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819A -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819A
KR20110031819A KR1020090089228A KR20090089228A KR20110031819A KR 20110031819 A KR20110031819 A KR 20110031819A KR 1020090089228 A KR1020090089228 A KR 1020090089228A KR 20090089228 A KR20090089228 A KR 20090089228A KR 20110031819 A KR20110031819 A KR 2011003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compatible material
solidified
container
heat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420B1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09008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420B1/ko
Priority to PCT/KR2010/006421 priority patent/WO2011034379A2/ko
Publication of KR2011003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16Blood, e.g. platelet-rich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 인 전자파로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기폭(popping)현상, 생체유래소재, 생체 적합성 소재, 초단파 가열

Description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biocompatible material solificated by heating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소재의 가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에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얻은 생체유래소재를 초단파등으로 가열을 통해 가공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부피 대체(volume replacement)를 위한 주사용 소재들은 200년 동안 다양한 물질과 방법으로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실리콘, 파라핀 등이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육아종과 면역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인체나 동물에서 얻은 진피 조직(allogenic dermis)이나 골조직(allogenic bone) 등을 가공하여 이식용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가공 단계가 복잡하고 가공 단계에서 면역 단백질(immune protein), 세포 등 항원성(antigenicity)을 없애기 위하여 다양한 화학적인 방법이 추가되므로 허가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 항원성을 100% 없애지 못하므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가공비가 많이 들고, 원료 재료인 사체(cadaver)의 수급이 제한되어 1cc당 50만원이 넘는 고가의 소비재로서 비용문제가 크다.
국내외 관련 기술을 보면 다양한 인공 피부 상품이 개발되고 있고, 무세포 인공 피부로부터 본인의 표피세포 및 진피세포를 배양한 계층화된 세포성 생인공피부(living skin equivalent; LS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상품화 단계에 있다. 이들 제품은 타가조직을 이용하여 무세포 처리하거나, 콜라겐과 같은 생체 물질로 제조되어 상당히 고가인 제품들이다. 세포성 생체 유래 인공 피부는 신속하게 상처를 치유함은 물론, 상흔을 감소시키는 등 질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상처 회복 효과를 얻고 있으며, 자가세포 또는 가공한 타가조직이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키토산, 콜라겐, 키틴(chitin) 등을 이용한 매트릭스형 인공 피부가 상용화되고 있고, 매트릭스에 피부세포를 배양한 배양 피부를 개발하여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나, 아직 대량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9661호에서는 이식용 무세포 진피층의 제조법을 개발하여 SureDerm이라는 제품명으로 제조 공급함으로써, 수입되고 있는 일부 조직 수복용 생체 재료의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인간 피부를 국내에서 확보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재료를 수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필러(Filler)"로 알려져 있는 이들 제품은 동물 유래 물질과 인공 합성 물질, 인체 유래 조직 등을 원료로 제조되었는데, 대부분 사용의 편리성, 지속성 및 가격에 있어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제품으로는 소의 콜라겐으로 만든 주사용 자이덤(Zyderm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Polymethyl-methacrylate bead)와 콜라겐의 혼합액인 아테콜(ArtecollR), 변형 히일루론산을 이용한 제품인 레스틸렌(RestyleneR), 알로덤(AlloDerm)을 분말가공한 사이메트라(CymetraR) 등을 들 수 있다. 미국 LifeCell사의 알로덤(AlloDermR)은 시신으로부터 기증된 피부를 무세포 진피층(human allogenic acellular dermis)으로 가공·처리하여 이식편 또는 삽입물의 용도로 시판되고 있다. 상기 제품의 경우, 모든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면역거부 반응의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였고, 인체 조직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다른 어떤 인공 피부보다도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도 비슷한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기증자를 구하지 못해 원료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공 기질이란 채취된 조직세포가 이식되어 3차원적인 생체 조직을 만들 수 있는 지지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담체 또는 인공 지지체(scaffold)라 불리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우선 재생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의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의 점착과 증식·분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며, 높은 생체 친화성과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다한 후 생체 내에서 안전하게 흡수·분해되어야 한다. 생체 조직 재생을 위한 3차원 초정밀 인공 지지체 기술 개발에는 특정 조직세포로의 효과적인 분화를 위한 조직재생용 인공 지지체 제조 기술, 생체 조직과 유사한 생체 적합성 재료 기술이 필수적이다.
예로서, 조직 배양에서 골과 연조직을 위한 기질에는 합성 또는 자연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폴리락타이드(polylactic acid)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등의 수많은 합성체 및 교원질, 섬유소의 자연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조직의 재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지체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정상적인 세포 성장과 기능을 위해 필요한 미세구조와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골 재생을 위해서는 비슷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재료가 바람직한데, 이러한 성질들이 정상적 골 성장과 기능에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자연 중합체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는데, 특히 키토산과 생약재를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조직 적합성 생체 재료의 한계와 다양한 생체 조직으로 분화·성장시킬 수 있는 조직공학 기술이 미비하기 때문에 인체 각 장기의 기능 재현에 한계가 있다. 또한, 조직 적합성 미세 분말을 3차원 세포 배양용 미세 분말로 이용하고 있으나, 세포 배양용 미세 분말로 사용되는 폴리락타이드(poly Llactic acid, PLLA), 폴리 유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 lactic-co-glycolic acid, PLGA) 등 생체 적합성 소재는 1g 당 50만원이 넘는 실정이고, 특히 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인체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조형 정밀도에 문제가 있다.
현재 인공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등의 생분해성 미세 분말에서 사용되는 생체 재료는 염발포법(gas foamin/salt leaching), 고압기체팽창법(high pressure gas expansion), 유화동결건조법(emulsion freeze-drying), 염침출법(solvent-castin/particulateleaching technique),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등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은 재연성이 떨어지고, 복잡하거나 정밀한 3차원 형태의 구조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의 제조에 있어서 공극(pore) 크기 및 공극율(porosity)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고, 공극간 상호연결성(interconnectivity)이 떨어져서 세포의 성장, 영양 공급, 인공 지지체 내부로의 확산 및 전달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시간도 오래 걸린다.
한편 천연 생체유래소재는 동물에서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구성요소의 분자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고 분리, 적출, 분쇄 등 물리적 변화만을 가하여 얻은 소재로서 효소, 산, 염기, 촉매 등 전자 방출 및 수용, 분자간의 결합 등 생체 내에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화학적 변화를 인공적으로 거치지 않은 천연소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는 진피조직, 근육조직, 지방조직, 혈액 등이 있다. 상기 생체유래소재를 활용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조하여 인체내에 생체부피 대체소재 또는 지지체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안을 생각할 수 있으나,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및 제조시간이 오래걸리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조함에 있어 성능이 뛰어나며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제조시간이 짧게 걸리는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 및 이의 가공방법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제조시간이 짧은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 및 이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 적합성 소재 내부에 고른 기공이 발생하며 고른 가공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 및 이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가공함에 있어 비접촉으로 행해져 무균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 및 이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 인 전자파로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유래소재가 혈액분획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액분획 제제가 인체 혈액의 혈장(Plas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액분획 제제가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에 대하여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및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밀폐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수용 용기로 구성되며, 생체유래소재가 수용된 수용 용기는 내압구조로 이루어져 밸브쪽으로만 토출구를 갖고, 수증기 기폭시에 반대편 용기로 가공된 소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압밸브은 판막과 판막을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양측 수용기에 대한 판막 노출부가 있어 한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찢어지며 순간 기폭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 용기 중 하나 이상이 의료용 주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이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단파 가열을 위한 가압 또는 진공상태에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단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밀폐 내압구조의 챔버와 압력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가압 또는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주사기로 주사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계적인 절단은 분쇄장치를 이용하는 데, 상기 분쇄장치는 제1용기, 분쇄부, 제2용기,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부는 동력발생부, 임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부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체와 필터 및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2용기에 송출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며, 홀더는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인렛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분쇄부과 결합되며, 분쇄부는 홀더와 결합구조로 인해 내부에 제1용기에 수용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인입되는 분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질이 수용된 제1용기가 인렛에 연결되고,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수용할 제2용기가 아웃렛 연결되어 제1용기에 일정 압력으로 가해지면 제1용기에 수용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분쇄부의 분쇄공간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공간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필터를 거쳐 회전체의 블레이드에 의한 작용으로 균질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필터의 단공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단공이 생체 적합성 소재를 파지하고 블레이드가 상기 파지된 물질을 분쇄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렛과 아웃렛이 2 이상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렛과 아웃렛은 밀폐수단으로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이 동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를 가열하여 변형시킨 후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 인 전자파로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유래소재가 혈액분획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액분획 제제가 인체 혈액의 혈장(Plas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액분획 제제가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에 대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은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및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밀폐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수용 용기로 구성되며, 생체유래소재가 수용된 수용 용기는 내압구조로 이루어져 밸브쪽으로만 토출구를 갖고, 수증기 기폭시에 반대편 용기로 가공된 소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압밸브가 판막과 판막을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양측 수용기에 대한 판막 노출부가 있어 한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찢어지며 순간 기폭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 용기 중 하나 이상이 의료용 주사기인 것을 특징 으로 하여 제조된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이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주사기로 주사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이 동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를 가열하여 변형시킨 후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제조시간이 짧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은 생체 적합성 소재 내부에 고른 기공이 발생하고 고른 가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가공함에 있어 비접촉으로 초음파 가열됨으로서 무균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은 소재 사이에 수분을 포함하면서도 균질한 상태의 기공구조 형성이 가능하여 부드러운 상태에서 2차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은 주사기 등의 의료용 기구를 이용하여 가공이 가능한 바 의료행위와 즉시 연결하여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생체유래소재"란 동물에서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구성요소의 분자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고 분리, 적출, 분쇄 등 물리적 변화만을 가하여 얻은 소재로서 효소, 산, 염기, 촉매 등 전자 방출 및 수용, 분자간의 결합 등 생체 내에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화학적 변화를 인공적으로 거치지 않은 천연소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는 진피조직, 근육조직, 지방조직, 혈액, 혈액분획제제, 인체 알부민, 골 신경조직, 연골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의료용 주사기"란 바늘 탈착부를 가지며 양단이 개방된 주사 목적의 용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혈액, 지방조직, 알부민 등의 생체유래소재에 초단파를 가하여 기폭(popping) 현상을 일으켜 변형시킨 세포 지지체(scaffold) 또는 생체 이식(implantation)용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유래소재를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데, 상기 가열은 초단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단파 가열은 다른 형식의 가열과 달리 외부로부터의 열전달(thermal conduction)에 의존하지 않고 물 분자의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하며 비금속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높아 수분을 포함한 소재의 경우 내부까지 고른 열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열전달에 의존하는 경우 열이 전도되는 동안 내부온도와 외부온도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여 균일하고 재현성 있는 처리가 어려운데 반해, 초단파 가열은 내외부의 온도차가 거의 없으므로 기폭현상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기폭(popping)현상은 순간 감압에 의한 단열팽창(adiabatic expansion)과 온 도하강, 단백질의 경화 등 복합적 현상에 의해 기공이 형성되어 굳어지는 현상이다. 기폭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기존장치는 가열 구조와 더불어 고압형성장치, 내압구조, 감압을 위한 추가적 시스템이 필요하며 열전도를 이용한 가열이 사용되었는 데, 상기 열전도를 이용한 가열에서는 고른 기폭 현상을 유발하기 위해서 생체 소재의 변형이 심한 고압 고온하에 실시해야 하므로 고유의 천연 구조를 유지해야 하는 천연 생체유래소재의 가공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내부온도와 외부온도간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도록 하는 초단파 가열을 할 경우에는 물 분자가 일정 함량을 가진 범위에서 소재 전체에 걸쳐 기폭(popping) 현상이 열전달을 통한 가열에 비해 용이하게 발생하며, 주변 분자는 단열 및 밀폐 구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 때문에 급격하게 물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수증기는 변성된 단백질 분자에 의해 가두어져 있다가 급격히 팽창하여 기공을 형성한 후 기공을 터뜨리며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공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백질과 같은 열경화성 물질이 필요하며 기공 형성을 위해서는 수분의 적절한 비율이 필요하다.
생체유래소재에서 아미노산이 복합된 복합물질을 생체 단백질이라 할 수 있는 데, 상기 생체 단백질을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면 약 15℃ 부터 약 43℃에서 경도가 감소하다 약 43℃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변성이 심해져 경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성질을 이용하면 탄수화물과는 달리 아주 높지 않은 온도에서도 경화를 일으키고 경화된 단백질 사이의 수증기들이 폭발하며 순간 감압을 일 으킬 수 있는 환경에 도달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는 온도 상승률이 클수록 다점폭발 (multi focus evaporation and explosion)의 효과가 증가하여 기포는 작고 여러 개가 형성되며 온도 상승이 느릴수록 경화 속도가 느려 기공 상태의 안정화 역시 느려지고 수증기 기화 속도도 느려 단백질이 경화하기 전에 충분한 팽창 압력 형성이 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외부 공기와의 압력차는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활용된 초단파는 0.3 내지 30 GHz를 가하여 생체유래소재를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서의 전자파를 가할 때 생체유래소재에 내부온도와 외부온도간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으며, 생체유래소재 내부에 기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체유래소재의 가공을 위한 가열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체유래소재는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단파 가열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분이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증기의 압력이 균일하게 서서히 증가하며 경화소재의 형상은 물의 흐름에 따라 형성되게 되므로 기공 형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반대로 수분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변성된 단백질의 형태를 변화시킬 정도의 압력이 형성되지 않아 역시 기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생체유래소재로는 동물에서 물리적 변화만을 가하여 얻은 수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 2 중량%이상의 소재인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혈액분획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혈액분획제제는 혈장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혈액분획제제는 인체 주사용 알부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 주사용 알부민은 사람혈청 알부민이 포함된 것으로 사람혈청 알부민 함량이 약 5중량%, 약 20중량% 등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인체 주사용 알부민과 같이 수용성 단백질의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소재 사이사이 수분을 포함하면서도 균질한 상태의 기공 구조 형성이 가능하여 부드러운 상태에서의 2차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체주사용 알부민을 전자파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고형화한 알부민의 확대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난 사진은 약 2.45GHz의 전자파로 약 30초간 가열하였는 데, 기폭현상이 발생하여 변형된 알부민 내부에 기공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유래소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공장치의 외부에서 초단파 0.3 내지 30 GHz를 가하여 생체유래소재를 변형시키는 가공을 하거나 또는 그 외의 다른 수단으로 가열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상기 가공장치의 구조는 제1 수용용기 110, 감압밸브 120, 제2 수용용기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외부와 차단된 구조이다. 일 예로 제1 수용용기 110은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제2 수용용기 130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용기 110과 제2 수용용 기 130 중 하나 이상이 주사기일 수 있다. 주사기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경우 의료행위와 즉시 연결하여 행할 수 있으며, 생체적합성 소재와의 비접촉으로 무균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용기 110은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구조이며 감압밸브 120과 연결되며, 감압밸브 12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독립적인 공간을 차지한다. 상기 제1 수용용기 110 내부에는 가공상태 전의 생체유래소재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생체유래소재는 주사바늘 등을 통해 외부와의 접촉없이 제1 피스톤 111의 후퇴로 상기 제1 수용용기 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단 생체유래소재가 들어있는 제1 수용용기 110의 제1 피스톤 111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수용용기 110 내부에 생체유래소재의 부피가 팽창되는 경우라도 제1 피스톤 111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생체유래소재는 감압밸브 120과 연결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데, 초단파가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생체유래소재는 감압밸브 120과 연결된 부분을 통해 제2 수용용기 1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수용용기 130은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구조이며 감압밸브 120과 연결되어 있으나 감압밸브 12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독립적인 공간을 차지한다. 그러나 감압밸브 120이 개방되면 제1 수용용기 110과 연결되어 동일한 공간을 이루게 되어 제1 수용용기 110의 물질이 제2 수용용기 13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피스톤 131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제2 수용용기 130 내부가 부피팽창되는 경우 제2 피스톤 131은 뒤로 후퇴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1 수용용기 110의 물질이 제2 수용용기 130으로 이동할 때 제2 수용용기 130 내부가 부피팽창하면서 제2 피스톤 131은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제1 수용용기 110 및 제2 수용용기 130은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 120은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기폭현상이 발생하면서 밸브가 개방되어 물질이 이동할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의 원리를 이용한 예로는 압력밥솥을 들 수 있는 데, 압력밭솥의 경우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가 열려 밭솥 내부에 있던 증기가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감압밸브 12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며 따라서 생체 적합성 소재가 들어있는 밀폐된 제1 수용용기 110에 초단파를 가하게 되면 온도가 상승하는 것과 함께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아울러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제1 수용용기 110 내부압력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된다. 부피가 어느정도 팽창된 후에 제1 피스톤 111과 감압밸브 120에 의해 제1 수용용기 110이 밀폐되고 내부공간이 고정되어 있는 바 부피는 더 이상 팽창하지 못하고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증가한 압력이 감압밸브 120이 수용할 수 있는 압력이상이 되면, 상기 감압밸브 120이 개방된다.
상기 감압밸브 120이 개방되면 상기 생체유래소재 외부와 내부는 커다란 압력차가 발생되며, 초단파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기폭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폭 현상이 발생하면서 변형되어 제2 수용용기 130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상기 제2 수용용기 130 내부는 제1 수용용기 110의 높은 압력 및 변형된 생체유래소재가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제2 피스톤 131이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초단파 가열을 통해 얻어진 소재는 절단 등의 간단한 가공공정을 통해 생 체 적합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 2의 가공장치를 이용할 경우 생체유래소재와의 접촉이 거의 없어 무균 조건을 유지하면서 생체 적합성 소재를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 120의 구조는 판막과 판막을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양측 수용기에 대한 판막 노출부가 있어 한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찢어지며 순간 기폭현상과 함께 토출이 동시에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 또는 가압하에서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가공하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챔버 210, 연결구 220, 압력조절장치 230로 구성되는 데, 상기 챔버 210 내부에는 초단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 210은 연결구 220을 통해 압력조절장치 230과 연결되는 데, 압력조절장치 230의 조작으로 챔버 210내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 230과 연결된 상기 챔버 210은 외부와 밀폐되어 있으며 생체유래소재를 넣은 뒤에 압력조절장치 230을 통해 상기 챔버 210의 원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을 조절한 상기 챔버 210은 챔버 210내에 구비된 초단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생체유래소재를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로 초단파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분을 적절히 포함한 생체유래소재를 초단파를 이용하여 기공 구조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빠른 가열 수단이 필요하여, 초단파 가열을 하는 것이다. 기공의 크 기와 밀도의 조절은 증발속도와 경화속도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챔버 210내에서 감압을 통해 수분의 기화점을 낮춘 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할 경우 초단파의 장점인 기능, 구조의 보존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장치 230을 통해 상기 챔버 210내부를 진공상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챔버 210을 진공상태에서 수행할 경우에 저온에서 기폭현상을 유발할 수 있어 생체유래소재의 변성을 최소화한 저온 가공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주사기로 주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서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나, 작은 입자로의 분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분쇄기를 통해서도 분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쇄장치는 분쇄부 300, 제1용기 400, 제2용기 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용기 400과 제2용기 500은 주사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용기 400은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제2용기 500은 생체 적합성 소재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제1용기 400과 제2용기 500의 기능이 반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분쇄부 300는 동력발생부 320, 베어링부 340, 임펠러부 360, 홀더 37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 320은 모터 321과 주샤프트 323으로 형성되 고, 베어링부 340은 베어링 341과 부샤프트 343으로 이루어진다. 임펠러부 360은 블레이드 363이 형성된 회전체 361과 필터 365로 형성된다. 한편 분쇄부 300은 홀더 370과 결합구조로 인해 내부에 지방조직이 인입되는 분쇄공간 330이 형성되고, 분쇄된 지방조직을 제2용기에 송출하는 아웃렛(outlet) 350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370은 제1용기 400을 수용할 수 있는 인렛(inlet) 310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분쇄부 300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나사결합방식일 수 있다. 상기 인렛 310은 분쇄공간 33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쇄부 300에 의한 생체 적합성 소재의 균일 분쇄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생체 적합성 소재가 수용된 제1용기 400을 인렛 310에 연결하고, 분쇄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를 수용할 제2용기 500을 아웃렛 350에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분쇄준비가 완료되면 모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1용기 400의 피스톤을 일정 압력으로 작용시켜 제1용기 400에 수용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분쇄부 300의 분쇄공간 330으로 송출한다. 분쇄공간 330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재는 필터 365를 거쳐 회전체 361의 블레이드 363의 작용으로 균질크기로 분쇄되고 상기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는 아웃렛 350을 통해 제2용기 500으로 수용된다.
상기 인렛 310과 아웃렛 350은 필요에 따라 2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인렛과 아웃렛이 2 이상 형성된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렛과 아웃렛은 밀폐수단으로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펠러부 360에서 분쇄작용은 필터 365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 재가 필터 365의 단공 365a를 통하여 인입되는 것인데, 상기 단공 365a는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생체 적합성 소재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생체 적합성 소재가 블레이드 363에 의해 분쇄될 때 파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로서 일정크기로 분쇄된 지방조직은 회전체 361의 하부에 형성된 아웃렛 350을 통하여 제2용기 500에 인입되고 결국 제2용기에 수용된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는 입도가 균일하여 균제도 역시 우수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분쇄기는 믹서형 분쇄기로서 일정 압력없이 일정 용기내에 분쇄될 고체 또는 액체가 자유회전에 의해 블레이드와의 충격으로 분쇄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분쇄물의 입도 균제도 제어가 어렵고 균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며 장시간 피분쇄물을 블레이드에 노출시킴으로서 유효조직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분쇄방식에 의한 경우 단시간에 유효조직을 일정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작은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분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를 동결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를 가열하여 변형시킨 후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생체 적합성 소재로 가공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에는 기폭현상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변형된 알부민을 작은 입자로 분쇄한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주사하여 생체 적합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생체유래소재로 인체주사용 알부민을 이용하는 데, 이는 (주)녹십자에서 시판하는 사람혈청 알부민이 약 20중량% 포함되어 있는 인체주사용 알부민 20cc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알부민을 시험관에 넣은 후에 2.54GHz의 주파수를 갖는 초단파 진동장치에 약 15초간 넣어 가열하는 데, 약 15초가 지나면 기폭(popping)현상이 발생하여 알부민 내부에는 수많은 기공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가열이 끝난 알부민을 꺼내어 도 4 내지 도 7에 있는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기공이 발생된 알부민을 잘게 잘라낸다.
상기 잘게 잘라진 알부민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생체 적합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생체유래소재로 인체주사용 알부민을 이용하는 데, 이는 (주)녹십자에서 시판하는 사람혈청 알부민이 약 20중량% 포함되어 있는 인체주사용 알부민 30cc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한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제거한 뒤에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감압밸브의 한쪽에 끼워 제1 수용용기로 활용한다. 상기 감압밸브는 약 5㎏/㎠ 이상의 압력에서 밸브가 개방되도록 설정되었으며, 상기 주사기(제1 수용용기)의 피스톤은 초단파 가열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의 다른 쪽에는 내부에 아무것도 없는 새로운 주사기 를 연결하여 제2 수용용기로 활용한다. 상기 주사기들이 감압밸브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 후에 2.54GHz의 주파수를 갖는 초단파 진동장치에 넣어 초단파 가열을 한다.
상기 주사기(제1 수용용기) 안에 들어있는 알부민이 기폭(popping)현상이 일어날 때까지 초단파 진동장치를 가동시키는 데, 기폭현상이 발생될 때까지 약 20초의 시간이 걸린다.
상기의 가공방법으로 가공된 알부민은 기폭현상 발생으로 제1 수용용기에서 제2 수용용기로 감압밸브를 통해 이동하였는 데, 상기 가열된 알부민을 꺼내어 도 4 내지 도 7에 있는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알부민을 잘게 잘라낸다. 상기 잘게 잘라진 알부민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투입함으로써 생체 적합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체주사용 알부민을 전자파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고형화한 확대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유래소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 또는 가압하에서 초단파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를 가공하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제1 수용용기 111 : 제1 피스톤 120 : 감압밸브
130 : 제2 수용용기 131 : 제2 피스톤
210 : 챔버 220 : 연결구 230 : 압력조절장치
300 : 분쇄부 310 : 인렛 320 : 동력발생부
321 : 모터 323 : 주샤프트 330 : 분쇄공간
340 : 베어링부 341 : 베어링 343 : 부샤프트
350 : 아웃렛 360 : 임펠러부 361 : 회전체
363 : 블레이드 365 : 필터 370 : 홀더
400 : 제1용기 500 : 제2용기

Claims (30)

  1.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 인 전자파로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유래소재는 혈액분획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분획 제제는 인체 혈액의 혈장(Plas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분획 제제는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6.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에 대하여,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및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밀폐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수용 용기를 포함하되,
    생체유래소재가 수용된 수용 용기는 내압구조로 이루어져 밸브쪽으로만 토출구를 갖고,
    수증기 기폭시에 반대편 용기로 가공된 소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판막과 판막을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양측 수용기에 대한 판막 노출부가 있어 한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찢어지며 순간 기폭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 중 하나 이상이 의료용 주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은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파 가열을 위한 가압 또는 진공상태에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단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밀폐 내압구조의 챔버와 압력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가압 또는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주사기로 주사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절단은 분쇄장치를 이용하는 데, 상기 분쇄장치는 제1용기, 분쇄부, 제2용기,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부는 동력발생부, 임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부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체와 필터 및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제2용기에 송출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며,
    홀더는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인렛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분쇄부과 결합되며,
    분쇄부는 홀더와 결합구조로 인해 내부에 제1용기에 수용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인입되는 분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물질이 수용된 제1용기는 인렛에 연결되고, 분쇄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수용할 제2용기는 아웃렛 연결되어 제1용기에 일정 압력으로 가해지면 제1용기에 수용된 생체 적합성 소재가 분쇄부의 분쇄공간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공간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재는 필터를 거쳐 회전체의 블레이드에 의한 작용으로 균질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인입된 생체 적합성 소재는 필터의 단공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단공이 생체 적합성 소재를 파지하고 블레이드가 상기 파지된 물질을 분쇄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2 이상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렛과 아웃렛은 밀폐수단으로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은 동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8.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를 가열하여 변형시킨 후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
  19.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0.3 내지 30 GHz 인 전자파로 가열하여 변형시키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유래소재는 혈액분획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분획 제제는 인체 혈액의 혈장(Plas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분획 제제는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4. 수분을 10 내지 90 중량% 및 아미노산 복합물질을 2 중량%이상 포함하는 생체유래소재에 대한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은 일정압력 이상에서 열리는 감압밸브; 및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밀폐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수용 용기를 포함하되,
    생체유래소재가 수용된 수용 용기는 내압구조로 이루어져 밸브쪽으로만 토출구를 갖고,
    수증기 기폭시에 반대편 용기로 가공된 소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판막과 판막을 고정, 밀폐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양측 수용기에 대한 판막 노출부가 있어 한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찢어지며 순간 기폭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 중 하나 이상이 의료용 주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은 진공상태에서 초단파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8.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주사기로 주사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 가공방법은 동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30. 인체 주사용 알부민 제제를 가열하여 변형시킨 후 기계적인 절단을 통해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는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KR1020090089228A 2009-09-21 2009-09-21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KR10112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28A KR101129420B1 (ko) 2009-09-21 2009-09-21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PCT/KR2010/006421 WO2011034379A2 (ko) 2009-09-21 2010-09-17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28A KR101129420B1 (ko) 2009-09-21 2009-09-21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19A true KR20110031819A (ko) 2011-03-29
KR101129420B1 KR101129420B1 (ko) 2012-03-26

Family

ID=4375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228A KR101129420B1 (ko) 2009-09-21 2009-09-21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9420B1 (ko)
WO (1) WO201103437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453B1 (ko) * 2015-03-27 2015-07-28 박재우 세포조직 균질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조직 균질화 방법 또는 세포외기질 추출 방법
WO2020122302A1 (ko) * 2018-12-10 2020-06-18 메디칸 주식회사 생체 적합성 히알루론산 필러 입도 조절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1693B2 (ja) * 1998-10-15 2004-07-14 株式会社奈良機械製作所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
WO2001005443A1 (fr) * 1999-07-21 2001-01-25 Imedex Biomateriaux Mousse proteique adhesive a usage chirurgical et/ou therapeutique
NZ529803A (en) * 2003-11-27 2006-03-31 Blue Marble Polymer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o-degradable foam
KR200433588Y1 (ko) * 2006-09-25 2006-12-11 감도문 다용도 분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453B1 (ko) * 2015-03-27 2015-07-28 박재우 세포조직 균질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조직 균질화 방법 또는 세포외기질 추출 방법
WO2020122302A1 (ko) * 2018-12-10 2020-06-18 메디칸 주식회사 생체 적합성 히알루론산 필러 입도 조절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379A3 (ko) 2011-09-09
WO2011034379A2 (ko) 2011-03-24
KR101129420B1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germont et al. Injectable cry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EP3230044B1 (en) Graft scaffold for cartilage repai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0771058B1 (ko) 지질이 제거된 인체 부피 대체용 또는 세포 배양용 지지체및 그 제조방법
Mohiuddin et al. Decellularized adipose tissue: biochemical composition, in vivo analysis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EP3357519B1 (en) Compositions for soft tissue filling and regeneration
Ma et al. Fabric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foams for cell transplantation and tissue engineering
US5948426A (en) Method and article to induce hematopoietic expansion
US10046088B2 (en) Nanoscale collagen particles and membranes
JP2004527281A (ja) 止血および組織工学のための生体適合性フリース
US20120183622A1 (en) Encapsulated cells and composites thereof
CN111298195A (zh) 一种复合微米材料、皮肤填充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29419B1 (ko) 지방조직 및 혈액성분을 이용한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9420B1 (ko) 가열하여 고형화한 생체 적합성 소재 및 이의 가공방법
CN104740688B (zh) 一种微球堆积型形状记忆多孔支架的制备方法
CN114206405B (zh) 包括脂肪组织源细胞外基质的医疗用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1810586B1 (ko) 장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주입형 수화겔
JP2008079548A (ja) 細胞培養用担体
KR101254771B1 (ko) 인체 부피 대체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인체 부피 대체용 지지체 및 펩타이드 추출물
Patrick Engineering adipose tissue for regenerative and reparative therapies
Patel et al. Soft tissue restoration using tissue engineering
KR101005938B1 (ko)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20200040296A1 (en) Decellularized Tissue as a Microcarrier for Cell Culture and Expansion
McMaster A simple method towards 3D-printing and crosslinking partially hydrolysed poly (2-ethyl-2-oxazoline)
Kim et al. Intelligent Scaffold–Mediated Enhancement of the Viability and Functionality of Transplanted Pancreatic Islets to Cure Diabetes Mellitus
JP2016501270A (ja) コラーゲン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