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768A -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768A
KR20110032768A KR1020090090433A KR20090090433A KR20110032768A KR 20110032768 A KR20110032768 A KR 20110032768A KR 1020090090433 A KR1020090090433 A KR 1020090090433A KR 20090090433 A KR20090090433 A KR 20090090433A KR 20110032768 A KR20110032768 A KR 20110032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application
information
purcha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203B1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9009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일반 종이 형태를 띤 구매신청서에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 배치하고 영업 사원이 구매신청서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페이지 표면의 도트 배열을 인식처리한 후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구매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각 구매신청서별로 필기 내용을 복원하여 구매관리서버와 연동하는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구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업 사원이 일반 종이 형태의 구매신청서에 직접 구매 항목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주문 내용을 구매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회사의 구매 관리자가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해서 구매신청서에 기재된 고객의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구매 관리자가 고객의 물품 주문을 신속히 파악하고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구매신청서, 필기, 광학인식, 블루투스

Description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PURCHASE MANAGEMENT SYSTEM USING OPTICAL SENSING PEN AND PURCHASE REQUEST FORM}
본 발명은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일반 종이 형태를 띤 구매신청서에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 배치하고 영업 사원이 구매신청서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페이지 표면의 도트 배열을 인식처리한 후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구매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각 구매신청서별로 필기 내용을 복원하여 구매관리서버와 연동하는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구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매 관리 시스템은 전화, 팩스, 온라인을 통해 물품 구매 신청을 받는 방식과 영업 사원이 고객을 직접 대면하여 구매 신청을 받는 방식이 있다. 일단 물품 구매 신청이 접수되면 그 신청된 내용에 따라 지정된 특정 일자에 해당 고객 의 소재지로 신청물품이 배송되어야 한다. 즉, 고객은 물품의 구매하기 위해 전화, 팩스, 온라인 신청, 영업 사원을 통한 구매 신청서 접수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물품 구매를 신청하게 된다.
종래 구매 관리 시스템에서 전화, 팩스, 온라인 신청을 통해 물품 구매를 신청할 경우 영업 사원과 고객 간에 직접적인 대면 없이 고객으로부터 간접적으로 물품의 구매 신청을 받는다. 즉, 고객이 전화, 팩스, 온라인 신청을 통해 물품 구매를 신청하면 구매 관리 직원은 고객이 구매 신청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 반면,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을 이용하기 힘든 환경이거나 방문 영업 사원에 의한 구매 활동에는 적용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매 관리 시스템에서 영업 사원을 통한 구매 신청서의 접수는 영업 사원과 고객이 직접 대면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물품에 대한 목록을 영업 사원이 구매 신청서에 기입함으로써 고객의 물품 주문을 받는다. 그러나, 구매 신청서 접수의 경우 영업 사원은 구매 신청서에 작성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회사의 구매 관리 부서로 알려야 하는데, 이때 영업 사원이 구매 신청서의 물품 정보를 회사의 구매 관리 부서로 정확하게 알리지 못할 경우에는 고객의 물품 주문이 올바르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종이 형태의 구매신청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구매신청서에 영업 사원이 직접 기재한 필기 내용을 회사에서 운용하는 구매관리서버에서 관리하고 회사의 구매 관리자가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구매신청서를 확인하고 구매 신청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서 관리하는 구매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된 구매 신청 페이지를 구비하되,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신청서; 잉크심과, 잉크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잉크심과 구매신청서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구매신청서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광학인식펜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필기 데이터를 구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필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구매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신청서에서 도트는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학인식수단은 도트를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으로부터 구별하여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은 이동 단말기로 필기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관리서버는 필기 데이터로부터 이동 단말기, 광학인식펜 중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영업 사원을 구별하고,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구매신청서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동일한 종류의 구매신청서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하면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신청서는 구매 항목으로 물품 구매 내역, 신청자, 배송정보,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구매관리서버는 구매신청서에 기록된 구매 항목의 내용을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서 구매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에 구매신청서에 기록된 구매 항목의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관리서버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관리자의 단말기 화면에 문자인식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문자인식 선택메뉴가 선택되면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의 내용을 문자인식 처리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업 사원이 일반 종이 형태의 구매신청서에 직접 구매 항목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주문 내용을 구매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회사의 구매 관리자가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해서 구매신청서에 기재된 고객의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구매 관리자가 고객의 물품 주문을 신속히 파악하고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영업 사원이 고객과 대면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물품 목록을 구매신청서에 작성하고 구매신청서에 기재된 물품 주문에 대한 정보를 회사의 구매관리서버로 전송 하면 구매 관리자가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접수된 구매신청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물품 주문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영업 사원은 특수하게 제작된 구매신청서(10)와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필기 내용과 위치를 인식시킨 후 이동 단말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회사의 구매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 그리고, 구매관리서버(50)에서는 필기 데이터를 내부 처리하여 구매 관리자가 컴퓨터(70)를 통해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의 구매신청서 영역에 필기 내용을 등록한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매신청서(10)는 외관상 일반적인 종이 형태로 만들어지며 종이의 재질에 있어서도 일반 종이와 큰 차이점은 없다. 또한, 구매신청서(10)를 구성하는 페이지는 반드시 종이 펄프로 만들어질 필요도 없으며 얇은 필름 형태의 비닐이나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즉, 구매신청서(10)는 일반적인 종이처럼 사용될 수 있는 재질로 페이지가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신청서(10)가 일반 종이에 인쇄된 구매신청서와 다른 점은 페이지에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점이며, 이러한 도트 배경무늬를 통해 페이지 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페이지에 속하는지도 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트의 배치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광학인식펜(20)은 잉크심이 구비되어 있어 영업 사원이 구매신청서(10)의 표면에 필기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심과 구매신청서(10)가 접촉하는 지점의 영상을 감지할 수 있는 광학인식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 구매신청서(10) 표면의 도트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업 사원이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 일부에 메모를 필기하는 동안 광학인식펜(20)은 광학인식수단에 의해서 구매신청서(10) 위에 인쇄된 도트의 배치를 인식하여 영업 사원이 현재 필기하고 있는 지점의 좌표를 산출해낼 수 있다. 광학인식펜(20)은 이상 산출된 정보에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광학인식펜(20)에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블루투스 수신 기능이 구비된 다른 기기인 이동 단말기(30) 또는 컴퓨터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식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30)는 일반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수신 수단이 구비되어 광학인식펜(20)으로부터 보내오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필기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매관리서버(50)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30)의 출시 시점부터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설치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기(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컴퓨터에 블루투스 수신 수단이 구비되어 광학인식펜(20)으로부터 전송되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컴퓨터에는 필기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매관리서버(50)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컴퓨터는 광학인식펜(20)으로부터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구매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40)는 이동통신망을 거쳐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구매관리서버(50)는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광학인식펜(2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한다. 그리고 구매관리서버(50)는 복원된 필기 궤적을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웹 페이지의 구매신청서 영역에 등록함으로써 구매 관리자가 컴퓨터(70)를 통해 구매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구매신청서의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구매관리서버(50)는 회사 내에 설치되며 각 영업 사원을 구별하여 해당 웹 페이지의 구매신청서 영역에 필기 데이터를 등록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필기 데이터로부터 이동 단말기(30), 광학인식펜(20)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영업 사원이 판매한 물품 구매 내역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서를 구별한다.
또한, 구매관리서버(50)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구매신청서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구매신청서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웹 페이지의 구매신청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구매 관리자가 자신이 처리할 구매신청서의 필기 내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70)는 인터넷(60)을 통해 구매관리서버(50)에 접속할 수 있어 구매관리서버(50)에 등록된 웹 페이지의 구매신청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구매 관리자 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자신이 처리할 구매신청서 영역의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를 의미한다.
[도 2]는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 표면에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 표면에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예 : 상, 하, 좌, 우의 네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도트가 배치된다.
즉,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도트의 위치편차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도트 하나당 총 4개의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트를 여러 개 조합하여 인식하면 경우의 수를 더욱 늘릴 수 있다. 예컨대, 6×6의 총 36개의 도트 조합을 하나의 정보 단위로 사용할 경우 436개(= 272개)의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이는 약 170억 기가바이트의 정보량에 해당된다.
따라서, 6×6의 도트 조합에는 구매신청서의 한 페이지 내에서의 좌표 정보, 기재 항목 정보, 구매신청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 등을 충분히 담을 수 있다.
또한, 구매신청서(10)에 인쇄된 도트는 구매신청서(10)의 나머지 인쇄 내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카본블랙만으로 도트를 인쇄하여 나머지 내용들과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광학인식펜(20)의 광학인식수단을 통해 카본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학인식펜(20)의 광학인식수 단으로 적외선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구매신청서(10)의 도트를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구매신청서(10)에 도트가 인쇄된 실제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매신청서(10)의 한 페이지를 확대하였을 때 미세한 도트가 기준점으로부터 조금씩의 편차를 갖고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트의 색상은 구매신청서(10)에 인쇄된 나머지 내용들과 구별될 뿐만 아니라 영업 사원이 광학인식펜(20)으로 필기하는 잉크의 색상과도 구별되므로 광학인식펜(20)은 무리없이 구매신청서(10)의 도트 배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영업 사원이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에 필기로 메모 내용을 남긴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영업 사원은 고객을 대면하면서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고객이 요청하는 물품 주문을 구매신청서(10)에 기입한다. 이때 사용되는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 표면에는 광학인식펜(20)으로 인식되는 위치 편차를 두고 카본블랙으로 인쇄된 도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특수 잉크로 인쇄된 도트 외에 구매 항목이 일반 잉크로 인쇄되어 있다. 영업 사원이 이용하는 구매신청서(10)의 구매 항목 포맷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매신청서(10)는 구매 항목으로 물품 구매 내역, 신청자, 배송정보, 결재정 보를 포함한다.
구매신청서(10)의 구매 항목 중 물품 구매 내역, 신청자, 배송정보, 결재정보에 영업 사원이 필기로 메모 내용을 남긴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매 항목의 물품 구매 내역에 메모된 내용에는 물품, 수량이 표기되어 있다.
구매 항목의 신청자에 메모된 내용에는 성명, 단체명, 휴대폰이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구매 항목의 배송정보에 메모된 내용에는 희망 배송일, 배송지 연락처, 배송지 주소가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구매 항목의 결제정보에 메모된 내용에는 신용카드의 카드번호, 유효기간이 표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매신청서(10)에는 각 구매 항목별로 물품 주문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구매신청서(10)의 하단에는 컴퓨터 전송, 모바일 전송의 정보 전송 메뉴가 인쇄되어 있다. 영업 사원이 구매신청서(10)에 고객의 물품 주문에 대한 각종 정보를 기입한 후 컴퓨터 전송 또는 모바일 전송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광학인식펜(20)을 접촉시키면, 광학인식펜(20)은 선택된 전송 메뉴에 따라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기로 구매신청서(10)에 기록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기(20)는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구매관리서버(50)로 구매신청서(10)에 기록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후, 구매관리서버(50)는 인터넷(60)을 통해 접속 요청하는 컴퓨터(70)로 구매신청서(10)에 기록된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는 물품 구매 내역을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는 구매신청서(10)의 형식을 보인 예시도이다.
구매신청서(10)에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물품 목록이 기재되어 있어 영업 사원이 회사에서 판매하는 물품에 대한 주문을 간단한 수량 기입으로 회사의 구매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렇게 정해진 물품 세트에 대한 주문 방식과는 다르게 회사에서 판매하는 물품이 다양한 경우 구매신청서(10)에 물품 목록을 기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물품 목록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예로 [도 5]에 도시된 구매신청서(10)에서는 물품 구매 내역의 물품 목록이 공백으로 채워져 있어 다양한 종류의 물품 목록을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업 사원이 자동차에 대한 구매신청서(10)를 작성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옵션 목록이 제공된다. 영업 사원은 고객이 선택한 옵션 항목에 대해 구매신청서(10)의 물품 구매 내역에 기재할 수 있다.
영업 사원이 고객으로부터 물품 주문을 받은 후 구매신청서(10)의 하단에 표기된 모바일 전송에 체크하면 구매신청서(10)에 기재된 물품 주문 내용이 이동 단말기(30)를 통해 구매관리서버(50)로 전달된다. 이후, 구매관리서버(50)는 인터넷(60)을 통해 접속 요청하는 컴퓨터(70)에 구매신청서(10)에 기록된 물품 주문 내용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도 6]은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잉크심(21)은 잉크가 흘러나와 구매신청서(10)의 표면에 필기할 수 있는 일 반적인 잉크심으로서 예컨대 볼펜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감지수단(22)는 잉크심(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이는 현재 광학인식펜(20)이 필기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심(21)에 압력이 가해지면 영업 사원이 현재 필기하는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잉크심(21)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압력이 셀수록 선굵기를 굵게 설정하는 선굵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광학인식수단(23)은 압력감지수단(22)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잉크심(21)과 구매신청서(10)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한다. 이때, 광학인식수단(23)은 구매신청서(10)의 도트 배열만 인식하면 되므로 예컨대 도트가 카본 블랙 색상이라면 카본 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도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적외선 감지수단으로 구현 가능하다.
시간체크수단(24)은 현재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100분의 1초 단위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로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광학인식펜(20)에 의해 필기가 이루어진 시각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 궤적 전 구간에 걸쳐 시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기 과정과 필기 속도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5)에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이때,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 정보나 수학 공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5)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와 광학인식수 단(23)을 통해 감지된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구매신청서(10)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필요에 따라 접촉위치에 대응되는 항목을 산출하거나 구매신청서의 종류를 산출하고, 시간체크수단(24)으로부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전달받아 앞서 산출된 정보와 함께 결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5)는 압력감지수단(22)에 의해 선굵기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선굵기 정보를 추가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블루투스 전송 수단(26)은 필기 데이터를 외부 전송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30)에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광학인식펜(20)은 이동 단말기(30)로 필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라이트, 진동 등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 표면에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구매신청서(10)에 도트가 인쇄된 실제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영업 사원이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구매신청서(10)의 페이지에 필기로 메모 내용을 남긴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물품 구매 내역을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는 구매신청서(10)의 형식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Claims (6)

  1.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된 구매 신청 페이지를 구비하되, 상기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신청서;
    잉크심과, 상기 잉크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잉크심과 상기 구매신청서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상기 구매신청서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상기 광학인식펜으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필기 데이터를 구매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구매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신청서에서 상기 도트는 상기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학인식수단은 상기 도트를 상기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으로부터 구별하여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학인식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필기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필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 상기 광학인식펜 중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영업 사원을 구별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신청서의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동일한 종류의 구매신청서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상기 구매관리서버에 접속 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매신청서는 구매 항목으로 물품 구매 내역, 신청자, 배송정보,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신청서에 기록된 구매 항목의 내용을 상기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서 구매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에 구매신청서에 기록된 구매 항목의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구매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관리자의 단말기 화면에 문자인식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자인식 선택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구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구매신청서의 구매 항목의 내용을 문자인식 처리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KR1020090090433A 2009-09-24 2009-09-24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KR10131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33A KR101315203B1 (ko) 2009-09-24 2009-09-24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33A KR101315203B1 (ko) 2009-09-24 2009-09-24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68A true KR20110032768A (ko) 2011-03-30
KR101315203B1 KR101315203B1 (ko) 2013-10-17

Family

ID=4393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33A KR101315203B1 (ko) 2009-09-24 2009-09-24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5961A (zh) * 2015-02-25 2020-09-15 株式会社和冠 输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477B1 (ko) 1995-11-11 200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전자펜
KR20030062032A (ko) * 2002-01-16 2003-07-23 조용호 디지털 펜 장치
KR100880105B1 (ko) * 2007-02-05 2009-01-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문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9340A (ko) * 2007-06-12 2008-12-17 제노젠(주)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5961A (zh) * 2015-02-25 2020-09-15 株式会社和冠 输入装置
CN111665961B (zh) * 2015-02-25 2024-04-30 株式会社和冠 输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03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4398B2 (ja)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250164B (zh) 信息载体和用于获取信息的系统
JP5199221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7033823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33315B2 (ja) 保険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157262A (ja) 情報媒体
CN105235410A (zh) 一种设置二维码的票据及其互动系统和方法
KR101315203B1 (ko)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JP4216300B2 (ja) 記入適否判断装置、記入用紙、及びプログラム
US9013418B2 (en) Navigation accessibilitly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1179180B1 (ko)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KR101179185B1 (ko) 광학인식펜과 구급활동일지를 이용한 구급 관리 시스템
JP2004030235A (ja) 個人認証システム、カード利用明細書および個人認証機能付き電子ペン
JP2007026167A (ja) 集計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投票用紙
JP3993519B2 (ja) 記入用紙、記入適否判断装置、記入適否判断システム、証券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903886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028898B2 (en) Double conversion cheque-clearing process and system
JP2004054338A (ja) 集計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帳票
CN20238377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银行自助工单填写设备
KR20110122898A (ko) 유비쿼터스 스마트카드
JP3148224U (ja) 顧客台帳用紙
KR20110003229U (ko) 광학인식용 종이 책자
JP2002367031A (ja) 受注支援システム、筆記用具、注文シートおよび受注支援方法
JP2006302310A (ja) 記入適否判断装置、記入用紙、及びプログラム
JP2016009296A (ja) 窓口受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