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340A -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340A
KR20080109340A KR1020070057535A KR20070057535A KR20080109340A KR 20080109340 A KR20080109340 A KR 20080109340A KR 1020070057535 A KR1020070057535 A KR 1020070057535A KR 20070057535 A KR20070057535 A KR 20070057535A KR 20080109340 A KR20080109340 A KR 2008010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information
pen
function mark
work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제노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젠(주) filed Critical 제노젠(주)
Priority to KR102007005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340A/ko
Publication of KR2008010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전자펜과 지면 상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코드가 표시된 종이를 이용하여 수기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부터 디지털 취재수첩(100)과 카메라 부착 전자펜(100)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300)을 제공한다. 이 정보관리시스템(300)에서는 기자가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내용이 기록과 동시에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어 데스크로 전달되고 퍼스컴에 저장된다.
전자펜, 위치 코드, 취재, 수첩, 수기, 정보

Description

전자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JOURNALIST TO MANAGE WORK AND SCHEDULE IN UBIQUITOUS BASED ON ELECTRONIC PEN}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취재수첩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취재수첩의 내지를 노출시켜 기록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5는 도 2의 기록면의 상단부분의 문자로 된 기능마크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6은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7은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도 8은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9는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취재수첩의 기록면의 상단부분의 도형으로 된 기능마크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취재수첩을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케이스 내에 장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전면 커버에 기능마크와 디지털정보처리모듈을 갖는 취재수첩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13는 기자들이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 및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정보 및 일정관리를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할 수 있게 하는 이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이 발명은 전자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취재수첩에 전자펜으로 기록한 디지털 수기 정보를 정보처리 스테이션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기사를 작성하고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처리 및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의 발명자가 개발하여 출원한, 발명의 명칭이 "종이기반 전자수첩과 전자펜과 워크스테이션과 정보전달서버와 수기정보처리방법 및 정보관리시스템"인 2007년 6월 4일자 특허출원 2007-54240호에는, 위치코드가 표시된 종이로 제작된 수첩에 위치코드 및 수기 스트로크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잉크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수기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디지털 수기 정보를 정보처리 스테이션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업무처리 및 스케줄 관리에 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수첩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습득한 정보, 생각, 약속 등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정보는 다른 어떤 정보보다도 사적으로 중요한 정보일 것이다.
정보를 컴퓨터로 대량 처리하는 정보화시대에 사람들은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 하여 처리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으며, 디지털화하지 못한 정보는 그 처리가 느려지고 방치되기 십상이다.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이수첩에 잉크로 기록된 정보, 생각, 약속 등 메모는 그 중요성이 크지만, 디지털정보에 밀려 그 처리가 느려지거나 방치되곤 하며, 디지털화하기 위해서는 퍼스컴을 이용하여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이러한 재입력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터치패널 입력수단을 구비한 PDA 등과 같은 전자수첩이 출시되어 있지만, 그 입력이 불편하여 이용이 미미하다.
스위스의 ANOTO AB가 출원하고, 발명의 명칭이 "ON DEMAND GENERATION OF POSITION-CODED BASES (위치코드를 갖는 베이스의 주문생성)"인 WO 2006/135329 A1 (2006.12.21), 발명의 명칭이 "METHOD IN ELECTRONIC PE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ELECTRONIC PEN (전자펜에서의 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제품 및 전자펜)"인 WO 2006/091148 Al (2006.08.31), 발명의 명칭이 "MANAGEMENT OF INTERNAL LOGIC FOR ELECTRONIC PENS (전자펜 내부로직 관리)"인 WO 2006/049574 Al (2006.05.11),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 SYSTEM FOR A SECURE MANAGEMENT OF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PEN (전자펜으로부터의 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인 WO 2006/041387 Al (2006.04.20), 발명의 명칭이 "METHOD IN CREATING A SYMBOL PATTERN, SYMBOL PATTERN OBTAINED THEREBY,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 POSITION IN SUCH SYMBOL PATTER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THE METHOD (심볼패턴 생성 방법, 그렇게 얻어진 심볼패턴, 그러한 심볼패턴으로 위치를 찾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인 WO 2006/006922 Al(2006.01.19), 발명의 명칭이 "DATA PROCESSING IN AN ELECTRONIC PEN (전자펜에서의 데이터처리)"인 WO 2006/004506 Al (2006.01.12), 발명의 명칭이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RECORDING OF HANDWRITTEN INFORMATION (전자펜과 수기정보기록방법)"인 WO 03/046708 Al (2003.06.05), 발명의 명칭이 "ELECTRONIC PEN, MOUNTING PART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 PEN (전자펜과 그 장착부품 및 펜제조방법)"인 WO 03/001358 Al (2003.01.03), 발명의 명칭이 "ELECTRONIC PEN (전자펜)"인 WO 02/103623 Al (2002.12.27),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DEVICES FOR ELECTRONIC RECORDING OF HANDWRITTEN INFORMATION (수기정보의 전자적 기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인 WO 01/16872 Al (2001.03.08)에는, 카메라가 부착된 전자펜과 지면 상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코드가 표시된 종이를 이용하여 수기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이 설명되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기자가 전자잉크펜을 이용하여 수기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지면 상의 수기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그 정보들을 컴퓨터 기반 워크스테이션에서 신속하게 대량 처리할 수 있고, 통신망 상의 원하는 목적지로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자잉크펜으로 기록면 위에 수기하는 정보의 종류를 지정하거나 그 처리를 명령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을 구비한 취재수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취재수첩의 기록면 위에 현재 수기되고 있는 정보 가 이전에 입력된 정보에 계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식된 정보와 그 종류 및 처리명령을 전자잉크펜으로부터 적절한 워크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자잉크펜에서 전송된 정보를 워크스테이션에서 수신하고 그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처리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털 정보로 변환 인식된 펜촉의 궤적을 가상의 기록면에 재생하여 디지털 사본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털 정보로 변환 인식된 펜촉의 궤적으로부터 수기문자를 기계문자로 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장된 데이터를 생성시각, 전송시각, 약속시각, 처리기한, 텍스트컨텐츠 및 수기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검색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약속시각이나 처리기한 등으로 일정을 작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기입력제목, 수기입력데이터 첫행 또는 수기입력전화번호 등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일정 이벤트의 제목을 추출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정을 일자별 또는 이벤트별로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의 처리결과를 취재수첩에 기입하면 그 내용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해당 이벤트를 일정에서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전자펜의 잉크펜촉으로 수기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위치코드가 표시된 기록면을 갖는 디지털 취재수첩과, 펜획정보를 위치코드와 함께 인식하여 수기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획득하고, 획득된 디지털 수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에서 전송된 디지털 수기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구성된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통신할 수 있고 전화망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휴대폰이 상기 전자펜과 상기 워크스테이션의 통신을 매개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워크스테이션 간의 통신, 상기 휴대폰과 다른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기타 통신기기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정보전달서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특정 언론사의 편집데스크에서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전자펜으로 취재수첩에 기록한 수기정보를 상기 중앙컴퓨터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노트북 퍼스컴 및 PDA를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디지털 수기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수기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처리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정보처리모듈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취재수첩의 기록면의 디지털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전송받은 펜획 또는 펜터치의 잉크영상을 상기 디지털이미지 위에 기입하여 디지털사본을 생성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전송받은 펜획 또는 펜터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수기한 문자를 기계문자로 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 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사용자가 수기를 시작하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스타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타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이후에 입력된 수기정보가 이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지 않는 별도의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정보가 직전 또는 그 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는 수기정보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컨티뉴에이션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타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이후에 입력된 수기정보가 직전 또는 그 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는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내용이 제목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서브젝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서브젝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제목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를 시작하는 일자와 시간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데이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 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데이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숫자를 데이터베이스의 수기시각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취재내용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콜렉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콜렉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취재내용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일정에 관한 것을 인식하게 하는 스케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케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약속된 시각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어포인먼트 타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어포인먼트 타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약속시각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본문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텍스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텍스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본문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화번호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텔리폰 넘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텔리폰 넘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그림정보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드로우잉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드로우잉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문자정보가 아닌 그림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지 아니 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도형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녹음정보가 있음을 의미하는 보이스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보이스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위치에 녹음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영상정보가 있음을 의미하는 이미지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이미지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위치에 영상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전자펜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할 것을 명령하는 스토리지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토리지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전자펜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모바일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모바일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사용자의 퍼스컴인 것을 나타내는 퍼스컴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퍼스컴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를 퍼스컴으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사용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스크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데스크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를 사용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 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신저 ID 또는 메일주소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전화망에 있는 전화기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전화기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전화망에 있는 팩시밀리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팩시밀리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이 발명에 따른 디지털 취재수첩과 전자펜에 기반한 정보관리시스템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재한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읽으면 좀더 명료해질 것이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취재수첩은 기자들이 취재내용 등을 기록하기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워크스테이션은 기자가 이 용하는 퍼스컴이다.
도 1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취재수첩(1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취재수첩(100)의 외관은 종래의 통상적인 취재수첩과 동일하며, 가로 약 9㎝, 세로 약 17㎝ 내외로 재단된 80여 매의 내지와 그 앞뒤 양면의 표지 2매를 그 상변에서 스프링 모양의 바인더로 철한 것이다. 이러한 재단 사이즈 및 상변 바인딩 구조는 취재현장에서 한 손에 들고 서서 다른 손으로 수기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편리하게 구성한 것이지만, 적절한 다른 사이즈 및 바인딩 구조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은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현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재수첩(100)의 내지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취재수첩(100)의 용도상 내지의 면적의 대부분이 기록면(101)으로 제공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면(101)에 정서를 돕기 위한 가로줄이 그어져 있지만, 줄이 없는 공백상태로 둘 수도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도 2에 보이듯이, 이 기록면(101)에는 카메라 부착된 전자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위치코드(102)가 기록면(101)의 전반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위치코드(102)는 통상적인 환경에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형광물질로 인쇄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 형광물질 위치코드(102)는 카메라 부착된 전자펜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전자펜이 적절한 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촬영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
카메라 부착된 전자펜의 구성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특허문헌 에 상세하게 공개되어 있고,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기능을 갖춘 전자펜들이 이미 시중에 출시되어 구매할 수 있다.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이미 출시된 전자펜들 중에서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기능을 갖춘 전자펜들을 선택하여 구매하거나, 그러한 기성품의 구성 및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 공개된 내용으로부터 필요한 기본적 기능을 갖춘 전자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전자펜의 기본적인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요구되는 전자펜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지면에 분포되어 지면 상의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게 표시하고, 위와 같은 카메라 부착된 전자펜(600)으로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게 구성된 위치코드(102)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 상세하게 공개되어 있고, 그 중의 한 예가 도 2에 도시된 도형기반 위치코드(102)이다. 도 2에 도시된 도형 이외에도 다양한 도형이나 숫자 또는 문자가 위치코드(102)로 이용될 수 있다.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 공개된 내용으로부터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위치코드(102)를 선택하여 도 2의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 상에 적절한 분포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위치코드(102)의 구성 및 표시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종이 위에 위치코드(102)를 통상적인 환경에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형광물질로 인쇄하고, 위치코드(102)가 인쇄된 종이를 가로 약 9㎝, 세로 약 17㎝ 내외로 재단하여 준비한 80여 매의 내지와 그 앞뒤 양면에 배치되는 표지 2매를 그 상변에서 스프링 모양의 바인더로 철한 취재수첩(100)을 제조한다. 카메라 부착된 전자펜(600)으로 이 취재수첩(100)에 취재내용을 수기하면, 전자펜(600)의 잉크펜촉에 의해 이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 수기 서체가 쓰여지는 동안에, 전자펜(600)은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 접촉하여 지나는 잉크펜촉의 펜획의 궤적정보를 위치코드(102)로 특정되는 기록면(101) 상의 위치정보와 함께 획득한다. 이 때, 펜획의 궤적정보는 기록면(101) 상에 표시되는 펜획의 실제적인 모양, 즉 굵기 및 터치강도가 표현된 영상정보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펜획이 지나가는 위치코드(102)의 순서정보만을 획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고 양호하다. 또한, 획득된 위치정보도 애초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정보이지만,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위치코드(102) 영상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로 변환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펜획의 궤적정보 및 위치코드(102)에 의한 지면 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펜(600)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취재수첩(100)은 수기정보를 기록면(101)에 그대로 기록하여 보존하는 것과 함께, 수기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생성하는 취재수첩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전자펜(600)은 통상적인 잉크펜과 마찬가지로 종이 위에 수기하기 위해 이용되는 펜촉 또는 볼포인트와 잉크튜브를 갖는 펜심과,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 상에 있는 위치코드(102)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촬영된 위치코드(102)를 인식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모듈 및 획득된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위치정보처리모듈을 구 비한다.
이 실시예의 전자펜(600)은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 위에 수기하는 펜획의 궤적을 위치코드(102)와 함께 인식하여 펜획 정보를 획득하고, 펜촉으로 기능마크(103) 영역 또는 기록면(101) 상의 다른 영역을 터치할 때, 터치된 영역의 위치코드(102)를 인식하여 펜터치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취재수첩(100)의 하드커버(110)나 케이스(200) 상에 기능마크(103)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 기능마크(103) 영역에도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 상에 표시된 위치코드(102)와 유사한 위치코드(102)가 표시되어야 하며, 전자펜(600)으로 그 기능마크(103)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된 영역의 위치코드(102)를 인식하여 펜터치 정보를 획득한다.
전자펜(600)이 펜획의 시작과 끝 및 펜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펜촉으로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 또는 터치영역을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인식한다. 즉, 전자펜(600)의 카메라는 압력스위치(604)가 ON 된 경우에만 시야에 들어온 위치코드(102)를 촬영한다. 압력스위치(604)는 평소에는 OFF 되어 있다가, 펜심에 의해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눌리면 ON 된다.
사용자가 수기하기 위해 전자펜(600)의 펜촉을 기록면(101) 위에 대고 누르면, 그 반력이 펜심을 통해 전달되어 압력스위치(604)를 눌러 ON 시키고, 전자펜(600)은 펜획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하고, 펜촉 근처의 위치코드(102)를 촬영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한 획의 수기를 마치고 펜촉을 기록면(101)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반력이 사라지면서 압력스위치(604)가 OFF 되고, 전자펜(600)은 펜획이 종료되 었다고 판단하고 위치코드(102)의 촬영을 중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600)의 위치정보획득모듈은 촬영된 영상프레임의 위치코드(102)를 인식하여 저장한다. 양호하게는, 매 프레임마다 펜촉에 가장 가까운 하나의 위치코드(102)만을 저장한다. 따라서, 펜획정보나 펜터치정보 모두 하나 이상의 위치코드(102)의 순열로 획득된다. 카메라로 촬영되는 기록면(101)의 위치코드(102)는 영상정보이지만, 위치정보획득모듈이 그 영상정보를 인식하여 각각의 위치코드(102)에 특정하게 정해진 디지털코드로 변환하면, 펜획정보나 펜터치정보는 전자펜(600)에서 디지털코드의 순열로 인식되므로, 그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작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의 위치정보획득모듈이 위치코드(102)영상을 디지털코드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펜(600)이 펜획 또는 펜터치의 위치코드(102) 영상을 그대로 저장 또는 전송하고, 퍼스컴 등 워크스테이션에서 위치코드(102)영상을 디지털코드로 변환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펜(600)은 인식된 정보의 저장부, 출력부, 전송부 및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전자펜(600)의 전원스위치를 ON 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전자펜(600)은 펜획 또는 펜터치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4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에 전자펜(600)으로 수기하면서 획득한 펜획과 펜터치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워크스테이션으로 전송하여 관리하는 정보관리시스템(3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100)과, 앞서 설명한 전자펜(600)과, 전자펜(600)과 근거리 통신할 수 있고 전화망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퍼스컴을 포함하는 구성된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서의 펜획과 펜터치 및 그 위치코드(102)는 전자펜(600)에서 디지털코드 순열로 변환되고, 전자펜(600)의 디지털코드 순열은 적외선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무선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으로 전송되며, 휴대폰은 전화망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워크스테이션에 전송한다. 휴대폰과 워크스테이션 간의 통신, 휴대폰과 다른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기타 통신기기 간의 통신은 전화망 또는 인터넷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전달서버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정보전달서버는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600)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전달서비스에 적합한 전용 서버일 수도 있고, 이 실시예의 휴대폰이나 워크스테이션 또는 정보전달 목적지의 통신기기들이 가입해 있는 단문자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등 각종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정보전달서버는 기자가 취재수첩(100)의 기능마크(103) 또는 전자펜(600)의 스위치를 통해 입력한 전송명령에 따른 목적지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휴대폰, 워크스테이션 또는 정보전달서버가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목적지의 통신기기로 전송하고자 할 때, 목적지의 통신기기가 OFF 되어 있거나 통신불능상태에 있으면, 정보전달서버는 해당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대기모드로 저장해 두고 해당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확인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해당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워크스테이션은 수신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기자가 취재수첩(100)의 기능마크(103)를 터치하여 지정한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코드 순열을 기자가 취재수첩(100)의 기능마크(103)를 터치하거나 전자펜(600)의 스위치를 눌러 입력한 처리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정보처리모듈을 갖는다.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디지털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워크스테이션에서 디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위치정보에 따라 펜획 또는 펜터치의 잉크영상을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디지털이미지 위에 기입하면 기자가 취재수첩(100)에 잉크펜으로 수기한 내용과 동일한 디지털사본이 생성된다.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는 이 디지털사본을 저장한다.
또한, 워크스테이션은 디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펜획, 즉 펜촉의 궤적으로부터 기자가 수기한 문자를 기계문자로 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한다. 문자인식모듈은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문자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문자인식모듈로 추출된 텍스트데이터도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5에 보이듯이,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상단 근처에는 기능마크(103)가 표시되어 있다. 이 기능마크(103)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단어일 수도 있고, 그 약어, 문자, 숫자, 아이콘 또는 단지 위치만 나타내는 사각형, 원형 등 도형일 수도 있다. 이 기능마크(103)는 사용자만 육안으로 식별할 뿐이고, 전자펜(600)은 기능마크(103) 그 자체에 의해서는 아무런 신호나 메시지를 인식하지 아니 하며, 그 주변에 분포된 위치코드(102)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인식한다.
전자펜(600)이 위 기능마크(103)를 인식함에 있어서는, 전자펜(600)의 카메라로 기능마크(103)를 촬영하거나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기능마크(103)의 위 또는 근처의 기록면(101)을 터치, 즉 점을 찍거나 체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기능마크(103)의 인식은 컴퓨터의 키보드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하는 것,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 등과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입력하여 수행시키는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start]를 터치하면, 전자펜(600)은 사용자가 수기를 시작하는 것을 인식하고 펜획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start]를 터치하지 않고 수기를 시작해도 펜획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지만, [start]를 터치한다는 것은 이 수기정보가 이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지 않는 별도의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게 한다. 즉, 디지털코드 데이터에 [star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이 있으면, 워크스테이션은 그 데이터를 새문서로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cont]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이 수 기정보가 직전 또는 그 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는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해당 수기정보에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한다. [cont]를 터치한 후, 사용자가 이전에 수기한 제목과 동일한 제목을 수기하면, 현재의 수기정보를 이전에 기록한 해당 제목의 수기정보에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한다. 즉, 디지털코드 데이터에 [con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이 있으면, 워크스테이션은 그 데이터를 기존문서에 병합하여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subject]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은 제목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subjec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제목 필드에 저장한다. 또한, [con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을 포함하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수기정보를 병합할 기존문서는 검색하여 결정함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은 [subjec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ate]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수기된 숫자는 수기를 시작하는 일자와 시간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date]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수기시각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collect]을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은 취재내용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collec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취재내용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schedule]을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은 일정에 관한 것임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schedule]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일정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AppTime]을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은 약속된 시각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AppTime]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약속시각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text]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은 본문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text]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본문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TelNo]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이 전화번호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TelNo]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수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rawing]를 터치하고 수기를 시작하면,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이 문자정보가 아니고 그림정보인 것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drawing]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에 이어지는 디 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수기정보가 문자정보가 아닌 그림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지 아니 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도형 필드에 저장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voice]를 터치하면, 그 시점에서 전자펜(600)에 구비된 MP3 음향기기 모듈에 저장된 녹음정보가 있음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voice]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이 있으면, 그 위치에 녹음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image]를 터치하면, 그 시점에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정보가 있음을 의미하거나, 해당 본문의 중간에 이미지를 삽입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은 [image] 영역을 터치한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코드 순열이 있으면, 그 위치에 영상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한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storage]를 터치하면, 전자펜(600)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전자펜(600)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storage]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저장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을 전자펜(600)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T-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외부저장소를 구비하고, 이 외부저장소에 디지털코드 순열을 저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저장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storage]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이 저장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을 저장소에 저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mobile]을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 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mobile]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휴대폰으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1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mobile]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이 제1 전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PC]를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사용자의 노트북 퍼스컴인 것을 나타낸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PC]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사용자의 노트북 퍼스컴으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2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PC]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이 제2 전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esk]를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사용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인 것을 나타낸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desk]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3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desk]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이 제3 전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estin 1]을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인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신저 ID 또는 메일주소로 전송한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destin 1]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신저 ID 또는 메일주소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4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destin 1]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제4 전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estin 2]를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있는 전화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전화기로 단문자서비스 (SMS) 또는 메일서비스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된 수기정보를 전송한다. 즉, 디지털코드 순열이 [destin 2]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전화기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수 기정보를 단문자서비스 또는 메일서비스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5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destin 2]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제5 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펜촉으로 도 5의 [destin 3]을 터치하면, 전자펜(600)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전화망에 있는 팩시밀리인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팩시밀리로 사용자가 취재수첩의 기록면에 입력한 수기내용의 디지털 영상을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수기내용을 문자인식수단에 의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기계문자로 변환하고, 그 내용을 적절한 팩시밀리 문서양식으로 편집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디지털코드 순열이 [destin 3] 영역에 있는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이면, 전자펜(600)의 위치정보처리모듈은 전화망에 있는 팩시밀리로의 전송명령인 것으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팩시밀리로 전송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제6 전송스위치를 구비하고, 기록면(101)의 [destin 3] 영역을 터치하는 대신, 제6 전송스위치를 누르면 디지털코드 순열 또는 그 것이 나타내는 수기정보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디지털코드 순열이 위 기능마크(103) 영역의 위치코드(102)에 대응하는 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디지털코드 순열이 해당 영역의 디지털코드부터 시작한 것이 아니고 다른 영역의 위치코드(102)에 해당하는 디지털코드에서 시작되어 계속된 것이라면, 그 위치정보를 기능마크(103)의 펜터치정보로 인식하지 아니 하고 펜획정보인 것으로 인식하여 처리하는 것이 양호하다. 선택사양적으로는, 디지털코드 순열이 기능마크(103) 영역의 디지털코드부터 시작하였을지라도, 디지털코드 순열이 일정한 개수 이상의 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다면, 그 위치정보를 기능마크(103)의 펜터치정보로 인식하지 아니 하고 펜획정보인 것으로 인식하여 처리하게 구성한다.
여기에서는, 취재수첩(100)을 사용하는 기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다양한 기능마크(103)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기능마크(103)를 모두 구비할 필요도 없고,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위 설명을 참조하여 필요한 기능마크(103)를 적절하고 용이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600)의 저장부는 저장된 정보를 출력 또는 전송한 후 자동으로 소거하게 구성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출력 또는 전송한 후에도 별도의 조작이 없는 한 저장된 정보를 계속 저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펜(600)의 출력부는 통상적으로 PDA, 휴대폰 또는 취재수첩의 디지털정처리모듈 등에 접속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무선 USB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구성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무선전화모듈, 유선전화모뎀, 유무선 LAN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장거리 통신수단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600)은 음성정보를 MP3 방식으로 저장 및/또는 재 생할 수 있는 음향기기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600)의 통신제어부는 전자펜(600)이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매개로 원격지의 워크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의 통신제어부가 인식된 펜획정보, 펜터치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를 저장, 가공, 처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상기 저장부 외에 별도의 외장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는 외장메모리 장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상기 취재수첩의 하드커버(110) 또는 케이스(200)에 구비된 디지털정보처리모듈 또는 디지털카메라 등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전자펜(600)이 워크스테이션 등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모듈은 휴대폰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워크스테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모듈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목적에 따라 편집하는 정보편집모듈을 포함한다.
검색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기시각, 제목, 취재내용, 일정, 약속시각, 본문, 전화번호, 도형 유무, 녹음정보 유무, 영상정보 유무 등에 기반하여 검색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은 약속시각이나 처리기한 등으로 일정을 작성하는 스케줄링 모듈을 포함하며, 스케줄링 모듈은 제목, 본문의 첫행 또는 전화번호 등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일정 이벤트의 제목을 추출한다.
스케줄링 모듈은 일정을 일자별 또는 이벤트별로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일정고지 모듈과,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의 처리결과를 취재수첩(100)에 기입하면 전자펜(600)으로부터 그 내용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이벤트를 일정에서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일정변경모듈을 포함한다.
워크스테이션의 스케줄링 모듈은 휴대폰을 경유하거나 또는 전자펜(600)으로 직접 일정을 미리 고지한다.
도 6에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10)은 기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데스크에서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으로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수기정보가 워크스테이션을 경유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편집데스크의 중앙컴퓨터로 직접 전송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수기정보가 워크스테이션을 경유하여 편집데스크의 중앙컴퓨터로 전송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과, 앞서 설명한 전자펜과, 전자펜과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고 전화망 및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노트북 퍼스컴인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으로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수기정보는 적외선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무선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워크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된다.
도 8에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과, 전화망 및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펜과,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퍼스컴인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으로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수기정보는 인터 넷을 통해 워크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된다. 또한, 전자펜(600)은 전화망 및 인터넷을 통해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로 수기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또다른 사양의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상단 근처에 하나 이상의 기능마크(103)를 표시되어 있다. 이 기능마크(10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의 상단 근처에 표시된 기능마크(10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기능마크(103)가 제각기 특색 있는 도형 (일종의 아이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기능마크(103)가 사용자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뿐이고, 전자펜(600)은 기능마크(103) 그 자체에 의해서는 아무런 신호나 메시지를 인식하지 아니 하며, 그 주변에 분포된 위치코드(102)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인식한다. 선택사양적으로는, 이 기능마크(103) 자체가 전자펜(600)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코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기능마크(103)가 있는 위치나 그 주변에 앞서 설명한 위치코드(102)를 분포시키지 않아도 된다.
기능마크(103)를 제외한 취재수첩(100)의 다른 구성이나, 정보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전자펜(600)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재수첩(1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200)를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이 케이스(200)는 새로운 취재수첩(100)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취재수첩(100)과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도 10에 도시된 케이스(200)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 발명의 취재수첩(100)의 케이스(200)는 취재수첩(100)을 적절히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으면 족하고,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이 그 상세한 재료나 수용공간의 구조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의 취재수첩(100)의 케이스(200)의 수용공간의 구조는 종래 다이어리나 성경책 케이스의 다양한 구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200)에도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 표시된 것과 유사한 기능마크(203)를 표시해 둘 수 있다. 케이스(200)의 기능마크(203)는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 표시된 기능마크(103)와 구분되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100)의 기록면(101)에 표시된 기능마크(10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것을 대체하거나 중복적으로 제공된 것일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 케이스(200)는 디지털정보 표시 패널(205)을 포함하는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전자펜(6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유선접속 인터페이스는 USB 포트 및 전자펜(600)에 구비된 어댑터에 상응하는 전용 포트이며,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는 적외선통신방식과 블루투스통신방식으로 전자펜(6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이다.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이 실시예의 취재수첩(100)에 수기하면서 전자펜(600)으로 수집한 수기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가 저장부에 저장된 수기정보를 불러내어 표시하기 위해 이용하는 표시부와, 사용자가 수기정보를 수정, 편집,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입력부 및, 그러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특별하게 제작된 전용 모듈일 수도 있지만, 통상적인 PDA를 케이스(200)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이 실시예의 취재수첩(100)에 수기하면서 전자펜(600)으로 수집한 펜획정보로부터 한글의 자모음, 로마자 알파벳, 숫자 등으로 인식하는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한다. 문자인식모듈은 수기 내용을 기계어 텍스트로 변환한다.
선택사양적으로,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음성정보를 저장 및/또는 재생할 수 있는 음향기기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음향기기 모듈은 종래의 휴대형 MP3 음향기기나, PDA 또는 휴대폰에 채용된 MP3 음향모듈을 채용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선택사양적으로,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정보를 저장 또는 오프라인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용되는 외장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는 외장메모리 장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외장메모리 장착부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T-플 래시 메모리 등 소형 메모리 중 적절한 것을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선택사양적으로,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디지털카메라 등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사양적으로,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은 원격지의 통신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전화망에 접속하여 유선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화모뎀 또는 무선전화망에 접속하여 무선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전화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을 구비한 케이스(200)는 인터넷 등 통신망 상의 정보전달서버, 전화망 상의 팩시밀리, 무선전화망 상의 휴대전화 등 다양한 통신기기에 전자펜(600)으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그러한 통신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전달서버는 전자펜(600)이나 취재수첩(100)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전송된 정보를 전자펜(600)이나 취재수첩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팩시밀리는 전자펜(600)이나 취재수첩(100)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상적인 팩시밀리처럼 출력한다. 휴대전화는 전자펜(600)이나 취재수첩(100)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단문자 서비스, 메신저 또는 메일 서비스의 형대로 표시하며, 단문자, 메시지 또는 메일을 취재수첩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의 케이스(200)는 취재수첩(100)에 수기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자 펜(600)을 끼울 수 있는 펜홀더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휴대폰을 포함하지 아니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취재수첩(100)에 전자펜(600)으로 기록한 수기정보는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을 경유하여 워크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 및 워크스테이션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의 커버는 내구성이 강한 하드커버이다. 도 11에 보이듯이, 하드커버(110)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한 기능마크(113)를 구비한다. 이 하드커버(110) 상의 기능마크(113)의 구성 및 기능은 앞서 케이스(200) 상의 기능마크(203)와 유사하다.
하드커버(110)는, 상기 케이스(200)와 중복으로 또는 상기 케이스(200)를 대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정보 표시 패널(115)을 포함하는 디지털정보처리모듈(114)을 구비한다. 하드커버(11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114)은 앞서 설명한 케이스(20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204)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휴대폰을 포함하지 아니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취재수첩(100)에 전자펜(600)으로 기록한 수기정보는 하드커버(110)의 디지털정보처리모듈(114)을 경유하여 워크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 및 워크스테이션과 동일하므 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는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8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30)은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100)과, 앞서 설명한 전자펜(600)과, 전자펜(600)과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고 전화망 및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PDA와,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퍼스컴인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PDA는 제1 실시예에서의 휴대폰과 통일한 방식으로 통신하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며, 취재수첩과 전자펜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으로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수기정보는 PDA을 경유하여 인터넷을 통해 워크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된다. 또한, PDA는 전화망 및 인터넷을 통해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로 수기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는 이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9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340)은 앞서 설명한 취재수첩과, 앞서 설명한 전자펜과, 전자펜과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고 전화망 및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PDA인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과 전자펜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과 휴대폰 및 워크스테이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펜(600)으로 취재수첩(100)에 기록한 수기정보는 적외선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무선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워크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된다.
위에서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취재수첩(100)과 전자펜(600)에 기반한 정보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그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이 발명의 구성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 및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의 구성을 참조하여 그러한 취재수첩 및 그 것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용이하게 변화 또는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는 그러한 변화예 및 조절예를 이 발명의 보호범위로 망라할 것을 의도한다.
이와 같은 취재수첩과 전자펜을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기자들은 취재수첩을 간편하게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든 친숙한 방식으로 전자펜을 이용하여 취재내용 및 일정 등 메모를 기록해두고 지면 상의 그러한 수기내용을 항상 직관적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수기와 동시에 그러한 수기내용을 디지털 정 보로 변환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중복입력작업 없이 자신의 중요한 정보 및 일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촌각을 다투는 시급한 취재내용을 현장에서 취재수첩에 기록함과 동시에 데스크 등 원하는 목적지로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건 사고에 대한 취재내용을 항상 지체 없이 보도하여 특종기사화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생성된 디지털 문서는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특징 없는 기계문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 또는 입증하기가 곤란하여, 계약이나 업무상 의사표시 등 의사표시자의 신원을 확인하여야 실행할 수 있는 문서는 일단 출력하여 본인의 서명을 붙이거나 날인하는 등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를 붙인 후에, 우송 또는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소모가 있었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취재수첩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작성자가 육필로 기재한 서명한 메모 또는 문서와 동일한 디지털 사본을 작성과 동시에 팩시밀리나 메신저 또는 메일 등 다양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업무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첩에 수기된 정보는 그 처리가 지체되고 방치되기 십상이지만, 이 발명의 정보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수첩에 수기하는 정보가 중복작업 없이 자동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컴퓨터를 이용한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중요한 정보가 방치되거나 처리가 지체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28)

  1. 전자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펜의 잉크펜촉으로 수기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위치코드가 표시된 기록면을 갖는 디지털 취재수첩과,
    펜획정보를 위치코드와 함께 인식하여 수기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획득하고, 획득된 디지털 수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에서 전송된 디지털 수기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구성된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통신할 수 있고 전화망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휴대폰이 상기 전자펜과 상기 워크스테이션의 통신을 매개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과 상기 워크스테이션 간의 통신, 상기 휴대폰과 다른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기타 통신기기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정보전달서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 언론사의 편집데스크에서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전자펜으로 취재수첩에 기록한 수기정보를 상기 중앙컴퓨터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노트북 퍼스컴 및 PDA를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디지털 수기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수기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처리 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정보처리모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취재수첩의 기록면의 디지털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전송받은 펜획 또는 펜터치의 잉크영상을 상기 디지털이미지 위에 기입하여 디지털사본을 생성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이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전송받은 펜획 또는 펜터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수기한 문자를 기계문자로 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사용자가 수기를 시작하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스타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타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이후에 입력된 수기정보가 이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지 않는 별도의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정보가 직전 또는 그 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는 수기정보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컨티뉴에이션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타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이후에 입력된 수기정보가 직전 또는 그 전의 수기정보에 계속되는 수기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기록내용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내용이 제목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서브젝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서브젝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제목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수기를 시작하는 일자와 시간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데이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데이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숫자를 데이터베이스의 수기시각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취재내용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콜렉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콜렉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취재내용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일정에 관한 것을 인식하게 하는 스케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케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약속된 시각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어포인먼트 타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어포인먼트 타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수기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약속시각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본문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텍스트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텍스트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본문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화번호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텔리폰 넘버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텔리폰 넘버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그림정보인 것을 인식하게 하는 드로우잉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드로우잉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직후에 기록된 수기내용을 문자정보가 아닌 그림정보인 것으로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하지 아니 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도형 필드에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녹음정보가 있음을 의미하는 보이스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보이스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위치에 녹음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영상정보가 있음을 의미하는 이미지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이미지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그 위치에 영상정보 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문자를 삽입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전자펜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할 것을 명령하는 스토리지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스토리지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전자펜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모바일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모바일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 목적지가 사용자의 퍼스컴인 것을 나타내는 퍼스컴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퍼스컴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를 퍼스컴으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사용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스크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데스크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를 사용자가 근무하는 언론사의 편집부가 이용하는 중앙컴퓨터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신저 ID 또는 메일주소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전화망에 있는 전화기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전화기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재수첩의 기록면에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전화망에 있는 팩시밀리인 것을 나타내는 기능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의 펜촉으로 상기 기능마크를 터치하면,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호출번호를 가진 팩시밀리를 메모리에 임시저장된 수기정보의 최종목적지로 정하여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KR1020070057535A 2007-06-12 2007-06-12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KR20080109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535A KR20080109340A (ko) 2007-06-12 2007-06-12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535A KR20080109340A (ko) 2007-06-12 2007-06-12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340A true KR20080109340A (ko) 2008-12-17

Family

ID=4036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535A KR20080109340A (ko) 2007-06-12 2007-06-12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3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94B1 (ko) * 2010-04-23 2011-02-16 이상규 성경책 상의 다중 검색용 패턴코드 인식 펜 및 그 구동방법
KR101033538B1 (ko) * 2009-04-28 2011-05-11 이승원 휴대폰용 디지털펜 연결시스템
KR101149548B1 (ko) * 2010-05-04 2012-05-25 주식회사 에듀윈 패턴코드 인식 펜 및 그 구동방법
KR101315203B1 (ko) * 2009-09-24 2013-10-17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CN109767135A (zh) * 2019-01-17 2019-05-17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通信建设监管服务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8B1 (ko) * 2009-04-28 2011-05-11 이승원 휴대폰용 디지털펜 연결시스템
KR101315203B1 (ko) * 2009-09-24 2013-10-17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광학인식펜과 구매신청서를 이용한 구매 관리 시스템
KR101015094B1 (ko) * 2010-04-23 2011-02-16 이상규 성경책 상의 다중 검색용 패턴코드 인식 펜 및 그 구동방법
KR101149548B1 (ko) * 2010-05-04 2012-05-25 주식회사 에듀윈 패턴코드 인식 펜 및 그 구동방법
CN109767135A (zh) * 2019-01-17 2019-05-17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通信建设监管服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483B2 (en) Integrat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6651218B1 (en) Dynamic content database for multiple document genres
US6259043B1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pertaining to a digitizer for use in paper based record systems
US6675356B1 (en) Distributed document-based calendaring system
EP1014254B1 (en) Multi-moded scanning pen with feedback
EP10142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data from audio messages
KR101026630B1 (ko) 범용 컴퓨팅 장치
EP12750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ssociation
US7659891B2 (en) Associating electronic documents, and apparatus, methods and software relating to such activities
US70949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ssociation
US8374992B2 (en) Organiza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captured by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EP1014250A2 (en) Interactive display device
US1029617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US8126965B2 (en) Paper based meeting service management tool
US9648287B2 (en) Note capture device
WO2008101224A2 (en) Note capture device
US201402401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rite information of electronic tag
KR20080106621A (ko) 종이기반 디지털 수첩과 디지털 펜과 워크스테이션과 정보전달서버와 수기정보처리방법 및 정보관리시스템
US20040228532A1 (en) Instant messaging ink and formats
KR20080109340A (ko)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CN101807122B (zh) 具有捕捉计算机屏幕画面功能的鼠标
JP4752456B2 (ja) 電子情報アクセス権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情報管理システム
GB2410579A (en) Associating electonic documents
KR20080109341A (ko) 디지털 펜 기반 정보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취재수첩
JP2004513463A (ja) 情報管理用の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