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80B1 -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80B1
KR101179180B1 KR1020090082194A KR20090082194A KR101179180B1 KR 101179180 B1 KR101179180 B1 KR 101179180B1 KR 1020090082194 A KR1020090082194 A KR 1020090082194A KR 20090082194 A KR20090082194 A KR 20090082194A KR 101179180 B1 KR101179180 B1 KR 10117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andwriting
area
notebook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277A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9008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일반 종이 책자 형태를 띤 전용 수첩의 각 페이지마다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 배치하고 사용자가 전용 수첩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페이지 표면의 도트 배열을 인식처리한 후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각 개인별로 필기 내용을 복원하여 사용자 블로그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필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반 종이 책자 형태의 전용 수첩에 직접 필기 내용을 기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필기 내용을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개인별 사용자 블로그를 통해 필기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일반 종이 수첩 사용시의 불편함과 전자 수첩 사용시의 불편함을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전용 수첩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전용 수첩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필드 영역을 세분화함으로써 수첩의 종류와 필드 영역별로 필기 내용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첩, 다이어리, 필기, 광학인식, 블루투스, 블로그

Description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HAND-WRITING SENDING SYSTEM USING OPTICAL SENSING PEN AND EXCLUSIVE POCKET BOOK}
본 발명은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일반 종이 책자 형태를 띤 전용 수첩의 각 페이지마다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갖는 복수 개의 미세한 도트를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 배치하고 사용자가 전용 수첩상에 필기시 광학인식펜에 의해 페이지 표면의 도트 배열을 인식처리한 후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각 개인별로 필기 내용을 복원하여 사용자 블로그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필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 종이 수첩은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그날의 일정이나 메모 내용을 적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가볍게 휴대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이 수첩은 내부 페이지가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 디지털화된 정보와 연결하여 관리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영구적으로 필기 내용을 보관할 수 없는 불 편함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PDA나 휴대폰 등에 메모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 수첩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터치 화면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사용하여 메모 내용을 직접 필기로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수첩은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한번에 하나의 화면만 표시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종이 수첩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 수첩은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보관상 주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저렴하게 보급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종이 책자 형태의 수첩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종이 수첩에 사용자가 직접 기재한 필기 내용을 서버에서 관리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필기 전송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된 하나 이상의 종이 페이지를 구비하되,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배치되고 종이 페이지마다 서로 다른 조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책자; 잉크심과, 잉크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잉크심과 종이책자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광학인식펜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필기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필기 데 이터를 전송받아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웹 페이지의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의 종이책자에서 도트는 종이책자의 나머지 인쇄 내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학인식수단은 도트를 종이책자의 나머지 인쇄 내용로부터 구별하여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에서 종이책자는 선굵기 선택영역과 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관리서버는 필기 데이터로부터 선굵기 선택영역과 색상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추출되면 미리 저장된 선굵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따라 선굵기와 색상을 설정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에서 광학인식펜은 이동 단말기로 전송 완료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에서 관리서버는 필기 데이터로부터 이동 단말기, 광학인식펜 중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구별하고,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동일한 종류의 종이책자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하면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 는 선택 메뉴를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에서 종이책자는 다이어리북, 포스트잇북, 프리노트북, 어드레스북의 4종류 중 어느 하나이고, 다이어리북은 월별 필기영역과 일별 필기영역을 포함하고 일별 필기영역은 시간별 필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프리노트북은 날짜 기입영역과 메모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어드레스북은 성명, 전화번호, 주소를 포함하는 필드별로 필기 영역이 구분된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을 포함하고,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 인증시에만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히든체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포스트잇북은 탈착 가능한 접착물질이 도포된 복수 개의 포스트잇 용지를 포함하고, 포스트잇 용지와는 별도로 선굵기 선택영역과 선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관리서버는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다이어리 메뉴, 포스트잇 메뉴, 프리노트 메뉴, 어드레스 메뉴를 생성하고, 다이어리 메뉴에는 다이어리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월별, 일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포스트잇 메뉴에는 포스트잇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선굵기와 선색상 설정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프리노트 메뉴에는 프리노트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날짜와 메모를 구분하여 등록하고, 어드레스 메뉴에는 어드레스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개인과 각 필드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에서 관리서버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문자인식 선 택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단말을 통해 문자인식 선택메뉴가 선택되면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된 필기 내용을 문자인식 처리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반 종이 책자 형태의 전용 수첩에 직접 필기 내용을 기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필기 내용을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개인별 사용자 블로그를 통해 필기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일반 종이 수첩 사용시의 불편함과 전자 수첩 사용시의 불편함을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전용 수첩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전용 수첩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필드 영역을 세분화함으로써 수첩의 종류와 필드 영역별로 필기 내용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특수하게 제작된 종이 책자(10)와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필기 내용과 위치를 인식시킨 후 이동 단말기(3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기 데이터를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서버(50)에서는 필기 데이터를 내부 처리하여 사용자가 개인 컴퓨터(70)를 통해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의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필기 내용을 등록한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 책자(10)는 외관상 일반적인 종이 수첩 형태로 만들어지며 종이의 재질에 있어서도 일반 수첩과 큰 차이점은 없다. 또한, 수첩을 이루는 각 페이지가 반드시 종이 펄프로 만들어질 필요도 없으며 얇은 필름 형태의 비닐이나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즉, 일반적인 종이 수첩처럼 사용될 수 있는 재질로 각 페이지가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책자(10)가 일반 수첩과 다른 점은 각 페이지마다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점이며, 이러한 도트 배경무늬를 통해 페이지 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페이지에 속하는지도 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트의 배치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광학인식펜(20)은 잉크심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종이 책자(10)의 표면에 필기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심과 종이 책자(10)가 접촉하는 지점의 영상을 감지할 수 있는 광학인식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 종이 책자(10) 표면의 도트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종이 책자(10)의 페이지 일부에 메모를 필기하는 동안 광학인식수단에 의해서 종이 책자(10) 위에 인쇄된 도트의 배치가 인식되어 사용자가 현재 필기하고 있는 지점의 좌표, 페이지, 종이 책자 의 종류 등을 산출해낼 수 있다. 광학인식펜(20)은 이상 산출된 정보에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광학인식펜(20)에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블루투스 수신 기능이 구비된 다른 기기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식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30)는 일반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수신 수단이 구비되어 광학인식펜(20)으로부터 보내오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필기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50)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30)의 출시 시점부터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설치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기(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네트워크(40)는 이동통신망을 거쳐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관리서버(50)는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광학인식펜(20)의 필기 궤적을 복원한다. 그리고, 이를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웹 페이지의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 컴퓨터(70)를 통해 자신의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관리서버(50)는 각 사용자를 구별하여 해당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데이터를 등록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필기 데이터로부터 이동 단말기(30), 광학인식 펜(20)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구별한다.
또한, 관리서버(50)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종이책자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할 필기 내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개인 컴퓨터(70)는 인터넷(60)을 통해 관리서버(50)에 접속할 수 있어 관리서버(50)에 등록된 사용자의 블로그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블로그 영역의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를 의미한다.
[도 2]는 종이 책자(10) 내부의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이 책자(10)의 내부 페이지에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예 : 상, 하, 좌, 우의 네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편차를 두고 도트가 배치되고, 각 페이지마다 서로 다른 조합으로 배치된다.
즉,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도트의 위치편차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도트 하나당 총 4개의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트를 여러 개 조합하여 인식하면 경우의 수를 더욱 늘릴 수 있다. 예컨대, 6×6의 총 36개의 도트 조합을 하나의 정보 단위로 사용할 경우 436개(= 272개)의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이는 약 170억 기가바이트의 정보량에 해당된다.
따라서, 6×6의 도트 조합에는 한 페이지 내에서의 좌표 정보를 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종이 책자가 어떤 종류이고 어느 페이지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 또한 충분히 담을 수 있다.
또한, 종이 책자(10)에 인쇄된 도트는 종이 책자(10)의 나머지 인쇄 내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카본블랙만으로 도트를 인쇄하여 나머지 내용들과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광학인식펜(20)의 광학인식수단을 통해 카본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학인식펜(20)의 광학인식수단으로 적외선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종이 책자(10)의 도트를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종이 책자(10)에 도트가 인쇄된 실제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이 책자(10)의 한 페이지를 확대하였을 때 미세한 도트가 기준점으로부터 조금씩의 편차를 갖고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트의 색상은 종이 책자(10)에 인쇄된 나머지 내용들과 구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으로 필기하는 잉크의 색상과도 구별되므로 광학인식펜(20)은 무리없이 종이 책자(10)의 도트 배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종이 책자(10)의 임의 페이지에 필기로 메모 내용을 남긴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이 책자(10)는 내부 구성과 용도에 따라 다이어리북, 포스트잇북, 프리노트북, 어드레스북의 4종류가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종이 책자는 이 중 다이어리북의 임의의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종이 책자에는 선굵기 선택영역과 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관리서버(50)에서는 필기 데이터로부터 선굵기 선택영역과 색상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추출되면 미리 저장된 선굵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따라 선굵기와 색상을 설정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종이 책자(10)를 종류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이어리북
다이어리북에는 월간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는 '월별 필기영역'과 매일의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일별 필기영역'이 포함된다. 그리고, 일별 필기영역에는 세부적인 시간별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시간별 필기영역'이 포함된다.
또한, '일별 필기영역'에는 그날 해야할 주요한 일에 대해 기록하는 '해야할 일 필기영역'과 그날의 제반 주요 사항을 메모 형식으로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는 '월메모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리북은 각 월별로 총 12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다이어리북마다 한달 분량의 일별 필기영역이 구비된다. 관리서버(50)는 다이어리북의 페이지에 인쇄된 도트 배치를 통해 어느 월의 다이어리북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페이지 좌측 하단에는 선굵기 선택영역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록하기 원하 는 필기선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페이지 우측 하단에는 필기 내용을 PC로 보낼 것인지 아니면 모바일로 보낼 것인지를 선택하는 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각각의 선택을 위해서는 광학인식펜(20)의 잉크심 끝단으로 선택 영역의 내부를 접촉시키면 된다.
이후, 관리서버(50)에서는 다이어리북의 각 영역별로 필기 내용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프리노트북
프리노트북은 다이어리북에 기록할 수 없는 내용을 기록하거나, 부족한 기록공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이 책자이다.
프리노트북에는 메모 영역뿐만 아니라 날짜 기입영역이 구비되며, 이는 사용자가 내용을 필기한 날짜를 남길 수 있게 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만약 날짜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 날짜를 기준으로 기록 날짜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프리노트북은 여러 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어떤 프리노트북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리노트북의 각 페이지는 서로 동일한 도트 배치를 갖도록 구성하되 프리노트북의 첫 페이지에 각 프리노트북을 구분하기 위한 체크박스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리노트북을 사용할 때마다 체크박스를 먼저 체크한 후 프리노트북을 사용하면 어느 프리노트북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 어드레스북
어드레스북은 인맥관리를 위한 정보를 필기하기 위한 종이 책자로서,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는 필드별로 필기 영역이 구분된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그 밖에도 이메일 주소, 직장명, 부서, 직함, 직장주소, 기타 정보 등의 다양한 필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북에는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 인증시에만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히든체크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히든체크영역에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으로 체크하면 사용자 블로그를 통해 내용 조회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내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 포스트잇북
포스트잇북은 탈착 가능한 접착물질이 도포된 복수 개의 포스트잇 용지가 사용자가 하나씩 떼서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되며, 포스트잇 용지와는 별도로 선굵기 선택영역과 선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된 페이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선굵기 선택영역과 선색상 선택영역은 포스트잇 용지가 붙어 있는 두꺼운 겉표지의 일면에 다양한 색상과 선굵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포스트잇 용지에는 약속일을 기입할 수 있는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약속일에 해당 포스트잇 내용이 블로그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잇 용지에는 포스트잇의 내용을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 호를 기입할 수 있는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스트잇 용지의 전송 영역을 체크하면 일단 본인의 휴대전화로 필기 내용이 피드백되며, 이후 사용자가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전송하면 상대방의 전화로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5]는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잉크심(21)은 잉크가 흘러나와 종이 책자(10)의 표면에 필기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잉크심으로서 예컨대 볼펜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감지수단(22)는 잉크심(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이는 현재 광학인식펜(20)이 필기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심(21)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현재 필기하는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잉크심(21)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압력이 셀수록 선굵기를 굵게 설정하는 선굵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광학인식수단(23)은 압력감지수단(22)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잉크심(21)과 종이 책자(10)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한다. 이때, 광학인식수단(23)은 종이 책자(10)의 도트 배열만 인식하면 되므로 예컨대 도트가 카본 블랙 색상이라면 카본 블랙만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도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적외선 감지수단으로 구현 가능하다.
시간체크수단(24)은 현재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100분의 1초 단위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로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광학인식펜(20)에 의해 필기가 이루어진 시각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 궤적 전 구간에 걸쳐 시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기 과정과 필기 속도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5)에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이때,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 정보나 수학 공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5)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트 배열 해석을 위한 정보와 광학인식수단(23)을 통해 감지된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시간체크수단(24)으로부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전달받아 앞서 산출된 정보와 함께 결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5)는 압력감지수단(22)에 의해 선굵기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선굵기 정보를 추가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블루투스 전송 수단(26)은 필기 데이터를 외부 전송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30)에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광학인식펜(20)은 이동 단말기(30)로 필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라이트, 진동 등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관리서버(50)의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블로그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관리서버(50)는 각 사용자마다 사용자 블로그 영역을 할당하고, 이동 단말 기(30)를 통해 전송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필기 내용을 복원하여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한다. 사용자는 개인 컴퓨터(70)를 통해 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회원등록할 수 있으며, 개인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접속하여 자신의 필기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블로그의 메인 화면에는 다이어리 메뉴, 포스트잇 메뉴, 프리노트 메뉴, 어드레스 메뉴 등이 포함되며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이어리 메뉴
관리서버(50)는 종이 책자(10)의 종류 중 다이어리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월별, 일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도 6]에는 월력, 일력, 월메모로 표시된 메뉴가 이에 해당된다.
■ 포스트잇 메뉴
관리서버(50)는 종이 책자(10)의 종류 중 포스트잇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선굵기와 선색상 설정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도 6]에는 포스트잇으로 표시된 메뉴가 이에 해당된다.
■ 프리노트 메뉴
관리서버(50)는 종이 책자(10)의 종류 중 프리노트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날짜와 메모를 구분하여 등록한다. [도 6]에는 프리노트로 표시된 메뉴가 이에 해 당된다.
■ 어드레스 메뉴
관리서버(50)는 종이 책자(10)의 종류 중 어드레스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개인과 각 필드별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도 6]에는 인맥관리로 표시된 메뉴가 이에 해당된다.
[도 7]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월별 필기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표시하는 월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월력 탭을 클릭하면 종이 책자(10)의 종류 중 다이어리북의 월별 필기영역에 기재된 내용이 화면상에 그대로 복원되어 표시되며, [도 7]에서는 4월 다이어리북의 월별 필기영역의 기재 내용이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다.
이때, 관리서버(50)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화면 상단의 문자전환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서버(50)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된 필기 내용을 문자인식 처리하여 텍스트로 표시해준다.
[도 8]은 앞서 [도 4]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일별 필기영역에 기재된 필기 내용이 [도 6]의 메인 화면의 일력 화면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관리서버(50)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선굵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따라 선굵 기와 선색상을 설정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즉, 종이 책자(10) 상에는 일정한 굵기의 흑색 잉크로 필기가 이루어지더라도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과 선굵기에 따라 데이터가 가공되어 등록된다.
앞서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면 상단의 문자전환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상의 각 필드 영역에 맞추어 필기 내용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채워진다.
[도 9]는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월메모 필기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표시하는 월메모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관리서버(50)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 중 글씨뿐만 아니라 그림도 그대로 복원이 가능하며, 필기 궤적에 따른 시간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이 그려지고 글씨가 새겨지는 과정을 그대로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이 책자(10) 내부의 도트가 인쇄된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이 책자(10)에 도트가 인쇄된 실제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사용자가 광학인식펜(20)을 사용하여 종이 책자(10)의 임의 페이지에 필기로 메모 내용을 남긴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광학인식펜(20)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
[도 6]은 관리서버(50)의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블로그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월별 필기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표시하는 월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앞서 [도 4]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일별 필기영역에 기재된 필기 내용이 [도 6]의 메인 화면의 일력 화면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다이어리북 종이 책자의 월메모 필기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표시하는 월메모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8)

  1. 복수 개의 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경무늬가 인쇄된 하나 이상의 종이 페이지를 구비하며, 상기 도트는 가상의 격자 교차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종이 페이지마다 서로 다른 조합으로 배치되고, 선굵기 선택영역과 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된 종이 책자;
    잉크심과, 상기 잉크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잉크심과 상기 종이책자의 접촉면에 위치한 도트 배열을 인식하는 광학인식수단과,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체크수단과,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도트 배열을 기준으로 상기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도트 배열이 인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인식펜;
    상기 광학인식펜으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필기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광학인식펜의 필기 궤적을 복원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웹 페이지의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하되, 상기 필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굵기 선택영역과 상기 색상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추출되면 미리 설정된 선굵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따라 선굵기와 색상을 설정하여 상기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책자에서 상기 도트는 상기 종이책자의 나머지 인쇄 내용과 구별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학인식수단은 상기 도트를 상기 종이책자의 나머지 인쇄 내용로부터 구별하여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잉크심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선굵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데이터에 상기 선굵기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선굵기 정보에 따라 선굵기를 설정하여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학인식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 완료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필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 상기 광학인식펜 중 하나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구별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종이책자의 종류, 페이지, 접촉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동일한 종류의 종이책자의 동일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복수 개의 중복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중복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상기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종이책자는 다이어리북, 포스트잇북, 프리노트북, 어드레스북의 4종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다이어리북은 월별 필기영역과 일별 필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일별 필기영역은 시간별 필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리노트북은 날짜 기입영역과 메모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어드레스북은 성명, 전화번호, 주소를 포함하는 필드별로 필기 영역이 구분된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별 인적사항 기입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 인증시에만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히든체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스트잇북은 탈착 가능한 접착물질이 도포된 복수 개의 포스트잇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잇 용지와는 별도로 선굵기 선택영역과 선색상 선택영역이 인쇄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다이어리 메뉴, 포스트잇 메뉴, 프리노트 메뉴, 어드레스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어리 메뉴에는 상기 다이어리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월별, 일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기 포스트잇 메뉴에는 상기 포스트잇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선굵기와 선색상 설정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프리노트 메뉴에는 상기 프리노트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날짜와 메모를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기 어드레스 메뉴에는 상기 어드레스북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개인과 각 필드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문자인식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단말을 통해 상기 문자인식 선택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 블로그 영역에 등록된 필기 내용을 문자인식 처리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KR1020090082194A 2009-09-01 2009-09-01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KR10117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94A KR101179180B1 (ko) 2009-09-01 2009-09-01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94A KR101179180B1 (ko) 2009-09-01 2009-09-01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77A KR20110024277A (ko) 2011-03-09
KR101179180B1 true KR101179180B1 (ko) 2012-09-03

Family

ID=4393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94A KR101179180B1 (ko) 2009-09-01 2009-09-01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929B1 (ko) * 2015-03-06 2016-09-06 주식회사 씨스케이프 전자펜을 이용한 여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634A (ja) 2006-01-20 2007-08-02 Ids:Kk デジタルペンを用いたメール送信システム
JP2009193366A (ja) 2008-02-14 2009-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634A (ja) 2006-01-20 2007-08-02 Ids:Kk デジタルペンを用いたメール送信システム
JP2009193366A (ja) 2008-02-14 2009-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77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043B1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pertaining to a digitizer for use in paper based record systems
US8970540B1 (en) Memo pad
US70949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ssociation
US8126965B2 (en) Paper based meeting service management tool
US7002559B2 (en) Method, system and product for information management
US201400070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lcul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0238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input unit
US20140003675A1 (en) Electronic devic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signature thereof
US2014000237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89130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069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riting memos thereof
EP12750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ssociation
US20140002382A1 (en) Signature feature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features of signatures thereof
US201400070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thereof
US201400023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images thereof
US20140006940A1 (en) Office device
US201400028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and faxing thereof
US201400023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riting memos thereof
US6351259B2 (en) Kit for record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note in freehand
US9250718B2 (en) Self-addressing paper
US20110199343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automatically sending a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e
KR20080106621A (ko) 종이기반 디지털 수첩과 디지털 펜과 워크스테이션과 정보전달서버와 수기정보처리방법 및 정보관리시스템
KR101179180B1 (ko) 광학인식펜과 전용 수첩을 이용한 필기 전송 시스템
KR20080109340A (ko) 디지털 펜에 기반하여 취재기자용 유비쿼터스 업무 및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관리시스템
JP2004265003A (ja) 認識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認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