 염료로서, 동물의 피나 즙, 보라조개, 붉나무에 기생하는 벌레집인 오배자나 선인장에 기생하고 있는 벌레 즉 코치닐 (cochineal)이나 커미즈 (kermes), 합화목층, 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이나 바위나 돌에 생기는 버섯, 암균 등이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색성 염료로 구분할 수 있어 매염을 동반하여 염색한다.
광물성 염료는 흙이나 진흙을 대표적으로 하여 무기 유기성 안료로 구분할 수 있다. 무기안료는 찹쌀미음이나. 아교, 동물의 기름등을 사용하였으나 현재 콩즙을 많이 이용하고 원료로는 황토연단, 주 군청, 머드 등이 있고, 유기안료는 수지라고 할 수 있으며 용해한 염조에 조제 약품을 가하여 추출하고 수용성이 되도록 한 것으로 재료로는 남납, 홍, 코치닐 수지 등이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염료별 염색방법 이외에도 보다 더 다양한 원료와 그에 따른 염색기법이 있으나 천연 염색은 원료에 따라 매염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 염색기법도 원료마다 독특한 염색기법이 요구되므로 염색이 까다롭고 난해하다.
식물성 염료에 의한 염색은 색상은 고우나 선명도가 떨어지고 엷으며, 염색한 옷을 장기간 보관하면 좀벌레와 같은 해충에 의해 옷이 손상되기 쉽고, 잦은 세탁에 의해 색상이 빠지거나 탈색되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광물성 재료를 이용한 염색방법은 세탁시 색이 빠지는 정도가 식물성 원료에 비해 덜하고, 색감이 진한 장점이 있으나, 재현성이 떨어지고 식물성 염료에 비해 염착성이 낮고 원료를 구하기 어려우며,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죽을 광물질 염료로 염색을 하는 경우, 가죽은 직물과 달리 두께가 두꺼워 조직속으로 색소 침투가 잘 되지 않고 빗물이나 물을 잘 흡수하므로 가죽에 물이 묻으면 염색된 색소가 옷이나 인체에 묻어나고 곰팡이가 피기 쉬우며, 가죽을 햇빛에 장시간 노출시키거나 건조가 심한 경우 열화현상에 의해 갈라지는 단점이 있어 염색작업시 유연제(오일)를 도장하거나 방수를 위해 화학약품제인 내방수제 혹은 발수코팅제 및 UV코팅제를 도포하므로 온전한 천염염색 기법이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코팅된 가죽을 일정시간 탈취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파와 같이 천연 가죽제품은 일상생활에서 신체의 잦은 접촉에 의해 가죽에 도장한 코팅막이 벗겨져 가죽의 내구성과 견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광물질 염료가 가죽 깊숙이 염착시키기 위해서는 염액에 피혁을 침지시키는 시간이 식물성 염료에 비해 3∼5배가량 길어 생산성도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혁에 특정색을 염색함에 있어 광물성 천연염료와 옻나무 진액으로 피혁조직 깊숙이 색소를 염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혁조직이 옻나무 수액성분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탈색 및 변색이 없고 피혁에 방수, 방부, 방충 및 살균작용 및 내마모성 및 견뢰도를 향상시키고, 시간대비 염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피혁의 조직 깊숙이 염액이 침투하여 염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혁 천연염색 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은,
(a) 특정 나무 혹은 특정 식물의 열매나 잎 혹은 뿌리 중 어느 하나를 염색원료를 물에 용해시킨 뒤 특정 매염제를 첨가하여 피혁에 염색하는 제1 염색공정(100)과;
(b) 제1 염색공정을 거친 피혁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200)과;
(c) 특정 색을 띤 광물질 분말에 투명하게 제조한 유동나무 명유와 투명하게 가공한 옻나무 수액을 혼합하여 광물질 분말을 점탄성 천연염료를 제조한 뒤 이를 소나무 혹은 장수나무의 수액을 증류하여 제조한 희석용제에 용해시킨 염액에 건조공정에서 건조한 피혁이 충분히 잠기도록 침지시킨 뒤 상기 염액을 30℃∼70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피혁을 염착시키는 제2 염색공정(300)과;
(d) 염액에 침지된 피혁을 꺼내어 대기중에서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400) 및;
(e) 건조된 피혁의 견뢰도 및 내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건조된 피혁을 고르게 펴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가공한 뒤 피혁 표면에 붓 혹은 분무기로 투명 옷액을 분무하여 옻액 도막을 형성(500)하고 이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600)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광물성 염료를 희석용제에 희석시킨 염액에 피혁을 일정시간 동안 침염하면, 옻나무 수액(투명옻)와 유동나무의 수액(명유) 성분 및 염료 색소가 가죽의 조직 깊숙이 염착되고 옻나무 수액 성분이 코팅되므로 피혁의 방수성과 내발수성 및 마모성이 크게 향상된 피혁을 제조할 수 있고, 투명옻이 지닌 방부, 방충, 및 항균 및 살균작용에 의해 피혁을 보호할 수 있으며, 명유가 지닌 탄력성 도막에 의해 염색 색상이 선명하고, 피혁의 표면이 광택이 나며, 색상이 변색되거나 빠지지 않으며, 내구성이 강화되어 피혁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정의하는 천연염료 중 식물성 원료는 꽃. 잎, 뿌리, 수피, 수목 심재, 열매에서 추출한 염액이고, 동물성 원료는 고치닐 (cochineal)이나 커미즈(kermes), 연지충, 군소, 오배자, 합환목충, 기타 등 이며, 천연 광물성 원료는 엡솔루트블랙, 황토석, 에머럴드펄, 맥반석 ,옥돌, 현무암, 비샤브라운 등의 각종 암석과, 황토, 연단 주 군청, 감청, 머드, 숯, 화산재 등과 같은 무기안료이다.
또한 피혁은 "가죽"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하여 기술하였고, 양피, 우피, 마피, 악어, 여우피, 밍크, 족제비 등 기타 각종 동물의 가죽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1차 염색공정은 전술한 식물성 혹은 동물성 염료를 이용하여 피혁에 염색한 것을 의미하고, 2차 염색공정은 1차 염색공정을 거친 피혁 에 광물성 염료와 옻나무 진액으로 염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물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성 염료는 특정색을 띤 광물을 분쇄한 것(이하, 석채분말이라 함)과, 석채분말에 점결제를 첨가하여 소정의 점결력을 지닌 광물성 천연염료와, 천연염료의 색소와 점결제를 용출시킴과 동시에 염액의 농도와 점성을 조절하는 희석용제로 구성되어 있다.
[염료의 제조]
상기한 석채분말은, 전술한 바와 같은 광물질을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2,500메쉬(mesh)로 극히 미세하게 분말화한 것으로, 석채분말의 입경은 석채분말이 지닌 색소가 희석용제에 의해 충분히 그리고 최대한 용출되도록 극히 미세하게 분쇄하여 제조된다.
[분말상 석채분말의 점결제 제조]
점결제는 분말상의 석채염료를 점탄성 재질로 덩어리화하기 위해 석채분말에 첨가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에서 추출한 진액과 유동나무(Aleurites fordi Hemsi, 오동나무라고도 함) 열매에서 추출한 진액을 혼용한 것을 예시한다.
옻나무에서 추출한 진액은 옻나무에 생채기를 내면 생채기에서 옻나무 수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생옻 혹은 생칠이라고도 한다.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액으로 우루시올(urushiol)이 약 70% 이고 그밖에 고무질(4∼8%), 질소물질(2∼3%), 효소(laccase)와 수분(10∼20%)을 포함하고 있다.
생옻은 화학적으로 성질이 다른 여러 성분들이 수피조직내에 분리되어 있다 가 표피의 생채기 발생시 다량의 우루시올, 수분 및 다당체를 함유하는 에멀션 상태로 혼합되어 지나 그 상태가 균일하지 않으며, 과량의 효소(laccase)를 함유하고 있어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신속한 표면경화가 이루어진다.
생옻의 특징은 처음에는 회백색을 띄나 시간이 지나면 열화에 의해 차츰 검게 변하면서 불투명해지며, 점성이 크고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특히 방수, 방충, 방부, 살충 및 매염효과를 지니고 있어 목기(木器)나 공예품(工藝品) 도장재 및 마감재로 주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생칠의 성분조성은 목(木)제품에 옻칠 도장시 급속한 중합작용에 기인하여 옻도막의 결함원인이 되는 주름이 발생하기 쉽고, 다량의 다당류에 의한 옻도막의 변색과 자외선에 의한 도막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생칠을 이용한 옻칠은 수천년이 지나도 옻 도막이 그대로 유지될 정도로 내구성이 우수한 전통도료로서, 강력한 내구성을 요구되는 제품에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옻 도막은 각종의 유기용매에 전혀 부식이 되지 않는 강력한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력한 내식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도료나 저유탱크나 송유관, LNG저장탱크, 화학공장 배관설비 등 다양한 용도의 산업용 도료로 개발되기도 한다.
유색을 띤 생옻을 투명하게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옻나무에서 추출한 수액(이하 생옻이라 함)에서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뒤 여기에 자외선(紫外線)을 2시간 정도 조사(照射)하면서 생옻을 교반하면, 다량의 다당류에 의한 열화에 의해 색 이 투명(이하, "투명 옻액"이라 함)하게 변하지만 그 성질은 변함없이 유지된다. 자외선 조사장치는 의료용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였다.
유동나무 진액은 유동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유동나무 열매를 압축기로 가압하면 엷은 우유빛 오일이 추출(이를 생동유라 함)되는데, 건조가 잘되고, 점성이 높아 건조후 두텁고 탄력있는 도막을 형성하며, 오일은 평활능력을 지니는 특성이 있어 옛부터 장판지나 우산지의 도막유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건축용 페인트나 니스, 인쇄용 잉크의 원료로도 일부 활용되기도 한다.
생동유를 투명하게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용기에 생동유를 넣고 열을 가하면 숙동유가 만들어지는데 우유빛 생동유는 점차 투명하게 변하면서 투명한 명유(明油)가 만들어진다. 명유는 생동유에서 명유로 투명하게 변하더라도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그대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색의 생옻 및 생동유를 석채분말에 혼합하면, 석채분말의 색과 생옻과 생동유의 색이 겹합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색이 만들어지므로 원하는 칼라를 만들기 위해 투명옻과 투명 동유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옻과 명유의 합이 18~22중량부(나머지 석채분말)를 첨가하여 빵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를 반죽할 때 밀가루 반죽이 손에 달라붙지 않는 정도의 점도를 지닌 점탄성 천연염료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점탄성 천연염료는 점도에 따라 희석용제의 첨가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데, 점탄성 천연염료의 혼합량이 증커질 수록 투명옻과 명유의 용출량이 증가하면서 염액의 유동성이 낮아지고 염색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희석용제에 천연염료의 희석비율은 희석용제 100중량부에 천연염료는 최소 0.5중량부, 최대 45중량부로 희석한 염액을 사용하였다.
만일 천연염료의 희석비율이 45중량부 이상 초과하면, 옻과 명유 성분이 염액에 과도하게 용출되면서 염액의 점성이 증가하므로 피혁에 형성되는 투명옻과 명유 도막이 두꺼워지고, 피혁의 건조시간이 지연된다.
그리고, 만일 석채염료가 희석용제에 60중량부 이상 희석되는 경우 염액은 점성이 증가하면서 염액이 가죽속으로 충분히 침투하지 못해 색상 분포가 불균일해 질 수 있다.
반대로, 천연염료를 희석용제에 0.5중량부 이하로 희석하면, 염료 색소의 용출량이 낮아지고 염착과 발색(發色)이 흐리고 엷어진다.
[석채염료의 희석용제 제조]
천연염료의 색소와 투명옻 및 명유 성분을 염액으로 용출시키고, 염액의 농도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용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희석용제는 천연염료의 색소와 옻을 용출시키면서 옷감의 섬유속으로 색소와 옻성분이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계면을 활성시키고, 균일한 색으로 염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희석용제를 송절유나 장내유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였는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송절유(松節油) 제조방법으로는 소나무의 줄기를 칼로 V자 형태로 오리거나 나선상으로 홈을 파서 파열구로부터 흘러나오는 나무진에 물을 1:1로 넣고 증류하 여 제조한다.
송절유는 증류하기 전에는 송진향보다 좀 더 강한 향이 있으나 증류 후에는 솔향이 미량 잔류하고 투명한 무색을 띠며, 점성이 물과 비슷하다.
송절유는 음용하여도 인체에 무해하고 물과 대비하였을 때 건조속도가 거의 비슷하다. 대부분 여름에 채취한다.
장내유는 장수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면 상처에서 흘러나온 나무진에 물을 1:1로 붓고 이를 증류하여 제조한 것으로, 맑고 투명한 액상으로, 송절유에 비해 건조가 느리다. 그리고 점도는 송절유와 거의 비슷하고, 역시 여름에 채취한다.
송절유는 장내유에 비해 건조속도가 빠르므로 대기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송절유를 희석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장내유를 희석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송절유와 장내유 중 어느 하나의 희석용제를 선택하더라도 모두 옻 성분과 명유 성분을 용출시킬 수 있고, 색소를 가죽에 염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희석용제 즉, 송절유나 장내유 중 어느 하나를 염액통에 소망하는 량을 붓고, 그 속에 천연염료를 소망하는 비율로 넣고 희석용제를 저어 천연염료를 용해시킨 뒤 그 염액에 가죽을 침지시킨 뒤 손으로 가죽을 비비거나 막대로 뒤집어가면서 저어주면 염료의 색소와 투명옻 및 명유 성분들이 가죽속으로 침투하여 염착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 가죽을 염액에서 꺼낸 뒤 이를 충분히 건조시키면 피 혁에 특정색상이 염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염액 및 희석용제를 이용하여 피혁에 염색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100)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특정 나무 혹은 특정 식물의 열매나 잎 혹은 뿌리 중 어느 하나의 염색원료를 물에 용해시킨 염액에 특정 매염제를 첨가하고 그 염액에 소망하는 피 염색 피혁을 침지하여 염색한다.
식물성 염액은 염액원료의 종류에 따라 피혁에 염착된 색상이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매염제도 달라질 수 있다. 식물염색은 공지의 염색원료와 그에 따른 염색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제2공정(200)은, 식물성 염액에 침지된 피혁을 꺼내어 피혁을 충분히 건조시킨다. 건조시간은 피혁의 두께나 면적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므로 피혁의 건조시간은 특정하지 않으나 피혁이 충분히 건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3공정(300)으로서, 특정 색을 띤 석채분말에 유동나무 수액을 투명하게 제조한 명유와 옻나무 수액을 투명하게 제조한 옻액을 혼합하여 석채분말이 점탄성 재질이 되도록 반죽하여 천연염료를 제조한 뒤 상기 천연염료를 소나무 수액 혹은 장수나무의 진액을 증류하여 제조한 희석용제에 용해시킨 염액속에 건조된 피혁이 잠기도록 침지시킨 뒤 염액을 30℃∼70도의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피혁 조직속으로 특정색을 염착시킨다.
이때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천연염료의 색상은 식물성 염료에 색상과 동일한 색상 계열을 지닌 천연염료를 사용하는데, 이는 식물성 염료에 의해 염착된 색상과 광물성 염료의 색상이 피혁에 재차 염착되므로 식물성 염료에 의한 염착 색상에 제3공정에 따른 천연염료의 색상이 더 염착되면서 피혁에 염착되는 색상이 더욱 진하고 선명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염액을 30 ∼ 70℃로 가온하면, 희석용제의 유동성이 향상되면서 희석용제에 옻액 성분의 용출이 활성화되면서 피혁의 조직내부로 옻성분과 함께 염색색소가 깊숙이 침투하여 색소의 염착성이 향상된다. 피혁의 조직내부에 염착된 염료색소와 옻액 및 희석용제 성분은 피혁에 방부작용을 하고 내방수성 효과를 제공한다.
제4공정(400)으로서, 제3공정의 염액속에 침지된 피혁을 꺼내어 대기중에서 충분히 건조시킨다. 제4공정에 의해 피혁이 건조되면, 피혁은 뻣뻣해지고 주름지거나 피혁이 부분적으로 겹치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제5공정으로, 건조된 피혁의 견뢰도 및 내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건조과정에서 주름진 부분은 고르게 펴고 연신 및 부드럽고 유연하게 가공한 뒤 피혁 표면에 붓으로 투명한 옻액을 도장하거나 분무기로 투명한 옷액을 분무하여 옻액 도막(500)을 형성한 뒤 피혁을 건조(600)시킨다.
옻액에 의한 도장 혹은 도막의 두께는 피혁의 종류와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히 조절한다. 피혁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은 피혁의 방수성과 내마모성 방충성 및 살균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색된 피혁은 공지된 열처리를 통해 옻액 성분을 중화(700)시켜 피혁원단을 제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 혁 염색 방법에 따르면, 피혁의 조직은 옻성분에 의해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살균성 및 항균성이 작용하므로 피혁이 해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투명옻과 명유가 지닌 광택효과에 의해 피혁에서 광택이 나고, 색상이 선명하며, 탈색 및 변색되지 않는 피혁원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혁 염색 공정도이다.

Claims (2)

  1. (a) 특정 나무 혹은 식물의 열매나 잎 혹은 뿌리 중 어느 하나의 염색원료를 물에 용해시킨 뒤 특정 매염제를 첨가하여 특정 피혁을 염색하는 제1 염색공정(100)과;
    (b) 제1 염색공정을 거친 피혁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200)과;
    (c) 특정 색을 띤 광물질 분말에 투명하게 제조한 유동나무 명유와 투명하게 가공한 옻나무 수액을 혼합하여 광물질 분말을 점탄성 천연염료를 제조한 뒤 이를 소나무 혹은 장수나무의 수액을 증류하여 제조한 희석용제에 용해시킨 염액에 건조공정에서 건조한 피혁이 충분히 잠기도록 침지시킨 뒤 상기 염액을 30℃∼70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피혁을 염착시키는 제2 염색공정(300)과;
    (d) 염액에 침지된 피혁을 꺼내어 대기중에서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공정(400) 및;
    (e) 건조된 피혁의 견뢰도 및 내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건조된 피혁을 고르게 펴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가공한 뒤 피혁 표면에 붓 혹은 분무기로 투명 옷액을 분무하여 옻액 도막을 형성(500)하고 이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2. 제1항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된 피혁.
KR1020090091459A 2009-09-28 2009-09-28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KR10108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459A KR101080877B1 (ko) 2009-09-28 2009-09-28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459A KR101080877B1 (ko) 2009-09-28 2009-09-28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085A true KR20110034085A (ko) 2011-04-05
KR101080877B1 KR101080877B1 (ko) 2011-11-07

Family

ID=4404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459A KR101080877B1 (ko) 2009-09-28 2009-09-28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8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360B1 (ko) * 2011-04-18 2013-04-08 권영길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CN104256981A (zh) * 2014-09-20 2015-01-07 安徽鼎恒皮件制品有限公司 一种休闲皮带的制作工艺
RU2627851C2 (ru) * 2015-02-02 2017-08-14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НИИ садоводства и субтропических культу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асного пищевого красителя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102151924B1 (ko) * 2019-10-23 2020-09-03 박성규 옻칠한 가죽원단을 성형하는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180B1 (ko) 2016-05-02 2018-01-02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치닐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가죽의 염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720B1 (ko) 2003-10-08 2006-07-07 주식회사 하미 칠피용 도료 조성물
KR100853997B1 (ko) 2007-09-13 2008-08-25 서영수 옻의 염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360B1 (ko) * 2011-04-18 2013-04-08 권영길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CN104256981A (zh) * 2014-09-20 2015-01-07 安徽鼎恒皮件制品有限公司 一种休闲皮带的制作工艺
RU2627851C2 (ru) * 2015-02-02 2017-08-14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НИИ садоводства и субтропических культу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асного пищевого красителя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102151924B1 (ko) * 2019-10-23 2020-09-03 박성규 옻칠한 가죽원단을 성형하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877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388B1 (ko) 옻칠과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및 그 제품
Zubairu et al. Effects of selected mordants on the application of natural dye from onion skin (Allium cepa)
KR101080877B1 (ko)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CN106221281A (zh) 一种天然植物苦蒿浓缩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Belemkar et al. Recent trends in Indian textile industry-exploring novel natural dye products and resources
US20090226589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colorant vegetable extracts modified tannin extract
Saha et al. Natural dye from bixa seeds as a potential alternative to synthetic dyes for use in textile industry
El-Khatib et al. Environmentally friendly dyeing of silk fabrics using microwave heating
KR101202250B1 (ko) 정제칠 등을 이용한 가죽제품의 코팅방법
KR101751782B1 (ko) 견뢰도 향상된 천연 염색방법 및 이에 따라 염색된 천연염색 직물
Singh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mordants on textile
Udeani Potential of Henna leaves as dye and its fastness properties on fabric
Adem et al. Investigation of the dyeing properties of the colorant extracted from Juglans regia L. leaves on cellulosic and protein fabrics
Vadwala et al. Natural dyes extracted from waste leaves of Terminalia catappa locally known as tropical almond and its application on silk fabrics pre-treated with ecofriendly and noneco-friendly mordants
KR101045353B1 (ko) 천연재 염료를 이용한 염색 방법
KR101384963B1 (ko) 소나무류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목재류의 천연염색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염색목재
CN106567260A (zh) 紫红亮布制作方法
Samanta et al. Sources, Application, and Analysis of Natural Colorants: An Indian Perspective
KR101039217B1 (ko) 탄닌으로 기능성을 강화시킨 무늬포 및 그 제조방법
CN106189353A (zh) 一种编织品天然红色素
KR20130004623A (ko) 가자열매를 이용한 고기능성 천연염색방법
KR101901277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천연염료의 제조방법
Joshi et al. Use of plant dyes in textiles industries
CN103773065A (zh) 一种制备暗金色麦秸秆染料的配方及生产方法
CN104629438A (zh) 一种制备鲜黄色麦秸秆染料的配方及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