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151A -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51A
KR20110031151A KR1020107024133A KR20107024133A KR20110031151A KR 20110031151 A KR20110031151 A KR 20110031151A KR 1020107024133 A KR1020107024133 A KR 1020107024133A KR 20107024133 A KR20107024133 A KR 20107024133A KR 20110031151 A KR20110031151 A KR 2011003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mposition
dry
acrylic
se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래리 앨런 홀로웨이
Original Assignee
래리 앨런 홀로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239,587 external-priority patent/US8273800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22,704 external-priority patent/US8153699B2/en
Application filed by 래리 앨런 홀로웨이 filed Critical 래리 앨런 홀로웨이
Publication of KR2011003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표면 조성물은 재활용 페인트로 제조되며, 프라이밍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비-반사(non-reflective)의 "편평한(flat)" 외관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드라이 페인트로 구성된다. 상기 조성물은 그러하지 않으면 특별한 처리 방법을 필요로 하며 장래의독성 클린업 문제를 잠재적으로 야기하는, 사용된 혹은 과량의 가정용 페인트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및 워터-베이스 실러로 제조되며, 이는 결함을 보수하기 위해 표면에 스프레드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표면은 마감처리될 수 있으며 프라이밍을 필요로 하지 않느다. 조성물의 편평한 외관으로 인하여, 보수된 부분에서 패치는 어떠한 특징적인 광택을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페인트를 재활용하는 단순한 수단을 제공하며, 벽 및 다른 표면의 결함을 보수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하며 페인팅 혹은 재페인팅전에 패치를 프라이밍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s for Finished Surfaces}
본 특허출원은 2009.4.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12/422,704 (현재 계류중임); 2008.9.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12/239,587 (현재 계류중임); 및 2008.3.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61/072,114호에 대한 파리조약의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다.
본 개시사항은 표면용 패칭 조성물(patching compositions), 죠인트 조성물(jointing compositions), 표면 조성물(surfacing composition) 및 플라스터 조성물(plastering compositions)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사항은 또한, 상기한 표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감처리된 표면 및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표면은 일반적으로 결함을 갖는다. 많은 경우에, 상기 표면은 페인트된 표면(painted surface)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벽(wall)) 혹은 페인트(paint)되어야 하는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이다. 예를들어, 주거용 구조물에서 벽은 일상 활동 및 장식으로 인하여 구멍(nicks), 홀(holes) 혹은 다른 결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멍(nicks), 홀(holes) 혹은 다른 결함은 심미감을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보수된다. 더욱이, 빌딩을 축조하는 경우에, 드라이월(drywall) 및 다른 재료가 죠인트 조성물로 서로 죠인트(joint)되며, 드라이월 표면의 결함은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매끄럽게 된다. 이러한 결함은 때때로는 단지 표면에 있을 수 있지만, 페인트 혹은 다른 마감처리 보호층이 파괴되면 재료의 일체성이 손상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결함은 결함의 크기 및 유형에 따라, 패치 조성물(patching composition), 죠인트 조성물, 표면 조성물 혹은 플라스터 조성물(본 명세서에서 이하, 표면 조성물이라 한다.)을 사용하여 채워진다. 표면 조성물은 상기 결함에 적용되고, 건조되고 그 후에 필요에 따라 마감처리(finish)된다. 보수(repair)되는 경우에, 마감처리(finish)은 본래의 표면에 가능한한 유사하게 매치되도록 적용된다. 상기 표면 조성물은 마감처리가 적용되기 전에 샌딩(sanding) 및 프라이밍(priming)과 같은 추가적인 준비가 일반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표면 조성물은 특정한 단점을 갖는다. 대부분의 표면 조성물은 본래의 표면과 정확하게 매치되지 않는 상태로 건조된다. 그 결과, 마감처리되는 경우에, 보수된 표면은 본래의 마감처리된 표면과 매치되지 않으며, 보수된 부분이 드러난다. 예를들어, 표면 조성물이 페인트된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에, 보수된 표면은 종종 빛나는 외관 혹은 광택 외관을 갖는다. 이러한 광택은 추가적인 노동으로 제거될 수 있지만, 광택의 제거는 일부 표면 조성물의 경우에는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패치(patch) 표면이 본래의 표면과 매치되도록 외관이 "편평(flat)"하면 보수된 부분이 더 심미적일 것이다. 더욱이, 표면 조성물이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을 준비하기 위해 구조물에 사용되는 경우에, 표면 조성물이 적용되는 부분은 마감처리가 적용된 후에 알아 볼 수 있다. 더욱이, 표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페인트 전에 프라임(prime) 처리될 수 있으나, 결과는 페인트와 보수 사이의 저조한 밀착력을 초래하여 기포(blistering), 플래시(flashing) 및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프라임을 필요로하지 않으면 시간과 노동을 절약할 수 있다.
페인트 자체는 중요한 처분(disposal) 문제를 갖는다. 가정용 페인트는 위험한 폐기물로 여겨진다. 사용된 그리고 필요로하지 않는 페인트의 처분은 고가이며, 전형적으로 페인트를 쓰레기 매립지에 처분하므로써 달성된다. 쓰레기 매립지에 처분하므로 페인트 폐기물이 주위의 지역으로 빠져나가서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민사적 및 형사적 법적 책임을 문제시 되지 않도록 폐인트 폐기물이충분히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환경 클린업(cleanup)이 요구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에서 알키드 페인트 판매에 대한 제안된 규제로 인하여 가까운 장래에 다량의 원하지 않는 알키드 페인트가 처분될 것이다. 알키드 페인트는 희석제 혹은 씨너(thinner)는 전형적으로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이며 바인더는 알키드 수지인 오일-베이스 페인트이다. 미네랄 스피릿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다. 일단 알키드 페이트가 표면에 적용되면, 미네랄 스피릿이 증발하여 VOC 오염에 현저하게 기여한다. 제안된 규제는 VOC와 배합된 알키드 페인트의 사용을 제한할 것이며, 이는 이들 페인트를 재활용하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필요로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표면 조성물의 가시성(visibility)이 종래의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 감소되거나 혹은 제거되도록, 마감처리된 표면을 보수하거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을 마감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표면조성물이 요구된다. 더욱이, 알키드 페인트 및 다른 타입의 페인트 모두에 우수한 재활용 및 재사용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사항은 마감처리된 표면의 보수,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의 보수 및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의 준비에 사용되는 새로운 표면조성물 및 이러한 표면조성물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표면 화합물은 표면의 플라스터(plaster), 교차표면의 결합/죠인트 및 표면 결함의 보수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상기 표면은 페이트된 벽(wall)이다. 그러나, 다른 마감처리된 표면(finished surfaces) 또한 본 개시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 구현에서, 마감처리되지 않는 표면은 드리이월의 하나 이상의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 또한 본 개시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사항의 방법, 조성물 및 다른 가르침에 대하여 예시 및 기술한다. 본 개시사항은 개시된 방법, 조성물 및 다른 가르침의 특정한 구현만을 나타내고 기술하지만, 본 개시사항의 가르침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형 및 환경에 사용할 수 있으며 가능한한 변형 및 개질은 관련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의 기술 및/또는 지식에 상응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가르침의 범위에 포함된다. 기술되어 있는 구현예는 추가적으로 본 개시사항의 방법, 조성물 및 다른 가르침을 실시하기 위한 특정한 베스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개시사항의 가르침을 이러한 구현예에 따라 그리고 특정한 적용 혹은 용도에 따라 필요로하는 다양한 변형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사항의 방법, 조성물 및 다른 가르침은 개시한 구현 및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 조성물 및 방법의 목적
조성물 및 방법의 일부 구현의 목적은 필요로 하지 않는 혹은 사용한 페인트를 즉시 처분할 필요가 없는 유용한 표면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필요로 하지 않는 혹은 사용한 폐인트의 처분과 관련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조성물 및 방법의 일부 구현의 목적은 마감처리된 표면의 보수용 및 마감처리되지 않는 표면의 준비용 표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성물 및 방법의 일부 구현의 목적은 표면 조성물이 마감처리된 표면 및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을 포함하는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구별되는 특징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광택)의 존재를 제거 혹은 감소 (종래 기술의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시키는 것이다.
조성물 및 방법의 일부 구현의 목적은 보수된 표면이 조성물이 적용된 부분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지 않거나 혹은 이러한 특징이 감소되어 보이거나(다른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이 상기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이 마감처리된 후에 조성물이 적용된 부분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지 않거나 혹은 이러한 특징이 감소되어 보이게(다른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 하는 표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성물 및 방법의 일부 구현의 목적은 보수 혹은 마감처리 전에 프라임(priming)을 필요로 하지 않는 표면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써 마감처리된 표면의 보수 및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의 준비에 필요로하는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개시사항의 방법 및 조성물의 구현에 의해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다른 목적이 제공되며 이 기술분야에서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Ⅱ.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알키드(alkyd)"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s)과 다가산(polybasic acids)의 축합으로 형성된 바인더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알키드 페인트(alkyd paint)"는 바인더가 알키드인 오일-베이스 페이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패닝(fanning)"은 타켓에 대한 에어 기류의 인도(direct)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마감처리된 표면(finished surface)"은 마감처리된(finished) 어떠한 표면을 의미한다. 마감처리(finishing)은 페인팅, 래커처리(lacquering), 쉘라킹(shellacking), 실링(seal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그래뉼(granular)"은 비교적 작은 그레인 혹은 파티클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하는"은 비-배타적으로 사용되며, "이로써 한정하는 않고 포함하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플라스터링(plastering)"은 조성물을 코팅 혹은 외피(incrustation)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플라스터(plaster) 적용을 배타적으로 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보수(repair)"는 보수 주위의 부분과 매치되는 고른 윤곽으로 표면을 복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러(sealer)"는 표면을 실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면상에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투명한 혹은 착색된(pigmented) 마감처리재(finishing materials)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unfinished surface)"은 표면이 실제로 마감처리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건설(construction), 준비(preparation) 혹은 보수(repair) 후에 일반적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는 표면 혹은 건설(construction), 준비(preparation) 혹은 보수(repair) 후에 마감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표면을 의미한다. 마감처리는 페인팅, 래커처리(lacquering), 쉘라킹(shellacking), 실링(seal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수형으로 사용된 용어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Ⅲ. 표면 조성물(Surfacing Compositions)
본 개시사항은 마감처리된 표면의 보수 및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의 준비에 사용되는 표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일부 구현은 점도를 증가시키고 스프레딩(spreading)을 돕는 프라이머(primer)에서의 체적제(volumizer)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조성물은 표면의 조인트(joint) 및 결함의 패치(patching)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은 종래 알려져 있는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 다양한 잇점을 갖는다. 상기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은 최소 하나의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이들은 표면에 적용된 후에 신속하게 건조되며; 이들은 페인팅 전에 프라이밍(priming)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이들은 매우 다양한 표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며; 이들은 조성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관찰되는 특징(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광택)이 없는 표면을 제공하며; 그리고 이들은 페인트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개시사항의 표면 조성물은 드라이 페이트(dried paint)를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에서, 상기 드라이 페인트(dried paint)는 사실상 그래뉼일 수 있다.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어떠한 공급원으로 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이전에 페인트된 표면으로 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의 표면 조성물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이전에 페인트된 표면에서 페인트를 제거하고 그래뉼 제품이 얻어지도록 상기 페인트를 그라인딩(grinding)하므로써 얻어진다. 특정한 이들 구현에서, 불순물은 드라이 페인트를 실러(sealer)와 합하기(combining) 전에 드라이 페인트로 부터 제거된다. 특정한 이들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이전에 페인트된 표면에서 제거된 후에,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어떠한 건조법으로 추가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액체 페인트를 건조하고 그라인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액체 페인트는 오버스프레이(overspray), 작업에 필요한 것보다 과량으로 구입된 페인트, 과량의 주문으로 제조된 페인트, 및 허용가능한 저장-기간을 초과하는 기간동안 저장된 페인트를 포함하는 어떠한 공급원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페인트는 아크릴 (워터-베이스) 혹은 알키드 페인트를 포함하는 오일-베이스 페인트일 수 있다. 알키드 페인트는 신속하게 건조되고 잘 그라인딩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페인트는 가열, 저압 혹은 패닝(fanning) (단독 혹은 조합)을 포함하는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액체 페인트는 주위 온도에서 공기 중에 노출시켜서 건조된다. 표면 조성물의 구현에서, 액체 페인트는 페인트를 패닝하여 건조된다. 패닝은 적은 배치에 대하여는 심지어 전형적인 핸드-헬드(hand-held) 헤어 드라이어를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팬(fan) 혹은 블로워(blower)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더 큰 팬 및 블로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페인트는 패닝 도중에 가열될 수 있다. 열은 전도(예를들어, 상기 페인트를 포함하는 용기의 가열), 대류 (예를들어, 오븐에서와 같이, 페인트 주위의 에어를 가열) 혹은 방사로 상기 페인트에 전달될 수 있다. 열은 예를들어, 가열된 블로워의 사용함에 의한 것과 같이, 페인트를 패닝함과 함께 상기 에어를 가열하여 페인트에 전달될 수 있다. 패닝이 사용되면, 에어는 건조를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속도(rate)로 페인트상에 패닝(fanning)되어야 한다.
건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 단독으로 혹은 패닝과 함께 가열하여 달성될 수 있다. 건조하기 위해 열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페인트에는 가열되는 압력하에서 페인트의 어는점 보다 높은 어떠한 온도가 가하여질 수 있다. 이원자 산소 (혹은 다른 강한 산화제)의 존재하에서 가열되면, 그 후, 상기 페인트는 이의 인화점(flash point) 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알키드 페인트는 전형적으로 약 100℉(공기 움직임과 함께 200℉ 표면온도)의 인화점을 갖는다. 그 결과, 액체 알키드 페인트가 건조되는 표면 조성물의 구현에서, 약 100℉ 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되어야 한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건조는 대기보다 낮은 농도(sub-atmospheric concentrations)의 이원자 산소에서 행하여진다. 특정한 이들 구현에서, 알키드 페인트는 약 100℉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특정한 이원자 산소 농도에서 특정한 알키드 페인트의 안전한 인화점은 부당하게 과도한 실험없이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페인트는 알키드 페인트 보다 높은 인화점을 갖는다. 따라서, 아크릴 페인트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건조는 더 높은 온도에서 행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은 약 100-750℉, 약 200-600℉, 약 250-500℉ 그리고 약 500℉의 건조온도를 사용한다.
상기 온도는 주어진 배치(batch) 도중에 변할 수 있다. 주어진 온도에서의 감압(reduced pressure) 혹은 패닝의 사용으로 더 빠른 건조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건조 도중에 페인트 주위의 공기에서 산소는 감소되거나 혹은 배제될 수 있다. 압력은 가열 또는 패닝 단독으로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건조되도록 달라질 수 있다. 1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은 주어진 온도에서의 건조를 빠르게 할 것이다. 공기 압력의 감소는 또한, 유효 산소 농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페인트의 인화점을 증가시킬 것이다. 다양한 구현의 표면 조성물은 다음의 압력 모두, 일부 혹은 이들 압력이 아니더라도 건조될 수 있다: 진공, 0.95 대기압(atm), 0.9 atm, 0.8 atm, 0.75 atm, 0.7 atm, 0.6 atm, 0.5 atm, 0.4 atm, 0.3 atm, 0.25 atm, 0.2 atm, 0.15 atm, 및 0.1 atm.
드라이 페인트는 이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그라인드(grind)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라이 페인트는 다음의 어떠한 것으로 그라인드 될 수 있다: 로터리 밀, 볼 밀, 로드 밀, 모르타르 및 막자(pestle), SAG 밀, 페블 밀(pebble mil), 자생 분쇄기(autogenous mill), 부르스톤 밀(Buhrstone mill), 그라인딩 롤, 콜로이드 밀, 디스크 밀, 에지 밀(edge mill), 해머 밀 및 윌리 밀(Wiley mill). 작은 배치에 대하여, 드라이 페인트는 가정용 음식물 프로세서 혹은 주방용 블렌더에서 글라인드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이다. 알키드 페인트가 일반적으로 휘발성이며 낮은 인화점을 가지므로, 액체 알키드 페인트와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혼합하는 것이 이로우며, 이에 따라, 알키드 페인트를 가열하지 않고 드라이 페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알키드 페인트의 희석은 또한 보다 안전한 처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와 액체 알키드 페인트를 합하여 웨트 페이스트(wet paste)를 형성하고,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건조하여 드라이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드라이 페이스트를 그라인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용어 "드라이 페이스트(dry paste)"는 페이스트의 특성을 보유하는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의 경우에, 드라이 페이스트가 페이스트 특성을 보유할 수 있지만),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건조한 제품도 말한다.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 대 액체 알키드 페인트의 체적비는 약 3:1 혹은 정확하게 3:1이다. 상기 조성물은 드라이 알키드 페인트 최고 95% 및 알키드 페인트 최소 5%로 성공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드라이 페이스트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어떠한 처리 방법으로 그라인드되어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상기 조성물은 실러(sealer) 및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대 실러의 비율은 예를들어, 40-80%, 50-70%, 55-65%, 60%, 75% 혹은 상기한 어떠한 것의 대략적인 값 또는 범위일 수 있다.
웨트 페이스트 성분이 혼합되고 쉽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웨트 페이스트는 건조 도중에 블렌드될 수 있다. 블렌딩은 충분한 혼합 및 건조가 달성되기에 필요한 한 충분히 오랫동안 행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이는 약 2분 후에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렌딩은 과도한 시험없이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추가적인 공정없이 건조 후에 실러(sealer)와 합하여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실러와 합하기 전에 입자 직경에 따라 분리된다.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그레인 크기가 일정(consistency)하게 되도록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수단으로 분리될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분리(segregation)는 대략 가루(밀가루)와 같이 일정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가 얻어지도록 행하여진다. 예를들어, 일부 구현에서, 페인트는 #80 체(sieve)로 체로 치고(shift); #80 체에 보유되는 부분("보유분(retentate)")은 #20체 혹은 #25체를 통해 추가적으로 체로 친다. #20체 혹은 #25체를 통과한 부분("체질부분(siftate)")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실러와 합한다. 일부 구현에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의 약 90%가 최고 약 2.0㎜의 직경을 갖도록 체로 치어진다. 일부 구현에서, 상기 직경은 약 0.18-2.0㎜이다. 일부 구현에서, 상기 직경은 약 0.17-0.70 ㎜이다. 일부 구현에서, 분리는 가정용 가루 체(flour sifter)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미세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표면 조성물에 보다 쉽게 스프레드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실러와 합하여진다.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에서,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대 실러의 비율은 다음 중 최소 하나이다: 40-80%, 50-70%, 55-65%, 60%, 및 이들의 대략적인 값 또는 범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조성물의 일 구현은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24 체적 온스와 실러 16 유체(fluid) 온스를 혼합한 제품(60%의 체적:체적비)이다.
페인트 및 실러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방법으로 합하여질 수있다. 이러한 합하는 방법으로는 블렌딩, 쉐이킹, 믹싱, 스티어링(stirring) 및 어드믹싱(admixing)을 포함한다. 합하는 것은 준비하고자 하는 배치의 규모에 따라 어떠한 적합한 장치로 행하여질 수 있다. 적합한 장치로는 예를들어, 상업용 페인트 블렌더 (예컨대, ColorEng Inc.(허드슨, 뉴 햄프셔)에서 판매되는 CEI FlowMaster), 드릴-탑재된 페인트 블렌더(예컨대, Vermont American Tools(링콜톤(Lincolnton), 노스 캐롤리이나)에서 판매되는 것들), 테이블-탑 쉐이커 (예컨대, Blair Equipment Company (플린트, 미시건)에서 판매되는 Blair 51000), 상업용 주방용 암 믹서(kitchen arm mixter) 및 가정용 믹서를 포함한다.
표면 조성물의 구현은 어떠한 실러(sea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러는 워터-베이스, 오일-베이스 혹은 알키드-베이스일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상기 실러는 워터-베이스 아크릴 실러를 포함한다. 특정한 이들 구현에서, 상기 실러는 스티렌-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실러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티타늄 디옥사이드 혹은 증량제(extender)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에서, 상기 실러는 다음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텍사놀 (CAS 넘버 25265-77-4), 스티렌 공중합체 (CAS 넘버 25750-06-5),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CAS 넘버 25085-34-1) 및 포름알데히드. 표면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에서, 상기 실러는 다음중 최소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라임스톤,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석영.
상기 표면 조성물은 마감처리하려는 표면에서의 결함 보수용 키트(kit), 두 교차 표면(intersecting surfaces) 죠인트용 키트 혹은 표면을 플라스터링용 키트 형태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Ⅳ. 표면 보수, 죠인트 및 플라스터링 방법
개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떠한 표면조성물을 사용하여 마감처리된 표면을 보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수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해머 자국(hammer dings), 네일 홀(nail holes), 압정 홀(tack holes) 스크류우 홀(screw holes), 균열, 크랙, 만입(indentations), 절개(excision)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표면 손상을 교정할 수 있다. 상기 표면은 마감처리된 표면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일 수 있다.
상기 개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어떠한 표면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을 준비(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마감처리된 표면 및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 모두를 포함하는 표면에 표면 조성물이 적용되는 경우에 분명한 구별되는 특징(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광택)의 존재가 제거되거나 혹은 감소된다 (종래의 표면 조성물에 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으로, 다음의 장점 중 최소 하나가 얻어진다: 상기 표면 조성물은 표면에 적용된 후에 신속하게 건조되며; 상기 표면조성물은 페인팅 전에 프라이밍(priming)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상기 표면조성물은 매우 다양한 표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조성물은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며;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관찰되는 특징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광택)이 없는 표면을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표면조성물은 페인트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타입의 구조일 수 있다. 표면 조성물의 일부 구현에서, 상기 표면은 다음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드라이월(drywall), 금속, 금속 프레임, 플라스터, 콘크리트, 시멘트 보드, 스투코(stucco), 돌(stone), 인공석(artifical stone), 섬유 시멘트(fiber cement), 비닐, PVC, 목재, 목재 복합재(composite), 알루미늄 복합재, 벽돌, 아도비(adobe), 카나브릭(cannabrick), 캐스트 어스(cast earth), 캐스트 스톤(cast stone), 카브(cob), 흙 플라스터(earthen plaster), 글라스(glass), 타일, 아스팔트, 테라 코타(terra cotta) 및 세라믹.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은 실러 및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을 결함을 포함하는 보수된 부분(reparired area)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보수된 부분을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한다. 특정한 이들 구현에서, 상기 보수된 부분은 마감처리 전에 프라임 처리되지 않는다. 상기 표면 조성물은 본 개시사항에서 가르치는 어떠한 표면 조성물의 구현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성물은 예를들어, 상기 표면 조성물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수단, 예를들어, 퍼터용 칼(putty knife)(또한, 스패클 나이프(Spackle knife)로도 알려져 있음)을 사용하여 스프레드(spread)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단일 코트(coat)의 표면 조성물이 충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에서, 표면 조성물이 2 코트 이상으로 적용된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은 일단 건조되고 페인팅되기 전에 상기 조성물의 샌딩(sanding)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항상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은 스프레이 텍스쳐(spray texture) 혹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며, 보수된 부분을 텍스쳐링(textur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어떠한 표면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두 교차 표면(intersecting surfaces)을 조인트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교차 표면은 마감처리될 수 있거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은 상기 교차 표면을 상기 표면 조성물과 죠인트하는 단계(jointing); 상기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일 표면의 최소 일부를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에서, 상기 표면 조성물은 통상의 죠인트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면은 마감처리되거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어떠한 표면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감처리되는 표면을 플라스터링(plastering)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은 상기 표면 조성물을 상기 표면에 플라스터링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면 조성물은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플라스터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면은 마감처리되거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Ⅴ. 실시예: 표면 조성물의 작은 배치의 제조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사항에서 기술하는 조성물 및 방법의 특정한 구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표면 조성물의 적은 배치의 제조를 보여준다.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의 규모를 증가시키셔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 그래뉼 페인트는 아크릴 페인트였다. 액체 아크릴 페인트는 캔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을 얻어서 18" x 24" 베이킹 팬에 부었다. 상기 팬을 500℉의 예비가열된 오븐에 8분 동안 놓아두었다. 상기 시간 경과 후에, 페인트가 건조되었다. 그 후, 드라이 페인트를 푸드 프로세서(food processor)에서 그라인드하였다. 그 후,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가루(밀가루)의 균일이 달성될 때까지 블렌더에서 추가적으로 그라인드되었다. 그 후에, 가루 같은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실러와 실러 16 체적 온스 대 페인트 24 체적 온스의 비율로 합하였다. 상기 실러는 ICI Paints Prep & Prime Bond Prep 내부/외부 워터-베이스 안료 석조 본딩 프라이머 실러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td., 버크셔, 영국)였다.
상기 표면 조성물은 드라이월 표면의 해머 자국(hammer ding)에 적용되었다. 상기 조성물을 퍼터용 칼을 사용하여 해머 자국을 포함하는 부분에 스프레드(spread)하고 건조되도록 하였다. 보수된 부분을 프라이밍(priming) 하지 않고 페인트되었다. 결과물인 보수는 보수에 기인한 특징인 광택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 다시 젖지 않고 프래시(flashing)없이 페인트를 취하였으며, 고품질의 패치를 제공한다.
B.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알키드 페인트였다. 액체 알키드 페인트는 캔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을 얻어서 18" x 24" 베이킹 팬에 부었다. 상기 페인트를 가열 구성요소를 정지하고 가정용 헤어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페인트가 건조된 후에, 드라이 페인트를 푸드 프로세서(food processor)에서 그라인드하였다. 그 후,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가루의 균일성이 달성될 때까지 블렌더에서 추가적으로 그라인드되었다. 그 후에, 가루 같은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실러와 페인트 24 체적 온스 대 실러 16 체적 온스의 비율로 합하였다. 상기 실러는 ICI Paints Prep & Prime Bond Prep 내부/외부 워터-베이스 안료 석조 본딩 프라이머 실러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td., 버크셔, 영국)였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면 조성물은 드라이월 표면의 결함에 적용되었다. 상기 조성물을 퍼터용 칼을 사용하여 결함을 포함하는 부분에 스프레드(spread)하고 건조되도록 하였다. 보수된 부분을 프라이밍(priming) 하지 않고 페인트되었다. 결과물인 보수는 보수에 기인한 특징인 광택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 다시 젖지 않았고, 플래시(flashing)없이 페인트를 취하였으며, 고품질의 패치(patch)를 제공한다.
C.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였다. 상기 아크릴 (라텍스) 페인트는 18" x 24" 베이킹 팬에서 10분동안 500℉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S자형(sigmoid) 블레이드가 구비된 푸드 프로세서(food processor)에서 6-7분 동안 그라인드하였다. 그 후, 액체 알키드 (폴리우레탄) 페인트를 상기 드라이 그라인드된 아크릴 페인트에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 3부 대 액체 알키드 페인트 1부의 체적비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이 작은 펠릿 형성하는 드라이 외관이 될 때까지 (약 2분 후) 주방용 반죽 혼합기를 사용하여 블렌드되었다. 그 후,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일정한 분말이 될 때까지 블렌더에서 추가적으로 그라인드되었다. 그 후, 분말상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실러와 페인트 24 체적 온스 대 실러 16 체적 온스의 비율로 합하였다. 상기 실러는 ICI Paints Prep & Prime Bond Prep 내부/외부 워터-베이스 안료 석조 본딩 프라이머 실러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td., 버크셔, 영국)였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면 조성물은 드라이월 표면의 결함에 적용되었다. 상기 조성물을 퍼터용 칼을 사용하여 결함을 포함하는 부분에 스프레드(spread)하고 건조되도록 하였다. 보수된 부분은 프라이밍(priming) 하지 않고 페인트되었다. 결과물인 보수는 보수에 기인한 특징인 광택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 다시 젖지 않았고, 프래싱(flashing)없이 페인트를 취하여 고품질의 패치(patch)를 제공한다.

Claims (51)

  1. 실러 및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포함하는 표면 보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 준비용 표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a.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와 액체 알키드 페인트를 합하여 웨트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건조하여 드라이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드라이 페이스트를 그라인드하여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생성물인 표면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 대 액체 알키드 페인트의 체적비는 정확하게 3:1 혹은 약 3:1인 표면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는
    a.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그라인드하여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생성물인 표면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얻는 단계는
    a.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건조하여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는 (a)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가 상승된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패닝(fanning)하는 단계, (c)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가 저압이 되도록하는 단계, (a) 및 (b), (a) 및 (c), (b) 및 (c) 혹은 (a), (b) 및 (c)에 의해 건조되는 표면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온도는 약 100-750℉, 약 200-600℉, 약 250-500℉, 및 약 500℉ 중 최소 하나인 표면 조성물.
  8. 제 2항에 있어서, 건조 도중에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블렌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블렌딩하는 단계는 최소 2분 동안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블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성물은 상기 실러 및 상기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표면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는 워터-베이스 아크릴 실러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는 스티렌-아크릴 수지, 안료, 텍사놀, 스티렌 공중합체, 라임스톤, 티타늄 옥사이드, 석영 및 포름알데히드 중 최소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대 실러의 체적비는 약 40-80%, 약 50-70%, 약 55-65% 및 약 60%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표면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의 약 90%는 약 2.0㎜, 약 0.18-2.0㎜ 및 약 0.17-0.7㎜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직경을 갖는 표면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이 제거되거나 혹은 감소됨을 나타내는 표면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되는 특징은 광택인 표면 조성물.
  17. 표면 조성물은
    a. 중량으로, 라임스톤 약 20-30%, 티타늄 옥사이드 약 5-10%, 석영 약 0.1-1.0%, 텍사놀 약 1-5%, 스티렌 공중합체 약 5-10%, 포름알데히드 약 0.01-0.10%, 물 약 40-50% 및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약 5-10%를 포함하는 실러; 및
    b. ⅰ.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얻는 단계, 상기 페인트에 약 500℉의 상승된 온도를 가하여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그라인드하여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 3 체적부(parts by volume)를 액체 알키드 페인트 1 체적부와 합하여 웨트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웨트 페이스트를 건조하여 드라이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드라이 페이스트를 그라인드하여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혼합된 알키드/아크릴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조성물은 실러를 약 25 체적% 포함하는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 보수용 표면 조성물.
  18. a. 청구항 1-17중 어느 한항의 표면 조성물을 보수되어야 하는 결함을 포함하는 보수되어야 하는 부분의 일부에 적용하여 보수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보수된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하며,
    상기 보수된 부분은 마감처리하는 단계전에 프라임(prime)되지 않는 표면 보수 방법.
  19. a. 청구항 1-17중 어느 한항의 표면 조성물을 표면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표면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면 부분의 일부를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을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을 보수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 부분은 보수된 부분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보수된 부분인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된 부분은 적용 후에 그리고 마감처리되기 전에 프라임되지 않는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드라이월(drywall), 금속, 금속 프레임, 플라스터, 콘크리트, 시멘트 보드, 스투코(stucco), 돌(stone), 인공석(artifical stone), 섬유 시멘트(fiber cement), 비닐, PVC, 목재, 목재 복합재(wood composite), 알루미늄 복합재, 벽돌, 아도비(adobe), 카나브릭(cannabrick), 캐스트 어스(cast earth), 캐스트 스톤(cast stone), 카브(cob), 흙 플라스터(earthen plaster), 글라스(glass), 타일, 아스팔트, 테라 코타(terra cotta) 및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보수된 부분은 조성물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이 제거 혹은 감소되며,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은 상기 마감처리되지 않는 표면이 마감처리된 다음에 상기 조성물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이 제거 혹은 감소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되는 특징은 광택인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을 플라스터링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플라스터링을 필요로하는 표면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플라스터링을 필요로하는 표면의 최소 일부인 방법.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두 교차 표면을 죠인트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두 표면의 교차지점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두 표면의 교차지점의 최소 일부인 방법.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표면의 틈(gap)을 충진하거나 혹은 피복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상기 표면의 틈이 있는 부분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상기 표면의 틈이 있는 부분인 방법.
  28. 청구항 1-17의 어떠한 표면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29. 실러 및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포함하는 마감처리된 표면의 보수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의 준비용 표면 조성물.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a. 드라이 페인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그라인드하여 그래뉼 드라이 아크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생성물인 표면 조성물.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얻는 단계는
    a. 액체 페인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액체 페인트를 건조하여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페인트는 (a) 상기 액체 페인트가 상승된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패닝(fanning)하는 단계, (c) 상기 액체 페인트가 저압이 되도록하는 단계, (a) 및 (b), (a) 및 (c), (b) 및 (c) 혹은 (a), (b) 및 (c)에 의해 건조되는 표면 조성물.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온도는 최고 약 100℉, 약 100-750℉, 약 200-600℉, 약 250-500℉, 및 약 500℉ 중 최소 하나인 표면 조성물.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아크릴 페인트 및 알키드 페인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표면 조성물.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는 워터-베이스 아크릴 실러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성물은 상기 실러 및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표면 조성물.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는 스티렌-아크릴 수지, 안료, 텍사놀, 스티렌 공중합체, 라임스톤, 티타늄 옥사이드, 석영 및 포름알데히드 중 최소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
  38.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 대 실러의 비율는 약 40-80%, 약 50-70%, 약 55-65% 및 약 60%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표면 조성물.
  39.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의 약 90%는 약 2.0㎜, 약 0.18-2.0㎜ 및 약 0.17-0.7㎜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직경을 갖는 표면 조성물.
  40. 표면 조성물은 실러 및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포함하며,
    a. 상기 실러는 중량으로, 라임스톤 약 20-30%, 티타늄 옥사이드 약 5-10%, 석영 약 0.1-1.0%, 텍사놀 약 1-5%, 스티렌 공중합체 약 5-10%, 포름알데히드 약 0.01-0.10%, 물 약 40-50% 및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약 5-10%를 포함하며; 그리고
    b.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는
    ⅰ. 액체 아크릴 페인트를 얻는 단계, 상기 페인트에 약 500℉의 상승된 온도를 가하여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그라인드하여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ⅱ. 액체 알키드 페인트를 얻는 단계, 상기 페인트를 패닝하는 단계,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 페인트를 그라인드하여 상기 그래뉼 드라이 페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방법의 생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 조성물은 실러를 약 25 체적% 포함하는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 보수용 표면 조성물.
  41. a. 청구항 29-40중 어느 한항의 표면 조성물을 보수되어야 하는 결함을 포함하는 보수되어야 하는 부분의 일부에 적용하여 보수된 표면을 얻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보수된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하며,
    상기 보수된 부분은 마감처리하는 단계 전에 프라임(prime)되지 않는 표면 보수 방법.
  42. a. 청구항 29-40중 어느 한항의 표면 조성물을 표면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표면 조성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면 부분의 일부를 마감처리하는 단계(finishing)를 포함하는 표면 조성물을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을 보수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 부분은 보수된 부분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보수된 부분인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된 부분은 적용 후에 그리고 마감처리되기 전에 프라임되지 않는 방법.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드라이월, 금속, 금속 프레임, 플라스터, 콘크리트, 시멘트 보드, 스투코, 돌, 인공석, 섬유 시멘트, 비닐, PVC, 목재, 목재 복합재, 알루미늄 복합재, 벽돌, 아도비, 카나브릭, 캐스트 어스, 캐스트 스톤, 카브, 흙 플라스터, 글라스, 타일, 아스팔트, 테라 코타 및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 43항에 있어서, 보수된 부분은 조성물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이 제거되거나 혹은 감소되며, 혹은 마감처리되지 않은 표면은 상기 마감처리되지 않는 표면이 마감처리된 다음에 조성물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특징이 제거되거나 혹은 감소되는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되는 특징은 광택인 방법.
  48.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감처리되어야 하는 표면을 플라스터링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플라스터링을 필요로하는 표면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플라스터링을 필요로하는 표면의 최소 일부인 방법.
  49.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두 교차 표면을 죠인트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두 표면의 교차지점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두 표면의 교차지점의 최소 일부인 방법.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표면의 틈(gap)을 충진하거나 혹은 피복하는 방법이며, 상기 적용되는 표면의 부분은 상기 표면의 틈이 있는 부분이며, 상기 마감처리되는 부분의 일부는 상기 표면의 틈이 있는 부분인 방법.
  51. 청구항 29-40의 어떠한 표면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KR1020107024133A 2008-09-26 2009-04-16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 KR20110031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39,587 US8273800B2 (en) 2008-03-28 2008-09-26 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 for finished surfaces
US12/239,587 2008-09-26
US12/422,704 US8153699B2 (en) 2008-03-28 2009-04-13 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 for finished surfaces
US12/422,704 2009-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51A true KR20110031151A (ko) 2011-03-24

Family

ID=4393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133A KR20110031151A (ko) 2008-09-26 2009-04-16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503676A (ko)
KR (1) KR20110031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7625B2 (en) 2018-12-10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including micro light-emitting diodes and reflective lay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4891B (zh) * 2017-06-19 2021-01-08 广东和美陶瓷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修复表面划痕外墙砖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1571A (ja) * 1985-10-17 1987-04-27 Mitsui Toatsu Chem Inc 木材用塗料組成物
US6455598B1 (en) * 1999-10-22 2002-09-24 Aster Roof Cover, Inc. Roof sea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ying
JP2002235040A (ja) * 2001-02-08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材の塗装方法
JP2004291525A (ja) * 2003-03-28 2004-10-21 Yamaha Livingtec Corp 樹脂成形品の補修用組成物及び補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7625B2 (en) 2018-12-10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including micro light-emitting diodes and reflective lay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US11978760B2 (en) 2018-12-10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including micro light-emitting diodes and reflective lay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3676A (ja)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2965B2 (en) Cement resin hybrid paint and coating
US9643887B2 (en) Low dust joint compoun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509100B1 (ko) 벽면 미장공법
US3895018A (en) Plaster composition
KR20110031151A (ko) 마감처리된 표면용 셀프-프라이밍 표면 조성물
US8153699B2 (en) 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 for finished surfaces
CA2719888A1 (en) 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 for finished surfaces
US8273800B2 (en) Self-priming surfacing composition for finished surfaces
US20060287414A1 (en) Acrylic plaster coating composition
WO2003040053A2 (en) Coating compositions
WO2016168256A1 (en) Liquid drywal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KR100540918B1 (ko) 벽면 미장용 시멘트몰탈 제조방법
WO2015179476A1 (en) Lightweight spackling paste composition containing hydrated silica
SU1668346A1 (ru) Способ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поверхности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JP2008106202A (ja) 外壁用塗料
JP2001288415A (ja) 水系艶消し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艶消し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6342052A (ja) モルタル組成物、その方法および用途
RU205503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очного покрытия
EP3325427B1 (en) Clay plaster
JPH10130544A (ja) 砂岩調模様を形成する被覆組成物
AU2015252065B2 (en) Low dust joint compoun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7166110A (ja) 建築板用塗料および建築板
GB2412377A (en) Coating formulation comprising methacrylic ester-acrlyic ester copolymer binder
RU21816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AU745256B2 (en) Coat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